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감소전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곤감소전략(PRSP)은 세계은행과 국제 통화 기금(IMF)이 빈곤국에 채무 경감 등의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요구하는 문서이다. 이 문서는 원조를 받는 국가가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달성하도록 돕기 위해 작성되며, 3년 이상의 기간 동안 국가의 성장 촉진 및 빈곤 감소 계획을 상세히 설명한다. PRSP는 국가 주도, 결과 지향, 포괄적, 파트너십 지향, 장기적 관점을 목표로 하며, 빈곤 분석, 참여 과정, 내용, 비판 및 도전 과제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PRSP는 시민 사회 참여와 정부의 주인의식을 강조하지만, 예산 자금 할당 문제, 원조 조건 강화, 시민 참여에 대한 불명확성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세계은행과 국제 통화 기금(IMF)은 빈곤국 채무 경감 이니셔티브와 같은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해당 국가에 빈곤 감소 전략 문서(PRSP) 작성을 요구한다.[5] 이는 일부 양자 간 공여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조건이다. 빈곤 감소 전략 문서(PRSP)의 주요 목적은 원조를 받는 국가가 유엔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달성하도록 돕는 데 있다.[2] 이 문서는 3년 이상의 기간 동안 특정 경제, 사회, 구조 정책을 시행하여 국가의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상세히 기술한다.[1][2] 또한, PRSP는 세계은행 및 IMF와 같은 대출 기관에게 원조 수혜국이 문서에 명시되고 승인된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원금을 사용할 것이라는 확신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세계은행과 국제 통화 기금(IMF)은 빈곤국 채무 경감 이니셔티브와 같은 재정 지원의 조건으로 해당 국가에 빈곤 감소 전략 문서(PRSP,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작성을 요구한다.[5] PRSP는 원조 수혜국이 유엔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달성하도록 돕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한다.[2] 이 문서는 3년 이상의 기간 동안 특정 경제, 사회, 구조 정책의 시행을 통해 국가의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상세히 담고 있다.[1][2] 또한, PRSP는 세계은행 및 IMF와 같은 대출 기관에게 수혜국이 문서에 명시되고 승인된 개발 결과를 추구하기 위해 원조를 활용할 것이라는 확신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세계은행과 국제 통화 기금(IMF)은 빈곤국 채무 경감 이니셔티브[5]나 기타 재정 지원을 통해 채무를 경감받기 위한 조건으로, 해당 국가에 빈곤 감소 전략 문서(PRSP) 작성을 요구한다.[5] 여러 양자 간 공여국 역시 마찬가지로 이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5] 빈곤 감소 전략 문서는 원조를 받는 국가가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2] 이 문서는 3년 이상의 기간 동안 특정 경제, 사회, 구조 정책의 시행을 통해 국가의 성장 촉진 및 빈곤 감소 계획을 상세히 설명한다.[1][2] PRSP는 세계은행 및 IMF와 같은 대출 기관에게, 원조를 받는 국가가 PRSP에 상세히 설명되고 대출 기관의 승인을 받은 개발 결과를 추구하기 위해 원조를 활용할 것이라는 확신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2. 목적
3. 목표
국제 통화 기금(IMF)은 빈곤 감소 전략(PRSP) 수립 과정에 대한 다섯 가지 핵심 원칙을 제시했으며, 이는 PRS 과정의 목표 설정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2]3. 1. 국가 주도
국제 통화 기금(IMF)은 빈곤 감소 전략 (PRSP) 수립 과정의 핵심 원칙 중 하나로 국가 주도를 제시했다.[2] 이는 해당 전략이 외부의 개입이 아닌 각 국가 자체적으로 주도해야 함을 뜻하며, 특히 시민 사회의 폭넓은 참여를 통해 전략에 대한 국가적 공감대와 주인의식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2]
