맨위로가기

북위 문성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위 문성제(拓跋濬)는 선비족 출신으로, 북위의 제5대 황제이다. 452년 즉위하여 백성의 경제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불교 탄압을 폐지하며 운강 석굴 조성을 지원했다. 초기 통치 기간에는 권력 투쟁이 격화되었으며, 후기에는 토욕혼 공격, 음주 금지령 시행 등의 정책을 펼쳤다. 465년 사망 후 아들 헌문제 탁발홍이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40년 출생 - 남제 무제
    남제 무제 소색은 남제 2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백성 생활 안정과 국가 재정 확보에 힘써 '영명의 치'라 불리는 번성기를 이끌었으나 만년에는 사치를 즐겼다는 평가를 받으며 후계자 쟁탈전의 원인이 되었다.
  • 465년 사망 - 리비우스 세베루스
    리비우스 세베루스는 리키메르에 의해 옹립되어 서로마 제국 황제로 재위했으나, 동로마 제국의 승인을 받지 못하고 반달족의 습격과 속주 반란으로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으며 독살설과 자연사설이 있는 인물이다.
  • 465년 사망 - 유자업
    유자업은 중국 남조 송나라의 황제로, 폭정과 패륜적인 행위, 잦은 살인과 기행, 근친상간 등 반인륜적인 행적으로 악명이 높았으며, 신하들의 반란으로 시해당했다.
  • 북위의 불교 신자 - 혜가
    혜가는 중국 선종의 제2대 조사로, 보리달마를 만나 제자가 되기 위해 팔을 자르는 일화로 유명하며, 달마로부터 법을 전수받아 선종을 널리 알리다가 승려의 모함으로 처형되었다.
  • 북위의 불교 신자 - 지의
    지의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승려이자 천태종의 개조로, 혜사의 문하에서 지관법문과 북방계 교리를 익히고 천태교리를 확립했으며, 사선정 수행 체계를 발전시키고 불교 교리를 체계화하여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북위 문성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운강석굴
운강석굴
이름북위 문성제
묘호고종(高宗)
시호문성황제(文成皇帝, "civil and successful")
Tuoba (拓拔)
준(俊)
출생일440년 7월 또는 8월
사망일465년 6월 20일
매장지운중 금릉(雲中金陵)
통치 정보
즉위452년 10월 31일
폐위465년 6월 20일
재위 기간452년 10월 31일 – 465년 6월 20일
연호싱안(興安) (452-454)
싱광(興光) (454-455)
타이안(太安) (455-459)
허핑(和平) (460-465)
전임자탁발여
후임자헌문제
가계
아버지탁발황
어머니공황후
배우자문명황후
원황후
자녀헌문제
탁발창러
탁발략
탁발건
탁발약
탁발몽
서하공주

2. 생애

452년, 종애가 태무제를 시해하고 황후의 명을 어기며 동평왕 탁발한(탁발황의 이복 동생)을 살해했다. 종애는 문성제의 숙부인 남안왕 탁발여를 옹립했으나, 8개월 후 탁발여가 종애를 제거하려다 오히려 살해당했다. 이에 상서 육려, 우림랑중(근위대장) 유니, 전중상서 원하 등이 종애를 살해하고, 황태자 탁발황의 장남 탁발준을 옹립했다.[10]

문성제는 즉위 후 백성의 경제력 회복을 위해 개간과 농업 생산을 장려했다. 또한 국내 통합을 위해 불교 탄압을 중단하고, 승려 담요에게 운강 석굴 조성을 명했다. 담요 오굴이라 불리는 거대한 불상 중 가장 큰 제20굴 불상은 도무제를 본뜬 것이며, 그 외 명원제, 태무제, 경목제(탁발황), 문성제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황제가 곧 여래"라는 사상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담요의 건의로 승기호와 불도호 제도도 마련되었다.

