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치 성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로치 성단(Cr 399)은 여우자리에 위치한 천체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1920년대 달메로 프랜시스 브로치가 측광 관측 보정용 별 지도를 제작하며 '브로치 성단'으로 명명했으며, 옷걸이 모양의 별 배열로 인해 '옷걸이 성군'으로도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산개성단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천문학 연구를 통해 시선 방향으로 정렬된 은하수 내의 별들로 밝혀졌다. 이 성군은 5등급에서 7등급 사이의 밝기를 가진 10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에 발견한 천체 - 초신성 1054
초신성 1054는 1054년에 폭발한 초신성 SN 1054를 지칭하며, 잔해는 게 성운으로 알려져 있고, 동아시아, 중동, 유럽, 북미, 호주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기록되었으며, 1968년에는 게 성운 중심에서 펄서가 발견되어 초신성 폭발이 중성자별을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 여우자리 - 아령 성운
아령 성운은 여우자리 방향으로 약 1,360 광년 떨어진 행성상 성운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약 3,000~4,000년 전에 팽창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여우자리 - PSR B1919+21
PSR B1919+21은 1967년에 발견된 최초의 펄사로, 규칙적인 전파 펄스 방출과 외계 신호 가능성 제기로 'LGM-1'으로도 불렸으며, 중성자별 현상으로 밝혀진 후 앨범 커버 등에 사용되며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성군 - 북두칠성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일곱 개의 밝은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관측 가능하며 북극성을 찾는 길잡이 별자리로 유명하고, 고대부터 항해와 천문학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변화한다. - 성군 - 겨울의 대삼각형
겨울의 대삼각형은 북반구 밤하늘에서 시리우스, 베텔게우스, 프로키온을 꼭짓점으로 하여 12월부터 3월 사이에 뚜렷하게 보이는 가상의 삼각형이다.
브로치 성단 | |
---|---|
기본 정보 | |
![]() | |
영문 명칭 | Collinder 399 |
별자리 | 여우자리 |
겉보기 등급 | 3.6 |
시직경 | ~60' |
구글 지도 검색어 | 여우자리 Collinder 399 |
종류 | 성군, 산개 성단 |
기타 명칭 | |
별칭 | 코트 걸이 브로키 성단 알-수피 성단 |
추가 정보 | |
거리 | 4,200 광년(1,150 파섹) |
항성 수 | 10 |
특징 | 성군의 성질을 띔 |
2. 역사
이 천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964년경 페르시아의 천문학자 알 수피가 저술한 『항성도』(별자리 책)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알 수피의 발견은 오랫동안 서양 세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17세기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조반니 바티스타 호디에르나가 1654년에 발표한 목록에서 이 천체를 독립적으로 재발견하여 기록했다.
1920년대에는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AVSO) 소속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이자 지도 제작자인 달메로 프랜시스 브로치가 광도계 보정에 사용하기 위한 성도를 만들면서 이 별 무리를 포함시켰다.
1931년에는 스웨덴의 천문학자 페르 콜린더가 자신의 산개성단 목록에 이 천체를 399번째로 등재하였고, 이로 인해 '콜린더 399'(Collinder 399, 약칭 Cr 399)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2. 1. 명칭
브로치 성단은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역사상 처음으로 이 천체를 기록한 것은 964년 페르시아의 천문학자 알 수피로, 그의 저서 ''항성도''(원문: ''별자리 책'')에 언급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알 수피 성단'''(Al Sufi's Cluster)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1920년대에는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AVSO)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이자 지도 제작자인 달메로 프랜시스 브로치가 측광 관측의 보정을 위해 이 별들의 지도를 만들었다. 이로 인해 '''브로키 성단'''(Brocchi's Cluster)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931년에는 스웨덴의 천문학자 페르 콜린더가 자신의 산개성단 목록에 이 천체를 399번째로 포함시켰다. 여기서 '''콜린더 399'''(Collinder 399, 약칭 Cr 399)라는 명칭이 유래했다.