3. 2. 결과 지향성
국제 통화 기금(IMF)이 제시한 빈곤 감소 전략(PRSP) 수립의 핵심 원칙 중 하나는 결과 지향성이다. 이는 빈곤 감소 전략이 실제로 빈곤층에게 이익이 되는 구체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의미한다.[2]
3. 3. 포괄성
국제 통화 기금(IMF)이 제시한 빈곤 감소 전략(PRSP) 수립의 핵심 원칙 중 하나는 포괄성이다.[2] 이는 빈곤의 다차원적인 특성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2]
3. 4. 파트너십 지향성
국제 통화 기금이 제시한 빈곤 감소 전략 수립의 핵심 원칙 중 하나는 파트너십 지향성이다.[2] 이는 정부, 국내 이해 관계자, 그리고 외부 공여자와 같은 다양한 개발 파트너들이 전략 수립 및 실행 과정에 함께 참여해야 함을 의미한다.[2]
3. 5. 장기적 관점
국제 통화 기금 (IMF)은 빈곤 감소 전략 (PRSP) 수립 과정의 핵심 원칙 중 하나로 장기적인 관점을 제시했다.[2] 이는 PRSP 개발이 빈곤 감소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단기적인 성과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하고 장기적인 효과를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2] 이러한 장기적 관점은 다른 핵심 원칙들(국가 주도, 결과 지향, 포괄성, 파트너십 지향)과 함께 빈곤 감소 전략(PRS) 과정의 목표 설정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2]
3. 6. 빈곤층 중심 정부
빈곤 감소 전략(PRS) 과정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정부 정책의 초점을 빈곤층에 맞추는 것이다. 이전에는 개발도상국 정부 내에서 빈곤 감소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3] 빈곤 감소 전략 계획(PRSP) 과정을 통해 빈곤 문제가 정책 우선순위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기 시작했으며, 이전보다 빈곤 문제를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더욱 포괄적인 계획이 수립되었다.[3] 특히 보건, 교육, 교통 부문에서 빈곤층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빈곤층 친화적" 지출이 증가했다.[3] 또한, 원조를 제공하는 공여국들이 구체적인 성과 제시를 요구함에 따라, 참여형 빈곤 평가나 가구 조사를 통해 빈곤 실태를 파악하고 감시하는 활동도 강화되었다.[3]
3. 7. 시민 사회 참여
빈곤감소전략(PRS)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국민의 참여를 더 많이 장려하는 것이다.[4] 시민 사회 참여의 목적은 정책 수립, 프로그램 시행, 자원 배분 및 우선순위 설정에 있어 이해 관계자의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4] 이를 통해 국가적 합의를 어느 정도 형성하여 이해 관계자의 이익을 더 잘 대변하는 빈곤 감소 전략을 만드는 것이 의도이다.[4] 이러한 참여의 배경에는 PRS가 국민의 소유가 되어 국가의 필요와 역량에 부합하게 함으로써 지속 가능성을 확보한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4]
국제 통화 기금(IMF) 역시 빈곤 감소 전략(PRSP)을 수립하는 과정에 대한 다섯 가지 핵심 원칙을 제시하며 시민 사회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 첫째 원칙인 "국가 주도"는 시민 사회의 광범위한 참여를 통해 전략에 대한 국가의 주인의식이 완성되어야 함을 의미한다.[2] 또한 IMF는 빈곤층에게 이익이 될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결과 지향성", 빈곤의 다차원적인 특성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포괄성", 정부, 국내 이해 관계자 및 외부 공여자와 같은 개발 파트너를 참여시키는 "파트너십 지향성", 그리고 빈곤 감소를 목표로 하는 "장기적인 관점"을 중요한 원칙으로 제시했다.[2] 이러한 핵심 원칙들은 빈곤 감소 전략(PRS) 과정의 목표 설정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3. 8. 주인의식
