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적 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적 연구는 사회 현상이나 자연 현상을 수치화하여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이다. 과학적 방법, 통계학, 실험 연구, 설문 조사, 통계 분석 등을 활용하며, 가설 검증과 인과 관계 규명에 중점을 둔다. 측정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며, 대용 변수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할 수 없는 현상을 간접적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사회과학, 경제학, 생물학, 금융, 기후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질적 연구와 결합된 혼합 연구 방법으로도 사용된다. 하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적 연구 - 실험계획법
    실험계획법은 실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 전 상세 계획을 세우는 방법론이며, 비교, 무작위화, 반복 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다양한 설계 방식을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 양적 연구 - 내용분석
    내용 분석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에서 숨겨진 의미나 패턴을 파악하는 방법론으로, 데이터의 종류, 정의, 추출, 맥락, 분석 범위, 측정 대상 등에 대한 질문에 답하며 정량적, 질적 분석으로 나뉘고, 코드북과 컴퓨터 기반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며 다양한 텍스트 유형에 적용된다.
  • 연구 방법 - 민족지
    민족지는 특정 문화, 사회, 집단에 대한 연구 방법이자 결과물을 의미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어 사람들의 사회적 의미와 일상 활동을 포착하고 문화의 보편성과 변이를 연구, 해석하는 학문이다.
  • 연구 방법 - 무작위 대조 시험
  • 연구 - 교육 지수
    교육 지수는 유엔개발계획의 인간 개발 보고서에서 국가의 교육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기대수학년수지수와 평균수학년수지수를 평균하여 계산된다.
  • 연구 - 고찰 논문
    고찰 논문은 기존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논문으로, 문헌 검토, 체계적 문헌고찰, 메타분석 등의 유형이 있으며, 학문적 문헌 내에서 기존 실증적 연구의 한계를 분석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양적 연구
연구 개요
정의경험적 사실을 수치로 표현하는 모든 절차
관련 분야사회과학
주요 특징
목적사회 현상을 측정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
데이터 형태양적 데이터
분석 방법통계학적 기법 활용
연구 설계가설 검증 중심
접근 방식
실증주의경험적 실증에 기반한 객관적 지식 추구
가설 연역법이론에서 출발하여 구체적인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
일반화특정 사례에서 얻은 결과를 더 넓은 범위로 확장
장점
객관성수치화된 데이터를 통해 연구자의 주관적 편향을 최소화
일반화 가능성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경향 파악
재현 가능성동일한 방법으로 연구를 반복하여 결과의 신뢰성 검증 가능
단점
복잡한 현상 단순화사회 현상의 복잡성을 간과하고 지나치게 단순화할 위험
제한된 정보수치화하기 어려운 질적 정보는 배제될 수 있음
인위적인 환경실험실 환경과 실제 사회 환경의 차이로 인해 결과 해석에 주의 필요
주요 방법
설문 조사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실험 연구변수 조작을 통해 인과 관계 규명
통계 분석수집된 데이터를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
수리사회학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사회 현상 분석
역사
발전 배경통계학의 발달과 사회과학의 과학화 추구
주요 인물오귀스트 콩트, 에밀 뒤르켐, 막스 베버 등
질적 연구와의 관계
상호 보완질적 연구와 함께 사회 현상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보완적 접근법
혼합 연구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결합하여 연구의 깊이와 폭을 확대
참고 문헌
주요 참고 도서Given, Lisa M. (2008). The SAGE encyclopedia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Alan Bryman (2012). Social research methods (4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Earl R. Babbie (2010).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2th ed.). Wadsworth Cengage.
Daniel Muijs (2010). Doing quant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with SPSS (2nd ed.).
참고 학술지Hunter, Laura; Leahey, Erin (2008). Collaborative Research in Sociology: Trends and Contributing Factors. The American Sociologist, 39(4), 290–306.

