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민 사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민 사회는 공유된 가치와 목적을 기반으로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비강제적인 집합 행동의 영역을 의미하며, 국가, 가족, 시장과 구별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 공동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시민 사회 개념을 제시했으며,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계몽주의 시대를 거쳐 현대 자유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논의되어 왔다. 시민 사회는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하며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특수 이익 집단의 확산이나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글로벌 시민 사회는 국경을 초월하여 활동하며, 공론장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민 사회 - 성희승
    성희승은 하이퍼-추상 회화 개념을 창시하고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미술가이자 교육자, 시민운동가이며, 현재 K미술연대 대표로서 미술 작가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 시민 사회 - 반더포겔
    반더포겔은 1895년 독일에서 시작된 청소년 운동으로, 자연 속에서 자유와 자기 책임을 강조하며 기성세대에 반항했고, 여러 분파로 나뉘어 성장하여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으며,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되었다가 부활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 사회적 경제 - 비영리 단체
    비영리 단체는 공익 또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며 정부가 제공하지 못하는 공공재를 공급하는 조직으로, 법적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문제점과 온라인 활동을 통해 소통을 시도한다.
  • 사회적 경제 - 사회 자본
    사회 자본은 개인이나 집단이 사회 관계망을 통해 얻는 유·무형 자원으로, 사회적 관계 변화에 대한 우려에서 출발하여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시민 사회
지도 정보
정의 및 개념
정의정부와 기업 외의 제3의 사회 영역
다른 용어제3섹터, 비영리 부문, 자원봉사 부문, 사회적 경제
영역비정부 기구(NGO)
자선단체
지역 사회 단체
종교 단체
전문가 협회
노동조합
소셜 벤처
특징자발성
비영리성
공익성
시민 참여
다양성
역할과 기능
정부 견제정부 정책 감시 및 비판
사회 문제 해결빈곤, 환경 문제, 불평등 등 사회 문제 해결 노력
시민 참여 촉진시민 의식 함양 및 민주주의 발전 기여
사회적 약자 보호소외된 계층의 권익 옹호
사회 통합다양한 사회 구성원 간의 연대 강화
시민 사회의 구성 요소
시민 조직NGO, NPO, 시민단체 등
자원봉사자자발적으로 활동하는 개인
기부자시민 사회 활동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개인 및 단체
시민 운동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시민들의 집단적 활동
시민 언론대안적인 정보 유통 및 의견 형성 채널
시민 사회의 발전과제
재정적 안정성 확보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안정적인 재원 마련 필요
전문성 강화조직 운영 및 사업 수행 능력 향상
시민 참여 확대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정부 및 기업과의 협력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건설적인 관계 구축
투명성 및 책임성 강화시민 사회 조직의 운영 및 활동의 투명성 확보
시민 사회의 유형
자유주의적 시민 사회개인의 자유와 권리 강조, 정부 개입 최소화 추구
공화주의적 시민 사회공동체적 가치와 시민 참여 강조
급진적 시민 사회사회 구조 변화 및 불평등 해소 목표
사회운동적 시민사회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꾀하는 시민들의 집단행동
시민 사회와 민주주의시민 사회는 민주주의 발전에 필수적 요소
시민 사회와 사회 운동시민 사회는 사회 운동의 주요 기반
관련 개념
공공영역시민 사회와 공공기관이 상호작용하는 영역
사회적 자본시민 사회의 연대와 신뢰 기반
사회적 경제시민 사회의 경제적 활동 영역
국가별 시민사회
대한민국시민운동과 NGO 중심의 다양한 활동 전개
일본NPO와 자원봉사 활동 중심
미국시민 사회가 활발하게 발전한 국가
유럽다양한 형태의 시민 사회 단체 존재