2. 1. 즉위 전

440년태무제의 태자였던 탁황의 아들로 태어난 탁발준은 선비족 이름으로 탁발오뢰(拓跋烏雷)였다.[10] (일부 역사적 자료에는 그의 출생 연도를 448년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그가 아들인 헌문제보다 불과 6살밖에 많지 않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떨어진다.) 그의 어머니 유구려 부인은 유구려 비 장군의 여동생이었으며, 유구려 비는 유연 왕족 출신으로 북위에 항복했다. 그는 어렸을 때 할아버지인 태무제의 총애를 받아 종종 태무제를 따라 군사 원정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공식적인 직함은 없었지만 적황손(嫡皇孫)으로 불렸다. 452년 정초 무렵, 그의 아버지 탁황이 환관 종애의 모함에 대한 두려움으로 451년에 병으로 사망한 후, 태무제는 그를 고양왕으로 봉했지만, 맏손자에게 왕의 작위는 적절하지 않다고 여겨 작위를 취소했다. 이는 그가 탁준을 자신의 후계자로 삼을 의도가 있었음을 강하게 시사했다.[10]

그러나 종애는 태무제가 탁황 태자에 대한 모함으로 자신을 처벌할 것을 두려워하여 452년 봄에 태무제를 시해하고, 탁준을 건너뛰고 탁황의 동생인 탁유를 남안왕으로 옹립했다. 종애는 모든 국정을 장악했고, 종애의 오만함에 불만을 품은 탁유가 452년 가을에 그의 권력을 빼앗으려 하자, 종애는 그를 암살했다. 그러나 대신 독고니, 원해, 바바 커허우, 불리구리는 종애를 몰아내고 처형한 뒤, 12세의 탁준을 문성황제로 옹립했다.[10]

2. 2. 초기 통치 (452년 ~ 458년)

452년, 종애가 태무제를 시해하고, 황후의 명령을 어기고 동평왕 탁발한(탁발황의 이복 동생)을 살해했다. 종애는 문성제의 계부(막내 숙부)인 남안왕 탁발여를 옹립했다. 그러나 8개월 후, 탁발여도 종애에게 혐오감을 느껴 친정을 하려 종애를 주살하려 했으나, 이를 재빨리 감지한 종애에 의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상서 육려, 우림랑중(근위대장) 유니, 전중상서 원하 등이 나서 재빨리 종애를 살해하고, 죽은 황태자의 장남 탁발준을 옹립했다.[10]

즉위 후에는 백성의 경제력 휴양을 우선시하고 개간과 생산을 장려했다. 또한 국내의 구심력을 높이기 위해 불교 탄압을 폐지하고, 승려 담요에게 명하여 운강 석굴의 조성을 시작했다. 담요 오굴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불상 중 최대인 제20굴의 불상은 도무제의 모습을 본뜬 것이며, 그 외 명원제, 태무제, 경목제(탁발황), 문성제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여겨진다("황제 즉 여래" 사상의 시작). 또한, 담요의 상주에 의해 승기호와 불도호를 설치했다.

문성제가 즉위한 직후, 고위 관료들 사이에서 상호 간의 투쟁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몇 년 동안 관료들이 높은 지위에 임명되었다가 며칠 또는 몇 달 만에 처형되는 일이 벌어졌다. 여기에는 태무제의 치세에서 유임된 고위 관료들과 문성제를 즉위시키는 데 큰 공을 세운 인물들이 포함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이름직위사망 시기
탁발수락최고 사령관452년 겨울
바바 케호우문성제의 즉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쿠데타 가담자452년 겨울
토계필탁발유 치세의 재상452년 겨울
장려탁발유 치세의 최고 사령관452년 겨울
탁발주유낙릉왕, 최고 사령관452년 겨울
독고혼원보경조왕453년 봄
탁발충건녕왕, 문성제의 종숙부453년 봄
탁발려제남왕, 탁발충의 아들453년 봄
위구려약문부양왕453년 가을
탁발인영창왕, 문성제의 사촌453년 가을
탁발발락평왕, 문성제의 사촌455년 봄



이러한 투쟁에서 원희와 불리구리는 핵심적인 승리자였던 것으로 보이며, 그들은 내부 갈등 속에서 고난을 겪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문성제의 통치 말년에 매우 존경받게 되었다. 그들과 독고니 모두 왕으로 봉해졌다. 문성제 자신이 이러한 내부 투쟁에 관여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칙령은 그의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위지권은 이미 태무제 치세 동안 뛰어난 장군이었으며, 또한 강력한 인물이 되었다.

문성제 치세의 또 다른 특징은 그의 제국 전역의 지방을 자주 순행했다는 것이다. 그는 또한 수도 평성 사람들에게 자주 부분적인 사면령을 내렸다.

