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나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로, 태양신 수리야와 쿤티 사이에서 태어난 판다바 형제들의 이복 형제이다. 그는 타고난 갑옷과 귀걸이를 지닌 채 태어났으나 버려졌고, 수레꾼의 아들로 성장하며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갖추었다. 카르나는 아르주나의 라이벌이자 두료다나의 절친한 친구로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전쟁 전 쿤티로부터 출생의 비밀을 듣고도 두료다나를 배신하지 않고 아르주나와의 결투를 택했다. 그는 인드라와의 거래를 통해 갑옷과 귀걸이를 잃고, 아르주나와의 전투에서 브라흐마스트라 사용에 실패하며 사망한다. 카르나는 인도 문화에서 비극적인 영웅으로 묘사되며, 그의 삶은 다양한 문학 작품, 연극, 영화 등으로 재해석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리야 - 일천
    일천은 태양을 신격화한 신으로 관세음보살의 변화신 중 하나로 여겨지며, 여덟 마리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다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관련자 - 비카르나
    비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카우라바 백형제 중 한 명으로,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지혜와 정의로운 면모를 지녔으나, 친구 두료다나를 지지하여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비마에게 죽임을 당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관련자 - 아슈와타마
    아슈와타마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드로나와 크리피의 아들이며, 불멸에 가까운 존재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크리슈나의 저주를 받아 영원히 고통받는 존재가 되었다.
카르나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르나
19세기 예술가의 상상 속의 카르나
별칭바수세나, 앙가라자, 라데야
직함앙가의 왕
성별남성
무기비자야 (활)과 화살
가족 관계
자녀브리샤세나, 수세나, 브리샤케투 및 다른 아들들
친척아디라타 (양아버지), 라다 (양어머니), 수리야 (아버지), 쿤티 (어머니), 유디슈티라, 비마, 아르주나, 나쿨라, 사하데바 (이복형제), 아마도 일부 양형제들
배우자이름 없는 수타 여성들
인물 정보
시리즈마하바라타
별칭 (로마자 표기)바스셰나
동료두료다나
동맹 세력카우라바
대립 인물아르주나
적대 세력판다바
종교힌두교
무구바사비 샤크티, 브라흐마스트라, 그 외 각종 아스트라
기타 정보
국적쿠루 왕국

2. 명칭과 어원

카르나(कर्ण)는 베다 문헌에서 "귀", "곡식의 껍질", "키 또는 노"를 의미하는 단어이다.[2] 산스크리트 운율학에서는 장음절(spondee)을 가리키기도 한다.[2]

마하바라타와 푸라나에서 카르나는 전사의 이름으로 등장한다.[2] 양부모는 그를 바수세나(Vasusena)라고 불렀지만, 산스크리트 서사시 학자 데이비드 슬래빗(David Slavitt)에 따르면 수르야의 금 귀걸이를 착용했기 때문에 카르나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인도학자 케빈 맥그래스(Kevin McGrath)는 카르나라는 단어가 "귀가 달린, 또는 귀걸이를 한 자"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마하바라타 3.290.5절에서는 카르나가 아버지 수르야처럼 귀걸이와 갑옷을 입고 태어난 아기로 묘사된다.

말 위에 서 있는 갓호다차와 싸우는 전차 안의 카르나, 코타, 라자스탄. 이 작품은 ''파퉁 사트리아 가토트카차(Patung Satria Gatotkaca)''로도 알려져 있으며, 덴파사르 공항 근처, 발리, 인도네시아에서도 볼 수 있다.


"키와 노"라는 카르나의 또 다른 의미는 서사시 8권에서 전쟁을 이끄는 카르나의 역할을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선한 카르나는 선한 아르주나와 대결하는데, 이는 마하바라타 저자들이 바다와 배의 비유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여러 층의 의미를 담은 절정 장면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카르나가 쿠룩셰트라 전장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마카라(Makara) 움직임(바다 괴물 모양으로 병사들을 배치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두료다나의 군대가 매일 무너짐에 따라 바다와 배의 비유가 서사시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특히 카르나가 언급될 때 더욱 그러하다. 갓난아기였던 카르나의 삶은 강에서 키 없는 바구니에서 시작되는데, 그는 그런 상황을 선택하지도 않았고 말할 권리도 없었다. 1권에서 다시 카르나와 관련된 맥락에서 두료다나는 "영웅과 강의 기원은 실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카르나라는 이름은 다른 사람들이 그와 그의 명성에 대해 듣고 생각하는 것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카르나의 성격과도 상징적으로 연결된다. 맥그래스에 따르면, 이러한 "듣는 것"과 "들리는 것"은 "카르나"라는 이름을 적절하게 만들고 카르나의 추진력을 섬세하게 상기시켜 준다.

카르나는 여러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름의미
바수세나(Vasusena)카르나의 원래 이름, 타고난 갑옷과 귀걸이를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에 "부유함을 가지고 태어난"을 의미한다.[4]
수르야푸트라(Suryaputra)수르야(Surya)의 아들
라드헤야(Radheya)라다(카르나의 양어머니)의 아들
수타푸트라(Sutaputra)수레꾼의 아들
안가라자(Angaraja)안가(Anga)의 왕
다아나베라(Daanaveera)자비로운 성격이거나 매우 관대한 사람[5]
비자야다리(Vijayadhari)비자야(활)(Vijaya (bow))라는 활을 소유했는데, 이 활은 파라슈라마 신이 선물했다.[6]
바이카르타나(Vaikartana)태양 족(수르야와 관련됨)에 속한 사람
브리샤(Vrisha)말에 진실하고 서약을 지킨 사람


3. 생애

카르나는 쿤티가 판두와 결혼하기 전, 태양신 수리야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쿤티는 두르바사라는 리쉬에게서 자신이 원하는 신과 아이를 가질 수 있는 축복을 받았는데, 이를 시험하기 위해 수리야를 불러 카르나를 잉태했다.[68] 카르나는 태어날 때부터 황금 갑옷과 귀걸이를 착용하고 있었는데,[68] 이는 쿤티가 수리야에게 아이가 황금빛 갑옷을 소유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이 갑옷은 카르나의 몸에 피부처럼 연결되어 떼어낼 수 없었고, 카르나를 불멸의 존재로 만들었다.[37] 하지만 미혼모였던 쿤티는 카르나를 바구니에 담아 강에 띄워 보냈고,[68] 갠지스 강을 떠내려가던 카르나는 마부 아디라타와 그의 아내 라다에게 발견되어 양자로 자라게 되었다.[68]

