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마야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마야나는 고대 인도의 2대 서사시 중 하나로, 라마와 그의 여정을 담고 있다. 기원전 7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기원후 3세기까지 확장된 것으로 추정되며, 발미키의 형태로 7개의 칸다와 약 500개의 사르가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비슈누의 화신인 라마, 라마의 아내 시타, 라마의 동생 락슈마나, 원숭이 왕 하누만 등이 있다. 주요 줄거리는 라마의 어린 시절, 아요디아에서의 사건, 숲에서의 망명, 시타 납치, 라마와 라바나의 전쟁을 거쳐 라마의 승리로 끝맺는다. 이 서사시는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의 예술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언어와 지역에서 다양한 판본으로 존재한다. 한국에는 불교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문학 작품과 현대 문화에서도 재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마야나 - 비마나
    비마나는 인도 신화에서 신들이 타고 다니는 비행 전차를 의미하며, 현대 남아시아 언어에서는 항공기를, 건축 양식을 뜻하기도 하고, 인도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라마야나 - 랑카
    랑카는 힌두교 서사시에 등장하는 라크샤사 왕 라바나가 통치했던 도시로, 라마가 아내 시타를 구출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고, 스리랑카로 여겨지기도 한다.
  •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 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는 쿠루 왕국의 왕위 계승을 둘러싼 판다바 형제와 카우라바 형제의 전쟁을 다루며,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한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는 고대 인도의 대서사시이다.
  •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 붓다차리타
    《붓다차리타》는 아슈바고샤가 산스크리트어로 지은 석가모니의 생애를 묘사한 서사시로, 불교의 핵심 교리를 담아 불전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특히 한역본인 《불소행찬》은 한국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인도 문학 - 판차탄트라
    《판차탄트라》는 의인화된 동물들이 등장하여 삶의 처세술을 보여주는 고대 인도 우화집으로, 6세기경 서방 세계에 널리 알려지면서 동서양 설화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자와 저술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비슈누샤르마가 왕자들을 위해 썼다는 설이 있다.
  • 인도 문학 - 카타사리트사가라
    《카타사리트사가라》는 11세기 소마데바가 편찬한 인도의 방대한 이야기 모음집으로, 나라바하나다타의 모험을 중심으로 약 350개의 이야기가 얽혀 있으며, 《브리하트카타》의 요약본이라고 주장되지만 차이점이 있고, 다른 작품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
라마야나
개요
라마가 라바나를 죽이는 모습, 17세기 로열 메와르 원고
라마가 라바나를 죽이는 모습, 17세기 로열 메와르 원고
종류서사시
언어산스크리트어
저자발미키
종교힌두교
시대기원전 7세기–기원후 3세기
500개의 사르가, 7개의 칸다
구절 수24,000
관련 용어
라마 왕국 (로마자 표기)Rāmarājya
힌두교
라마의 즉위식
라마의 즉위식. 아내 시타와 아들들이 둘러싸고 있다.

2. 어원

Rāmāyaṇasa라는 이름은 Rāmasa와 ayaṇasa라는 두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시의 주요 인물 이름인 Rāmasa는 두 가지 맥락적 의미를 지닌다. 아타르바 베다에서 '어둡고 검은색'을 의미하며, '밤의 어둠이나 고요함'을 의미하는 단어 rātrisa와 관련이 있다. 마하바라타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른 의미는 '기쁘고, 즐겁고, 매력적이고, 사랑스럽고, 아름다운'이다.[10][11] ayaṇasa는 여행 또는 여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Rāmāyaṇasa는 "라마의 여정"을 의미하며, ayaṇasa는 yaṇasa로 변경되었다(산스크리트어 문법 규칙 내부 산디에 따라 라마의 "a"와 아야나의 "a"가 합쳐진 결과).[12][13]

3. 역사적 배경 및 연대

Rāmāyaṇasa는 기원전 7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기원후 3세기까지 확장된 것으로 추정된다.[14] 로버트 P. 골드먼(Robert P. Goldman) (1984)에 따르면, ''라마야나''의 가장 오래된 부분은 기원전 7세기 초에 만들어졌다.[14] 이는 이야기에 기원전 5세기에 창시된 불교나 기원전 7세기에 두각을 나타낸 마가다에 대한 언급이 없고, 아요디아코살라의 수도로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사케타라는 이름이나 슈라바스티의 후계 수도는 언급되지 않는다.[14] 이야기 시간상으로, ''라마야나''의 이야기는 ''마하바라타''보다 앞선다. 골드만(Goldman)과 서덜랜드 골드만(Sutherland Goldman)은 라마야나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버전이 기원전 500년경에 만들어졌다고 본다.[15]

2권에서 6권까지는 서사시의 가장 오래된 부분이며, 첫 번째와 마지막 책(''발라칸다''와 ''우타라 칸다'')은 나중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헤르만 야코비 이후의 학자들은 이 두 권과 나머지 서사시 간의 스타일 차이와 이야기의 모순을 통해 이러한 결론을 내렸다.

