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툴라 석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스툴라 석호는 비스툴라강, 노가트강, 슈카르파바강, 프레골랴강의 하구로, 폴란드와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사이에 위치해 있다. 과거에는 발티스크 해협이 석호에서 그단스크만으로 나가는 유일한 수로였으나, 폴란드는 비스툴라 사주 운하를 건설하여 새로운 수로를 만들었다. 이 석호는 폴란드의 중요한 조류 지역이며, 9세기 말 앵글로색슨어로 'Estmere'로 기록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언어와 시대를 거치며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13세기부터 튜튼 기사단의 일부였으며, 폴란드 왕국,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소련 등을 거쳐 현재는 폴란드와 러시아에 속해 있다. 1945년 동프로이센 피난 당시 얼어붙은 석호를 건너던 피난민들이 소련 항공기의 공격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스툴라 석호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이름 | 비스툴라 석호 |
본래 이름 | pl: Zalew Wiślany (잘레프 비실라니) ru: Калининградский залив (칼리닌그라드스키 잘리프) de: Frisches Haff (프리셰스 하프) lt: Aistmarės (아이스트마레스) |
위치 | 폴란드, 러시아 |
어원 | 비스툴라 강 |
유입 | 바우다, 엘블롱크 강, 노가트, 파솅카, 슈카르파바, 프레골랴, 프로흘라드나야 강, 비스와 크룰레비에츠카 |
길이 | 90.7 km |
너비 | 13 km |
면적 | 838 km2 |
깊이 | 2.7 m |
염도 | 3‰ |
도시 | 톨크미츠코, 프롬보르크, 크리니차 모르스카, 발티스크, 프리모르스크 |
![]() |
2. 지리
비스툴라 석호는 비스툴라강의 여러 지류, 특히 노가트강과 슈카르파바강, 그리고 프레골랴강의 하구이다.
2022년 이전에는 석호에서 그단스크만으로 나가는 유일한 수로는 러시아령 석호에 있는 발티스크 해협이었다. 폴란드의 엘블롱크 항구는 석호에서 상당한 양의 무역 교통량을 보았지만, 국제적 긴장과 퇴적으로 인해 감소했다. 2019년에서 2022년 사이에 폴란드는 석호의 자국 부분에 비스툴라 사주 운하를 건설하여 석호에서 나가는 또 다른 수로를 만들었다.[1]
2. 1. 주요 항구
폴란드 (엘블롱크, 톨크미츠코, 프롬보르크, 크리니차 모르스카 지역 포함)와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칼리닌그라드, 발티스크, 프리모르스크 지역 포함) 사이에 위치해 있다. 칼리닌그라드와 발티스크는 현재 비스툴라 석호의 주요 해항이다.[1]2. 2. 생태 환경
비스툴라 석호는 폴란드의 중요 조류 지역이다.[1]3. 어원
비스툴라 석호의 이름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9세기 말 헤데비의 울프스탄이 Estmereang로 남긴 것이다.[2] 이는 고대 프로이센어 Aīstinmariprg의 앵글로색슨어 번역본으로, '아이스티의 석호 또는 바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 이름은 두 개의 고대 프로이센어 단어가 합쳐진 것이다.
- Aistei
- ''mari'' - "석호 (모래톱에 의해 더 큰 수역에서 차단된 물줄기), 담수 만".[3]
이 고대 프로이센어 이름은 오늘날 리투아니아어에서 ''Aistmarės''로 사용되며, 원래의 의미를 보존하고 있다.
13세기 전반, 독일 기사단이 라틴어로 발행한 문서에서 비스툴라 석호는 ''Mare Recens'' (1246, "''mare''" - 웅덩이, 호수 또는 바다, "''recens''" - 신선한)로 나타났으며, 이는 당시 발트해의 이름인 ''Mare Salsum'' (짠 바다)과 대조된다. 1251년에는 ''Mare Recens et Neriam'', 1288년에는 ''Recenti Mari Hab''가 등장하는데, 이는 독일어 "Frisches Haff"에 해당한다.[4] 현대 독일어 이름인 ''Frisches Haff''는 이전 형태인 ''Friesisches Haff''에서 파생되었다.[5]
1946년 이후, 석호의 러시아어 이름은 Kaliningradskiy zaliv|칼리닌그라드스키 잘리프ru이며, '칼리닌그라드 만'을 의미한다.
4. 역사
13세기 전반부터 이 석호는 튜튼 기사단의 일부였다. 1454년,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 국왕은 반(反)튜튼 단체인 프로이센 연맹의 요청에 따라 이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병합했다.[6] 1466년 토룬 조약 이후, 이 지역은 폴란드에 속했으며, 서쪽 부분은 폴란드 왕령 프로이센과 대폴란드의 일부를, 동쪽 부분은 튜튼 기사단과 공작령 프로이센이 보유한 폴란드 봉토를 형성했다.[7] 주변 지역에는 폴란드인, 독일인, 그리고 쿠르세니에키족이 거주했다. 제1차 폴란드 분할 이후, 이 영토는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1871년에는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0년부터 1939년까지는 독일과 단치히 자유시로 분할되었다. 1945년, 면적의 43.8%를 차지하는 서쪽 부분은 다시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고, 동쪽 부분은 소련 (현재는 러시아)에 귀속되었다. 행정적으로는 폴란드 포모제 주, 바르미아-마주리 주와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로 나뉜다.
거의 멸족된 쿠르세니에키족은 비스툴라 사주와 석호 근처에 살았다.
4. 1. 주요 역사적 사건
13세기 전반부터 이 석호는 튜튼 기사단의 일부였다. 1454년,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 국왕은 반(反)튜튼 단체인 프로이센 연맹의 요청에 따라 이 지역을 폴란드 왕국에 병합했다.[6] 1466년 토룬 조약 이후, 이 지역은 폴란드에 속했으며, 서쪽 부분은 폴란드 왕령 프로이센과 대폴란드의 일부를, 동쪽 부분은 튜튼 기사단과 공작령 프로이센이 보유한 폴란드 봉토를 형성했다.[7] 제1차 폴란드 분할 이후, 이 영토는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1871년에는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0년부터 1939년까지는 독일과 단치히 자유시로 분할되었다. 1945년, 면적의 43.8%를 차지하는 서쪽 부분은 다시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고, 동쪽 부분은 소련 (현재는 러시아)에 귀속되었다.1945년 1월부터 3월까지, 동프로이센 피난 기간 동안, 적군이 1월 26일 엘빙 근처 석호 해안에 도달한 후, 동프로이센에서 온 피난민들은 서쪽으로 향하면서 얼어붙은 석호를 건넜다. 소련 항공기의 공격으로 수천 명의 피난민들이 사망하거나 깨진 얼음 속으로 빠졌다.[8][9]
참조
[1]
간행물
Vistula Lagoon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
논문
Wulfstan's voyage and his description of Estland: the text and the language of the text
[3]
서적
Dictionary of revived Prussian: Prussian - English, English - Prussian
[4]
문서
Codex diplomaticus Warmiensis oder Regesten und Urkunden zur Geschichte Ermlands. Bd. 1, Urkunden der Jahre 1231-1340
Mainz
[5]
서적
"Preussisches Wörterbuch: Deutsche Mundarten Ost- und Westpreussens"
Wachholtz
[6]
서적
Związek Pruski i poddanie się Prus Polsce: zbiór tekstów źródłowych
Instytut Zachodni
[7]
서적
[8]
서적
Forgotten Land: Journeys Among the Ghosts of East Prussia
[9]
서적
The Flight Across The Ice: The Escape of the East Prussian Hors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