또한, 이 천체를 구성하는 별들의 배열이 옷걸이 모양과 비슷하여 '''옷걸이 성군'''(Coathanger asterism)이라는 이름으로도 널리 불린다. 특히 한국에서는 이 이름이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3. 성단 여부 논쟁
Cr 399가 어떤 천체인지에 대한 이해는 현대 천문학의 발전에 따라 크게 변화했다. 이 천체는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성단으로 여겨졌으며, 20세기 초에 이를 처음 연구한 해리 마이어도 성단으로 기록했다.
그러나 1970년,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와 시선 속도, 고유 운동을 상세히 조사한 결과, Cr 399의 구성원으로 여겨졌던 별들 중 가장 밝은 6개의 별(HD 182422, HD 182620, HD 182761, 여우자리 5, HD 182955, HD 182972)을 제외하고는 성단을 이루지 않는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 연구는 성단으로서의 지위에 의문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정적인 변화는 1997년부터 공개된 히파르코스 위성의 정밀 관측 데이터 덕분에 이루어졌다. 히파르코스 위성은 별들의 연주시차와 고유 운동을 이전보다 훨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해주었다. 1998년 이후 여러 독립적인 연구들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Cr 399를 구성하는 별들이 실제로는 서로 중력적으로 묶여 운동을 공유하는 진정한 성단이 아니며, 단지 지구에서 바라볼 때 우연히 시선 방향으로 가까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별들의 집합(성군)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연구들에 따르면, 앞서 성단 구성원으로 간주되었던 6개의 밝은 별들조차도 실제로는 운동을 공유하지 않는다. 이 6개의 별 중 거리상으로 관련성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 별은 HD 182620, HD 182761, HD 182955, HD 182972 네 개뿐이지만, 이 네 별조차도 각자의 고유 운동으로부터 추정되는 공간 속도의 차이가 너무 커서 성단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Cr 399는 은하수 내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별들이 우연히 하늘의 한 영역에 모여 있는 모습일 뿐, 물리적으로 연관된 성단은 아닌 것으로 현대 천문학계는 보고 있다.
아래는 옷걸이 모양을 이루는 주요 별 10개의 정보로, 각 별의 겉보기 등급, 분광형, 그리고 지구로부터의 거리를 보여준다. 이 표의 거리 정보를 통해 별들이 실제로는 서로 상당히 다른 거리에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름 | 겉보기 등급 (V) | 분광형 | 거리 (광년) |
---|---|---|---|
HD 182293 | 7.11 | K3 IVp | 354 +21/-17 |
HD 182422 | 6.40 | B9.5 V | 1,240 +1110/-260 |
HD 182620 | 7.16 | A2 V | 583 +74/-51 |
HD 182761 | 6.31 | A0 V | 414 +89/-50 |
여우자리 4 | 5.14 | K0 III | 271.6 ± 7.2 |
여우자리 5 | 5.60 | A0 V | 237.7 ± 5.9 |
HD 182955 | 5.84 | M0 III | 613 ± 38 |
HD 182972 | 6.64 | A1 V | 1,380 +890/-260 |
HD 183261 | 6.88 | B3 II | 2,350 +6460/-650 |
여우자리 7 | 6.34 | B5 Vn | 1,160 +240/-170 |
4. 옷걸이 성군
옷걸이 성군(Coathanger)은 브로치 성단(Cr 399) 내에서 눈에 띄는 아스테리즘(성군)이다. 이 성군은 겉보기 등급 5에서 7등급 사이의 별 10개로 주로 인식되는데, 이 중 6개의 별이 일직선을 이루고 남쪽의 4개 별이 갈고리 모양을 형성하여 마치 옷걸이처럼 보인다. 실제로는 약 30개 정도의 더 희미한 별들도 이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어두운 밤하늘에서는 옷걸이 성군이 맨눈으로 희미한 빛의 얼룩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특징적인 옷걸이 모양을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쌍안경이나 낮은 배율의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옷걸이 성군을 찾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밝은 별 알타이르에서 매우 밝은 별 베가를 잇는 가상의 선을 따라 은하수를 천천히 훑어보는 것이다. 알타이르에서 베가까지 거리의 약 3분의 1 지점, 백조자리 남쪽 은하수의 어두운 영역을 배경으로 옷걸이 성군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알비레오(백조자리 β별)에서 남쪽으로 작은여우자리 알파별을 따라가거나, 화살자리의 화살촉에 해당하는 화살자리 감마별에서 서쪽으로 약 8도 이동하여 찾을 수도 있다.
