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지박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지박스는 1995년 브루스 페렌스가 개발한, 여러 유닉스 유틸리티를 단일 실행 파일로 묶어 임베디드 시스템 및 리눅스 배포판의 설치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200개 이상의 유틸리티를 제공하며, 작은 크기로 디스크 공간과 시스템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다. GPL 라이선스 위반 소송으로 유명하며, 2007년 말부터 라이선스 위반과 관련된 소송이 다수 제기되었다. OpenWrt, Android 등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활용되며, 라우터, NAS, 셋톱박스 등 임베디드 기기에서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셸 - 파워셸
파워셸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작업 자동화 솔루션으로, 명령줄 셸과 스크립트 언어의 기능을 결합하여 윈도우 시스템 관리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NET 프레임워크 기반의 객체 지향적 특징을 갖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및 실행, 시스템 구성 관리 등에 활용된다. - 셸 - COMMAND.COM
COMMAND.COM은 MS-DOS 운영체제에서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명령어 해석기로, 파일 관리 및 프로그램 실행 등의 작업을 수행하며, 윈도우 9x에서 MS-DOS 호환성을 위해, FreeDOS에서는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 임베디드 리눅스 - 구글 크롬
구글 크롬은 구글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크로미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오픈 소스 코드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능과 운영체제 지원을 통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정책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임베디드 리눅스 - 리모
- 유닉스 소프트웨어 - GNU 코어 유틸리티
GNU 코어 유틸리티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 셸, 텍스트 조작을 위한 기본적인 명령어 모음으로, GNU 파일 유틸리티에서 시작하여 3개의 패키지가 통합되어 발전했으며 셸 스크립트 및 시스템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를 제공한다. - 유닉스 소프트웨어 - 한/글
한/글은 1980년대 후반부터 개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워드프로세서로,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정부 전자 문서 시스템에서의 역할, 꾸준한 기능 발전과 사용자 편의성 및 국제 표준을 고려한 업데이트를 통해 발전해왔다.
| 비지박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이름 | BusyBox |
| 설명 | 유닉스 도구 모음 |
| 장르 | 임베디드 리눅스 모바일 장치용 리눅스 |
| 슬로건 | 임베디드 리눅스를 위한 스위스 군용 칼 |
| 개발 | |
| 최초 개발자 | 브루스 페렌스 |
| 개발자 | 에리크 안데르센 롭 랜드리 데니스 블라센코 기타 |
| 프로그래밍 언어 | C |
| 릴리스 | |
| 첫 릴리스 | 1999년 11월 4일 |
| 시스템 | |
| 운영 체제 | 유닉스 계열 |
| 크기 | 2.1 MB (압축된 "tar.bz2" 파일) |
| 라이선스 | |
| 라이선스 | 1.3.0 이후: GPL-2.0-only 1.2.2.1 이전: GPL-2.0-or-later |
| 기타 | |
| 웹사이트 | BusyBox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BusyBox는 1995년 브루스 페렌스가 처음 작성하여 1996년에 완성되었다.[10] 초기 목표는 데비안 배포판의 설치 및 복구용으로 플로피 디스크 한 장에 들어가는 완전한 부팅 가능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었다. 핵심적인 특징은 200개 이상의 유닉스 도구를 단일 실행 파일로 통합하여, 각 실행 파일이 필요로 하는 수 킬로바이트의 오버헤드를 줄여 디스크 공간과 시스템 메모리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BusyBox는 임베디드 리눅스 기기 및 리눅스 배포판 설치 프로그램에서 핵심 사용자 공간 도구 모음으로 널리 사용되며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프로젝트는 초기 개발 이후 여러 유지 관리자를 거치며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데비안 설치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었으나, 이후 리눅스 라우터 프로젝트(LRP)와 연계되고 Lineo, Inc. 소속 개발자가 관리하면서 일반적인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으로 초점이 확장되었다. 특히 임베디드 리눅스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BusyBox의 기능과 사용자 기반도 함께 확장되었다. 현재는 데니스 블라센코가 유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2007년 이후에는 BusyBox의 GPL 라이선스를 위반하여 사용한 여러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하면서 라이선스 준수 문제로 주목받기도 했다.
