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은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전 참전 이후 미국이 한반도 점령 지역 분할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미군은 38선을 경계로 남한을 점령하고, 미국 체제를 지지하는 정부 수립을 시도했다. 미군은 제24군단 병력을 투입하여 서울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군정을 실시했으나, 한국인보다 일본인을 우대하고 친일파를 등용하는 등 실정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미국과 소련은 통일 정부 수립에 실패하고, 한반도 문제는 유엔으로 넘어가 남한에서 선거가 실시되어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미국의 한반도 정책 변화와 함께 미군은 철수하고,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군사사 - 크로스로드 작전
크로스로드 작전은 미국이 1946년 비키니 환초에서 핵무기 영향을 평가하고 군사적 활용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핵실험으로, 핵무기 경쟁 심화와 냉전 시대 긴장 고조, 비키니 환초 주민들의 환경 오염 및 건강 문제 야기, 핵무기 사용 윤리 논쟁을 초래했다. - 비전투 군사작전 - 복원
복원은 군인, 잠수 장비 등의 원래 상태로의 회귀를 의미하며, 유엔 평화유지활동, 잠수 작업,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일본, 미국 복원군인원호법 제정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 비전투 군사작전 - 워프 스피드 작전
워프 스피드 작전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제조, 배포를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시작된 대규모 프로젝트로, 미국 국방부와 협력하여 CARES Act의 자금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백신 개발 회사와의 협력 및 공급망 투명성 확보를 위한 추적 시스템 구축 등을 포함했다.
|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작전 개요 | |
| 명칭 |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Operation Blacklist Forty) |
| 일부 |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 및 냉전의 일부 |
| 시기 | 1945년 ~ 1948년 |
| 위치 | 한반도 |
| 목표 | 북위 38도 이남의 한반도 점령 |
| 결과 | 작전 성공 |
| 결과 상세 | 일제강점기의 종료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설립 대한민국 설립 |
| 작전 이미지 | |
![]() | |
| 관련 정보 출처 | |
| 서적 정보 | Edwards, Paul M. (2006). The Korean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0313332487 Edwards, Paul M. (2010). Combat operations of the Korean War: ground, air, sea, special and covert. McFarland. ISBN 978-0786458127 |
2. 배경
1945년 8월,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을 선포한 이후 미국은 한반도 점령 지역 분할을 제안했다. 딘 러스크와 찰스 H. 보네스틸 3세 미군 장교 2명은 한국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짧은 시간 회의 후 8월 10일 북위 38도를 분할 구역 기준으로 삼았다.[7][8][9] 미국 상부는 이 분할선을 받아들였고 소련도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 미국은 이 지역에서 미국 체제를 지지하는 대표 정부를 수립하고자 했으며, 소련 또한 자신이 점령한 지역에서 소련에 우호적인 공산주의 정부를 세우고자 했다.[1][2][3]
3. 점령 작전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의 일환으로 미군 제24군단 45,000명이 투입되었다. 1945년 9월 4일, 미군 선발대가 김포 비행장에 도착했고, 9월 8일 인천에 제7보병사단 소속 병사 14명이 상륙했으며, 다음 날 대규모 상륙 작전(인천 상륙 작전)이 시작되었다.[7][8][9]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일본 점령 업무로 인해 존 하지 중장에게 한반도 점령 임무를 맡겼다.[7][8][9]
미군과 소련군의 한반도 철수는 양국이 우호적인 통일 정부 수립에 합의할 때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련은 공산주의 국가 건설 외에는 어떠한 것도 인정하지 않아 협상은 결렬되었다.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유엔에 상정했고, 1947년 9월 유엔은 이 문제를 수락하여 유엔 감독 하 한국 선거를 제안했다. 그러나 소련은 유엔 결정이 38도선 이남에만 적용된다고 주장하며, 38도선 이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독립한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38도선 이남에서 선거가 실시되었고, 1948년 7월 24일 이승만이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7][10]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점령은 종료되었고, 1950년대 미국에게 한반도 문제는 사소한 사건으로 간주되었다. 1950년 1월 5일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간의 타이완섬 또는 중국 본토 분쟁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7일 후 딘 애치슨 국무장관은 "한국은 미국의 영향권 밖에 있다"라고 말했다.[11] 1950년 1월 26일 미-한 군사 원조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한국 전쟁 발발 직전인 1950년 6월 25일에야 1000USD 상당의 통신선이 도착했다.[7]
3. 1. 미 군정의 초기 정책
존 하지 중장은 서울 반도 호텔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군정을 수립했다.[7][8][9] 그는 한국의 공식 언어를 영어로 지정하고, 미국에 우호적인 독립 정부 구성을 추진했다.[7][8][9] 하지는 전장 지휘관으로는 훌륭했지만, 외교 능력은 부족하여 한국인을 싫어했고, 한국과 일본의 문화적 차이를 몰랐다. 그 결과, 하지 중장은 "한국의 적"으로 불릴 만큼 많은 실수를 했다.[7][8][9]