국제 통화 기금(IMF)은 빈곤 감소 전략(PRSP) 수립 과정에서 다섯 가지 핵심 원칙을 제시했는데, 그중 첫 번째가 바로 "국가 주도" 원칙이다.[2] 이는 시민 사회의 광범위한 참여를 통해 해당 국가가 전략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져야 함을 의미한다.[2]
빈곤감소전략(PRS) 과정에서 정부와 국민의 주인의식 확보는 매우 중요한 목표로 여겨진다.[8] 이는 과거 대출 기관들이 외부에서 공여국의 정책 조건을 일방적으로 강요하던 방식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이다.[5] PRS 과정에서 주인의식을 높이는 한 가지 방법은 정부가 국민들과 긴밀히 협의하여 자체적인 빈곤 감소 전략 계획(PRSP)을 수립하도록 하는 것이다.[8] 이를 통해 정부는 자국과 국민이 상황 개선에 필요하다고 여기는 전략을 소유하고 이를 고수할 수 있게 된다.[8]
또한, PRSP를 함께 개발함으로써 해당 국가가 직면한 빈곤 문제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 PRSP 과정은 또한 정부가 PRSP에서 마련한 전략에 따라 원조 자금을 스스로 배분하도록 하여, 자체 전략을 시행하는 데 있어 정부의 주도성을 장려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 주도성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과거 일부 공여국들이 수혜국 내에 자체적인 전략 시행 기관을 설립하여 국가 기관을 우회하고, 그 결과 국가 역량 개발을 저해하며 원조 기관에 대한 의존성을 초래했던 문제에서 비롯된다.[5]
4. 수립 과정
4. 1. 빈곤 분석
빈곤감소전략(PRSP) 과정은 국가 내 빈곤 상황에 대한 분석으로 시작된다.[6] 이 분석은 양적 데이터와 질적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여 이루어진다.[6] 분석 결과는 해결해야 할 우선적인 문제들을 드러내며, 이는 빈곤 감소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된다.[6] 특히 이 초기 분석 단계에서 정부가 시민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실제 참여 수준은 국가별로 차이를 보인다.[6]
4. 2. 참여 과정
빈곤감소전략(PRSP)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PRSP가 만들어지는 참여 과정이다. 이 과정은 PRSP에 대한 국가의 주체적인 소유권을 높이고, 정책 실행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7] 세계은행은 다음과 같은 수준의 참여를 권장한다.
실제로 참여 과정은 주로 NGO를 포함한 시민 사회 단체들에 의해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참여를 위한 명확한 기준이나 정의가 부족하여, 각국 정부가 자의적으로 참여 방식을 결정하고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9] 이로 인해 정부가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해 참여 범위를 제한하거나 다른 수단을 동원하여 시민 사회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시도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정부는 국제적인 공여 기관들을 만족시키면서도 실제 빈곤층의 목소리를 정책에 얼마나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9] 참여 기준이 모호하다 보니, PRSP가 실질적인 시민 사회의 참여 없이도 IMF와 세계은행의 승인을 받는 문제점도 지적된다.[9]
5. 내용
세계은행과 국제 통화 기금(IMF)은 빈곤국 채무 경감 이니셔티브와 같은 재정 지원을 통해 채무를 줄여주기 위한 조건으로, 여러 양자 간 공여국과 마찬가지로 해당 국가에 빈곤 감소 전략 문서(PRSP,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작성을 요구한다.[5] 빈곤 감소 전략 문서는 원조를 받는 국가가 유엔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2] 이 문서는 3년 이상의 기간 동안 특정 경제, 사회, 구조 정책을 시행하여 국가의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을 줄이려는 계획을 상세하게 담고 있다.[1][2] PRSP는 세계은행 및 IMF와 같은 대출 기관에게, 원조를 받는 국가가 PRSP에 명시되고 대출 기관의 승인을 받은 개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원조 자금을 사용할 것이라는 확신을 준다.