2. 1. 초기 개발
BusyBox는 1995년 브루스 페렌스가 처음 작성하기 시작하여 1996년에 완성되었다.[10] 초기 목표는 부팅 가능한 완전한 시스템을 플로피 디스크 한 장에 담아, 데비안 배포판의 설치 및 복구 디스크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리눅스 실행 파일은 각각 수 킬로바이트의 오버헤드를 가지지만, BusyBox는 200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하나로 묶어 디스크 공간과 시스템 메모리를 크게 절약할 수 있게 했다.이후 엔리케 자나르디가 관리하며 1998년 초까지는 데비안 부팅 플로피 설치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뒤를 이어 데이브 시네지가 리눅스 라우터 프로젝트(LRP)를 위해 프로젝트를 넘겨받았다. 시네지는 여러 기능을 추가하고 빌드 환경을 모듈화했으며, BusyBox의 개발 방향을 일반적인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1999년 LRP 개발이 주춤해지자, 당시 라이네오(Lineo, Inc.)에 소속되어 있던 에릭 앤더슨이 프로젝트를 이어받아 1999년 12월부터 2006년 3월까지 공식 유지보수자 역할을 맡았다. 이 시기에 임베디드 리눅스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BusyBox 역시 기능과 사용자 기반을 넓히며 크게 발전했다.
2. 2. 발전과 성장
BusyBox는 엔리케 자나르디가 1998년 초까지 데비안 부트 플로피 설치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에 맞춰 관리했다. 이후 리눅스 라우터 프로젝트(LRP)를 위해 데이브 시네지가 프로젝트를 인계받았다. 시네지는 여러 기능을 추가하고 모듈화된 빌드 환경을 구축했으며, BusyBox의 초점을 일반적인 고수준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프로젝트 발전에 기여했다.[10] 1999년 LRP 개발이 둔화되자, 당시 Lineo, Inc. 소속이었던 에릭 앤더슨이 프로젝트를 이어받아 1999년 12월부터 2006년 3월까지 공식 유지 관리자를 맡았다. 이 기간 동안 임베디드 리눅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BusyBox는 기능과 사용자 기반을 크게 확장하며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았다. 이후 롭 랜드리(2005년-2006년 말)를 거쳐 현재는 데니스 블라센코가 유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2. 3. 유지보수 및 라이선스 논란
롭 랜드리가 2005년부터 2006년 말까지 유지 관리자를 맡았다. 2006년 9월, 당시 프로젝트 관리자였던 롭 랜드리와 초기 개발자인 브루스 페렌스 사이에 GPLv3 채택을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12][13] 이 논쟁 끝에 BusyBox 프로젝트는 GPLv3 채택을 포기하고, 라이선스를 GPL-2.0-only로 유지하기로 명확히 결정했다.[14]이후 2006년 10월부터 데니스 블라센코(Denys Vlasenko)가 롭 랜드리로부터 BusyBox의 관리 권한을 넘겨받아 현재까지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다. 라이선스 논쟁의 결과로 롭 랜드리는 토이박스(Toybox)라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2][15]
3. 기능
비지박스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기본 명령어(유틸리티)를 하나의 실행 파일에 담은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특히 임베디드 시스템처럼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 유용하다.
비지박스는 필요에 따라 200개 이상의 유틸리티[34][51] 중 일부만 선택하여 포함하도록 사용자 정의할 수 있다. 단일 유닉스 규격(SUS)에서 정의된 유틸리티 대부분과 일반적인 리눅스 시스템에서 쓰이는 여러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36][51] 기본 유닉스 셸은 알름퀴스트 셸(ash 또는 sh)을 사용하며,[34][52][53] 더 작은 크기를 원하면 'hush' 셸을 선택할 수도 있다.[35]
포함된 특정 명령어는 비지박스 실행 파일에 명령어 이름을 인수로 전달하거나(`busybox ls`처럼), 해당 이름으로 심볼릭 링크나 하드 링크를 만들어 실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54] 예를 들어 `/bin/ls`를 비지박스 실행 파일에 연결하면, `/bin/ls` 실행 시 비지박스가 프로그램 호출 이름(argv의 0번 요소)을 확인하여 `ls` 명령어처럼 동작한다.
또한 시스템 부팅 시 init 프로세스 역할을 하거나, 하드웨어 변경 감지 및 장치 파일 관리를 위해 udev(또는 최신 systemd) 대신 `mdev` 기능을 제공하는 등 완전한 시스템 부트스트랩 도구로도 쓰인다.