카르나는 여러 이름으로 불렸는데,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름의미
바수세나(Vasusena)"부유함을 가지고 태어난" (타고난 갑옷과 귀걸이 때문)[4]
수르야푸트라(Suryaputra)수리야(Surya)의 아들
라드헤야(Radheya)라다(카르나의 양어머니)의 아들
수타푸트라(Sutaputra)수레꾼의 아들
안가라자(Angaraja)안가(Anga)의 왕
다아나베라(Daanaveera)자비로운 성격이거나 매우 관대한 사람[5]
비자야다리(Vijayadhari)비자야(활)(Vijaya (bow))라는 활을 소유 (파라슈라마 신이 선물)[6]
바이카르타나(Vaikartana)태양 족(수르야와 관련됨)에 속한 사람
브리샤(Vrisha)말에 진실하고 서약을 지킨 사람



카르나는 하스티나푸르에서 드로나와 크리파에게 무술을 배웠다. 드로나가 브라흐마스트라 무기를 가르쳐주지 않자, 브라만으로 변장하여 파라슈라마의 제자가 되었다. 그러나 파라슈라마는 카르나의 속임수를 알고 저주를 내려, 결정적인 순간에 브라흐마스트라의 비밀을 잊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12]

카르나는 아르주나와 동료이자 라이벌이었다. 그는 가난한 집안 출신이라는 이유로, 특히 낮은 신분 때문에 반복적으로 거부당하고, 조롱당하고, 괴롭힘을 당했다. 드로나의 제안으로 열린 왕자들의 무예 시합에 카르나는 깜짝 참가하여 아르주나와 같은 기술을 선보였다. 그러나 왕족은 자신보다 신분이 낮은 자와 싸워서는 안 된다는 크리파의 말에 곤경에 처했다. 그러자 두료다나는 그 자리에서 카르나를 앙가 왕국의 왕으로 즉위시켰다. 하지만 현장에 나타난 카르나의 양부 아디라타를 보고 비마가 "마부의 아들에게 아르주나를 죽일 자격이 없다"라고 말하면서 결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0]

드라우파디의 스바얌바라(신랑 선택 의식)에서, 판찰라국의 왕 드루파다는 딸의 신랑감을 찾기 위해 강궁으로 과녁을 맞히는 과제를 제시했다. 카르나는 활을 들고 시위를 당기는 데는 성공했으나, 드라우파디가 "저 수타(카르나의 계급)를 남편으로 맞이하는 것은 싫습니다"라고 외치는 소리를 듣고 활을 내려놓았다.[41] 이후 브라만으로 변장한 아르주나가 과녁을 맞히는 데 성공하여 드라우파디와 결혼하게 된다.[41]

샤쿠니가 제안한 주사위 도박에서 판다바들이 패배하여 왕국에서 추방당했다. 유디슈티라가 내기 물품으로 걸었던 드라우파디가 빼앗기자, 카르나는 드라우파디를 심하게 욕했다. 드르타라슈트라의 중재로 다시 치러진 주사위 도박에서 판다바 5형제와 아내 드라우파디는 13년 동안 왕국에서 추방당하게 된다. 이때 비마와 아르주나는 카르나를 반드시 죽이겠다고 맹세한다.[41]

카르나는 아르주나와 라이벌 관계였으며, 카우라바의 수장인 두료다나와 절친한 친구였다. 두료다나는 카르나에게서 아르주나와 대등한 무술 실력을 가진 인물을 발견하고, 그와 친구가 되어 판다바들을 견제하려 했다.[12] 카르나는 두료다나의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판다바의 유배 마지막 해, 비슈마와 드로나는 평화롭게 해결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카르나는 쿠루크셰트라 전쟁을 통한 직접적인 대결을 주장했다.[12]

카르나는 두료다나와 함께 판다바와 드라우파디를 모욕하는 데 앞장섰다.[12] 하지만, 카르나는 나중에 드라우파디와 판다바에게 했던 심한 말들을 후회하며 두료다나를 기쁘게 하기 위해 그랬다고 고백했다.[12] 카르나는 두료다나를 도와 여러 나라를 정복하고 세계 정복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46]

카르나는 판다바가 유배되어 있던 시기에 인드라와의 거래를 통해 태어날 때부터 몸에 지녔던 황금 갑옷과 귀걸이를 떼어내어 인드라에게 주었다. 그 대신, 카르나는 인드라의 창 '바사비 샤크티'를 단 한 번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50][51]

쿠루크셰트라 전쟁 직전, 카르나는 쿤티에게서 출생의 비밀을 듣고 충격받았다. 쿤티는 카르나에게 판다바에 합류하라고 했지만, 카르나는 거절하고 대신 아르주나 외에 다른 판다바는 죽이지 않겠다고 약속했다.[18][19] 크리슈나 역시 카르나에게 판다바의 편으로 돌아오라고 설득했지만, 카르나는 양부모에 대한 은혜와 두료다나에 대한 의리를 이유로 거절했다.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카르나는 비슈마가 죽은 후 본격적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인드라에게서 받은 바사비 샤크티를 사용하여 비마의 아들이자 락샤사인 가토트카차를 죽였지만, 이 때문에 아르주나와의 전투에서 이 창을 쓸 수 없게 되었다.[12] 여러 아스트라를 사용해 아르주나를 궁지에 몰아넣기도 했지만, 아르주나의 반격에 밀리기 시작했다. 과거 파라슈라마에게서 받은 저주 때문에 브라흐마스트라의 주문을 잊어버려 무력한 상황에 놓였고,[12] 이 틈을 타 아르주나가 간디바로 쏜 아스트라가 카르나의 목을 관통하여 카르나는 전사했다.[12]

마하바라타의 장면을 묘사한 부조는 인도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역사적인 힌두 사원에서 볼 수 있으며, 앙코르 와트도 그중 하나이다. 위 그림은 12세기 호이살레슈와라 사원(카르나타카주)의 부조이다.