인력 부족으로 하지는 치안 유지를 위해 과거 일본 경찰을 활용했다. 또한, 적어도 초기에는 적절한 미국인 대체 인력을 찾을 때까지 일본 식민 정부를 유지했다. 그러나 한국인들의 불만이 커지자, 도쿄의 미국 군사정부는 1945년 10월 2일 일본 행정부를 공식적으로 해체했다. 이로 인해 일본인 관리들은 해임되었지만, 미군은 이들을 고문으로 고용했다. 에드워드는 하지 중장의 가장 큰 업적은 한국의 부유한 반공 세력, 즉 과거 일본 제국과 협력했던 많은 사람들을 그의 군사정부와 협력하게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7][8][9]
미군은 점령군이자 해방군으로 환영받았다는 시각이 있다. 또한, 미군은 군사적 배경과 한국인들에게는 없는 일본인의 행정 관리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한국인보다 일본인을 우대했다는 시각도 있다. 나아가, 미국은 한반도의 여러 정치 세력과 직접 대화하기보다는 일본 당국을 통해 처리하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결과, "많은 한국인의 눈에 미국과 일본은 똑같이 나빠 보였다"라는 평가도 있다.[9]
3. 2. 미 군정의 어려움과 평가
하지 중장은 전장 지휘관으로는 유능했으나, 외교 수완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한국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고, "한국인을 적으로 대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등 많은 실수를 저질렀다.[7][8][9][1][2][3]
미군은 해방군이 아닌 점령군으로 인식되었고, 한국인보다 일본인이 우대받는 상황에 대한 불만이 컸다. 인력 부족으로 미 군정은 치안 유지와 같은 업무에 과거 일본 경찰을 그대로 기용하기도 했다.[9][3]
미 군정은 한국의 부유한 반공 세력 및 친일파와 협력하여 권력을 강화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실제로 미 군정이 1946년 12월 설치한 남조선 과도 입법 의회는 좌익 세력과 대한민국 민주당의 반발을 샀는데, 이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 부주석이었던 온건파 김규식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이었다.[5]
3. 3. 남조선 과도 입법 의회
미국 육군 군정청(USAMGIK)은 1946년 12월 남조선 과도 입법 의회를 창설했다. 이 의회는 "정치, 경제, 사회 개혁의 기초"로 사용될 법률 초안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이었다.[5] 그러나 남조선노동당으로 통합된 좌익 정치 세력은 의회를 무시하고 참여를 거부했다.[5] 지주와 소규모 사업주가 지원하는 보수 세력인 대한민국 민주당도 의회의 주요 지도자들이 USAMGIK에 의해 배제되었기 때문에 의회에 반대했다.[5]
45명의 의원 중 많은 수가 보수주의자였지만, 대부분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부주석이었던 온건파 김규식이 지명했다.[5] 김규식은 존 R. 호지가 장차 독립적인 남한을 이끌 인물로 선택한 사람이었다.[5] 그러나 김규식은 카리스마가 부족했고 좌익과 우익 모두 그를 지지하도록 영감을 주지 못했다.[5]
4. 남북 분단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미국과 소련은 한반도에서 양측에 우호적인 통일 정부를 수립하는 데 합의할 때까지 군대 철수를 연기했다. 그러나 소련은 공산주의 국가 수립 외의 제안은 거부하여 협상이 결렬되었다.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유엔에 이관했고, 1947년 9월 유엔은 한국 선거를 감독하는 회의를 열었다. 소련은 유엔 결정이 38도선 이남에만 적용되며, 북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독립한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38도선 이남에서 선거가 진행되어 1948년 7월 24일 이승만이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7][10]
5. 미국의 한반도 정책 변화와 한국 전쟁 발발
1940년대 말, 미국과 소련은 한반도에 우호적인 통일 정부 수립에 합의할 때까지 군대를 철수하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소련은 공산주의 국가 수립 외에는 어떤 것도 인정하지 않아 협상은 결렬되었다. 미국은 이 문제를 유엔에 넘겼고, 유엔은 1947년 9월 한국 선거 문제를 포함한 회의를 열었다. 소련은 유엔의 결정이 38선 이남에만 적용된다고 주장했지만, 38선 이남에서 선거가 열려 1948년 7월 24일 이승만이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7][10]
미군과 소련군의 한반도 점령은 양국 군대의 철수로 끝났다. 1950년대 초, 미국에게 한반도 문제는 사소한 것으로 여겨졌다. 1950년 1월 5일,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타이완섬이나 중국 본토에서 벌어지는 중국 공산당과 중국 국민당 간의 내전에 개입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7일 후, 딘 애치슨 국무장관은 "한국은 미국의 영향권 밖에 있다"고 말했다.[11] 1950년 1월 26일, 미국과 대한민국은 군사 원조 협정을 체결했지만, 한국 전쟁이 발발한 1950년 6월 25일까지 대한민국에 도착한 지원은 1000USD 상당의 통신선뿐이었다.[7]
참조
[1]
서적
The Korean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서적
Combat operations of the Korean War: ground, air, sea, special and covert
McFarland
[3]
서적
The Allied Occupation of Japa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4]
웹사이트
Hotel Museum - LOTTE HOTEL SEOUL Facilities | LOTTE HOTEL SEOUL
https://www.lottehot[...]
2021-03-26
[5]
웹사이트
South Korea - South Korea Under United States Occupation, 1945-48
http://countrystudie[...]
2021-03-28
[6]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Korean War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8]
서적
Combat operations of the Korean War: ground, air, sea, special and covert
https://archive.org/[...]
McFarland
[9]
서적
The Allied Occupation of Japa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0]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Excerpts
http://web.viu.ca/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