3. 1. 단일 바이너리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각 애플리케이션마다 별도의 바이너리 파일(실행 파일)을 갖는다. 하지만 비지박스(BusyBox)는 전체가 하나의 바이너리로 되어 있으며, 그 안에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비지박스에 포함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비지박스 실행 파일에 원하는 기능의 이름을 인수로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ls` 명령을 실행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bin/busybox ls두 번째는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실행하려는 명령어 이름으로 비지박스 실행 파일을 가리키는 심볼릭 링크나 하드 링크를 만드는 것이다.[37][54] 예를 들어, `/bin/ls`라는 이름의 링크를 `/bin/busybox` 실행 파일을 가리키도록 생성한 뒤, 터미널에서 `/bin/ls`를 실행하면, 비지박스는 프로그램 실행 시 전달되는 첫 번째 인수(argv의 0번 요소)를 확인한다. 이 경우 인수는 `/bin/ls`가 되므로, 비지박스는 자신이 `ls` 프로그램으로 호출되었음을 인지하고 해당 기능처럼 동작한다.
이러한 단일 바이너리 방식은 여러 장점을 가진다. 우선, 각 프로그램마다 필요한 실행 파일 형식(보통 ELF)의 중복되는 정보로 인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라이브러리 없이도 여러 애플리케이션 간에 코드를 공유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이 기술은 FreeBSD의 `crunchgen`[38] 명령과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차이점도 존재한다. `crunchgen`으로 생성된 유틸리티는 완전한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비지박스에 포함된 유틸리티는 크기를 줄이기 위해 기능이 단순화된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파일 정렬 기능이 없는 `ls` 명령).
크기 최적화를 염두에 두고 작성된 루틴과 공통 코드 공유 덕분에, 비지박스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개별 유틸리티의 전체 버전을 사용하는 시스템보다 훨씬 적은 저장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GNU, 비지박스, asmutils, Perl로 구현된 표준 유닉스 명령들을 비교한 연구[39][55]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GNU 구현이 더 빠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비지박스가 더 빠른 성능을 보이기도 했다.
3. 2. 명령어
비지박스에 포함된 명령어는 비지박스 실행 파일에 해당 명령어 이름을 인수로 추가하여 실행할 수 있다.:
/bin/busybox ls일반적으로는 실행하려는 명령어 이름으로 하드 링크나 심볼릭 링크를 비지박스 실행 파일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비지박스는 프로그램 실행 시 전달되는 인수 목록(argv)의 첫 번째 요소(argv[0])를 읽어 호출된 이름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bin/ls`가 `/bin/busybox` 실행 파일에 링크되어 있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
/bin/ls비지박스는 자신의 호출 이름이 "ls"임을 인지하고 "ls" 명령어처럼 동작하게 된다.
BusyBox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200개 이상의 유틸리티 중 일부만 선택하여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일 유닉스 규격(SUS)에 명시된 대부분의 유틸리티와 일반적인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여러 유틸리티를 제공한다.[51] BusyBox는 기본 유닉스 셸로 알름퀴스트 셸(ash 또는 sh)을 사용하며,[34][52][53] 더 작은 크기의 'hush' 셸을 대안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msh"와 "lash" 셸도 사용 가능했다.[35]
BusyBox는 완전한 부트스트랩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시스템 시작 시 init 데몬 역할을 하거나, 하드웨어 변경 감지 시 udev(또는 최신 systemd)를 대체하는 `mdev`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BusyBox에서 제공하는 명령어와 각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36] 주요 명령어 목록은 다음과 같다.[40][56]
3. 3. 사용자 정의
BusyBox는 제공하는 200개 이상의 유틸리티 중에서 필요한 기능만 선택하여 포함하도록 맞춤 설정할 수 있다.[51] 이를 통해 단일 유닉스 명세서(SUS)에서 정의된 대부분의 유틸리티와 일반적인 리눅스 시스템 환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여러 유틸리티를 필요에 따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34][51]BusyBox는 기본 유닉스 셸로 알름퀴스트 셸(ash 또는 sh로도 알려짐)을 사용한다.[34][52][53] 사용자 정의 과정에서 더 작은 크기의 시스템을 원한다면 'hush' 셸을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msh"나 "lash" 같은 셸도 사용된 바 있다.[35]
BusyBox에 포함될 수 있는 유틸리티의 전체 목록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36]
4. GPL 위반 소송