4. 구성

예술가가 그린 현자 발미키가 《라마야나》를 짓는 모습


라마야나는 이티하사 장르에 속하며, 서사시 마하바라타, 푸라나와 함께 과거 사건에 대한 서사(purāvṛttasa)를 담고 있다. 이 장르는 인간 삶의 목표에 대한 가르침을 포함하며, 이상적인 아들, 하인, 형제, 남편, 아내, 왕과 같은 인물들을 통해 관계의 의무를 보여준다.[16] 마하바라타처럼, 라마야나는 서사 알레고리에 고대 힌두 현자들의 가르침을 담아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요소를 곁들인다.[17][18]

5. 등장인물

《라마야나》는 이상적인 아들, 하인, 형제, 남편, 아내, 왕과 같은 이상적인 인물을 묘사하며 관계의 의무를 보여준다.[16]

6. 주요 줄거리

《라마야나》는 이티하사 장르에 속하며, 《마하바라타》, 《푸라나》와 함께 인간 삶의 목표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16] 이상적인 인물들을 통해 관계의 의무를 보여주며, 고대 힌두 현자들의 가르침을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요소를 곁들여 전달한다.[17]

6. 1. 발라 칸다 (어린 시절)

다샤라타 왕은 아이를 갖지 못해 왕자 탄생을 기원하며 성대한 아슈바메다 제사를 열었다.[21] 마침 세상은 라크샤사(불교에서는 나찰로 여겨짐)의 왕 라바나의 위협에 시달리고 있었으므로, 비슈누는 라바나를 토벌하기 위해 다샤라타 왕의 왕자로 태어나게 되었다.[21] 카우살리야 비로부터 라마 왕자, 카이케이 비로부터 바라타 왕자, 수미트라 비로부터 락슈마나와 샤트루그나 왕자가 각각 태어났다.[21] 성장한 라마는 리시 (성현) 비슈바미트라를 따라 미틸라의 자나카 왕을 방문했는데, 그곳에서 왕의 딸 시타를 만나 결혼했다.[21]

6. 2. 아요디야 칸다 (아요디아)

다샤라타 왕의 비 카이케이에게는 만타라라는 시녀가 있었다. 라마의 즉위 소식을 들은 만타라는 카이케이가 라마 왕자에게 시기심을 느끼도록 부추겼다. 만타라의 말에 넘어간 카이케이는 다샤라타 왕에게 라마를 단다카 숲으로 추방하고 바라타 왕자를 즉위시켜 달라고 요청했다. 다샤라타 왕은 과거 카이케이에게 어떤 소원이든 두 가지 들어주겠다고 약속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결국 이 요청을 받아들였다. 라마는 이 소원을 기꺼이 받아들여 시타, 락슈마나와 함께 왕궁을 떠났다. 그러나 다샤라타 왕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21]

6. 3. 아란야 칸다 (숲)

단다카 숲에 도착한 라마는 새의 왕 자타유와 친분을 맺었다. 또한 라마는 숲을 배회하던 라크샤사를 쫓아냈다. 그러자 수르파나카는 이를 원망하여, 오빠인 라크샤사 왕 라바나에게 시타를 빼앗도록 부추겼다. 그래서 라바나는 마법사 마리차에게 아름다운 황금색 사슴으로 변하게 하여 시타의 주변에서 놀게 했다. 시타는 이를 보고 놀라 라마와 락슈마나에게 잡으라고 졸랐다. 라바나는 두 사람이 시타 곁을 떠난 틈을 타 시타를 납치하여 도망쳤다. 이때 새의 왕 자타유가 막아섰지만 라바나에게 쓰러졌다.[21]

6. 4. 키슈킨다 칸다 (원숭이 왕국)