2. 정의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시민 사회 센터는 시민 사회를 "공유된 이해, 목적, 가치를 둘러싼 강제되지 않은 집합 행동의 장"으로 정의한다. 이론적으로 시민 사회의 제도적 형태는 국가, 가족, 시장과 구별되지만, 실질적으로는 그 경계가 복잡하고 모호하다. 시민 사회는 다양한 공간, 행위자, 제도적 형태를 포괄하며, 형식성과 자율성, 권력 면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시민 사회에는 등록 자선 단체, 비정부 개발 기구, 공동체 조직, 여성 단체, 신앙 관련 단체, 직능 단체, 노동 조합, 자조 집단, 사회 운동, 기업 집단, 연합 및 옹호 집단 등이 포함된다.[73]

3. 어원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저서 『정치학』에서 사용한 κοινωνία πολιτική|코이노니아 폴리티케grc라는 구절은[4] 집단 생존을 위해 설립된 폴리스와 같은 ‘정치 공동체’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 개념은 키케로와 같은 로마 작가들에 의해 고대의 공화정(res publica)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레오나르도 브루니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을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중세 후기에 이 용어가 서구 정치 담론에 다시 등장했는데, 그는 “koinōnía politikḗ”를 “societas civilis”로 번역했다.[9]

4. 역사

시민 사회 개념은 역사적으로 프랑스 혁명 이후와 유럽 공산주의 붕괴 시기에 큰 변화를 겪었다.

강력한 시민 사회는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민 사회는 경제적 의사 결정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민간 기업과 기업가 정신을 촉진하며, 국가의 경제 억압을 방지한다.[43] 예를 들어, 노동 지도자들은 경제 성장의 혜택이 노동자들에게 돌아가도록 하며, 종교 지도자들은 경제 활동의 포용성을 옹호하고, NGO는 유해한 사업 관행을 감시한다.[44]

시민 사회는 사회 자본을 형성하는데, 세계은행은 이를 "사회의 사회적 상호 작용의 질과 양을 형성하는 제도, 관계 및 규범"으로 정의한다.[45] 사회 자본이 증가하면 사회적 상호 의존성이 커져 생산성과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45] 미국 내 사회 네트워크가 발달한 지역의 고등학교 중퇴율이 낮은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46]

그러나 토마스 캐러더스와 같은 학자들은 시민 사회가 경제 성장에 유익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대한민국이 강력한 시민 사회 없이 경제적 성공을 이루었고, 방글라데시는 시민 사회가 풍부함에도 경제 성장에 실패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43] 또한, 캐러더스는 라틴 아메리카의 노동조합이 경제 성장을 제한했다는 일부 경제학자들의 견해를 언급하며, 특정 부문에서 시민 사회의 과도한 발달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43]

4. 1. 서양의 시민 사회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중장보병으로서 폴리스의 방위에 참여하고 시정에 참여하는 시민권을 가진 자유민들이 시민 공동체를 이루었다.[3] 그러나 중세 신분제 사회에서는 각자가 권리에 있어서 동등하지 않아 이러한 시민 공동체의 전통은 약화되었다.[3]

시민 혁명을 통해 시민 공동체는 부활했는데, 대표적으로 영국 혁명프랑스 혁명이 있다. 프랑스 혁명에서는 앙시앵 레짐을 부정하고 인권 선언을 내걸어, 자유롭고 권리가 동등한 시민들의 결합이라는 이상적인 형태에 가까운 시민 사회를 건설했다.[3] 이렇게 형성된 시민 공동체는 국가와 결합하여 국민 공동체를 형성했다.

근대 시민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각 개인(시민)은 자신의 정치적 주장이나 종교적 입장을 강요받지 않아야 하며, 사유 재산제와 상업 활동의 자유 (길드 폐지 등)가 보장되어야 한다.[3]

