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아니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비아니 정리는 정삼각형 내부의 점에서 각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이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정삼각형뿐만 아니라 정다각형, 정다면체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평행사변형과 같은 다른 도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비아니 정리는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해 증명할 수 있으며, 3원 플롯과 같은 좌표를 제공하는 데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비아니 정리 | |
---|---|
비비아니 정리 | |
![]() | |
내용 | 정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에서 각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은 일정하며, 정삼각형 높이와 같다. |
관련 인물 | 빈첸초 비비아니 |
추가 정보 | |
활용 | 이 정리는 비비아니의 정리 지도를 만들거나, 특정 영역을 삼각형 좌표로 나타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2. 공식화
비비아니 정리는 다음과 같이 공식화할 수 있다.
단계 | 설명 |
---|---|
1 | 점 P에서 정삼각형 ABC의 각 변까지의 최단 거리(수선의 발)를 표시한다. |
2 | 점 P를 지나면서 정삼각형의 각 변(AB, BC, CA)에 평행한 선분(DE, FG, HI)을 그으면, 세 개의 작은 닮은 정삼각형(PHE, PFI, PDG)이 만들어진다. |
3 | 이 작은 삼각형들은 정삼각형이므로, 각 삼각형의 높이는 원래 내린 수선의 길이와 같다. |
4 | 평행사변형(예: PGCH)의 성질을 이용하고 작은 정삼각형들을 이동시키면, 세 수선의 길이의 합이 원래 정삼각형 ABC의 높이와 같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정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하여 비비아니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이 증명은 삼각형의 넓이가 밑변과 높이의 곱의 절반이라는 사실에 기반한다.[2]
높이가 ''h''이고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 ABC가 있다고 가정하자.
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을 P라 하고, P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각각 ''s, t, u''라고 하자. 점 P와 정삼각형의 세 꼭짓점(A, B, C)을 연결하면 세 개의 작은 삼각형 PAB, PBC, PCA가 만들어진다.
이 세 삼각형의 넓이는 각각 , , 이다. 이 세 삼각형의 넓이를 합하면 원래 정삼각형 ABC의 넓이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등식이 성립한다.
:
양변에 를 곱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정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s + t + u'')은 항상 정삼각형의 높이(''h'')와 같다. Q.E.D.
3. 증명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S라 하고, 삼각형 내부의 한 점에서 각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각각 a, b, c라고 하자. 이 점과 정삼각형의 세 꼭짓점을 연결하면 정삼각형은 세 개의 작은 삼각형으로 나뉜다. 이 세 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원래 정삼각형의 넓이와 같다. 각 작은 삼각형의 밑변은 S이고 높이는 각각 a, b, c이므로, 세 삼각형 넓이의 합은 가 된다.
한편, 정삼각형의 넓이는 로 일정하다. 따라서 이 성립한다. 이 식을 정리하면 가 되는데, 이는 정삼각형의 높이와 같다. 즉, 내부의 점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a + b + c)은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정삼각형의 높이()로 일정하다.
다음 표는 그림의 시각적 증명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단계 설명 1 점 P에서 정삼각형 ABC의 각 변까지 내린 수선(최단 거리)을 표시한다. 2 P를 지나면서 각 변 AB, BC, CA에 평행한 선분 DE, FG, HI를 그린다. 이 선분들은 서로 닮은 작은 정삼각형 PHE, PFI, PDG를 만든다. 3 이 작은 삼각형들은 정삼각형이므로, 각 삼각형의 높이(P에서 각 평행선까지의 거리)는 원래 수선 길이와 같다. 이 높이들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4 사각형 PGCH는 평행사변형이므로 PG와 HC의 길이는 같다. 작은 삼각형들의 높이를 쌓아 올리면, 세 수선의 길이 합이 큰 정삼각형 ABC의 높이와 같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한 다른 접근 방식[2]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증명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한 증명
이 증명은 삼각형의 넓이가 밑변과 높이의 곱의 절반이라는 사실에 기반한다.[2]
높이가 ''h''이고 변의 길이가 ''a''인 정삼각형 ABC가 있다고 가정한다. 삼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을 P라 하고, P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각각 ''s, t, u''라고 하자. 점 P에서 정삼각형의 각 꼭짓점 A, B, C에 선분을 그으면, 정삼각형 ABC는 세 개의 작은 삼각형 PAB, PBC, PCA로 나뉜다.