비지박스는 GPL 라이선스 위반과 관련한 적극적인 소송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2007년 말부터 소프트웨어 자유 법률 센터(SFLC)와 이후 소프트웨어 자유 보호 협회(SFC)는 비지박스 개발자들을 대신하여 라이선스를 위반한 여러 기업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16]
특히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비지박스 사용과 관련된 소송은 미국에서 GPL 위반 문제가 법적으로 다뤄진 초기 사례 중 하나였다.[16] SFLC는 몬순 멀티미디어(Monsoon Multimedia), Xterasys, High-Gain Antennas,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스(Verizon Communications) 등 다수의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진행했으며, 대부분의 경우 피고 기업이 라이선스를 준수하고 소스 코드를 공개하며, 비공개 금액의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이루어졌다.[17][20][21][24][62][65][66][69]
이후 SFC도 베스트 바이(Best Buy), 삼성(Samsung),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등을 포함한 여러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이어갔으며,[28][29][30] 일부 사건에서는 법원이 피고에게 손해배상금 지급 및 제품 압류를 명령하기도 했다.[33] 이러한 소송들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 준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만, 비지박스의 원저자인 브루스 페렌스(Bruce Perens)를 포함한 일부 개발자들은 이러한 법적 조치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으며, 소송 과정의 일부 측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4. 1. 초기 소송
2007년 말, 비지박스는 GPL 라이선스 위반과 관련하여 미국 뉴욕 남부 지방 법원에서 소송을 제기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16]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비지박스 사용은 미국에서 GPL 위반으로 소송이 제기된 첫 사례였다. 2007년 9월 20일, 소프트웨어 자유 법률 센터(SFLC)는 비지박스 개발자인 에릭 앤더슨(Erik Andersen)과 롭 랜드리(Rob Landley)를 대신하여 몬순 멀티미디어(Monsoon Multimedia)를 상대로 소송(사건 번호 07-CV-8205)을 제기했다.[16][61] 이는 몬순 멀티미디어의 펌웨어 업데이트에서 비지박스 코드가 발견되었으나, 회사 측에 연락하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에 이루어졌다. 이 사건은 몬순 멀티미디어가 해당 버전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앤더슨과 랜드리에게 비공개 금액의 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합의되었다.[17][62]
이후 SFLC는 2007년 11월 21일, Xterasys(사건 번호 07-CV-10455)와 High-Gain Antennas(사건 번호 07-CV-10456)를 상대로 유사한 소송을 제기했다.[18][19][63][64] Xterasys 사건은 12월 17일에 소스 코드 공개와 비공개 배상금 지급으로 합의되었고,[20][65] High-Gain Antennas 사건은 2008년 3월 6일에 라이선스 준수와 비공개 배상금 지급으로 합의되었다.[21][66]
2007년 12월 7일에는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스(Verizon Communications)가 Actiontec 라우터 펌웨어 배포와 관련하여 소송을 당했다.[22][23][67][68] 이 사건은 2008년 3월 17일, 라이선스 준수, 향후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준수를 감독할 임원 임명, 그리고 비공개 금액의 배상금 지급 조건으로 합의되었다.[24][69]
2008년 6월 9일에는 Bell Microproducts(사건 번호 08-CV-5270)와 슈퍼마이크로(SuperMicro, 사건 번호 08-CV-5269)를 상대로 추가 소송이 제기되었다.[25][70] 슈퍼마이크로 사건은 2008년 7월 23일에 합의되었으며,[26][71] Bell Microproducts는 법원에 출석하지 않아 2008년 9월 10일, 소송 비용을 포함한 징벌적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받았다.[72]
2009년 12월 14일, 소프트웨어 자유 보호 협회(Software Freedom Conservancy, SFC)는 베스트 바이(Best Buy), JVC, 삼성(Samsung) 등 14개 기업을 상대로 새로운 소송을 제기했다.[28][29][30] 이에 따라 삼성(Samsung)은 2010년 2월, 자사의 LN52A650 TV 모델의 펌웨어를 GPLv2에 따라 공개했으며,[31] 이 펌웨어는 이후 SamyGO 커뮤니티 프로젝트에서 활용되었다.[32]
2010년 8월 3일경, SFC는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를 상대로 한 소송(소프트웨어 자유 보호 협회 v. Best Buy, et al.)에서 승소하여, 3배 손해배상금 9만달러, 변호사 비용 47865USD 및 상당수 고화질 TV의 압류 판결을 받아냈다.[33]
이러한 법적 조치에 대해, 비지박스의 원저자인 브루스 페렌스(Bruce Perens)와 일부 개발자들은 참여하지 않았으며 합의 당사자도 아니었다. 2009년 12월 15일, 페렌스는 현재 비지박스 개발자들이 다른 개발자들의 저작권 표시를 삭제하고 라이선스를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하며 법적 상황의 일부 측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밝혔다.