라마는 리쉬야무카 산을 방문하여 바나라족의 수그리바와 친교를 맺었다.[21] 라마는 수그리바가 왕국에서 쫓겨난 그의 형 바린을 물리치고 왕위를 되찾도록 도왔다.[21] 수그리바는 라마에게 보답하기 위해 각지의 원숭이를 소집하여, 전 세계에 시타의 수색대를 파견했다.[21] 그중 남쪽으로 향한 안가다, 하누만의 부대는 삼파티로부터 시타가 남해 중의 랑카(실론 섬으로 여겨짐)에 있다는 것을 전해 듣는다.[21]

6. 5. 순다라 칸다 (아름다움)

바유의 아들인 하누만은 바다를 건너 랑카로 날아갔다. 랑카에서 시타를 찾아 라마의 메시지를 전하고, 라마가 곧 원숭이 군대를 이끌고 시타를 구하러 올 것이라고 안심시켰다.[23]

하누만은 랑카의 라크샤사들에게 발견되어 인다라지트에게 붙잡혔지만, 스스로 속박을 풀고 랑카의 도시를 불태웠다. 그 후 하누만은 다시 바다를 건너 돌아와 라마에게 시타의 소식을 전했다.[23]

6. 6. 유다 칸다 (전쟁)

비비샤나는 시타라마에게 돌려보내라고 라바나에게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라마 군에 투항했다. 이로 인해 라마와 라바나 사이에 대규모 전쟁이 일어났다. 원숭이 군대는 인드라지트에게 큰 피해를 입었지만, 점차 라크샤사 군을 압도해 나갔다. 인드라지트가 쓰러진 후, 라바나도 결국 라마에게 패배했다.[21] 라마는 비비샤나를 랑카의 왕으로 세우고 시타와 함께 아요디아로 돌아왔다.

6. 7. 우타라 칸다 (이후)

라마가 아요디아로 돌아와 왕위에 오른 후, 백성들 사이에서 라바나에게 붙잡혔던 시타의 정절에 대한 의심스러운 소문이 퍼졌다. 이를 알게 된 라마는 고뇌하며 시타를 왕궁에서 추방했다.[21] 시타는 발미키 성자의 곁에서 살게 되었고, 그곳에서 라마의 쌍둥이 아들 쿠샤와 라바를 낳았다. 후에 라마는 시타에게 자신의 정절을 증명할 것을 요청했다. 시타는 대지를 향해 호소하며, 자신이 정절하다면 대지가 자신을 받아들여 주기를 바랐다. 그러자 대지가 갈라지고 여신 그라니가 나타나 시타의 정절을 인정하고, 시타는 대지 속으로 사라졌다. 라마는 슬픔에 잠겼지만, 그 후 왕비를 맞이하지 않고 세상을 떠났다.

7. 다양한 판본과 해석

로버트 P. 골드만과 같은 텍스트 학자들은 《라마야나》의 판본을 크게 북부와 남부 두 가지 주요 지역 개정판으로 구분한다.[21] 학자 로메쉬 찬더 더트는 《라마야나》가 《마하바라타》처럼 수 세기에 걸쳐 발전했지만, 주요 이야기는 한 사람의 창작물이라는 점이 더 분명하다고 언급했다.

발미키의 《라마야나》에서 첫 번째 및 마지막 권(발라 칸다와 우타라 칸다)이 원래 저자에 의해 쓰여졌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많은 사람들은 우타라 칸다가 발미키가 쓴 것이 아닌 후대의 삽입물이라고 생각한다.[22] 이 두 칸다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에는 없다.

일부 학자들은 우타라 칸다가 라마와 다르마가 나머지 서사시에서 묘사된 방식과 모순된다고 생각한다. M. R. 파라메스와란은 여성과 수드라의 위치가 묘사된 방식을 볼 때 우타라 칸다가 후대에 삽입된 것임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사힙딘의 "''란카 전투, 라마야나''". 라마의 납치된 아내 시타를 구하기 위해 라마의 바나라 군대(왼쪽 위)가 라바나의 악마 왕 란카와 싸우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그림은 왼쪽 아래에 있는 세 머리 악마 장군 트리시라와의 전투에서 여러 사건을 묘사하고 있다. 트리시라는 라마의 바나라 동료인 하누만이 참수한다.


인도에는 다양한 작가들이 쓴 다양한 지역별 버전의 《라마야나》가 존재한다. 그중 일부는 서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6세기 서벵골 사본은 서사시에서 두 개의 칸다를 제외하고 있다.

12세기 동안 캄반은 라마바타람을 썼는데, 이는 타밀어로 캄바라마야남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라마야나 이야기는 타밀 문학에서 서기 3세기 초부터 등장한다. 텔루구어 번역본인 란가나타 라마야남은 고나 부다 레디가 13세기에 썼으며, 더 순수한 텔루구어 번역본인 ''몰라 라마야남''은 아투쿠리 몰라가 15세기에 썼다.