2. 역사적 배경

양적 연구는 사람들이 사건이나 물체를 기록하기 시작한 이래로 존재해 왔지만, 현대적인 개념은 오귀스트 콩트실증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9] 양적 연구는 질적 연구와 대비되는데, 질적 연구는 현상의 기저 의미와 관계 패턴을 발견하는 데 더 중점을 둔다.[7] 토머스 쿤은 과학사 분석을 바탕으로 "물리 과학에서 유의미한 양적화를 하려면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질적 작업이 필요했다"고 결론지었다.[8]

양적 방법은 데이터 투과 방법론[10]이 촉진하는 다섯 가지 분석 각도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여기에는 질적 방법, 문헌 검토(학술적 포함), 전문가 인터뷰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포함되며, 데이터 삼각 측량의 확장을 형성한다. 양적 방법에는 한계가 있는데, 참가자의 응답에 대한 이유를 제공하지 않으며, 종종 소외된 집단에 도달하지 못하고,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다.[11]

2. 1. 과학적 방법의 등장

사건이나 물체를 기록하기 시작한 이래로 세계에 대한 양적 조사는 존재해 왔지만, 양적 과정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은 오귀스트 콩트실증주의적 틀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9] 실증주의는 관찰을 통해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현상이 발생한 이유와 방법 등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강조했다.[9] 콩트와 같은 실증주의 학자들은 인간 행동에 대한 이전의 영적인 설명이 아니라 과학적 방법만이 발전할 수 있다고 믿었다.[9]

양적 연구는 구스타프 페히너정신물리학에 관한 그의 연구에서 물리 과학의 양적 접근 방식을 모델로 삼아 처음으로 제시되었으며, 이는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의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7]

2. 2. 통계학의 발전

구스타프 페히너정신물리학에 관한 그의 연구에서 물리 과학의 양적 접근 방식을 모델로 삼아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의 연구를 기반으로 양적 심리학에 대한 접근 방식을 처음으로 제시했다.[8]

3. 주요 방법론

양적 연구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연구 방법이다. 과학적 방법을 따르며, 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 모형, 이론 및 가설 생성
  • 측정을 위한 도구 및 방법 개발
  • 변수의 실험적 통제 및 조작
  • 경험적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모델링 및 분석


양적 연구는 질적 연구와 상반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질적 연구는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현상의 의미와 관계 패턴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 그러나 토머스 쿤과 같은 학자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라고 주장한다.[8]

양적 연구 방법은 데이터 투과 방법론[10]의 핵심 요소이며, 질적 방법, 문헌 검토, 전문가 인터뷰,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과 함께 사용되어 데이터 삼각 측량의 확장을 이룬다.

하지만 양적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참가자의 응답 배경을 설명하기 어렵고, 소외된 집단에 대한 접근성이 낮으며, 데이터 수집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11]

양적 연구의 기원은 오귀스트 콩트실증주의 사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 콩트는 과학적 방법을 통해 사회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다고 믿었다.

3. 1. 실험 연구

실험 연구는 다음의 절차를 따른다.

  • 모형, 이론 및 가설 생성
  • 측정을 위한 도구 및 방법 개발
  • 변수의 실험적 통제 및 조작[7]
  • 경험적 데이터 수집
  • 데이터의 모델링 및 분석

3. 2. 설문 조사

여론 조사는 미디어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정 입장에 찬성하는 응답자의 비율과 같은 통계가 보고된다.[22] 여론 조사에서는 응답자에게 일련의 구조화된 질문을 제기하고 그 응답을 집계한다.[22] 이러한 방식은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 결정에 반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정당은 여론 조사를 통해 민심을 파악하고, 이를 정책 수립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양적 연구에서 설문 조사는 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질문의 내용이나 구성 방식에 따라 응답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도 존재한다.

3. 3. 통계 분석

통계학은 물리 과학을 제외한 양적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학 분야이며, 통계역학과 같이 물리 과학 내에서도 응용된다. 통계적 방법은 경제학, 사회과학, 생물학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자료가 수집되며, 분석에 앞서 검증, 확인 및 기록이 필요하다. SPSSR과 같은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이러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인과 관계는 관심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지는 요인을 조작하고, 실험 결과와 관련된 다른 변수를 통제함으로써 연구한다. 예를 들어, 건강 분야에서 연구자는 운동과 같은 다른 주요 변수를 통제하면서 식이 섭취와 체중 감소와 같은 측정 가능한 생리적 효과 간의 관계를 측정하고 연구할 수 있다.