세계은행의 빈곤감소전략(PRS) 자료집에 따르면, 빈곤감소전략 문서(PRSP)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7]
- 빈곤 상황에 대한 분석
-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우선순위 결정
- 구체적인 목표와 지표 설정
- 목표 달성 과정을 추적하고 프로그램 실행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계획
- 전략 수립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했음을 보여주는 절차 설명
6. 비판 및 도전 과제
PRSP는 빈곤 감소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여겨지지만, 여러 비판과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 PRSP가 승인된 이후에도 일부 국가는 예산 자금의 부적절한 배분 등으로 인해 계획된 정책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빈곤 감소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5]
또한, PRSP 과정이 본래 국가의 주체적인 정책 결정을 존중하고 외부 조건을 줄이기 위해 고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원조 조건을 오히려 강화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5] 일부에서는 이를 정책 내용보다는 절차에 초점을 맞춘 '절차적 조건부'라고 설명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과 함께, 실제로는 국제 금융 기구가 내용까지 평가한다는 지적도 있다.[5][8]
IMF나 세계은행과 같은 국제기구가 PRSP의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인 '시민 참여'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시하지 않아, 이 요건의 충족 여부를 평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9] 실제로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정부와 시민이 긴밀히 협력하여 빈곤 감소 전략을 구체화하는 실질적인 참여는 미흡한 경우가 많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PRSP가 승인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9] 이러한 문제들은 PRSP의 효과적인 이행과 목표 달성에 주요한 도전 과제로 작용하고 있다.
6. 1. 조건 강화
PRSP가 승인된 이후에도 일부 국가는 계획했던 정책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빈곤감소전략(PRS)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PRS에 투입될 예산이 제대로 배분되지 않기 때문이다.PRSP 과정은 본래 국가의 주체적인 정책 결정을 존중하고 외부에서 부과하는 정책 조건을 없애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오히려 원조 조건을 더 강화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5] 일부에서는 이를 정책의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절차를 중시하는 '절차 조건부'라고 설명한다. 즉,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나 기관(기부자)들이 해당 국가가 PRSP를 작성했는지, 그리고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민주적인 방식으로 작성했는지 여부만을 주로 확인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실제와 다를 수 있다. 과거에 기부자들이 특정 정책 내용을 해당 국가에 강요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처럼, PRSP 작성 과정에서 절차적인 기준을 강요하는 것 역시 쉽지 않을 수 있다.[5] 기부자가 특정 국가의 국내 정치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는 과거에도 성공하지 못한 사례가 많다.[5] 게다가 국제 금융 기구는 실제로는 PRSP의 내용까지 평가하며, 단순히 절차만 확인하는 것은 아니다.[8]
IMF나 세계은행은 '시민 참여'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다.[9] 이는 PRSP의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인 '시민 참여를 통해 수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한다. 실제로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정부와 시민들이 함께 협력하여 빈곤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개발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은행과 IMF는 이러한 시민 참여 조건이 제대로 충족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PRSP를 승인하는 경향을 보인다.[9]
6. 2. 절차적 조건부
빈곤감소전략보고서(PRSP)가 승인된 이후에도 일부 국가는 계획된 정책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목표 달성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예산 자금의 부적절한 배분이 이러한 문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5]PRSP 과정은 본래 국가의 주도성을 높여 외부의 정책 조건을 줄이려는 의도로 만들어졌지만, 오히려 원조 조건을 강화한다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5]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정책의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절차에 초점을 맞춘 '절차적 조건부'라고 주장한다. 이는 기부자들이 해당 국가가 PRSP를 작성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이 시민 참여를 통해 이루어졌는지 등 절차적인 측면만을 감독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 역시 한계가 지적된다. 과거 기부자들이 대상 국가의 정책 내용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처럼, PRSP 작성 과정에서 절차적 기준을 강제하는 것 또한 실효성이 낮을 수 있다는 비판이다.[5] 실제로 기부자가 특정 국가의 국내 정치에 개입하려는 시도는 과거에도 성공적이지 못했다는 평가가 있다.[5] 더욱이 국제 금융 기구는 실제 평가 과정에서 절차뿐만 아니라 PRSP의 내용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또한, 국제 통화 기금(IMF)이나 세계은행은 PRSP의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인 '시민 참여'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9] 이로 인해 시민 참여 요건 충족 여부를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현실적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정부가 시민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빈곤 감소 전략을 구체화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은행과 국제 통화 기금(IMF)은 이러한 조건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PRSP를 승인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지적이 있다.[9]