카르나의 죽음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서 용맹한 전사로 묘사되지만, 드로나의 구루닥시나를 위한 드루파다 원정에서 패배하고, 판다바의 라자수야 야즈냐 동안 빔마에게 지는 등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간다르바 사건에서는 치트라세나라는 간다르바 왕에게 카우라바들이 패배하자 도망치기도 했다.[15]

전쟁 마지막 날, 카르나는 두료다나에게 샬리아를 수레꾼으로 삼아달라고 부탁했다. 샬리아는 마지못해 동의했지만, 카르나와 계속 불화를 겪었다. 카르나의 수레바퀴가 땅에 박히자, 아르주나는 이 틈을 타 카르나를 죽였다.

비슈마와 드로나가 죽은 후, 카르나는 카우라바 진영의 세 번째 총사령관이 되었다. 카르나는 샤르야를 수레꾼으로 삼아 판다바 5형제와 싸웠다. 14일째는 비마사하데바를, 16일째는 나쿨라를, 17일째는 유디슈티라를 몰아붙였지만 살려주었다.[56][57][58][59] 그리고 17일째, 아르주나와 싸워 패배했다.[60]

카르나의 사후, 두료다나는 슬픔과 분노에 휩싸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카르나는 죽은 후 승천하여 수리야와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63][64]

3. 1. 출생과 어린 시절

카르나는 쿤티가 판두와 결혼하기 전, 태양신 수리야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쿤티는 두르바사라는 리쉬에게서 자신이 원하는 신과 아이를 가질 수 있는 축복을 받았는데, 이 축복을 시험하기 위해 수리야를 불러 카르나를 잉태했다.[68] 카르나는 태어날 때부터 황금 갑옷과 귀걸이를 착용하고 있었다.[68] 하지만 미혼모였던 쿤티는 아이를 기를 수 없다고 판단하여 카르나를 바구니에 담아 강에 띄워 보냈다.[68]

갠지스 강을 떠내려가던 카르나는 마부 아디라타와 그의 아내 라다에게 발견되어 양자로 자라게 되었다.[68] '카르나(कर्ण)'라는 이름은 "귀" 또는 "곡식의 껍질"을 의미하는 베다어 단어에서 유래했다.[2] 다른 맥락에서는 산스크리트 운율학의 장음절(spondee)을 가리키기도 한다.[2] 카르나는 양부모에게 바수세나라는 이름으로 불렸지만, 수리야에게서 받은 금 귀걸이 때문에 카르나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인도학자 케빈 맥그래스는 카르나라는 이름이 "귀가 달린, 또는 귀걸이를 한 자"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2] 마하바라타 3.290.5절에는 카르나가 아버지 수리야처럼 귀걸이와 갑옷을 입고 태어난 아기로 묘사되어 있다.[3]

카르나는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름의미
바수세나(Vasusena)"부유함을 가지고 태어난" (타고난 갑옷과 귀걸이 때문)[4]
수르야푸트라(Suryaputra)수리야(Surya)의 아들
라드헤야(Radheya)라다(카르나의 양어머니)의 아들
수타푸트라(Sutaputra)수레꾼의 아들
안가라자(Angaraja)안가(Anga)의 왕
다아나베라(Daanaveera)자비로운 성격이거나 매우 관대한 사람[5]
비자야다리(Vijayadhari)비자야(활)(Vijaya (bow))라는 활을 소유 (파라슈라마 신이 선물)[6]
바이카르타나(Vaikartana)태양 족(수르야와 관련됨)에 속한 사람
브리샤(Vrisha)말에 진실하고 서약을 지킨 사람



쿤티는 수르야의 아이를 낳는 조건으로 아이가 황금빛 갑옷을 소유할 것을 요구했다. 그 결과 카르나는 황금 갑옷과 귀걸이를 착용한 채 태어났으며, 이 갑옷은 카르나의 몸에 피부처럼 연결되어 떼어낼 수 없었다. 이 갑옷 덕분에 카르나는 불멸의 존재였다.[37]

3. 2. 청년기

카르나는 쿤티가 결혼 전 얻은 아들이었기에, 쿤티는 카르나를 강에 버렸다. 이후 카르나는 아디라타 난다나와 라다 부부에게 입양되어 성장했다. 그들은 카르나에게 바수세나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양부모는 카르나에게 그를 입양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고, 이는 카르나가 버려졌다는 수치심을 느끼게 했다.[11]

카르나는 하스티나푸르에서 드로나와 크리파에게 무술을 배웠다. 드로나가 브라흐마스트라 무기를 가르쳐주지 않자, 카르나는 브라만으로 변장하여 파라슈라마의 제자가 되었다. 그러나 파라슈라마는 카르나의 속임수를 알고 저주를 내려, 결정적인 순간에 브라흐마스트라의 비밀을 잊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12]

카르나는 아르주나와 동료이자 라이벌이었다. 그는 가난한 집안 출신이라는 이유로, 특히 낮은 신분 때문에 반복적으로 거부당하고, 조롱당하고, 괴롭힘을 당했다. 그럼에도 카르나는 성실한 노력, 매일 수르야 앞에서 하는 요가, 브라만을 돕고자 하는 관대함, 뛰어난 말솜씨 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카르나는 드로나에게서 쿠루 왕국의 왕자들과 함께 무술을 배웠다. 카르나는 드로나에게 브라마스트라 기술을 배우려 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래서 카르나는 파라슈라마에게 브라만이라고 속이고 제자로 들어갔다. 파라슈라마는 카르나에게 브라흐마스트라 기술 외에 비자야[38]라는 강력한 활을 주었지만, 카르나가 거짓말을 한 것을 알고는 브라흐마스트라 사용법의 기억을 잃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파라슈라마에게서 쫓겨난 카르나는 다시 하스티나푸라로 돌아와 두료다나를 섬기며 살았다.[39]

드로나의 제안으로 열린 왕자들의 무예 시합에 카르나는 깜짝 참가하여 아르주나와 같은 기술을 선보였다. 그러나 결투를 하려면 신분을 밝혀야 했고, 왕족은 자신보다 신분이 낮은 자와 싸워서는 안 된다는 크리파의 말에 카르나는 곤경에 처했다. 그러자 두료다나는 그 자리에서 카르나를 앙가 왕국의 왕으로 즉위시켰다. 하지만 현장에 나타난 카르나의 양부 아디라타를 보고 비마가 "마부의 아들에게 아르주나를 죽일 자격이 없다"라고 말하면서 결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0]

3. 3. 드라우파디의 스바얌바라(신랑 선택 의식)