양적 기반의 여론 조사는 미디어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정 입장에 찬성하는 응답자의 비율과 같은 통계가 보고된다. 여론 조사에서는 응답자에게 일련의 구조화된 질문을 하고 그 응답을 집계한다. 기후 과학 분야에서는 연구자들이 온도나 이산화탄소의 대기 농도와 같은 통계를 수집하고 비교한다.

경험적 관계와 연관성은 일반 선형 모형, 비선형 모형 또는 요인 분석을 사용하여 자주 연구된다. 양적 연구의 기본 원칙은 상관관계는 인과 관계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지만, 클라이브 그랜저와 같이 일련의 상관관계가 어느 정도의 인과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원칙은 어느 정도 공분산이 발견되는 변수들 사이에 허위 상관 관계가 항상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속 변수와 범주형 변수의 모든 조합 간의 연관성은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할 수 있다.

3. 4. 대용 변수 (프록시)

양적 연구에서 직접적인 측정이 어려운 경우, 다른 변수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것을 대용 변수(프록시)라고 한다. 예를 들어, 과거의 기온을 직접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나무의 나이테 폭은 당시의 기후 환경을 추정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대용 변수로 활용될 수 있다.[13] 과학자들은 나무의 나이테 폭과 같은 기후 대용 변수를 이용하여 과거 북반구의 평균 기온에 대한 기록을 제공한다.[13]

하지만 대용 변수 기록은 원래 기록의 일부만을 재구성하므로, 대용 변수를 보정하여 단기 및 장기 변동을 파악하고, 원하는 변수와 상관관계가 높은 대용 변수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13] 예를 들어, 나무의 나이테는 위치나 종에 따라 강우량이나 기온에 대한 민감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기온 기록을 재구성할 때는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용 변수를 선택해야 한다.[13]

4. 측정

양적 연구에서 측정은 단순히 관찰 결과를 숫자로 나타내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머스 쿤은 측정이 이론에서 벗어날 때, 그 결과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선 의미를 가지며, 이는 탐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12]

측정에는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대상을 대신하여 측정하는 ''대용 변수''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나무의 나이테 폭은 과거의 기온이나 강우량 같은 환경 조건을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과학자들은 과거의 기온을 직접 측정할 수는 없지만, 나무의 나이테와 같은 대용 변수를 통해 과거의 기후를 추정할 수 있다.[13]

4. 1. 측정의 역할

측정은 종종 인과 관계 또는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관찰 결과를 수치로 표현하는 수단으로만 여겨지지만, 양적 연구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도 있다.[12] 토머스 쿤은 양적 연구에서 제시되는 결과가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양적 데이터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을 받아들이는 것이 자연 현상으로 입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데이터를 얻는 과정에서 그러한 이상 현상이 흥미롭다고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측정이 이론에서 벗어날 때, 그것은 단순한 숫자를 산출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중립성 때문에 치료적 제안의 원천으로서 특히 불모지가 된다. 그러나 숫자는 어떤 질적 기법으로도 복제할 수 없는 권위와 정교함으로 이론으로부터의 벗어남을 기록하며, 그 벗어남은 종종 탐색을 시작하기에 충분하다 (쿤, 1961, p. 180).

고전 물리학에서는 측정을 뒷받침하는 이론과 정의가 일반적으로 결정론적인 반면, 사회과학에서는 라쉬 모델과 항목 반응 이론 모델과 같이 확률적 측정 모델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심리측정학은 사회적 및 심리적 속성과 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과 기술에 관심 있는 연구 분야이며, 사회과학 내에서 수행되는 많은 양적 연구의 중심이다.