가장 초기의 인도-아리아 지역 언어 번역본은 14세기 초 마다가바 칸달리가 쓴 아삼어로 된 사프타칸다 라마야나이다. 발미키의 《라마야나》는 1576년 툴시다스가 쓴 스리 라마차리트 마나스에 영감을 주었는데, 이는 아와디어 힌디어로 된 서사시로 바크티라는 힌두 문학의 다른 영역에 더 기반을 두고 있으며, 널리 알려진 걸작으로, '툴시-크리타 라마야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구자라트 시인 프레마난드는 17세기에 《라마야나》의 한 버전을 썼다. 악바르는 무굴 제3대 황제로, 어머니 하미다 바누 베굼에게 헌정하기 위해 라마야나를 단순화한 텍스트를 의뢰했다. 1594년경에 만들어진 이 사본에는 이야기의 장면들이 삽화로 실려 있다.[30][31]

다른 버전으로는 15세기에 크리티바스 오자가 쓴 벵골어 버전인 크리티바시 라마야가 있다; 15세기 시인 사랄라 다사가 쓴 빌란카 라마야[32]와 16세기 시인 바라라마 다사가 쓴 ''자고모하나 라마야''(일명 ''단디 라마야나'')는 모두 오디아어로 되어 있다; 16세기 시인 나라하리가 쓴 칸나다어의 토라베 라마야나, 16세기 퉁차테트 라마누잔 에주타찬이 쓴 말라얄람어 버전인 아디야트마라미야남, 18세기에 스리드하라가 쓴 마라티어 버전, 19세기에 찬다 자가 쓴 마이틸리어 버전, 그리고 20세기에 라슈트라카비 쿠왐푸의 칸나다어 버전인 스리 라마야나 다르샤남과 비스와나타 사티아나라야나가 텔루구어로 쓴 스리마드라마야나 칼파브룩샤무가 있는데, 이 작품으로 자나피트상을 수상했다.

인도 일부 지역에서 유행하는 《라마야나》의 하위 플롯이 있는데, 라바나의 사악한 형제인 아히라반과 마히 라바나의 모험과 관련된 이야기로, 이 이야기에서 하누만의 역할을 강화한다. 아드부타 라마야나는 발미키에게 귀속되는, 잘 알려지지 않은 버전으로, 원래의 발미키 라마야나에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곤드족은 구전 민속 전설에서 파생된 '곤드 라마야니'라는 라마야나 고유 버전을 가지고 있다. 이 이야기는 라마야나의 주요 사건 이후 락슈마나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7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33]

와야나드의 아디야 부족에게 유행하는 구전 라마야나 버전인 '아디야 라마야나'에서 시타는 와야나드의 풀팔리 출신 아디야 여성이다.[34]

캄바르가 12세기에 타밀어로 라마바타람을 쓰기 전에도, 라마야나 이야기에 대한 많은 고대 언급이 존재하며, 이는 서기 이전에도 타밀 땅에서 그 이야기가 익숙했음을 시사한다. 이 이야기에 대한 언급은 아카나누루 (기원전 1세기)[36]와 푸라나누루 (기원전 300년)[37][38]상감 문학, 실라파티카람 (서기 2세기)[39]과 마니메칼라이 (5, 17, 18 칸토)[40][41][42]의 쌍둥이 서사시, 쿨라세카라 알바르, 티루망가이 알바르, 안달, 남말바르 (서기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43]알바르 문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체 라마야나는 18세기에 아루나찰라 카비라이아르에 의해 스리랑감에서 다시 타밀어 오페라로 쓰였다. 라마야나는 ''라마 나타캄''으로 명명되었으며 타밀어로 작곡되었다.[44][45]

불교 버전의 《라마야나》(다사라타 자타카)에서 다사라타는 베나레스의 왕이었으며 아요디아의 왕이 아니었다. 라마(이 버전에서는 라마판디타로 불림)는 다사라타의 첫 번째 아내인 카우샬리아의 아들이었다.

9년 후, 다사라타가 죽었고 락카나와 시타가 돌아왔다. 라마판디타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추가로 2년 동안 망명 생활을 했다. 이 버전에는 시타의 납치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버전에는 라바나도 없고, 라마-라바나 전쟁도 없다. 그러나 라바나는 다른 불교 문헌인 능가경에 등장한다.