스코틀랜드 계몽 철학, 특히 아담 페르귀슨의 ''시민사회의 역사에 관한 에세이''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저술에서 시민 사회와 민주적 정치 사회 간의 관계에 대한 문헌을 찾을 수 있다. 헤겔의 개념은 알렉시 드 토크빌,[59] 칼 마르크스,[13] 페르디난트 텡니스에게 계승되었다.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존 로크, 장 자크 루소, 임마누엘 칸트 등의 사상가들은 사회 계약 이론을 통해 시민 사회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국가 권력으로부터 독립된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하며, 시민 사회가 국가 권력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시민 사회 (bürgerliche Gesellschaftde)를 "필요의 체계"라고 칭하며, 가족국가 사이에 개입하는 별개의 영역으로 간주했다.[60] 헤겔은 시민 사회를 현대 산업 자본주의 사회에서 존재하는 경제 관계의 영역으로 보았으며,[61] 개인의 권리와 사유 재산을 보장하는 민법에 의해 규제되는 영역으로 파악했다.[62]

칼 마르크스는 헤겔의 시민 사회 개념을 따랐지만, 시민 사회를 부르주아 계급이 지배하는 영역으로 규정하고, 국가를 부르주아의 이익을 옹호하는 도구로 보았다.[64]

20세기에 들어 안토니오 그람시는 시민 사회를 문화적, 이념적 헤게모니 투쟁의 장으로 파악하고, 시민 사회 내에서의 자발적인 시민 단체의 역할을 강조했다.[65]

4. 2. 냉전 이후의 동향

파시즘과 냉전 시기 동유럽의 공산당 정권은 국가와 당이 사회 모든 영역에 간섭하여 지배·통제하는 전체주의 체제였다. 이러한 체제에서는 국가가 개인을 부정하고 정치, 경제, 사회를 완전히 통제했다.[72]

이러한 상황에서 시민적 자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산당·노동조합 중심의 일극형 운동이 아니라, 시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여러 단체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극적인 저항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생각이 나타났다. 특히, 1989년 동유럽 혁명에서 시민 단체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러한 논의가 활발해졌다.[72]

시민 사회는 국경을 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글로벌 시민 사회(GCS)로 발전했다. GCS는 유고슬라비아 공습과 같은 인도적 위기 상황에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인권, 환경, 평화와 같은 지구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72]

5. 시민 사회의 조건

시민 사회가 성립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필요하다.

근대 시민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는 것이 성립 요건이다. 즉, 각 개인(시민)이 자신의 정치적 주장·종교적 입장 등을 타인으로부터 강요받지 않아야 한다. 또한 각 개인이 자신의 재산을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사유재산제와 상업 활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길드 폐지 등이 요구된다.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시민혁명을 통해 시민이 정치의 주도권을 잡았기 때문에, 정부가 이러한 것들을 보장하게 되었다.

시민 사회의 지표는 다음과 같다.[1]


  • 시민의 사상 및 신념의 자유 보장[1]
  • 시민 생활의 안전과 치안[1]
  • 공정한 상거래와 자유로운 시장경제[1]
  • 정치 참여(선거권 등)[1]

6. 민주주의와의 관계

토크빌,[59] 마르크스,[13] 텡니스는 헤겔의 시민 사회 개념을 계승했다. 20세기 연구자 올몬드와 베르바는 민주 질서에서 정치 문화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밝혀 이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14]