양적 연구에는 직접 측정할 수 없는 다른 양을 대신하는 ''대용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무의 나이테 폭은 생장기의 온난함이나 강우량과 같은 주변 환경 조건의 신뢰할 수 있는 대용 변수로 간주된다. 과학자들이 과거 수년간의 기온을 직접 측정할 수는 없지만, 나무의 나이테 폭과 기타 기후 대용 변수를 사용하여 서기 1000년 이전 북반구의 평균 기온에 대한 준정량적 기록을 제공해왔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될 때, 대용 변수 기록(예: 나무의 나이테 폭)은 원래 기록의 분산의 일정 부분만 재구성한다. 대용 변수는 (예를 들어, 계측 기록 기간 동안) 단기 및 장기 변동이 모두 드러나는지 여부를 포함하여 얼마나 많은 변동이 포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보정될 수 있다. 나무의 나이테 폭의 경우, 서로 다른 장소의 서로 다른 종은 강우량이나 기온에 대해 다소 민감성을 보일 수 있다. 기온 기록을 재구성할 때는 원하는 변수와 잘 상관관계가 있는 대용 변수를 선택하는 데 상당한 기술이 필요하다.[13]

4. 2. 측정 모델

고전 물리학에서 측정을 뒷받침하는 이론과 정의는 일반적으로 결정론적이다. 반대로, 사회과학에서는 라쉬 모델과 항목 반응 이론 모델과 같이 확률적 측정 모델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심리측정학은 사회적 및 심리적 속성과 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과 기술에 관심 있는 연구 분야이다.

4. 3. 심리측정학

심리측정학은 사회적 및 심리적 속성과 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이론과 기술에 관심 있는 연구 분야이다. 이 분야는 사회과학 내에서 수행되는 많은 양적 연구의 중심이다.[12] 고전 물리학에서는 측정의 기초가 되는 이론과 정의가 본질적으로 결정론적이다. 이와 달리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라쉬 모델과 항목 반응 이론 모델로 알려진 확률적 측정 모델이 일반적으로 채택된다.[13]

5. 질적 연구와의 관계

대부분의 물리 과학과 생물 과학에서는 정량적 방법 또는 질적 방법의 사용이 논란의 여지가 없으며, 각각 적절한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사회 과학, 특히 사회학, 사회 인류학, 심리학에서는 어느 한 유형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심지어 이데올로기의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각 학문 분야 내의 특정 사조는 한 유형의 방법을 선호하고 다른 유형의 방법을 비판하기도 한다.[14]

하지만 사회 과학 역사를 통틀어 가장 큰 경향은 양쪽 방법을 결합하는 절충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질적 방법은 정량적 방법으로 생성된 결론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면 질적 아이디어를 정확하고 검증 가능한 표현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량적 및 질적 자료 수집의 결합은 종종 혼합방법 연구라고 불린다.[14]

5. 1. 비교 및 대조

양적 연구는 질적 연구와 자주 비교되는데, 질적 연구는 현상의 기저에 깔린 의미와 관계의 패턴을 밝혀내는 데 더 중점을 둔다. 질적 연구는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현상이나 실체의 유형을 분류하는 방식을 포함한다.[7] 구스타프 페히너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신물리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물리 과학의 양적 접근 방식을 처음으로 도입했으며, 이는 양적 심리학의 기반이 되었다.[8]

일반적으로 과학적 조사는 질적 측면과 양적 측면으로 구분되지만, 이 둘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다. 예를 들어, 토머스 쿤은 과학의 역사 분석을 바탕으로 "물리 과학에서 유익한 정량화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질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8] 질적 연구는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얻고, 추가적인 양적 연구를 통해 검증할 수 있는 이론을 형성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회 과학에서 질적 연구 방법은 연구 대상자의 의도(언어적 반응으로부터)와 의미(이 사람/그룹이 무엇을 말했고, 그것이 그들에게 무슨 의미였는가)를 이해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오귀스트 콩트실증주의적 틀은 양적 과정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의 뿌리가 되었다.[9] 실증주의는 관찰을 통해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현상이 발생한 원인(무엇, 어디서, 왜, 어떻게, 언제)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강조한다. 콩트와 같은 실증주의 학자들은 인간 행동에 대한 이전의 영적인 설명이 아니라 과학적 방법만이 발전할 수 있다고 믿었다.

양적 방법은 데이터 투과 방법론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10] 여기에는 질적 방법, 문헌 검토(학술적 포함), 전문가 인터뷰,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포함되며, 데이터 삼각 측량의 확장을 형성한다.