드라우파디의 스바얌바라(신랑 선택 의식)에서, 판찰라국의 왕 드루파다는 딸의 신랑감을 찾기 위해 강궁으로 과녁을 맞히는 과제를 제시했다. 많은 왕자들이 도전했지만 활을 잡는 것조차 실패했다. 카르나는 활을 들고 시위를 당기는 데는 성공했으나, 드라우파디가 "저 수타(카르나의 계급)를 남편으로 맞이하는 것은 싫습니다"라고 외치는 소리를 듣고 활을 내려놓았다.[41]

이후 브라만으로 변장한 아르주나가 과녁을 맞히는 데 성공하여 드라우파디와 결혼하게 된다.[41] 드라우파디의 신랑 선택에서 카르나에 대한 묘사는 참가했다는 묘사가 없는 것[42], 과녁을 맞추는 데 성공했지만 거절당한 것[43] 등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3. 4. 판다바 추방

샤쿠니가 제안한 주사위 도박에서 판다바들이 패배하여 왕국에서 추방당했다. 유디슈티라가 내기 물품으로 걸었던 드라우파디가 빼앗기자, 카르나는 "당신은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노예 여자에 불과합니다. 어서 안으로 들어가 왕족들을 시중들든지, 아니면 당신을 내기 물품으로 삼지 않는 새로운 남편을 다시 고르든지 하십시오. 노예 여자가 결혼으로 자유의 몸이 되는 것은 결코 나쁜 일이 아닙니다."라며 드라우파디를 심하게 욕했다. 두료다나의 동생 중 한 명인 비칼나는 이 도박이 정당하지 않고 드라우파디는 노예가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카르나는 이를 단칼에 끊고 침묵하게 만들었다. 드르타라슈트라의 중재로 다시 치러진 주사위 도박에서 판다바 5형제와 아내 드라우파디는 13년 동안 왕국에서 추방당하게 된다. 이때 비마는 "네놈(두샤사나(दुःशासन), 두르요다나의 동생)과 두르요다나는 반드시 내 손으로 죽이겠다. 그리고 카르나는 아르주나가, 샤쿠니는 사하데바가 처리할 것이다."라며 복수를 맹세한다. 아르주나 또한 "내 화살로 카르나와 그의 모든 부하들을 저승으로 보내겠다."라고 말하고 왕국을 떠났다.[41]

3. 5. 두료다나와의 우정과 충성

카르나는 아르주나와 라이벌 관계였으며, 카우라바의 수장인 두료다나와 절친한 친구였다. 두료다나는 카르나를 앙가 왕국의 왕으로 임명했다.[12] 카르나는 두료다나에게 충성을 다하며 그의 제국 확장에 큰 도움을 주었다.

두료다나는 카르나에게서 아르주나와 대등한 무술 실력을 가진 인물을 발견하고, 그와 친구가 되어 판다바들을 견제하려 했다.[12] 경연 대회에서 카르나가 수레꾼 혈통이라는 이유로 아르주나와의 경쟁 자격을 잃을 위기에 처하자, 두료다나는 카르나를 앙가(벵골)의 왕으로 즉위시켜 그의 자격을 회복시켜 주었다. 카르나는 이에 대한 보답으로 두료다나에게 무한한 우정을 약속했다.[12]

즉위식에서 카르나의 아버지가 도착하자, 판다바 중 한 명인 비마는 그의 낮은 신분을 조롱했다. 이 사건은 카르나가 판다바들을 증오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12] 두료다나는 카르나가 모두에게 거부당하는 상황에서 자신을 지지해 준 유일한 친구였고, 카르나는 두료다나를 평생의 절친으로 여겼다.[12]

카르나는 판다바가 악당이며 적이라는 두료다나의 생각에 동의했고, 판다바를 몰락시키려는 두료다나의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2] 두료다나가 목표를 정하면, 카르나는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찾았다.[12]

판다바의 유배 마지막 해, 비슈마와 드로나는 왕국을 둘로 나누어 평화롭게 해결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카르나는 쿠루크셰트라 전쟁을 통한 직접적인 대결을 주장하며 판다바들을 모두 죽여야 한다는 과격한 주장을 펼쳤다. 그는 비슈마와 드로나를 탐욕스럽고 비겁한 자들이라고 비난했다.[12]

카르나는 두료다나와 함께 판다바와 드라우파디를 모욕하는 데 앞장섰다.[12] 그는 뛰어난 언변으로 판다바들을 모욕하고 드라우파디를 "창녀"라고 부르며 옷을 벗기라고 요구했다. 이러한 모욕은 판다바와 드라우파디에게 큰 상처를 주었다.[12] 하지만, 카르나는 나중에 드라우파디와 판다바에게 했던 심한 말들을 후회하며 두료다나를 기쁘게 하기 위해 그랬다고 고백했다.[12]

카르나는 두료다나를 도와 여러 나라를 정복하고 세계 정복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46] 두료다나가 연 바이슈나바 축제에서 카르나는 아르주나를 죽일 때까지 발을 씻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기도 했다.[47]

칼링가 공주를 납치하는 과정에서 자라산다 왕과 싸워 이기고, 우정의 표시로 마리니 마을을 얻어 앙가와 잠파를 함께 다스리게 되었다.[39][49]

3. 6. 황금 갑옷과 귀걸이를 잃다

카르나는 판다바가 유배되어 있던 시기에 인드라와의 거래를 통해 태어날 때부터 몸에 지녔던 황금 갑옷과 귀걸이를 떼어내어 인드라에게 주었다. 그 대신, 카르나는 인드라의 창 '바사비 샤크티'를 단 한 번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50][51]

인드라 신은 아르주나에게 승리를 안겨주기 위한 계략으로 카르나에게서 황금 갑옷을 빼앗으려 하였다. 아버지 수르야 신은 아들에게 "어떤 대가를 요구하더라도 절대 넘겨서는 안 된다. 그것은 네 목숨을 단축시키고, 판다바의 승리를 결정적으로 만들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충고했지만, 카르나는 죽음은 이미 각오하고 있으며, 인드라 신의 소원을 들어 귀걸이와 갑옷을 잃는 것이 자신의 명예를 더욱 빛나게 할 것이라고 말하며 충고를 거절하였다.[50]