올몬드와 베르바는 정치 조직의 정치적 요소가 시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참여를 촉진하여, 더 나은 투표 선택, 정치 참여, 정부 책임성 강화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14] 시민 사회는 공통의 목표와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민주적 이상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장을 제공하며, 이는 다시 더 민주적인 국가로 이어질 수 있다.[15] 이러한 단체에 참여하면 집단 행동의 장벽을 낮추는 정보 획득이 가능해진다.[16] 이후 이 단체들은 정부에 압력을 가해 정책에 영향을 미치며,[17] 국가 권력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8] 이러한 정치 조직의 규정은 참가자들이 민주적 의사결정에 익숙해지도록 돕기 때문에 소규모 헌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최근 퍼트넘은 시민 사회의 비정치적 조직도 사회적 자본, 신뢰, 공유된 가치를 구축하여 민주주의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19]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상호주의 규범으로 정의되며, 사회가 집단 행동의 딜레마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긴밀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진 개인은 사회 구성원에게 신뢰를 주고,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여 공공재를 구축할 가능성이 높다.[19] 결과적으로 강력한 시민 사회를 가진 국가는 민주주의 국가로 성공할 가능성이 더 크다. 일부 학자들은 퍼트넘의 주장을 바탕으로, 일상적 관계에 뿌리를 둔 비정치적 조직이 민주적 전환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성공적인 민주주의 전환을 이끈다고 주장한다.[20] 포지 역시 공화주의 사회를 유지하려면 대인 간 신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21]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시민 사회와 강력한 민주주의 간의 연관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카로서스는 시민 사회가 항상 훌륭한 이유로 형성되거나 민주적 가치를 증진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22] 버먼은 시민 사회 조직이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동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23]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몰락을 예시로 제시했다. 바이마르 공화국은 대공황과 국내 갈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고, 이는 수많은 독일 시민 사회의 등장을 야기했다.[23] 하지만 이 단체들은 독일인들 사이의 사회적 갈등과 차이를 심화시키는 치명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24] 독일 사회가 개별 집단으로 분리되면서 민족주의적 이상에 취약해졌고,[24] 나치당은 불만을 품은 집단을 선동하여 세력을 확장했다.[23] 결국 나치당은 1932년 선거에서 독일 국회 제1당이 되었다.[25] 퍼트넘의 주장과 달리, 이 사례는 밀집된 시민 사회 네트워크가 민주주의를 훼손했음을 보여준다. 나치당은 독일의 사회 조직을 이용하여 결국 공화정을 무너뜨렸다.

잘 확립된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특수 이익 집단의 확산(강력한 시민 사회의 지표)은 대표 기관의 기능을 방해하고 부유층, 권력자, 조직력이 뛰어난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정책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26] 뉴턴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사회적 신뢰와 정치적 신뢰 간의 중복은 거의 나타나지 않아 시민 사회의 강도와 민주주의 간의 관계를 무효화한다.[27] 다이아몬드는 시민 사회가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다양한 방식을 이해하려면 시민 사회가 야기하는 긴장과 모순을 함께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8]

미국에서 토크빌은 시민 사회로 발전할 협회를 구성하는 경향이 민주 정부의 성공을 촉진한다고 보았다.[29] 퍼트넘은 미국 시민 사회의 강도가 역사적으로 시민들에게 더 많은 사회적 신뢰와 자본을 가져왔다고 주장한다.[30] 반면, 다른 학자들은 시민 사회에 대한 의존이 시민들의 정부 불신을 초래하고 사회를 분열시켜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31]

7. 경제와의 관계

강력한 시민 사회는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시민 사회는 경제적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촉구하며, 시장 경제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시민 사회의 지표 중 하나는 공정한 상거래와 자유로운 시장경제이다.

8. 헌법경제학

헌법경제학은 헌법 문제와 경제 기능, 특히 예산 과정 사이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는 경제학과 헌법주의 분야이다. 미국의 경제학자 제임스 M. 부캐넌은 새로운 예산 계획 및 시민 사회에 대한 정부의 투명성을 위한 명칭으로 "헌법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47] 법치의 시행에는 예산 계획 및 정부의 투명성이 가장 중요한 지침이 된다. 또한, 불공정한 정부 지출 및 집행부의 예산 묶음 상황에서 시민 사회가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법 시스템은 영향력 있는 시민 사회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47]

9. 글로벌 시민 사회

글로벌 시민 사회(GCS)는 국경을 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활동하는 시민 사회를 의미한다.[72] 이들은 세계화에 대한 저항의 근원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세계화를 지지하는 기업 및 기관과 연관되어 자금 지원을 받기도 한다는 점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다.[48][49] 세계적 규모의 시민 사회 발전은 워싱턴 컨센서스와 관련된 신자유주의 전략의 일부로 여겨지기도 한다.[68]

반면, 세계화고전적 자유주의 가치를 확장하는 사회 현상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며, 이는 국가 기관의 역할을 축소하고 시민 사회의 역할을 증대시킨다.