하지만 양적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참가자의 응답에 대한 이유를 제공하지 않으며, 종종 소외된 집단에 도달하지 못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다.[11]

대부분의 물리 과학과 생물 과학에서는 정량적 방법 또는 질적 방법의 사용이 논란의 여지가 없으며, 각각 적절한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사회 과학, 특히 사회학, 사회 인류학, 심리학에서는 어느 한 유형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심지어 이데올로기의 문제가 될 수 있으며, 각 학문 분야 내의 특정 학파는 한 유형의 방법을 선호하고 다른 유형의 방법을 비판하기도 한다. 사회 과학 역사를 통틀어 가장 큰 경향은 양쪽 방법을 결합하는 절충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질적 방법은 정량적 방법으로 생성된 결론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면 질적 아이디어를 정확하고 검증 가능한 표현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량적 및 질적 자료 수집의 결합은 종종 혼합방법 연구라고 불린다.[14]

5. 2. 혼합 연구 방법

물리 과학과 생물 과학에서는 정량적 방법 또는 질적 방법의 사용에 논란이 없으며, 각각 적절한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사회학, 사회 인류학, 심리학과 같은 사회 과학에서는 방법론 선택이 논쟁거리가 되기도 하며, 특정 학파는 한 가지 방법을 옹호하고 다른 방법을 경시하는 이데올로기적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사회 과학 역사를 통틀어 가장 큰 경향은 양쪽 방법을 결합하는 절충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14]

혼합 연구 방법은 정량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연구 방식이다.[14] 질적 방법은 정량적 방법으로 생성된 결론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면 질적 아이디어를 정확하고 검증 가능한 표현으로 제시할 수 있다.

6. 활용 분야

양적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경제학: 기업과 조직 구조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동, 자본, 상품 시장과의 기업 관계를 분석한다.[15]
  • 금융: 증권시장에 관한 양적 연구를 통해 정량적 헤지펀드 및 거래 전략 지수(Trading strategy index|영어) 개발에 활용된다.[30]
  • 사회 과학: 사회 현상, 사회 문제, 사회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다.
  • 생물학 및 자연 과학: 통계학통계역학과 같이 물리 과학뿐만 아니라, 생물학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기후 과학: 기온이나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 등의 통계를 수집하고 비교하여 기후 변화 연구에 활용한다.[15]

6. 1. 경제학

경제학에서 정량적 연구는 기업과 조직 구조의 다양성에 기여하는 요인, 그리고 노동, 자본, 상품 시장과의 기업 관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15] 금융 분야에서는 증권시장에 관한 정량적 연구를 통해 정량적 헤지펀드 및 Trading strategy index|거래 전략 지수영어에서 볼 수 있듯이 복잡한 거래의 가격을 결정하는 모델 개발이나 투자 가설을 활용한 알고리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30]

6. 2. 사회 과학

양적 연구는 사회 현상, 사회 문제, 사회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널리 활용된다. 사회과학에서 양적 연구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여론 조사: 특정 사회 문제나 정책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어, 특정 정당의 지지율이나 특정 정책에 대한 찬반 비율 등을 조사할 수 있다.[26]
  • 실험 연구: 특정 요인이 사회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설정하고, 실험 집단에만 특정 처치를 가한 후 두 집단의 결과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특정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 통계 분석: 기존에 수집된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회 현상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실업률과 범죄율 간의 관계를 분석하거나, 교육 수준과 소득 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15]


이러한 양적 연구 방법은 사회 현상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사회 정책 수립 및 평가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경제학에서는 기업과 조직 구조의 다양성에 기여하는 요인, 노동, 자본, 상품 시장과의 기업 관계를 분석하는 데 양적 연구가 사용된다.[15]

오귀스트 콩트실증주의는 양적 조사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의 뿌리가 되었다.[9] 실증주의는 관찰을 통해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현상이 발생한 이유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강조했다. 콩트와 같은 실증주의 학자들은 인간 행동에 대한 이전의 영적인 설명이 아니라 과학적 방법만이 발전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양적 연구에는 한계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의 응답 이면에 숨겨진 이유를 파악하기 어렵고, 소외된 집단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11]