6. 3. 시민 참여의 불명확성
국제 통화 기금(IMF)이나 세계은행은 시민 참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시하지 않았다.[9] 이는 빈곤감소전략보고서(PRSP)의 주요 요건 중 하나인 시민 참여를 통해 수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평가할 때 문제를 야기한다. 실제로, 빈곤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정부와 협력하는 국민들의 참여는 어떤 개발도상국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은행과 IMF가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PRSP를 승인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비판이 있다.[9]한편, PRSP 프로세스는 국가 소유권을 증진하여 외부의 정책 조건을 없애기 위해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원조 조건을 강화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5] 일부에서는 이를 내용이 아닌 절차에 대한 조건부, 즉 "절차 조건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는 기부자들이 국가가 PRSP를 만들었는지, 그리고 참여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 여부만을 감시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과거에 기부자들이 특정 국가의 정책 내용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던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했던 점을 고려할 때[5], 절차적 기준을 강요하는 것 역시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더욱이 국제 금융 기구는 실제로는 절차뿐만 아니라 PRSP의 내용까지 평가한다는 지적도 있다.[8]
6. 4. 예산 자금 할당 문제
빈곤감소전략 문서(PRSP)가 승인되더라도 일부 국가는 원래 계획한 정책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빈곤 감소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빈곤 감소 전략에 사용될 예산 자금의 잘못된 배분이다.PRSP 과정은 국가의 주도성을 높여 외부의 정책 조건을 없애려는 의도로 만들어졌지만, 오히려 원조 조건을 강화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5] 일각에서는 이를 정책 내용이 아닌 절차에 대한 조건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는 기부자들이 해당 국가가 PRSP를 만들었는지, 그리고 시민 참여를 통해 만들었는지 여부만 감시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과거 기부자들이 특정 정책 내용을 강요하는 데 실패했던 것처럼, PRSP 작성 과정에서 절차적 기준을 강요하는 것 역시 실효성이 없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5] 과거에도 기부자가 특정 국가의 국내 정치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가 성공하지 못했음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5] 게다가 국제 금융 기구는 실제로는 PRSP의 절차뿐만 아니라 내용까지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또한, IMF나 세계은행은 PRSP의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인 '시민 참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제공하지 않았다.[9] 이로 인해 시민 참여 요건 충족 여부를 평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실제로 정부와 국민이 협력하여 빈곤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개발하는 방식의 참여는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은행과 IMF는 이러한 조건 충족 여부와 관계없이 PRSP를 승인하는 경향을 보인다.[9]
7. 읽을거리
- Jeremy Gould (편집자), ''The New Conditionality: The Politics of Poverty Reduction Strategies'', Zed Books, 2005년.
- Caillods, F. 와 Hallak, J., ''Education and PRSPs: a review of experiences'', 파리: IIEP/UNESCO, 2004년. [http://unesdoc.unesco.org/images/0013/001376/137664e.pdf 전문 보기]
참조
[1]
논문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s: A New Convergence
[2]
웹사이트
Factsheet --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s
http://www.imf.org/e[...]
IMF
[3]
논문
Second-Generation Poverty Reduction Strategies: New Opportunities and Emerging Issues
[4]
논문
Participation in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s: reviewing the past, assessing the present and predicting the future
[5]
논문
The PRSP Approach and the Illusion of Improved Aid Effectiveness: Lessons from Bolivia, Honduras and Nicaragua
[6]
웹사이트
Making PRSP Inclusive
CBM
[7]
웹사이트
PRSP Sourcebook: Overview
http://siteresources[...]
World Bank
[8]
논문
The same old wine in the some old bottle? Content, process and donor conditionalities of the PRSP
http://www.sarpn.org[...]
2005-03
[9]
논문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s and the rhetoric of participation
20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