452년 겨울, 문성제의 모친 위구려씨가 사망했고, 그는 이후 자신의 부모를 황제와 황후로 추존했다.

453년 새해 무렵, 불교 신자인 문성제는 445년 태무제가 시행했던 불교 금지령 (이는 오호 십육국의 불교 탄압 중 첫 번째로 알려진 사건이 되었음)을 공식적으로 종식시켰고, 그는 직접 5명의 승려에게 삭발 의식을 행했다. 그러나 태무제가 제정한 전통에 따라, 그는 또한 454년 봄에 공개적으로 도교 부적을 받았다.

453년 봄, 문성제는 그의 유모인 창씨 부인을 황태후로 존경했으며, 그녀의 형제들을 마치 자신의 생물학적 삼촌처럼 대했다.

454년 가을, 문성제의 후궁인 이씨는 그의 장남 탁발홍을 낳았다. 456년에 그는 또 다른 황실 후궁인 풍씨를 황후로 책봉하고, 탁발홍을 황태자로 책봉한 다음, 북위의 전통에 따라 탁발홍의 생모인 이씨에게 자결을 명했다.

458년 초, 문성제는 사람들이 술에 취해 제국 정부를 비판하는 것에 좌절하여 음주 금지령을 시행했다. 그는 술의 양조, 음주, 구매 및 판매를 금지했으며, 이를 위반하는 자는 사형에 처했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 동안 술을 허용했다. 이때, 그는 관리들의 행동을 감시하기 위해 익명의 감독을 도입했다. 그러나 관리들은 두려워하여 조사를 강화했지만, 또한 많은 허위 혐의를 제기했고, 불경죄로 재판을 받았다. 문성제는 또한 451년에 제정된 태무제의 법전에 조항을 추가했다. 이 조항들 중 13가지 죄는 범죄자의 일족을 처형하고, 35가지 죄는 범죄자만 처형하며, 62가지 죄는 경미한 처벌을 받도록 규정했다.

458년 겨울, 문성제는 유연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지만, 그의 군대가 폭설을 만나자 이를 포기하는 것을 고려했다. 그러나 위지권의 권고 (퇴각은 유연에게 약점을 과도하게 드러내는 신호가 될 것이라고 주장)에 따라 문성제는 공격을 계속했고, 그는 유연의 추로가한 위구려 탈해진에게 큰 타격을 입히지는 못했지만, 많은 유연 부족민들이 항복했다. 한편, 그가 부재한 동안, 그의 장군 봉칙문과 피표자는 유송 군대와 기수 (濟水, 현재 시대에는 황하가 지나는 경로) 부근에서 교전했지만, 뚜렷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453년, 문성제 초기 통치 기간의 정치 투쟁 동안, 당시의 정치인들은 정규 세금 외에 15개의 추가 징수를 부과했는데, 이는 문제가 되고 부담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다. 그의 통치 중반에, 국고가 부족해질 것을 우려한 관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문성제는 이 추가 징수를 모두 폐지했지만, 곧 다시 부활시켰고, 그의 후계자인 헌문제의 치세가 되어서야 영구적으로 폐지되었다.

2. 3. 후기 통치 (460년 ~ 465년)

拓跋烏雷|탁발오뢰중국어[10]452년 종애(宗愛)가 문성제의 조부 태무제를 시해하고, 황후의 명으로 황족인 동평림왕 탁발한(東平林王 拓跋翰, 탁발황의 이복동생)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한 뒤 옹립되었다. 종애는 문성제의 계부(막내 숙부)인 남안왕 탁발여(南安王 拓跋余)를 옹립했으나, 8개월 후 탁발여가 종애를 주살하려다 살해당했다. 이에 서경의 육려, 동림낭중(근위 단장) 유니(劉尼), 전중상서 원하(源賀)가 종애를 살해하고 황태자 탁발황의 장남 탁발준을 옹립했다.

즉위 후 문성제는 백성의 경제력 휴양을 우선시하여 개간과 식산을 장려했다. 또한 불교 탄압을 폐지하고 사문 담요에게 운강석굴의 축조를 명했다. 담요5굴이라 불리는 거대한 불상 중 최대인 제20굴의 불상은 도무제의 모습을 본뜬 것으로, 이후 명원제·태무제·경목제·문성제의 모습을 본떴다고 여겨진다.(「황제즉여래」사상의 시작) 담요의 건의로 승려기호나 불도호 제도도 마련되었다.