카르나는 매일 정오에 목욕하고, 아버지인 태양을 예배하는 습관이 있었다. 그리고 그때 브라만 승려가 시주를 청하면, 무엇을 구걸하든 원하는 물건을 주었다. 인드라 신은 브라만의 모습으로 변장하여 정오에 카르나 앞에 나타나 그의 황금 갑옷을 원했다. 카르나는 이 갑옷은 자신의 몸과 하나가 되어 벗을 수 없다고 설명하고, 다른 것을 요구하도록 간청했다. 그러나 브라만은 그것을 거절하고 그의 갑옷을 계속 요구했다. 그러자 카르나는 이 브라만의 정체를 깨닫고, 그 요구에 응하기로 하였다. 대신 인드라 신이 가지고 있는 결코 과녁을 빗나가지 않는 창을 요구했고, 인드라 신은 그것을 받아들였다. 그는 고통을 참으며 작은 칼로 몸과 연결된 부분을 찢어, 몸을 피로 물들이고, 미소를 지으며 인드라에게 갑옷을 건넸다.[51]

3. 7. 전쟁 전야

카르나는 부모의 사랑을 받으며 성장하여 무예 수련에 힘썼고, 파라슈라마에게서 브라흐마스트라를 비롯한 여러 아스트라를 배웠다. 판다바카우라바가 무술 대회에서 겨룰 때 카르나가 난입하면서 아르주나와 라이벌이 되었고, 카우라바의 수장 두료다나는 카르나를 앙가 왕국의 왕으로 임명하며 둘은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카르나는 두료다나와 함께 판다바를 견제했다.

판다바가 유배되었을 때, 카르나는 인드라와 거래하여 태어날 때부터 지녔던 황금 갑옷과 귀걸이를 주고 바사비 샤크티라는 인드라의 창을 한 번 쓸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16][17] 쿠루크셰트라 전쟁 직전, 카르나는 쿤티에게서 출생의 비밀을 듣고 충격받았다. 쿤티는 카르나에게 두료다나를 배신하고 판다바에 합류하라고 했지만, 카르나는 거절하고 대신 아르주나 외에 다른 판다바는 죽이지 않겠다고 약속했다.[18][19]

카르나는 왕실 즉위 의식 중 도박 경기에서 판다바들을 꾸짖고 드라우파디를 모욕하여 판다바에 대한 적개심을 키웠다.[54] 크리슈나는 카르나에게 그가 판다바의 장남임을 알리고 전쟁의 무익함을 설파하며 판다바의 편으로 돌아오라고 설득했지만, 카르나는 양부모에 대한 은혜와 두료다나에 대한 의리를 이유로 거절했다. 쿤티 역시 카르나를 설득하려 했으나, 카르나는 갓 태어난 자신을 버린 쿤티에 대한 원한을 말하며 거절했다. 하지만 아르주나하고만 싸우고 다른 형제는 죽이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3. 8. 쿠루크셰트라 전쟁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카르나는 비슈마가 죽은 후 본격적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인드라에게서 받은 바사비 샤크티를 사용하여 비마의 아들이자 락샤사인 가토트카차를 죽였지만, 이 때문에 아르주나와의 전투에서 이 창을 쓸 수 없게 되었다.[12] 여러 아스트라를 사용해 아르주나를 궁지에 몰아넣기도 했지만, 아르주나의 반격에 밀리기 시작했다. 설상가상으로 과거 파라슈라마에게서 받은 저주 때문에 브라흐마스트라의 주문을 잊어버려 무력한 상황에 놓였다.[12] 이 틈을 타 아르주나가 간디바로 쏜 아스트라가 카르나의 목을 관통하여 카르나는 전사했다.[12]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서 용맹한 전사로 묘사되며, 칼링가 공주의 스바얌바라에서 마가다의 왕 자라산다를 이기는 등 여러 승리를 거두었다. 드루파다와 바가다타를 물리쳐 카우라바의 영토를 확장하는 데에도 기여했다.[12]

하지만 카르나는 드로나의 구루닥시나를 위한 드루파다 원정에서 패배하고, 판다바의 라자수야 야즈냐 동안 빔마에게 지는 등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간다르바 사건에서는 치트라세나라는 간다르바 왕에게 카우라바들이 패배하자 도망치기도 했다.[15]

카르나와 판다바들, 특히 아르주나와의 관계는 적대적이었다. 무술 경기에서 아르주나와 대등한 실력을 보였지만, 카르나는 자랑스러운 태도로 아르주나의 업적을 능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드라우파디의 스바얌바라에서 드라우파디가 수타(Sūta)라는 이유로 카르나와의 결혼을 거부하거나, 카르나가 활을 당기는 데 실패했다는 이야기가 있다.[16][17] 아르주나는 이 경쟁에서 이겼지만, 카르나는 브라만이 크샤트리아 신부인 드라우파디를 얻기 위해 경쟁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바르나에 따른 차별을 했다.

카르나는 도박 경기에서 판다바들을 꾸짖고 드라우파디를 모욕하여 적개심을 더욱 키웠다. 아르주나는 카르나를 죽이겠다고 맹세했고, 카르나는 "아르주나가 죽을 때까지 발을 씻지 않겠다"고 맞섰다.

카르나는 자신의 잘못을 후회하며 크리슈나두료다나에게 괴로움을 고백하기도 했다.

크리슈나는 카르나에게 출생의 비밀을 밝히고 판다바 편에 서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카르나는 자신을 키워준 부모와 두료다나에 대한 의리를 지키기 위해 거절했다. 쿤티 역시 카르나에게 아들이라고 고백했지만, 카르나는 자신을 버린 쿤티에게 원망을 표하며 아르주나를 제외한 다른 형제는 죽이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카르나는 태어날 때부터 수르야에게서 받은 귀걸이와 갑옷 덕분에 불멸의 존재였지만, 인드라의 계략으로 이를 잃게 되었다. 인드라는 카르나에게 한 번만 쓸 수 있는 강력한 미사일을 주었고, 카르나는 이를 가토트카차에게 사용했다.

전쟁 마지막 날, 카르나는 두료다나에게 샬리아를 수레꾼으로 삼아달라고 부탁했다. 샬리아는 마지못해 동의했지만, 카르나와 계속 불화를 겪었다. 카르나의 수레바퀴가 땅에 박히자, 아르주나는 이 틈을 타 카르나를 죽였다.