비말수리는 스와탐바라 스와탐바라 무르티푸자카 분파의 자이나교 수도사였다. 그는 라마야나의 가장 초기의 알려진 자이나교 버전이자 마하라슈트리 프라크리트어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문학 작품인 그의 작품 ''"파우마차리얌"'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46] 자이나교 버전의 《라마야나》는 또한 상가다사가니 바차카의 ''바수데바힌디''(서기 4세기경),[47] 라비세나의 파드마푸라나 (파드마자와 라마의 이야기, 파드마자는 시타의 이름임)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라마, 락슈마나와 라바나는 각각 여덟 번째 발데바, 바수데바 및 프라티바수데바이다. 파드마나브 자이니는 힌두 푸라나와 달리 자이나 푸라나에서 발라데바와 바수데바라는 이름이 발라라마크리슈나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자이나교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힌두교 버전에서 말하는 것처럼 라마가 라바나를 죽이지 않는다. 대신 락슈마나가 라바나를 죽인다. 결국, 정직한 삶을 살았던 라마는 그의 왕국을 포기하고 자이나교 수도사가 되어 모크샤를 얻는다. 반면에 락슈마나와 라바나는 지옥으로 간다. 자이나교 경전에 따르면 라바나는 자이나교의 미래 티르탄카라 (전지적 스승)가 될 것이다.

자이나교 버전은 발미키의 《라마야나》와 몇 가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아요디아의 왕 다샤라타는 아파라지타, 수미트라, 수프라바, 카이케이의 네 명의 왕비를 두었다. 더욱이 시타는 라마가 그녀를 버린 후 자이나교 수행자로서 출가를 하고 인드라로 천국에서 환생한다. 락슈마나의 죽음 이후 라마 역시 그의 왕국을 포기하고 자이나교 수도사가 된다.

우붓에서 열린 발리 레공 댄스, 라마야나


자바 댄스에 묘사된 락슈마나, 라마, 시타가 단다카 숲에서 망명하는 모습


인도네시아에는 자바의 ''카카윈 라마야나''[48][49]와 발리의 ''라마카바차''를 포함하여 라마야나를 각색한 여러 작품이 있다. ''카카윈 라마야나''의 전반부는 원래의 산스크리트어 버전과 유사하지만, 후반부는 매우 다르다. 눈에 띄는 수정 사항 중 하나는 토착 자바의 수호신 반신인 세마르와 그의 아들 가렝, 페트루크, 바공이 포함된 것이다.

''카카윈 라마야나''는 마타람 왕국의 엠푸 신독 통치 시기인 서기 870년경 중부 자바에서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자바의 ''카카윈 라마야나''는 발미키의 서사시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 인도 시인 바티카비야의 6~7세기 시인 ''라바나바다''를 기반으로 한다.[50]

''카카윈 라마야나''는 인접한 발리 섬에서 더욱 발전하여 발리 ''라마카바차''가 되었다. ''라마야나''와 ''크리슈나야나'' 장면의 부조는 9세기 족자카르타의 프람바난 사원의 난간과[51] 14세기 동부 자바의 페나타란 사원에 조각되어 있다.[52] 인도네시아에서 라마야나는 특히 자바인, 발리인, 순다인에게 문화적으로 깊이 스며들어 있다.[53]

예를 들어, 발리 ''케착'' 댄스는 라마야나 이야기를 다시 들려주며, 댄서들은 라마, 시타, 락스마나, 자타유, 하누만, 라바나, 쿰바카르나, 인드라지트 역할을 맡고, 50명 이상의 상반신 노출 남성으로 구성된 무리가 "cak"을 외치는 코러스를 맡는다.[54] 족자카르타에서 ''와양 웡'' 자바 댄스 또한 라마야나를 다시 들려준다. 자바에서 라마야나의 댄스 공연의 한 예는 프람바난 발레이다.[55]

말레이시아판 라마야나는 히카얏 세리 라마라고도 불리며, 힌두 신화와 이슬람 신화의 요소를 모두 담고 있다.[56][57][58]

마하라디아 라와나

필리핀의 마라나오족 서사시인 ''마하라디아 라와나''는 1968년 후안 R. 프란시스코 교수와 나가수라 마데일에 의해 문서화되고 영어로 번역된 이후 라마야나의 토착화된 버전으로 여겨져 왔다.[59]

필리핀 대학교 마닐라의 인도학자인 프란시스코는 ''라마야나'' 이야기가 17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자바 및 말레이시아 문화와의 교류를 통해 필리핀에 전해졌다고 믿었다.[56][57][58]

1960년대에 문서화될 당시, 마하라디아 라와나의 서사시 속 등장인물의 이름, 지명, 정확한 에피소드 및 사건들은 이미 ''라마야나''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프란시스코는 이것이 "토착화"의 징후라고 믿었다.