4. 2. 삼성전자 관련 소송
2009년 12월 14일, 소프트웨어 자유 보호 협회(SFC)는 베스트 바이(Best Buy), JVC, 삼성전자 등을 포함한 14개 회사를 상대로 GPL 라이선스 위반 소송을 제기했다.[28][29][30]이에 따라 2010년 2월, 삼성전자는 GPLv2 라이선스에 따라 자사의 LN52A650 모델 텔레비전에 사용된 펌웨어의 소스 코드를 공개했다.[31] 이 펌웨어는 이후 SamyGO라는 커뮤니티 프로젝트에서 참조 자료로 활용되었다.[32]
4. 3. 웨스팅하우스 소송
2009년 12월 14일, 소프트웨어 자유 보호 협회(SFC)는 베스트 바이(Best Buy), JVC, 삼성(Samsung),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등을 포함한 14개 기업을 상대로 GPL 위반 소송(소프트웨어 자유 보호 협회 v. Best Buy, et al.)을 제기했다.[28][29][30] 이 소송은 BusyBox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조건을 준수하지 않은 기업들에 대한 법적 대응의 일환이었다.이 소송 과정에서 2010년 8월 3일경, BusyBox 측은 피고 중 하나인 웨스팅하우스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33] 법원은 웨스팅하우스에게 GPL 위반에 대한 3배 손해 배상금으로 9만달러와 변호사 비용 47865USD를 지급하도록 명령했다. 또한, 라이선스를 위반하여 생산된 웨스팅하우스의 고화질 TV 제품들에 대한 압류 판결도 내려졌다.[33] 이 판결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 위반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물은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5. Toybox와의 관계
2006년 9월, 당시 비지박스 프로젝트 관리자였던 롭 랜드리와 브루스 페렌스 사이의 논쟁 끝에, 비지박스 프로젝트는 GPLv3 채택을 포기하고 기존의 GPL-2.0-only 라이선스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12][13][14]
이후 2006년 10월, 데니스 블라센코(Denys Vlasenko)가 롭 랜드리로부터 비지박스 유지보수 역할을 넘겨받았다. 랜드리는 라이선스 관련 논란을 계기로 새로운 프로젝트인 토이박스(Toybox)를 시작했다.[12][15] 토이박스는 처음에는 비지박스와 마찬가지로 GPL-2.0-only 라이선스로 시작되었으나, 2011년 말 프로젝트가 잠시 중단된 후 BSD-2-절 라이선스로 변경되었다.[42][43] 이후 2013년 3월에는 다시 0BSD 라이선스로 변경하여 라이선스 제약을 더욱 완화했다.[44]
2012년 1월, 소니의 직원인 팀 버드는 GPL 라이선스를 사용하지 않는 비지박스의 대안으로 중단 상태였던 토이박스를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45] 그러나 이 제안은 매튜 개릿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비판의 요지는 토이박스가 소프트웨어 자유 보호 협회(SFC)와 같은 단체가 수행하는 저작권 집행 활동의 중요한 도구인 비지박스의 역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였다.[46] 이에 대해 과거 비지박스 기반 소송을 주도했던 롭 랜드리는 소송이 기대했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으며, 자신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키고자 토이박스의 라이선스를 변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47][48]
6. 활용 사례
비지박스(BusyBox)는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에서 폭넓게 활용된다. 특히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OpenWrt, OpenEmbedded(Yocto 프로젝트 포함), Buildroot와 같은 여러 임베디드 리눅스 배포판의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과거 샤프 자우루스와 같은 PDA에서도 시스템의 기본적인 유닉스 계열 명령어 처리를 위해 비지박스를 활용했다.[41]
임베디드 시스템 외에도 VMware ESXi, Tiny Core Linux, SliTaz 5(Rolling), Alpine Linux와 같이 일반적인 서버나 데스크톱 환경을 위한 리눅스 배포판에서도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안드로이드 환경에서는 시스템 파일을 수정하거나 고급 기능을 사용하려는 루트(root) 권한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여러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일부 루팅 도구에는 비지박스가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이처럼 비지박스는 라우터, NAS, 셋톱박스, 스마트폰,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각종 전자기기 등 수많은 장치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사례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대한민국 내 사례
BusyBox는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된다. 과거 한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PDA인 샤프 자우루스는 시스템 셸에서 수행되는 일반적인 유닉스 계열 작업을 위해 BusyBox를 광범위하게 활용했다.[41] 또한, 한국 기업인 게임파크홀딩스에서 개발한 리눅스 기반 휴대용 게임기 GP2X와 같은 기기에서도 BusyBox가 사용된 사례가 있다.OpenWrt, OpenEmbedded(Yocto 프로젝트 포함), Buildroot와 같은 임베디드 리눅스 개발 환경 및 배포판의 필수 구성 요소로서, 한국의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환경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한국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라우터, NAS, 셋톱박스 등 수많은 임베디드 기기들이 내부적으로 BusyBox를 사용하고 있다.