전쟁이 시작될 때 비슈마는 카르나와 아르주나 중 누가 먼저 싸울지 조건을 제시했고, 카르나는 비슈마가 죽은 후에 아르주나와 싸우겠다고 선언했다. 비슈마와 드로나는 카르나를 무능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55]

비슈마와 드로나가 죽은 후, 카르나는 카우라바 진영의 세 번째 총사령관이 되었다. 카르나는 샤르야를 수레꾼으로 삼아 판다바 5형제와 싸웠다.

카르나는 아비마뉴를 죽이는 데에도 가담했고, 인드라의 창으로 가토트카차를 죽였다.[61]

3. 9. 카르나의 최후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비슈마가 죽은 후, 카르나는 본격적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인드라에게서 받은 바사비 샤크티를 사용하여 비마의 아들인 라크샤사 가토가챠를 죽였지만, 이로 인해 아르주나와의 전투에서 이 창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20] 카르나는 여러 아스트라를 사용해 아르주나를 궁지에 몰아넣었지만, 아르주나는 카르나의 실력을 파악하고 반격에 나섰다.

전쟁 마지막 날 전날 밤, 카르나는 아르주나를 죽일 계획으로 두료다나에게 샬리아 왕을 자신의 전차병으로 삼도록 설득해 달라고 부탁했다. 샬리아는 전차병이 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겨 카르나를 모욕했고, 카르나는 말로 맞섰다. 두료다나는 둘을 중재하며 샬리아에게 전차를 몰아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고, 결국 샬리아는 동의했다. 두료다나는 카르나를 ''센아파티''(모든 군대의 사령관)로 임명했다. 카르나와 샬리아는 전장으로 향했지만, 서로를 비난하며 팀워크가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62]

카르나와 샬리아는 크리슈나와 함께 있는 아르주나에게 도착해 전투를 벌였다. 각자 공격 기술과 무기를 무력화하는 능력을 보였지만, 카르나의 전차 바퀴가 땅에 박히는 상황이 발생했다. 카르나가 전차에서 내려 바퀴를 빼내려는 사이, 아르주나는 이 기회를 틈타 치명적인 공격을 가했다.

이때 파라수라마에게서 받은 저주 때문에 카르나는 브라흐마스트라의 주문을 잊어버렸고, 전차 바퀴마저 땅에 박혀버렸다. 카르나는 크샤트리아의 법을 들어 전차를 끌어올릴 때까지 공격을 멈춰달라고 요청했지만, 크리슈나는 카르나의 과거 악행을 지적하며 거절했다. 결국 아르주나의 아스트라가 카르나의 목을 관통하여 카르나는 전사했다.[62]

카르나의 사후, 두료다나는 슬픔과 분노에 휩싸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카르나는 죽은 후 승천하여 수리야와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63][64]

4. 카르나의 유산

다르마는 인도 종교에서 복잡한 개념으로, 삶의 방식과 궁극적인 문제에 대한 관계를 통합한다. 카르나의 이야기는 다르마 윤리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그의 탄생과 죽음을 통해 이러한 질문들이 부각된다.[21] 카르나는 친구에 대한 충성심과 "마음에 기반한 올바른 정책"을 다르마샤스트라에 따른 왕위보다 더 높은 가치로 여긴다.[22]

구르차란 다스에 따르면, 카르나의 성격은 "세습 지위"와 "마땅히 얻은 지위" 사이의 사회적 논쟁을 시사하며, 이는 현대에도 여전히 관련이 있다. 카르나는 세습 지위에 도전하고, 마땅히 얻은 지위로서의 다르마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23]

카르나 이야기는 도덕적 딜레마를 제기하며, 《마하바라타》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다양한 측면과 해답의 미묘함을 보여준다. 비말 마틸랄에 따르면, 등장인물들은 조정할 수 없는 의무들 사이의 선택에 직면하며, 복잡한 상황들을 고려해야 한다.[24]

《마하바라타》에 따르면, 카르나-아르주나 갈등과 같은 인간의 갈등은 본질적으로 복잡하며 상황적 심도를 지닌다. 다르마는 상황에 따라 수크슈마(미묘한)하고 주관적이다.[25] 줄리안 우즈에 따르면, 이러한 이야기들은 어려움이 "다르마와 아다르마" 사이가 아니라, "서로 다른 다르마들 사이의 갈등"에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26]

카르나를 비롯한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들은 선과 악의 행동, 의도 및 행위의 스펙트럼을 결합하고 있다. 카르나는 두료다나의 악행을 돕고,[21] 판다바들도 부정한 수단을 사용하며, 아르주나는 카르나가 무방비 상태일 때 힌두교 행동 규범을 무시한다.[27][23]

카르나의 성격에는 명백한 모순이 있으며, 그의 행동은 "좌절 복합체"를 반영한다. 카르나는 부적응자나 반항아일 뿐이며, 한 가지 가치관에서는 영감을 주는 인물이고 다른 가치관에서는 비정상적인 인물이다. 드라우파디에 대한 잔혹 행위는 카르나 자신도 후회하는 행동이다.[28]

카르나 이야기는 오이디푸스 이론과 인간 행동의 진화 모델을 초월하는 다른 패러다임을 보여준다. 카르나는 자신의 다르마에 따라 행동하며, "황제의 새 옷"을 거부하고, 의미 있는 정체성을 받아들인다.[29]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의 결함 있는 비극적 영웅이다. 그는 군사적으로 아르주나와 대등하며, 정의로운 일을 행하지만 동시에 잔인하고 비열하다. 그는 자신의 선택을 넘어선 상황의 희생자일 뿐만 아니라, 서사시의 다른 결함 있는 영웅들을 희생시키는 상황의 원인이기도 하다.[30][31]

인도학자 다니엘 잉걸스에 따르면, 카르나의 등장인물은 인도 시인들이 비극을 몰랐다는 "명언"을 반박한다. 카르나와 많은 라즈푸트 발라드는 아리스토텔레스식과 엘리자베스 시대적 의미에서 명백한 비극이다.[32]

줄리안 우즈에 따르면, 카르나는 서사시의 "비극적인 반영웅"이다. 그는 브라만에게 관대하지만 판다바에게는 오만하고 잔인하다.[26]

카르나 이야기는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드라마, 연극, 무용 공연으로 재구성되고 각색되어 왔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카르나와 군티의 만남을 바탕으로 한 시를 썼다.[33] 카르나는 또한 다양한 현대 문학 작품의 주제가 되어왔다.[22]