태국식 라마야나 이야기—라마키엔—은 전통 지역 춤 극장에서 대중적으로 표현된다.


태국의 인기 있는 국민 서사시 ''라마키엔''(รามเกียรติ์|rāmkeīyrti|th '라마의 영광')은 힌두 서사시에서 파생되었다. Ramakien|라마키엔|th에서 시타는 라바나와 만도다리(thotsakan|톳사칸|th 및 montho|몬토|th)의 딸이다. 비비샤나(phiphek|피펙|th), 라바나의 점성가 형제는 시타의 운세를 통해 라바나의 죽음을 예언한다. 라바나는 그녀를 물에 던지지만 나중에 자나카(chanok|차녹|th)에 의해 구조된다.

주요 이야기는 《라마야나》와 동일하지만, 옷, 무기, 지형 및 자연 요소와 같은 다른 많은 측면이 태국 스타일로 묘사되어 태국적 맥락으로 바뀌었다. 하누만은 역할이 확대되었으며, 그는 음탕한 인물로 묘사된다. 라마키엔은 방콕의 왓 프라 깨우에서 정교한 삽화로 볼 수 있다.

8. 한국 문화와의 연관성

라마야나는 직접적으로 한국에 전해지지는 않았지만, 불교 경전을 통해 간접적으로 한국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불교 경전에는 라마야나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있어, 한국 불교 문화에 라마야나의 요소가 스며들었다.

한국 문학 작품에서도 라마야나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전 소설 춘향전에서 춘향의 정절과 시련은 시타의 이야기와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라마야나는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연극, 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라마야나의 이야기가 활용되며, 이는 라마야나가 지닌 보편적인 가치와 매력적인 서사가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9. 영향 및 의의

인도의 고대 서사시 ''라마야나''는 인도 아대륙동남아시아의 예술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힌두 사원에서 대규모 작품으로 이어지는 전통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12세기 타밀 시인 캄바르의 캄바라마야남, 몰라의 텔루구어 ''몰라 라마야남'' 등 다양한 언어의 2차 문학 작품에도 영감을 주었다.[65]

라마와 라바나의 전투를 그린 태국 역사 미술 작품


라마가 변장한 악마 마리차인 금사슴을 죽이는 장면을 묘사한 부조 (인도네시아 자바 족자카르타 근처 프람바난 트리무르티 사원)


''라마야나''는 테라코타, 석조 조각, 청동 조각, 회화 등으로 묘사되었다. 3세기경 안드라 프라데시의 나가르주나콘다 석판에는 치트라쿠타에서 바라타라마를 만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8세기부터 동남아시아에서 인기를 얻은 ''라마야나''는 문학, 사원 건축, 춤, 연극 등에 표현되었다. 오늘날 람릴라로 알려진 ''라마야나'' 이야기의 극적인 연극은 인도 전역과 전 세계 여러 곳에서 열린다.

인도네시아, 특히 자바발리에서 ''라마야나''는 춤 드라마와 그림자 인형극의 예술적 표현의 원천이 되었다. 센드라타리 라마야나는 자바 전통 발레로, 족자카르타에서 정기적으로 공연된다. 쁘람바난 트리무르티 사원에서는 야외 및 실내 공연이 열린다.[65] ''라마야나''의 발리 춤 드라마는 우붓과 울루와투의 발리 힌두 사원에서 자주 공연되며, 케착 춤 공연의 중요한 부분이다. 자바의 와양 (''와양 꿀리트''의 ''푸르와''와 ''와양 웡'') 또한 ''라마야나''에서 영감을 받았다.

인도네시아 (발리) 화가 이다 바구스 마데 토고그의 그림: 라마야나의 수그리바와 발리의 에피소드 중 발리의 살해. 라마는 활과 화살을 든 왕관을 쓴 인물로 묘사


''라마야나''는 인도네시아 (발리) 예술가 I Gusti Dohkar, I Dewa Poetoe Soegih, I Dewa Gedé Raka Poedja, 이다 바구스 마데 토고그 등의 그림에도 묘사되었다. 이 그림들은 현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트로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말레이시아 예술가 세드 타자데인도 1972년에 ''라마야나''를 묘사했으며, 이 그림은 현재 말레이시아 국립 시각 예술 갤러리에 있다.