6. 2. 국제적 사례
비지박스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여러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며, OpenWrt, OpenEmbedded(Yocto 프로젝트 포함) 및 Buildroot와 같은 배포판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샤프 자우루스는 시스템 셸에서 수행되는 일반적인 유닉스 계열 작업에 비지박스를 광범위하게 활용한다.[41]비지박스는 또한 VMware ESXi, Tiny Core Linux, SliTaz 5(Rolling) 및 Alpine Linux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이들은 모두 임베디드 배포판이 아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여러 루트 응용 프로그램에 필요하며, Kingo Root와 같은 일부 "원 탭 루트" 솔루션과 함께 사전 설치되기도 한다.
리눅스를 사용하고 비지박스를 채택한 주요 기기는 다음과 같다.
| 제조사/제품명 | 설명 | 비고 (채택 회사 등) |
|---|---|---|
| 액션텍 일렉트로닉스 GT701 | DSL 모뎀/라우터 (GT701-WG 무선 포함) | 퀘스트 커뮤니케이션즈 채택 |
| 액션텍 일렉트로닉스 M1000 | DSL 모뎀/라우터 | 퀘스트 커뮤니케이션즈 채택 |
| 액션텍 일렉트로닉스 MI424WR | MoCA 무선 라우터 | 버라이즌 FiOS 채택 |
| 아마존 킨들 | 전자책 리더 | |
| ASUS WL-500g, AM604G, RT-AC68U | 무선 광대역 라우터 | |
| AZTECH 605EW | 무선 DSL 광대역 라우터 | |
| BT 그룹 BT Home Hub | 무선 라우터 | |
| 디링크 | DSL 모뎀/라우터 (DSL-500B, DSL-504T, DSL-524T, DSL-564T, DSL-584T, DSL2500U, DSL2540U, DSL2640U, DSL-2640T, DSL-G604T, DSL-G624T, DSL-G664T, DSL-G684T 등 다수 모델) | |
| 드림박스 | 취미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서버 | Dream Multimedia |
| Edimax EW-7206APg | Wifi Access Point | |
| Emprex ME1 | HD 멀티미디어 인클로저 | |
| 프리박스 | DSL 모뎀/라우터 | Iliad (프랑스) 배포 |
| GP2X | 오픈 소스 리눅스 게임기 | Gamepark Holdings |
| HP 미디어 볼트 | ||
| IBM 하드웨어 관리 콘솔 (HMC) | ||
| 라씨 Ethernet Big Disk 1TB | [58] | |
| LevelOne WBR-3460A | [59] | |
| 링크시스 NSLU2, WRT54G 등 | NAS, 광대역 라우터 등 | |
| 모토로라 A780 | ||
| Mvix MX-760HD | 미디어 플레이어 | |
| Netcomm NB1 | ADSL 모뎀 | |
| NTT RT-200-KI | 라우터 | |
| 넷기어 DG834G 등 | 라우터 등 | |
| 뉴로스 테크놀로지 OSD | MPEG 비디오 레코더 | |
| 노키아 770 인터넷 태블릿, 노키아 N800, 노키아 N810 | 인터넷 태블릿 | |
| OvisLink WL-5460AP, Evo-DSL04 등 | WiFi AccessPoint, Modem/Router ADSL2+ 등 | |
| 오픈모코 | ||
| Open Networks iConnect612 | ADSL 라우터 | |
| 피코턱스 | 리눅스 기반 초소형 컴퓨터 | |
| QNAP TS-101, TS-201 등 | NAS | |
| Qtopia 그린폰 | ||
| 자우루스 | ||
| 소노스 | 디지털 뮤직 시스템 | |
| 소니 DHG-HDD250 & DHG-HDD500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 |
| 시놀로지 | NAS | |
| Telindus 1130 | ADSL 라우터 | |
| Thecus | NAS | |
| TP-Link TD-88xx 등 | ADSL 라우터 등 | |
| 웨스턴 디지털 마이 북 | ||
| 지핏 무선 메신저 |
참조
[1]
웹사이트
Erik Andersen's Homepage
http://www.codepoet.[...]
2009-12-23
[2]
Webarchive
Active Projects
http://landley.net/c[...]
2010-07-29
[3]
Webarchive
Denys Vlasenko
https://busybox.net/[...]