다음은 카르나를 연기한 배우들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제목배우방송 채널
1922카르나 (Karna)슈리 나트 파탄카르 (Shree Nath Patankar)N/A
1964카르난 (Karnan)시바지 가네산 (Sivaji Ganesan)N/A
1977다나 베라 수라 카르나 (Daana Veera Soora Karna)N. T. 라마 라오 (N. T. Rama Rao)N/A
쿠룩셰트라 (Kurukshetram)크리슈남 라주 (Krishnam Raju)N/A
1988마하바라타판카지 디어 (Pankaj Dheer)[30]
하렌드라 페인탈 (Harendra Paintal)DD 내셔널 (DD National)
1989마하바라타 (The Mahabharata)제프리 키순 (Jeffrey Kissoon)
루 비흘러 (Lou Bihler)N/A
1993슈리 크리슈나 (Shri Krishna)고빈드 카트리 (Govind Khatri)DD 메트로 (DD Metro)
1997엑 아우르 마하바라타 (Ek Aur Mahabharat)사마르 자이 싱 (Samar Jai Singh)지 TV (Zee TV)
마하바라타 카타 (Mahabharat Katha)판카지 디어 (Pankaj Dheer)DD 내셔널 (DD National)
자이 하누만 (Jai Hanuman)프라풀라 판데이 (Praphulla Pandey)DD 메트로 (DD Metro)
2001드라우파디 (Draupadi)샤바즈 칸 (Shahbaz Khan)사하라 원 (Sahara One)
2002마하라티 카르나 (Maharathi Karna)프라풀라 판데이 (Praphulla Pandey)DD 내셔널 (DD National)
2008카하니 하마라 마하바라트 키 (Kahaani Hamaaray Mahaabhaarat Ki)히텐 테자와니 (Hiten Tejwani)9X
2013마하바라타 (Mahabharat)아함 샤르마 (Aham Sharma)[31]
비디유트 자비어 (Vidyut Xavier)
가나나이 슈클라 (Gananay Shukla)스타 플러스 (STAR Plus)
마하바라타 (Mahabharat)아닐 카푸르 (Anil Kapoor) (목소리)N/A
2014다르마크셰트라 (Dharmakshetra)아리아 다르마찬드 쿠마르 (Aarya DharmChand Kumar)에픽
2015수르야푸트라 카르나 (Suryaputra Karn)가우탐 로데 (Gautam Rode)
비셰시 반살 (Vishesh Bansal)
바산트 바트 (Vasant Bhatt)소니 엔터테인먼트 텔레비전 (Sony Entertainment Television)
2018카르나 상기니 (Karn Sangini)아심 굴라티 (Aashim Gulati)스타 플러스 (STAR Plus)
2019쿠룩셰트라 (Kurukshetra)아준 사르자 (Arjun Sarja)N/A
2024칼키 2898 AD (Kalki 2898 AD)프라브하스 (Prabhas)N/A


5. 신화 연구

카르나의 이야기는 인도 아대륙의 산스크리트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에 등장한다. 마하바라타는 오랜 시간에 걸쳐 수정, 편집, 추가된 복합적인 작품으로, 가장 오래된 부분은 기원전 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7]

카르나의 탄생 이야기는 마하바라타 내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아디 파르반(첫 번째 권)에서는 나무의 은유를 통해 크리슈나를 돕기를 거부하는 인물로 간략히 언급된다. 또한, 아디 파르반의 다른 부분에서는 그가 태어날 때부터 지녔던 빛나는 귀고리와 신성한 가슴 갑옷이 언급되며, 이는 그가 특별한 존재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후에 카르나는 자선으로 귀고리와 가슴 갑옷을 내주어 필멸자가 되고, 결국 아르주나와의 전투에서 죽는다.[7]

미혼모가 힌두교 신 수르야와의 관계를 통해 아이를 갖게 된 사연과 카르나의 탄생은 1.104.7절에 처음으로 간략하게 요약되어 나타난다. 이후 3.287, 5.142, 15.38절 등에서 카르나의 탄생과 어린 시절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이 나온다. 맥그래스에 따르면, 마하바라타에서 카르나를 처음 소개할 때 시인들은 독자들이 이미 그의 이야기를 알고 좋아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처럼 보인다. 초기 부분에서는 세부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은유환유를 사용하여 독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인물의 특징을 생생하게 상기시킨다.[7] 그의 삶 전체 이야기는 1.125장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마하바라타》는 수많은 판본이 존재하며, 주요 등장인물과 사건의 세부 사항이 판본마다 다른 경우가 많다. 바가바드 기타를 포함하는 부분은 놀라울 정도로 일관성이 있지만, 나머지 부분은 여러 판본으로 존재한다.[9] 특히 북부와 남부 판본 간의 차이가 크며, 남부 판본이 더 방대하고 길다. 카르나의 전설 또한 여러 판본으로 나타나며, 기존 사본에서 근거를 찾을 수 없는 판본도 있다. 카르나 파르반의 경우 북인도와 남인도 판본이 세부 사항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만, 주제는 유사하다. 학자들은 주로 봄베이판, 푸네판, 캘커타판 및 남인도 판본을 연구하여 비평판을 구성하려 노력했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판본은 비슈누 수크탄카르가 이끄는 학자들이 반다르카르 동양 연구소에서 제작한 것이다.[10]

카르나-아르주나 이야기는 베다 문헌과 유사하며, 더 오래된 주제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베다 신화는 수르야(태양)와 인드라(구름, 천둥, 비) 사이의 전설적이고 상징적인 충돌로 가득 차 있다. 베다 신화에서 인드라는 수르야의 바퀴를 떼어내어 무력화시키고, 아르주나는 땅에 박힌 바퀴를 고치려는 카르나를 죽인다. 또 다른 유사점으로, 수르야는 베다 경전에서 자신을 버린 생모(밤)가 있고, 자신을 훌륭하게 키워준 양모(새벽)를 카르나처럼 진정한 어머니로 여긴다. 언어학자 조르주 뒤메질은 비슷한 신화와 세부 사항이 다른 고대 인도유럽 이야기에서도 발견된다고 언급했다.