하누만, 케착 불춤, 발리, 2018


고대 서사시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작품으로는 아미쉬 트리파티의 람 찬드라 시리즈, 아쇼크 뱅커의 라마야나 시리즈 등이 있다. 데브두트 파트나이크는 "Sita", "The Book Of Ram", "Hanuman's Ramayan"이라는 제목으로 라마야나를 세 번 다르게 재해석하고 해설했다. 또한, 여러 연극,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가 ''라마야나''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라마야나''의 구절은 문명 VII의 메인 테마인 "Live Gloriously"에 사용되었다.

1978년부터 바바 하리 다스의 감독하에 캘리포니아주 와트슨빌에 있는 마운트 마돈나 학교에서 매년 ''라마야나''를 공연해왔다.[66]

필리핀에서는 1970년대에 "라마 앳 시타"(Rama and Sita)라는 재즈 발레 작품이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비에venido 룸베라, 살바도르 베르날, 라이언 카야비아브, 앨리스 레예스 등 4명의 국가 예술가들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67]

참조

[1] 서적 Ramayana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015-11-04
[2] 웹사이트 Ramayana Meaning of Ramayana by Lexico https://www.lexico.c[...] 2020-02-19
[3] 서적 The Rámáyan of Válmíki
[4] 서적 The Bhakti Movement: Renaissance Or Revivalism? Taylor & Francis
[5] 서적 Champu-Ramayana https://books.google[...] Pandurang Jawali 1924
[6] 서적 The History of Medieval Vaishnavism in Oriss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7-01-06
[7] 서적 Living Thoughts of the Ramayana https://books.google[...] Jaico Publishing House 2017-01-06
[8] 서적 A Critical Inventory of Rāmāyaṇa Studies in the World: Foreign languages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in collaboration with Union Academique Internationale, Bruxelles 2017-01-06
[9] 서적 Rāmakathā and Other Essays https://books.google[...] Vani Prakashan 2017-01-06
[10] 서적 Sanskrit English Dictionary with Etymology https://sanskrit.inr[...] 2021-05-08
[11] 서적 Sanskrit English Dictionary with Etymology https://sanskrit.inr[...] 2021-05-08
[12] 서적 Sanskrit English Dictionary with Etymology https://sanskrit.inr[...] 2021-06-19
[13] 서적 The Valmiki Ramayana Volume 1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India 2023-03-21
[14] 서적 https://books.google[...]
[15] 서적
[16] 서적 Essential Hinduis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6-10-30
[1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1911
[18] 서적 Das Ramayana, Geschichte und Inhalt nebst Concordanz nach den gedruckten Rezensionen
[19] 웹사이트 Why the Uttara Kanda changes the way the Ramayana should be read https://scroll.in/ar[...] 2016-10-29
[20] 서적 The Ramayana: A New Retelling of Valmiki's Ancient Epic—Complete and Comprehensive Penguin
[21] 웹사이트 Valmiki Ramayana https://valmikiramay[...] 2020-05-19
[22] 뉴스 6th-century Ramayana found in Kolkata, stuns scholars http://timesofindia.[...] 2015-12-20
[23] 서적 Tofha-e-Dil: Festschrift Helmut Nespital Reinbeck
[24] 간행물 Vanaras or Vana-Naras: A tail's travel from Treta Yuga to DwaparaYuga http://shabdbooks.co[...]
[25] 간행물 Reflections on 'Rāma-Setu' in South Asian Tradition https://www.academia[...]
[26] 웹사이트 Book VI : Yuddha Kanda, Sarga 115 https://sanskritdocu[...] 2021-09-24
[27] 웹사이트 Book VI : Yuddha Kanda, Sarga 118 https://sanskritdocu[...] 2021-09-24
[28] 웹사이트 Episode 312 – Significance of the "Sri-Ranga Vimaana"!!! – The Indian Dharma https://theindiandha[...] 2018-03-18
[29] 서적 Self-realization Magazine https://books.google[...] Self-Realization Fellowship 1971
[30] 서적 The arts of Islam : treasures from the Nasser D. Khalili collection Tourism Development & Investment Company (TDIC) 2008
[31] 웹사이트 Islamic Art Two Pages from the Ramayana Made for Akbar's mother, Hamidah Banu Begum https://www.khalilic[...] 2022-06-01
[32]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5-11-08
[33] 뉴스 Gond Ramayani https://timesofindia[...] 2021-11-17
[34] 웹사이트 Tribals, Trials And Tribulations: Wayanad's Adivasis Have Their Own Versions of Ramayana https://www.news18.c[...] 2024-06-20