2017-09-05
[4]
웹사이트
busybox-complaint-2009-12-14
https://web.archive.[...]
Software Freedom Law Center
2022-06-30
[5]
웹사이트
BusyBox
https://www.busybox.[...]
2018-02-23
[6]
웹사이트
busybox-1.2.2.1.tar.bz2
https://busybox.net/[...]
2021-06-29
[7]
웹사이트
BusyBox Classic
https://play.google.[...]
2017-08-08
[8]
웹사이트
Port details
https://www.freshpor[...]
2024-09-27
[9]
웹사이트
The slogan for 'The Swiss Army Knife of Embedded Linux' source
https://www.busybox.[...]
2018-02-23
[10]
웹사이트
BusyBox forensic analysis
https://busybox.net/[...]
2022-11-11
[11]
웹사이트
Statement on Busybox Lawsuits
https://web.archive.[...]
2009-12-15
[12]
웹사이트
Busy busy busybox
https://lwn.net/Arti[...]
LWN.net
2015-11-21
[13]
웹사이트
Re: Move GPLv2 vs v3 fun…
https://lwn.net/Arti[...]
lwn.net
2015-11-21
[14]
Webarchive
GPL version 2 only for BusyBox 1.3.0.
https://lwn.net/Arti[...]
2016-09-14
[15]
간행물
I'm going out now. I may be some time
https://lwn.net/Arti[...]
2016-07-21
[16]
Webarchive
On Behalf of BusyBox Developers Andersen and Landley, SFLC Files First Ever U.S. GPL Violation Lawsuit
http://www.softwaref[...]
2007-10-06
[17]
웹사이트
Settlement reached in Busybox-Monsoon GPL case
https://web.archive.[...]
2007-10-30
[18]
Webarchive
Linux legal team sues over GPL violations
http://news.zdnet.co[...]
2007-12-13
[19]
웹사이트
Second Round of GPL Infringement Lawsuits Filed on Behalf of BusyBox Developers
http://www.softwaref[...]
2007-11-25
[20]
웹사이트
BusyBox Developers and Xterasys Corporation Agree to Settle GPL Lawsuit
http://www.softwaref[...]
2007-12-18
[21]
Webarchive
BusyBox Developers and High-Gain Antennas Agree to Dismiss GPL Lawsuit
http://www.softwaref[...]
2008-03-09
[22]
웹사이트
Open-source legal group strikes again on BusyBox, suing Verizon
https://www.computer[...]
2024-09-27
[23]
웹사이트
BusyBox Developers File GPL Infringement Lawsuit Against Verizon Communications
http://www.softwaref[...]
2007-12-22
[24]
Webarchive
Verizon Settles Open Source Software Lawsuit
http://www.informati[...]
2008-03-21
[25]
Webarchive
SFLC Files Another Round of GPL Violation Lawsuits on Behalf of BusyBox Developers
http://www.softwaref[...]
2008-06-11
[26]
Webarchive
BusyBox Developers and Supermicro Agree to End GPL Lawsuit: Good Faith Discussions Result in Dismissal of Copyright Infringement Case
http://www.softwaref[...]
2008-07-27
[27]
문서
Andersen v. Bell Microproducts, Inc.
[28]
웹사이트
How to avoid modern day public GPL floggings
https://www.zdnet.co[...]
ZDNet
2016-03-24
[29]
웹사이트
Best Buy, Samsung, Westinghouse, 11 more named in GPL lawsuit
https://www.cnet.com[...]
cnet.com
[30]
웹사이트
The Software Freedom Conservancy, Inc. & Mr. Erik Andersen vs BestBuy, Samsung, Westinghouse, JVC, Western Digital, Bosch, Phoebe Micro, Humax, ...
https://tech-insider[...]
2017-01-19
[31]
Webarchive
Visual Display - Open Source
https://web.archive.[...]
[32]
Webarchive
Main_Page
https://wiki.samygo.[...]
2017-02-16
[33]
웹사이트
BusyBox and the GPL Prevail Again - Updated 4Xs
http://www.groklaw.n[...]
2012-09-27
[34]
웹사이트
ash variants
https://web.archive.[...]
2008-05-15
[35]
웹사이트
Use the new 'select' option to make the shell config
https://git.busybox.[...]
2019-04-02
[36]
웹사이트
BusyBox – The Swiss Army Knife of Embedded Linux
https://www.busybox.[...]
2018-02-23
[37]
웹사이트
BusyBox simplifies embedded Linux systems: A small toolkit for small environments
https://web.archive.[...]