카르나는 힌두 경전에 나오는 여러 유명한 인물과 유사하다. 마하바라타의 저자로 여겨지는 비야사는 미혼모인 사탸바티와 파라샤라의 결합으로 태어났다. 독일 인도학자 게오르그 폰 심손은 마하바라타의 카르나가 라마야나의 쿰바카르나와 닮았다고 말한다. 쿰바카르나는 서사시 라마야나의 주요 적대자 라바나의 악마 형제로, 전쟁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카르나와 쿰바카르나는 각각의 서사시에서 처음에는 큰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여러 유럽 신화와의 유사점도 지적되었다. 카르나의 카바차(가슴판 갑옷)는 아킬레우스스틱스 강물로 코팅된 몸, 관통할 수 없는 피부를 가진 아일랜드 전사 페르디아드의 것과 비교되어 왔다. 그는 그리스 신화 속 반신반인인 아킬레우스와 여러 번 비교되었는데, 둘 다 신적인 힘을 가지고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지위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카르나의 최후에 대해서는 비슷한 이야기가 수르야에게서도 볼 수 있다. 즉, 카르나의 아버지인 수르야와 아르주나의 아버지인 인드라가 싸웠을 때, 인드라는 수르야의 전차 바퀴 하나를 "떼어내거나" "파묻음"으로써 승리했다고 한다. 이 신화적 대립 구조는 서사시에서도 볼 수 있다. 또한 수르야가 두 명의 어머니를 가진 것처럼, 카르나는 두 명의 어머니를 가진다.

신화학자 요시다 아쓰히코는 비교신화학의 관점에서 카르나를 다루며, 응신 천황의 전승과 비교하고 있다.[65]

참조

[1] 웹사이트 Karnal http://www.karnal.go[...] District of Karnal 2013-11-26
[2] 서적 कर्ण, Karna http://www.sanskrit-[...] Oxford University Press (Updated, Harvard University)
[3] 서적 Bargaining with a Rising India: Lessons from the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Mahabharata of Krishna-Dwaipayana Vyasa, Vol. 1 – Adi Parva https://holybooks.co[...] Oriental Publishing Co. 2021-02-21
[5] 서적 Karna The Unsung Hero of the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Leadstart Publishing 2015-03-01
[6] 서적 Karna The Unsung Hero of the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Leadstart Publishing 2015-03-01
[7] 논문
[8] 서적 Torah and Nondualism: Diversity, Conflict, and Synthesis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020-05-13
[9] 서적 Bhagavad Gita: An Exegetical Commentary https://books.google[...] South Asia Books
[10] 웹사이트 Critical Edition Prepared by Scholars at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BORI https://sanskritdocu[...]
[11] 웹사이트 Pandavas https://www.worldhis[...] 2020-05-13
[12] 서적 Puranic encyclopaedia: A Comprehensive Dictionar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pic and Puranic Literature http://archive.org/d[...] Motilal Banarsidass 1975
[1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ambhava Parva: Section CXL http://www.sacred-te[...] 2018-01-15
[1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2: Sabha Parva: Jarasandhta-badha Parva: Section XXIX https://www.sacred-t[...] 2018-01-15
[1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Ghosha-yatra Parva: Section CCXXXIX https://sacred-texts[...] 2024-11-26
[16] 웹사이트 The Mahabharatha https://archive.org/[...]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17] 웹사이트 Interpolations in the Mahabharata https://archive.org/[...] 2001
[18]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MacMillan
[19] 학술지 Early Sanskritization: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Kuru state http://www.ejvs.laur[...]
[20] 서적 The Mahabharata of Krishna-Dwaipayana Vyasa. Translated Into English Prose https://books.google[...] Bhārata Press 1886
[21] 백과사전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Indian Literature, Issues 225–227 Sahitya Akademi
[23] 뉴스 Moortidevi Awards for two writers https://timesofindia[...] 2003-02-24
[24] 뉴스 Shivaji Sawant's historical novels are a separate class https://m.timesofind[...] 2002-09-23
[25] 뉴스 'Rashmirathi' takes audienc to another plane of thoughts http://dnasyndicatio[...] 2010-12-14
[26] 웹사이트 Vote! The Best Shashi Kapoor Film http://www.rediff.co[...]
[27] 웹사이트 Vintage Movie Review: A Review on Thalapathi http://www.behindwoo[...]
[28] 뉴스 Ajay Devgan had doubts about his role in 'Raajneeti' http://articles.econ[...] 2010-06-04
[29] 웹사이트 Mohanlal's new obsession http://www.rediff.co[...] 2001-03-13
[30] 뉴스 It's a scary scenario: Pankaj Dheer https://m.timesofind[...] 2010-07-30
[31] 웹사이트 13th Indian Telly Awards 2014– Nominees & Winners List Gallery http://trendingriver[...]
[32] 서적 The Sanskrit Hero - Karna in Epic Mahābhārata https://brill.com/vi[...]
[33] 문서 プーナ版(第3巻)294章。また、上村版1巻104章(385ページ)によると「見事に切り離した者」と「太陽(ヴィカルタナ)の息子」の両方の意味がある
[34] 서적 原典訳マハーバーラタ ちくま学芸文庫
[35] 문서 マハーバーラタではカルナの結婚生活について明らかにされておらず、妻の名前は明記されていない。彼女らは民間伝承やフィクション作品の題材となっており、そのほとんどでカルナには二人の妻が存在している。様々な情報源に様々な名前が含まれており、ヴルシャリ、スプリヤ、パドマバティ、チャンドラヴァリ、ポンヌルヴィ、ウルヴィ、タルサ、またこの名前の中で最も人気があるのはヴルシャリとスプリヤである 2021-03
[36] 서적 比較文学・文化論集
[37]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38]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39]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40]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41]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42] 서적 原典訳 マハーバーラタ
[43] 서적 マハバーラト
[44] 문서 드라우파디와 판다바 형제의 결혼
[45]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46]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47]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48]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49] 문서 마하바라타에서의 카르나의 행적에 대한 주석
[50]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51]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52]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53] 문서 판다바 측의 요구사항
[54]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55]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56]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57]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58]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59]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60]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61]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62]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63] 서적 マハーバーラタ
[64] 서적 마하바라타
[65] 서적 天地創造神話の謎
[66] 서적 산크리트 영웅: 마하바라타 속 카르나 2004
[67] 웹사이트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https://archive.org/[...] Oxfo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68]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