[35] 웹사이트 Varied Narratives Of The Many Ramayanas https://www.outlooki[...] 2024-06-20
[36] 웹사이트 Akananuru: Neytal – Poem 70 https://adakshinamur[...] 2019-07-22
[37] 서적 The four hundred songs of war and wisdom : an anthology of poems from classical Tamil : the Puṟanāṉūṟu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38] 서적 Purananuru 1950
[39] 서적 The Silappadikara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39
[40] 서적 Cattanar's Manimekalai https://archive.org/[...] Saiva Siddhanta Works 1931
[41] 서적 Manimekhalai In Its Historical Setting https://archive.org/[...] Luzac & Co. 1927
[42] 서적 Manimekhalai: The Dancer With the Magic Bowl New Directions 1989
[43] 서적 Hymns of the Alvar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29
[44] 간행물 Development of Karnataka Music
[45] 서적 Seerkazhi Arunachala Kavirayar and Rama Natakam http://archive.org/d[...] Sangeet Natak Akademi, New Delhi 1978
[46] 서적 Vaishivk Paridrashya Main Ram - Sahaitya https://books.google[...] Sadbhawana Publication
[47] 학술지 Some Old Tales and Episodes in the Vasudevahiṇḍi https://www.jstor.or[...] 1979
[48] 웹사이트 Ramayana Kakawin Vol. 1 https://archive.org/[...]
[49] 웹사이트 The Kakawin Ramayana – an old Javanese rendering of the … http://www.nas.gov.s[...] 2017-12-13
[50] 웹사이트 Perbedaan Ramayana – Mahabarata dalam Kesusastraan Jawa Kuna dan India http://dini-ardianty[...] 2015-06-08
[51] 웹사이트 Prambanan – Taman Wisata Candi http://borobudurpark[...]
[52] 웹사이트 Panataran Temple (East Java) – Temples of Indonesia http://candi.pnri.go[...]
[53] 서적 World Dance Cultures: From Ritual to Spectacle Taylor & Francis
[54] 서적 The Kecak and Cultural Tourism on Bali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55] 웹사이트 THE KEEPERS: CNN Introduces Guardians of Indonesia's Rich Cultural Traditions https://web.archive.[...]
[56] 서적 A History of Classical Malay Literature https://books.google[...] Yayasan Pustaka Obor Indonesia 2013
[57] 서적 Journal of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58] 서적 Journal of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https://books.google[...]
[59] 학술지 Maharadia Lawana http://www.asj.upd.e[...]
[60] 웹사이트 Ramayana Translation Project turns its last page, after four decades of research | Berkeley News http://news.berkeley[...] news.berkeley.edu 2016-11-17
[61] 웹사이트 UC Berkeley researchers complete decades-long translation project | The Daily Californian http://www.dailycal.[...] dailycal.org 2016-11-21
[62] 웹사이트 English Commentaries https://www.valmiki.[...] IIT Kanpur
[63] 웹사이트 Sundarakanda http://www.kasarabad[...] Kasarabada Trust
[64] 웹사이트 Celebrate Diwali – Deborah Heiligman https://deborahheili[...]
[65] 뉴스 On Java, a Creative Explosion in an Ancient City https://www.nytimes.[...] 2016-02-11
[66] 웹사이트 Ramayana! – The Musical https://www.mountmad[...]
[67] 웹사이트 BALLET PHILIPPINES' RAMA, HARI | Cultural Center of the Philippines https://www.cultural[...]
[68] 웹사이트 Someone Plotted All The Villages Named 'Rampur' In India And Came Up With This Map https://www.indiatim[...] 2020-09-24
[69] 웹사이트 Why Hindus say Ram Ram? https://www.beautyof[...] 2022-01-03
[70] 웹사이트 Why do we say Ram Ram as greeting? https://www.hindusan[...] 2020-05-23
[71] 웹사이트 NHK高校講座 世界史 第6回 東南アジア世界の形成 https://www.nhk.or.j[...]
[72] 웹사이트 NHK高校講座 世界史 東南アジア世界の形成 https://www.nhk.or.j[...] 2015-05-00 #날짜 정보가 부정확하여 00으로 표기
[7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2-00-00 #날짜 정보가 부정확하여 00으로 표기
[74]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75] 서적 마하바라타 (출판사 정보 없음)
[76] 문서 (제목 정보 없음)
[77] 문서 (제목 정보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