460년 여름, 문성제의 유모인 창 황태후가 사망했다.

같은 해, 정양후(定陽侯) 조안(曹安)의 조언에 따라 문성제는 토욕혼의 칸 모용십인(慕容拾寅)을 공격했다. 모용십인은 북위와 유송으로부터 임명을 받고 재산을 과시하여 북위 관리들의 분노를 샀기 때문이다. 총사령관은 문성제의 동생 양평왕(陽平王) 탁발신성(拓拔新成)과 남군공(南郡公) 이혜(李惠)였다. 군대는 많은 가축을 포획했지만, 모용십인은 미리 경고를 받고 산으로 도망쳤고, 군대는 질병으로 고통받았다.

461년, 문성제는 지방 관리들이 백성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상인들과 거래하며 세금을 거두는 데 이익을 남기는 것에 좌절하여 이 관행을 엄격히 금지하고 처벌하는 조서를 내렸다. 또한 80세 이상 노인의 아들 한 명을 정부 징병에서 면제하도록 명령했다.

464년, 문성제는 제국 순행 중 고차 부족의 천제(天祭)에 참석했고, 고차 사람들은 매우 기뻐했다. 또한 수도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에게는 주요 관청에서 사망할 때까지 식량을 제공하도록 명령했다.

465년 여름, 문성제가 사망하고 아들 탁발굉(拓跋弘)이 선문제(顯文帝)로 즉위했다. 권력은 곧 관료 이부혼에게 넘어갔으나, 466년 문성제의 부인이었던 풍 태후(馮太后)에게 암살당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세조 태무황제 탁발도(世祖 太武帝 拓跋燾)
조모태무황후 혁련씨(太武皇后 赫連氏)
친조모경애황후 하씨(敬哀皇后 賀氏)
부친추존 황제 공종 경목황제 탁발황(恭宗 景穆皇帝 拓跋晃)
모친추존 황후 공황후 욱구려씨(恭皇后 郁久閭氏)
숙부남안은왕 탁발여(南安隱王 拓跋余)
배우자이름비고
황후문성문명황후 풍씨(文成文明皇后 馮氏)(441~490)
황후(추존)문성원황후 이씨(文成元皇后 李氏)(~456)
후궁부인 이씨(夫人 李氏)
후궁부인 조씨(夫人 曹氏)
후궁부인 저거씨(夫人 沮渠氏)
후궁부인 을씨(夫人 乙氏)
후궁부인 열씨(夫人 悅氏)
후궁부인 현씨(夫人 玄氏)
후궁부인 우씨(夫人 于氏)[8]
자녀이름비고
제1황자황태자 탁발홍(拓跋弘)문성원황후 이씨 소생.
제3황자광천장왕 탁발약(廣川莊王 拓跋略)(~480), 부인 조씨(夫人 曹氏) 소생.
제4황자제군순왕 탁발간(齊郡順王 拓跋簡)(~499), 부인 저거씨(夫人 沮渠氏) 소생.
제5황자하간효왕 탁발약(河間孝王 拓跋若)부인 을씨(夫人 乙氏) 소생.
제6황자안풍광왕 탁발맹(安豐匡王 拓跋猛)(~489), 부인 열씨(夫人 悅氏) 소생.
제7황자한애왕 탁발안평(韓哀王 拓跋安平)부인 현씨(夫人 玄氏) 소생.
공주무읍공주(武邑公主)생모미상
공주건흥공주(建興公主)생모미상
공주평양공주(平陽公主)생모미상
공주돈구공주(頓丘公主)생모미상


4. 연호


참조

[1] 기타
[2] 서적 Book of Wei
[3] 서적 Zizhi Tongjian
[4] 기타
[5] 기타
[6] 서적 Zizhi Tongjian
[7]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8] 서적 『漢魏晋南北朝墓志彙編』
[9] 서적 위서 권 4권上 태무제(太武帝)上 태평진군(太平眞君) 원년 6월
[10] 서적 남제서 권57 열전 38. 立晃子濬,字烏雷直勤,年號和平. 烏雷直勤의 直勤은 고대 투르크어로 왕자, 왕족을 뜻하는 테긴(Tegin)을 음사한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