[38]
간행물
crunchgen
FreeBSD
[39]
학술회의
Four UNIX Programs in Four UNIX Collections: Seeking Consistency in an Open Source Icon
http://www.micsympos[...]
2004-04-16
[40]
웹사이트
BusyBox Command Help
https://www.busybox.[...]
2013-02-24
[41]
웹사이트
Linux on the Road
http://tldp.org/LDP/[...]
2018-08-27
[42]
웹사이트
License change commit
http://landley.net/h[...]
2015-07-24
[43]
웹사이트
Toybox news
http://landley.net/t[...]
2015-09-14
[44]
웹사이트
Simplify license text, as mentioned on the mailing list.
http://landley.net/h[...]
2021-06-29
[45]
웹사이트
Busybox replacement project
http://www.elinux.or[...]
2012-01-11
[46]
웹사이트
Garrett: The ongoing fight against GPL enforcement
https://lwn.net/Arti[...]
LWN.net
2012-01-31
[47]
웹사이트
Garrett: The ongoing fight against GPL enforcement
https://lwn.net/Arti[...]
LWN.net
2012-01-31
[48]
뉴스
GPL enforcement sparks community flames - Throwing the GPL baby out with the enforcement bath water?
http://www.itworld.c[...]
2012-02-02
[49]
문서
Releases · rmyorston/busybox-w32
https://github.com/r[...]
[50]
문서
crunchgen man page
http://www.freebsd.o[...]
[51]
문서
BusyBox - The Swiss Army Knife of Embedded Linux
http://www.busybox.n[...]
[52]
문서
http://busybox.net/c[...]
[53]
문서
ash variants - BusyBox
http://www.in-ulm.de[...]
[54]
문서
Busybox simplifies embedded Linux systems
http://www.ibm.com/d[...]
[55]
문서
Four UNIX Programs in Four UNIX Collections: Seeking Consistency in an Open Source Icon
http://www.micsympos[...]
[56]
웹사이트
BusyBox Command Help
https://www.busybox.[...]
2020-02-03
[57]
문서
mdev.txt
http://git.busybox.n[...]
[58]
문서
LaCie Network Space
http://www.lacie.com[...]
[59]
문서
LevelOne
http://www.level1.co[...]
[60]
문서
BusyBoxを利用している製品一覧
https://www.busybox.[...]
[61]
문서
On Behalf of BusyBox Developers, SFLC Files First Ever U.S. GPL Violation Lawsuit
http://www.softwaref[...]
[62]
문서
Settlement reached in Busybox-Monsoon GPL case
http://www.linux.com[...]
[63]
문서
Linux legal team sues over GPL violations
http://news.zdnet.co[...]
[64]
문서
SFLC press release
http://www.softwaref[...]
[65]
문서
SFLC press release
http://www.softwaref[...]
[66]
문서
BusyBox Developers and High-Gain Antennas Agree to Dismiss GPL Lawsuit
http://www.softwaref[...]
[67]
문서
Open-source legal group strikes again on BusyBox, suing Verizon
http://www.computerw[...]
[68]
문서
SFLC press release
http://www.softwaref[...]
[69]
문서
Verizon Settles Open Source Software Lawsuit
http://www.informati[...]
[70]
문서
SFLC Files Another Round of GPL Violation Lawsuits on Behalf of BusyBox Developers
http://www.softwaref[...]
[71]
뉴스
BusyBox Developers and Supermicro Agree to End GPL Lawsuit: Good Faith Discussions Result in Dismissal of Copyright Infringement Case
http://www.softwaref[...]
SFLC press release
[72]
PDF
PDF of Court of Southern District of New York Default-Judgement on behalf of BusyBox signed by the judge on 10 Sept 08. (Bell Microsystems failed to appear).
http://www.terekhov.[...]
[73]
웹인용
Erik Andersen's Homepage
http://www.codepoet.[...]
[74]
웹사이트
Active Projects
http://landley.net/c[...]
Rob Landley's website
[75]
웹사이트
Denys Vlasenko
http://busybox.net/~[...]
BusyBox maintainer
[7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oftwaref[...]
2015-10-30
[77]
웹인용
Release history
https://www.busybox.[...]
2021-11-26
[78]
웹인용
BusyBox
http://www.busybox.n[...]
[79]
웹인용
BusyBox for Android
https://market.andro[...]
[80]
웹인용
FreeBSD port overview
http://portsmon.free[...]
[81]
웹사이트
The slogan for 'The Swiss Army Knife of Embedded Linux' source
http://www.busybox.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