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골랴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골랴강은 인스트루치강과 안그라파강의 합류 지점에서 시작하여 비스툴라 석호를 거쳐 발트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칼리닌그라드주 중부에서 발원하여 칼리닌그라드를 거쳐 비스툴라 석호로 흘러든다. 강의 길이는 123km이며, 안그라파강을 포함하면 292km이고, 유역 면적은 15,500km2이다. 과거 쾨니히스베르크의 정치와 경제를 지탱하는 수운 역할을 했으며, 쾨니히스베르크의 일곱 다리 문제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리닌그라드주 - 동프로이센
    동프로이센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했던 역사적 지역으로,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과 폴란드로 분할되었다.
  • 칼리닌그라드주 - 네만강
    네만강은 벨라루스에서 발원하여 리투아니아와 러시아를 거쳐 쿠르슈 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유럽에서 14번째로 긴 강으로, 유역은 리투아니아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경제 활동에 활용되지만 수질 오염 등의 환경 문제에 직면해 관련 국가들이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칼리닌그라드주의 강 - 네만강
    네만강은 벨라루스에서 발원하여 리투아니아와 러시아를 거쳐 쿠르슈 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유럽에서 14번째로 긴 강으로, 유역은 리투아니아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경제 활동에 활용되지만 수질 오염 등의 환경 문제에 직면해 관련 국가들이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칼리닌그라드주의 강 - 피사강
    피사강은 인스터강, 앙게라프강과 함께 프레겔 강의 지류를 이루며, 동프로이센 지역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진 강이다.
  • 러시아의 강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러시아의 강 - 무나강
    무나강은 사하 공화국을 흐르는 강으로, 좁고 구불구불한 강줄기에서 시작하여 레나강 하구와 합류하며, 오르토-무나강과 울라한-무나강의 합류점에서 발원하고 주요 지류로는 카흐찬, 세베르나야 등이 있으며, 긴 결빙 기간과 수위 상승이 특징이고 유역은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다.
프레골랴강
지리 정보
일반 정보
명칭프레골랴 강
원어명 (러시아어)Преголя (Pregolya)
원어명 (독일어)Pregel (프레겔)
원어명 (리투아니아어)Prieglius (프리에글리우스)
원어명 (폴란드어)Pregoła (프레고와)
지리
발원지인스트루치 강과 앙그라파 강의 합류점 (체르냐홉스크)
하구비스툴라 석호(발트 해의 일부)
하구 좌표54.6827, 20.3778
위치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주)
유역 면적15,500 제곱킬로미터
평균 유량90 입방미터 매 초
길이123 킬로미터
그바르데이스크의 프레골랴 강
그바르데이스크의 프레골랴 강
칼리닌그라드를 흐르는 프레골랴 강
칼리닌그라드를 흐르는 프레골랴 강 (2007년 7월 15일 촬영)

2. 지리

인스트루치강과 안그라파강합류 지점에서 시작하여 비스툴라 석호를 거쳐 발트해로 흘러 들어간다. 프레골랴강 자체의 길이는 123km이며, 안그라파강을 포함하면 292km이다. 유역 면적은 15500km2이고, 평균 유량은 초당 90m3이다.[1]

프레골랴강 유역도


칼리닌그라드주 중부의 체르냐홉스크(Черняхо́вскru; 독일어: 인스터부르크 Insterburg)에서 남쪽의 폴란드령에서 흘러오는 안그라파강(Анграпаru; 독일어: 앙게라프강 Angerapp; 폴란드어: Węgorapa)과 칼리닌그라드주 동부에서 흘러오는 인스트루치강(Инстручru; 독일어: 인스터 Inster)이 합류하여 프레골랴강이 된다. 합류 후 평야를 서쪽으로 곧게 흘러 주도 칼리닌그라드(독일어: 쾨니히스베르크)를 거쳐 발트해의 석호인 비스툴라 석호(칼리닌그라드만, Vistula Lagoon / Zalew Wiślany)로 흘러든다. 도중에 그바르데이스크(Гвардейскru; 독일어: 타피아우 Tapiau)에서 데이마강(Деймаru; 독일어: 다이메강 Deime)이 갈라져 북쪽의 쿠르시 석호(쿠르시 석호) 방면으로 흘러든다.[1]

프레골랴강은 모두 항해가 가능하다. 과거에는 쾨니히스베르크의 정치와 경제를 지탱했던 수운도 19세기에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인스터부르크로 가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점차 중요성이 옅어졌다.[1]

2. 1. 주요 지류

2. 2. 유역의 도시

그바르데이스크를 흐르는 프레골랴강(2003년)

3. 역사

과거에는 유역에 발트어파프루센인이 살았으며, 독일어의 강 이름인 프레겔(Pregel)은 프로이센어로 깊은 곳을 의미하는 "preigillis"에서 유래되었다.[1] 독일인의 동방 식민과 북방 십자군에 의한 이교도 정복이 진행되면서, 점차 프루센인은 독일인에게 동화되었다.[1]

프레겔강 하구 부근에 건설된 항만 도시 쾨니히스베르크는 유역의 프로이센 지방의 물자를 집산하여 발트해를 경유하여 각지로 수출하는 항구로서 중세 이래 번영했다.[1] 이후 프로이센 공국이 건국되어 프로이센 왕국으로 확대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령이었던 동프로이센폴란드소련에 분할되어 소멸되었고, 쾨니히스베르크도 칼리닌그라드로 개칭되었다.[1]

4. 명칭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프레골랴강의 고대 이름은 크로노스(Chronos, 게르만어 *''hrauna''에서 유래, "돌이 많은")일 수 있다는 설이 있지만, 다른 이론에서는 크로노스를 훨씬 더 큰 강인 네만강으로 보기도 한다.

강의 가장 오래된 기록 이름은 ''프리고라''(Prigora, 1302), ''프레고르''(Pregor, 1359), ''프레골, 프레겔''(Pregoll, Pregel, 1331), ''프레길''(Pregill, 1460)이다. 게오르그 게룰리스(Georg Gerullis)는 이 이름을 리투아니아어 ''prãgaras'', ''pragorė̃''("심연")와 리투아니아 동사 ''gérti''("마시다")와 연결지었다. 비타우타스 마지울리스(Vytautas Mažiulis)는 대신 ''spragė́ti'' 또는 ''sprógti''("터지다")와 접미사 -''ara''("강")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