경제사회부(DESA)가 개발한 통합 시민 사회 조직(iCSO) 시스템은[50] 시민 사회 조직과 DESA 간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한다.[51]

시민 사회는 환경 정책 결정 과정에도 참여한다. 이들은 환경 문제에 대한 의제를 설정하고, 대중의 인식을 높여 환경 변화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환경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52]

메리 칼도어는 유고슬라비아 공습과 같은 인도적 위기 상황에서 글로벌 시민 사회가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도 한다고 지적한다.[72]

10. 공론장과의 관계

주르겐 하버마스는 공론장을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역이자 합리적인 의지 형성을 촉진하는 공간으로 보았다.[70] 그는 시민사회를 "상품 교환과 사회 노동"의 영역으로, 공론장을 정치 영역의 일부로 분석했다. 하버마스는 사회가 자본주의를 대표하더라도 정치 사회의 일부가 되는 몇몇 제도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경제 변화는 공론장에 변화를 가져온다고 말했다.

질리언 슈웨들러(Jillian Schwedler)는 시민사회가 공론장의 부활과 함께 등장하는 경우로, 개인과 집단이 허용 가능한 행동의 경계에 도전하기 시작할 때 (예: 정권에 반대하거나 사회적 요구에 대한 정부의 대응을 요구)를 지적한다.[71] 하버마스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시민사회는 비경제적이고 다수 측면을 가지며, 국가가 단일 정당에 의해서만 대표되지 않을 때 정치 사회로 발전한다. 이때 권위의 중심이 필요하며, 사회는 이 권위에 도전할 수 있게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Civil Society http://www.civilsoc.[...] 2009-05-02
[2] 웹사이트 Civil society – Define Civil society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2012-01-24
[3] 웹사이트 Civil society definition and meaning {{!}}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s://www.collinsd[...] 2019-11-25
[4] 서적 Self-Consciousness and Self-Determination
[5] 서적 Politics
[6] 서적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MIT Press
[7] 서적 The Political Paul: Democracy and Kingship in Paul's Thought Sheffield Academic Press
[8] 서적 The Politics of Philosophy: A Commentary on Aristotle's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9] 서적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MIT Press
[10] 서적 The Politics of Civil Society: Neoliberalism Or Social Left? Policy Press
[11] 서적 Neoliberalizm i spoleczenstwo obywatelskie (Neoliberalism and Civil Society) Wydawnictwo UMK
[12] 웹사이트 Cassius Dio — Book 52 http://penelope.uchi[...] 2024-11-09
[13] 웹사이트 Civil Society and the Conception of History https://www.marxists[...]
[14] 서적 The Civic Culture: Political Attitudes And Democracy In Five Nations Sage
[15] 서적 Place for us. http://worldcat.org/[...] Hill & Wang
[16] 학술지 Civil Society and Support for the Political System in Times of Crisis https://www.jstor.or[...] 2023-03-03
[17] 학술지 Think Again: Democracy https://www.jstor.or[...] 2023-03-03
[18] 학술지 Social Capital and Civil Society https://elibrary.imf[...] 2023-03-03
[19] 서적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학술지 Organizations, Resistance, and Democracy: How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mpact Democratization https://academic.oup[...] 2023-03-03
[21] 서적 Making democracy work :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http://worldcat.org/[...] Princeton Univ. Press 2023-03-03
[22] 학술지 Civil Society https://www.jstor.or[...] 2023-03-03
[23] 학술지 Civil Society and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https://www.jstor.or[...] 2023-03-03
[24] 웹사이트 Revisiting "Civil Society And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https://histphil.org[...] 2023-03-03
[25] 웹사이트 Bowling for Adolf: How social capital helped to destroy Germany's first democracy https://cepr.org/vox[...] 2023-03-03
[26] 학술지 Think Again: Democracy http://dx.doi.org/10[...] 1997-00-00
[27] 학술지 Trust,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mocracy http://dx.doi.org/10[...] 2023-03-03
[28] 학술지 Toward Democratic Consolidation http://dx.doi.org/10[...] 1994-00-00
[29] 웹사이트 Making democracy work http://archive.org/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3-11