6. 3. 생물학 및 자연 과학

통계학통계역학과 같이 물리 과학 내에서도 응용될 뿐만 아니라, 물리 과학을 제외한 양적 연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학 분야이다. 통계적 방법은 생물학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는 양적 연구는 가설이나 이론에 기초한 데이터 수집으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표본 데이터가 수집되며, 분석이 이루어지기 전에 검증, 확인 및 기록이 필요하다. SPSSR과 같은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과 관계는 관심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을 조작하고 실험 결과와 관련된 다른 변수를 통제함으로써 연구된다. 예를 들어, 건강 분야에서 연구자는 운동과 같은 다른 주요 변수를 통제하면서 식이 섭취와 체중 감소와 같은 측정 가능한 생리적 효과 간의 관계를 측정하고 연구할 수 있다. 기후 과학 분야에서는 연구자들이 온도나 이산화탄소의 대기 농도와 같은 통계를 수집하고 비교한다.[15]

6. 4. 금융

금융 분야에서는 증권시장에 관한 양적 연구를 통해 정량적 헤지펀드 및 거래 전략 지수에서 볼 수 있듯이 복잡한 거래의 가격을 결정하는 모델 개발이나 투자 가설을 활용한 알고리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30]

6. 5. 기후 과학

기후 과학 분야에서 연구자들은 기온이나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 등의 통계를 수집하고 비교한다. 이러한 통계적 방법은 기후 변화 연구에 활용된다.[15]

7. 한계 및 비판

양적 연구는 피험자 응답의 배경에 있는 근거를 설명하지 못하고, 과소평가 집단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자료를 수집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26]

7. 1. 방법론적 한계

양적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참가자의 응답 배경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으며, 종종 소외된 집단에 접근하지 못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데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다.[11]

7. 2. 윤리적 문제

양적 연구는 피험자 응답의 배경에 있는 근거를 설명하지 못하고, 과소평가 집단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자료를 수집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26]

참조

[1] 서적 Social research metho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 서적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Wadsworth Cengage 2010
[3] 서적 Doing quant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with SPSS 2010-12-29
[4]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5] 서적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Pearson 2011
[6] 학술지 Collaborative Research in Sociology: Trends and Contributing Factors
[7] 간행물 11.201 Gateway to the Profession of Planning, Fall 20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OpenCourseWare 2010
[8] 학술지 The Function of Measurement in Modern Physical Science
[9] masters A choice of research strategy for identifying community-based action skill requirements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housing market renewal http://eprints.uthm.[...] Research Institute for the Built and Human Environment, University of Salford, UK
[10] 서적 Creating Models in Psychological Research Springer Psychology
[11] 학술지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Research and Data. https://journals.ala[...]
[12] 학술지 How Do We Measure Use of Scientific Journals? A Note on Research Methodologies http://eprints.rclis[...]
[13] 학술지 Low-frequency temperature variations from a northern tree ring density network http://www.climateau[...]
[14] 학술지 Qualitative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s in Their Historical and Epistemological Contexts http://www.qualitati[...] 2006-01
[15] 서적 Business Economics https://books.google[...] Thompson Learning
[16] 서적 Social research metho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7] 서적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Wadsworth Cengage 2010
[18] 서적 Doing quant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with SPSS
[19]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20] 서적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Pearson 2011
[21] 학술지 Collaborative Research in Sociology: Trends and Contributing Factors
[22] 간행물 11.201 Gateway to the Profession of Planning, Fall 20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OpenCourseWare 2010
[23] 학술지 The Function of Measurement in Modern Physical Science
[24] 서적 A choice of research strategy for identifying community-based action skill requirements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housing market renewal http://eprints.uthm.[...] Research Institute for the Built and Human Environment, University of Salford, UK
[25] 서적 Creating Models in Psychological Research Springer Psychology
[26] 학술지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Research and Data. https://journals.ala[...]
[27] 학술지 How Do We Measure Use of Scientific Journals? A Note on Research Methodologies http://eprints.rclis[...]
[28] 학술지 Low-frequency temperature variations from a northern tree ring density network http://www.climateau[...]
[29] 학술지 Qualitative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s in Their Historical and Epistemological Contexts http://www.qualitati[...] 2006-01
[30] 웹사이트 A Simple Overview of Quantitative Analysis https://www.investop[...] Investopeda 2018-01
[31]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ttps://archive.org/[...] Sage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