이 세 삼각형의 밑변은 모두 정삼각형의 변 ''a''이고, 높이는 각각 P에서 각 변까지의 수선 길이 ''u, s, t''가 된다. 따라서 각 삼각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이 세 삼각형의 넓이의 합은 원래 정삼각형 ABC의 넓이와 같다. 정삼각형 ABC의 넓이는 밑변 ''a''와 높이 ''h''를 이용하여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이 식의 양변에 를 곱하면 변의 길이 ''a''와 관계없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이는 정삼각형 내부의 어떤 점 P를 선택하든, 그 점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s + t + u'')은 항상 정삼각형의 높이 ''h''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 합은 점 P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4. 역
일반적으로 비비아니 정리의 역은 성립한다.[8] 즉, 삼각형의 내부 점에서 각 변까지의 거리의 합이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면, 그 삼각형은 정삼각형이다.[3]
5. 일반화
비비아니 정리는 정삼각형 내부에 있는 한 점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 합이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다음과 같은 다른 도형으로도 확장될 수 있다.
또한, 3차원 공간으로 확장하여 정다면체 내부의 한 점에서 각 면에 내린 수선의 길이 합 역시 일정하다는 성질이 성립한다.[7]
5. 1. 평행사변형
평행사변형 내부의 임의의 점에서 각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은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반대로, 사변형 내부의 임의의 점에서 각 변까지의 거리의 합이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면, 그 사변형은 평행사변형이다.[3]5. 2. 정다각형
비비아니 정리는 정삼각형뿐만 아니라 임의의 정다각형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정다각형은 모든 각의 크기가 같고(등각 다각형)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등변 다각형) 다각형을 의미한다.정다각형 내부의 한 점에서 각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은 그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이 일정한 값은 정다각형의 변의 개수를 ''n''이라 하고, 아포테마(다각형의 중심에서 각 변까지의 거리)를 ''a''라고 할 때, ''n'' × ''a'' 와 같다.[3][4]
하지만 이 명제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다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에서 각 변까지의 거리의 합이 일정하다고 해서 그 다각형이 항상 정다각형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이 아닌 평행사변형은 내부의 점에서 각 변까지의 거리 합이 일정할 수 있지만 정다각형이 아니므로, 이 명제의 역에 대한 반례가 된다.[3]
비비아니 정리는 정다각형이 아니더라도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다각형에서도 성립한다.
- 모든 각의 크기가 같은 등각 다각형
-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볼록 등변 다각형
또한, 이 정리는 3차원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정다면체 내부의 한 점에서 각 면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 역시 그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7]
5. 3. 등각다각형
등각 다각형의 내부 한 점으로부터 각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 합은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1] 예를 들어, 정삼각형 내부에 있는 한 점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 합은 항상 같다.이 정리는 정삼각형뿐만 아니라 임의의 정다각형에서도 성립한다. 더 나아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다각형에서도 성립한다.
- 모든 각의 크기가 같은 다각형 (즉, 등각 다각형)
-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볼록 다각형
5. 4. 볼록 다각형
볼록 다각형에서 임의의 내부점에서 각 변까지의 거리의 합이 일정할 필요충분 조건은, 거리의 합이 같은 세 개의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내부 점이 존재하는 것이다.[1]예를 들어, 정삼각형 내부의 한 점에서 세 변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 이 정리는 임의의 정다각형에서도 성립한다.
정다각형이 아니더라도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다각형에서도 성립한다.
- 모든 각의 크기가 같은 다각형
- 모든 변의 길이가 같은 볼록 다각형
이 개념은 3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는데, 정다면체 내부의 한 점에서 각 면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 역시 일정하다.[7]
5. 5. 정다면체
정다면체 내부의 임의의 점에서 각 면에 내린 수선의 길이의 합은 그 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7] 하지만 이 명제의 역은 성립하지 않으며, 심지어 사면체에 대해서도 성립하지 않는다.[3]6. 응용
비비아니 정리는 정삼각형의 변과 평행한 선이 3원 플롯과 같은 좌표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가연성 다이어그램이 있다.
더 일반적으로, 이는 동일한 방식으로 정규 단순체에 좌표를 부여할 수 있게 해준다.
참조
[1]
논문
On Viviani's Theorem and its Extensions
[2]
서적
Charming Proofs: A Journey Into Elegant Mathematics
https://www.google.c[...]
MAA
[3]
논문
The converse of Viviani's theorem
[4]
서적
The Math Book
Stirling
[5]
서적
数学難問BEST100: 高校数学の知識なしでも解ける歴史的良問を厳選!
https://www.google.c[...]
PHP研究所
2015-02-26
[6]
서적
イラスト&図解 知識ゼロでも楽しく読める! 数学のしくみ
https://www.google.c[...]
西東社
2020-07-08
[7]
논문
3D Generalisations of Viviani's theorem
https://www.cambridg[...]
2013-11
[8]
저널
The converse of Viviani's theor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