[30] 학술지 Civil Society https://www.jstor.or[...] 2023-03-03
[31] 논문 Civil Society and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https://doi.org/10.1[...]
[32] 웹사이트 The American Context of Civil Society (SSIR) https://ssir.org/art[...] 2023-03-11
[33] 잡지 The False Dawn of Civil Society https://www.thenatio[...] 1999-02-04
[34] 웹사이트 Civil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https://academic.oup[...] 2023-03-04
[35] 웹사이트 Why Civil Society? Why Now? https://www.brooking[...] Brookings 2023-03-04
[36] 웹사이트 Civil Society Social Scienc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3-03
[37] 논문 Civil Society https://www.jstor.or[...] 2023-03-03
[38] 뉴스 The False Dawn of Civil Society https://www.thenatio[...] 2023-03-04
[39] 웹사이트 Civil society: An essential ingredient of development https://www.brooking[...] 2023-03-03
[40] 서적 Making Democracy Work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3-04
[41] 논문 Civil Society and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https://www.jstor.or[...] 2023-03-03
[42] 웹사이트 America's Civic Condition: A Glance at the Evidence https://www.brooking[...] 2023-03-04
[43] 웹사이트 Foreign Policy: Think Again: Civil Society https://ciaotest.cc.[...] 2023-03-11
[44] 웹사이트 Civil Society https://www.weforum.[...] 2023-03-11
[45] 웹사이트 Civil Society,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ciaotest.cc.[...] 2023-03-11
[46] 논문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https://www.jstor.or[...] 2023-03-03
[47] 서적 The 25th Anniversary of Constitutional Economics: The Russian Model and Legal Reform in Russia, in The World Rule of Law Movement and Russian Legal Reform http://philosophical[...] Justitsinform
[48] 논문 The Autonomous Power of The State: Its Origins, Mechanisms and Results 1984
[49] 웹사이트 NGOs NGO civil society partnerships UN United Nations https://www.un.org/p[...] 2017-06-28
[50] 웹사이트 The integrate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CSO) System http://esango.un.org[...]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12-07-04
[51] 비디오 Basta! Rio+20 Walkout http://vimeo.com/446[...]
[52] 논문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deliberative policy making: interpreting environmental controversies in the deliberative system 2014-06-05
[53] 서적 2004
[54] 서적 1999
[55] 서적 2001
[56] 서적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2-10-24
[57] 서적 State and Civil Society: Explorations in Political Theory Sage Publications 1995
[58] 웹사이트 Elements of the Philosophy of Right http://www.marxists.[...] 1821
[59] 논문 Tocqueville on Civilian Society. A Romantic Vision of the Dichotomic Structure of Social Reality http://zaleski.wex.p[...] Felix Meiner Verlag
[60] 서적 Elements of the Philosophy of R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논문 Hegel’s Civil Society: A Locus of Freedom 1980
[62] 논문 Civil Society, State and Democracy: Contextualising a Discourse 2001-09
[63] 서적 Elements of the Philosophy of R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4] 서적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 2010
[65] 서적 1999
[66] 서적 1999
[67] 서적 1999
[68] 웹사이트 Global Non-governmental Administrative System: Geosociology of the Third Sector http://zaleski.wex.p[...] IFiS Publishers 2006
[69] 웹사이트 Reforming the United Nations http://www.un.org/re[...] 2008-10-08
[70] 논문 The public sphere: an encyclopaedia article 1974
[71] 논문 (title 정보 없음) 2014-06-00
[72] 서적 グローバル市民社会論:戦争への一つの回答 https://www.worldcat[...] 法政大学出版局 2007-00-00
[73] 웹인용 What is civil society? http://www.lse.ac.uk[...] Centre for Civil Society,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04-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