옷걸이 성군은 매년 7월부터 8월 사이에 관측하기 가장 좋다. 북반구 위도 20도 이상 지역에서는 남중했을 때 옷걸이가 거꾸로 뒤집힌 모습으로 보인다. 반면, 남반구에서는 옷걸이의 갈고리 부분이 아래쪽을 향해 제대로 된 방향으로 보인다.
이 성군은 좁은 영역 안에 다양한 밝기의 별들이 모여 있어, 작은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별의 등급을 가늠하는 데 유용한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4. 1. 구성원

이 성군은 겉보기 등급 5에서 7등급에 이르는 10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6개의 별이 직선을 이루고, 남쪽에 있는 4개의 별이 갈고리 모양을 형성하여 뚜렷한 "옷걸이" 모양을 만든다. 지상에서 관측할 때는 약 30개 정도의 더 희미한 별들도 함께 보이는 경우가 있다.
다음 표는 옷걸이 성군을 구성하는 것으로 보이는 주요 10개 별의 목록으로, 적경 순서로 정렬되어 있다.
이름 | 겉보기 등급 (V) | 분광형 | 거리 (광년) |
---|---|---|---|
HD 182293 | 7.11 | K3IVp | 353 ± 0.85[1] |
HD 182422 | 6.39 | B9.5V | 1124 ± 14.6[1] |
HD 182620 | 7.16 | A2V | 584 ± 2[1] |
HD 182761 | 6.29 | A0V | 413 ± 2[1] |
HD 182762 (여우자리 4) | 5.16 | K0III | 255.8 ± 1.3[1] |
HD 182919 (여우자리 5) | 5.60 | A0V | 235.3 ± 0.8[1] |
HD 182955 | 5.87 | M0III | 577 ± 5.4[1] |
HD 182972 | 6.63 | A1V | 793 ± 9[1] |
HD 183261 | 6.88 | B3II | 1735 ± 116[1] |
HD 183537 (여우자리 7) | 6.33 | B5Vn | 910 ± 10[1] |
위 표에 나열된 별들은 실제로는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해 있다. 예를 들어, HD 182955와 HD 182620은 상당한 거리가 떨어져 있으며[1], 고유 운동 방향도 달라 중력적으로 묶여 있지 않다.[1] 따라서 브로치 성단은 실제 성단이 아니라 우연히 같은 방향에 모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성군으로 분류된다.
이 성군에서 가장 밝은 별 중 하나인 여우자리 4(HD 182762)를 비롯하여 여우자리 5(HD 182919), 여우자리 7(HD 183537) 등 여러 별들이 밤하늘에서의 위치와 밝기 때문에 비슷한 헨리 드레이퍼 목록(HD) 번호를 가지고 있다.
5. NGC 6802
옷걸이 성군의 "레일" 동쪽에는 수십 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산개성단인 NGC 6802가 위치한다. 이 별들은 서로 중력적으로 묶여 있어 진정한 성단일 가능성이 높다. NGC 6802는 브로치 성단의 다른 별들보다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초기 측정에서는 약 4,580 광년 거리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가이아 데이터 릴리스 3(Gaia Data Release 3)과 제6차 가이아-ESO 측정을 참조한 연구를 통해 이보다 4,420 광년 더 멀리, 즉 약 9,000 광년 떨어져 있는 것으로 거리가 수정되었다.
참조
[1]
간행물
2017735817073815680
[2]
논문
Updated version of the `homogeneous catalog of open cluster parameters'
Astrophysics Bulletin
2017
[3]
논문
The Gaia-ESO survey: Mixing processes in low-mass stars traced by lithium abundance in cluster and field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2021-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