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빗살무늬토기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기원전 4200년경부터 기원전 2000년경까지 북유럽 지역에 존재했던 신석기 시대 문화이다. 핀마르크, 칼릭스 강, 보트니아 만, 비스와 강 유역 등지에 분포했으며, 수렵, 채집, 어업을 기반으로 생활했다. 빗살무늬토기는 둥글거나 뾰족한 밑면과 다양한 장식이 특징이며, 석면 도자기도 제작되었다. 주거는 해안이나 호숫가에 위치한 티피 형태였으며, 석기 도구와 예술 작품이 발견되었다. 언어와 기원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며, 유전학 연구를 통해 동유럽 수렵 채집인 계통과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빗살무늬토기 문화
문화 개요
빗살무늬토기 문화
빗살무늬토기 문화
다른 이름즐문토기문화
지역북유럽, 동유럽, 중앙아시아
시대중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연대기원전 4200년경–기원전 2000년경
이전 문화나르바 문화
이후 문화볼로소보 문화, 매듭무늬토기 문화, 키우카이넨 문화
문화적 맥락
지평해당 없음
표지 유적해당 없음
주요 유적해당 없음
추가 정보해당 없음

2. 분포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북쪽으로는 핀마르크(노르웨이), 서쪽으로는 칼릭스 강(스웨덴)과 보트니아 만(핀란드), 남쪽으로는 비스와 강(폴란드)을 포함하여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였다. 여기에는 에스토니아의 나르바 문화와 핀란드의 스페링스 문화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대체로 수렵, 채집민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에스토니아의 나르바 문화에서는 농업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한다. 빗살무늬토기 문화 지역의 일부는 이후 끈무늬토기 문화에 흡수되었다.

3. 토기

토기는 바닥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용량이 40L~60L에 달하는 큰 항아리가 특징이다. 용기의 형태는 변하지 않았지만 장식은 다양했다.

지반의 고도에 따른 연대 측정을 통해 토기는 전통적으로(Äyräpää 1930)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초기 (Ka I, 기원전 4200년경 – 기원전 3300년경)
  • 전형적인 (Ka II, 기원전 3300년경 – 기원전 2700년경)
  • 후기 빗살무늬 토기 (Ka III, 기원전 28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그러나 빗살무늬 토기 파편(예: 카렐리야 지협에서 발견된)에 대한 보정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5600년 - 기원전 2300년의 전체 기간이 나타났다(''Geochronometria'' Vol. 23, pp 93–99, 2004).

빗살무늬 토기의 여러 양식 중 석면의 특성을 이용한 석면 도자기가 있다.[1] 석면은 도자기 점토를 템퍼링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 전통은 철기 시대까지 여러 문화에서 지속되었다. 다른 양식으로는 Pyheensilta, Jäkärlä, Kierikki, Pöljä 및 Säräisniemi 토기가 있으며, 각 양식은 세부적으로 구분된다. Sperrings 토기는 핀란드에서 발견된 ''초기 빗살무늬 토기'' (Ka I:2)의 원래 명칭이다.

핀란드에서 출토된 빗살무늬 토기

4. 주거

취락은 해안이나 호숫가에 위치했으며, 경제는 사냥, 낚시 및 식물 채집에 기반을 두었다. 핀란드에서는 물개 사냥에 점점 더 특화된 해양 문화였다. 지배적인 주거 형태는 약 30m2 크기로 약 15명이 거주할 수 있는 티피였을 것이다. 또한 기원전 4000년경부터 핀란드에서는 목재로 만든 직사각형 가옥이 인기를 얻었다. 무덤은 정착지에 파였으며 시신은 적색 황토로 덮였다. 전형적인 빗살무늬 토기 시대는 무덤 부장품으로 흑요석호박으로 만든 물건을 광범위하게 사용했음을 보여준다.[2]

핀란드 키에리키의 석기 시대 주거지 재현


핀란드 오울루 라야캉가스에 있는 이른바 거인의 교회. 이 크고 직사각형의 석조 구조물의 용도는 불분명하다.

5. 도구

석기 도구는 시간이 지나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이들은 점판암, 석영과 같은 지역 재료로 만들어졌다. 출토된 유물은 상당히 광범위한 교역 네트워크를 시사한다. 즉, 북유럽 스칸디나비아에서 기원한 붉은 점판암, 사이마호에서 나온 석면, 오네가호에서 나온 녹색 점판암, 발트해 남쪽 해안에서 나온 호박, 그리고 러시아 북서부 발다이 언덕 지역에서 나온 부싯돌 등이 그것이다.

6. 예술

빗살무늬토기 문화는 구운 점토로 만든 작은 조각상과 돌로 만든 동물 머리가 특징이다. 동물 머리는 대개 중석기 시대의 예술에서 파생된 무스와 곰을 묘사한다. 암각화도 많이 발견되었다.

전형적인 빗살무늬 토기는 정교한 장식이 특징이며, 제작자들이 귀중한 호박 펜던트를 착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는 자료가 있다.[3]

7. 언어

과거에는 빗살무늬토기 문화의 확산이 우랄어족의 확산과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이 문화 전반에 걸쳐 원시 우랄어가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종종 제기되었다.[4] 또한 이 문화의 담지자들이 핀-우그리아어족을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다른 견해로는, 빗살무늬토기 문화 사람들이 사용한 일부 지명과 수계지명이 우랄어족이나 인도유럽어족이 아닌 언어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들이 고대 유럽어를 사용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 학자들은 원시 우랄어의 기원 가설에 따라 볼가강 동쪽, 심지어 우랄산맥 너머에 원시 우랄어의 기원이 있다고 추정한다. 우랄어족이 서쪽으로 대규모로 확산된 것은 빗살무늬토기 문화가 쇠퇴한 후인 기원전 1천년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4]

8. 유전학

Saag 등(2017)은 쿠드루퀼라에 매장된 빗살무늬토기 문화인 3명을 분석하여 Y염색체 R1a5-YP1272(R1a1b~)와 미토콘드리아 DNA U5b1d1, U4a, U2e1를 확인했다.

Mittnik(2018)은 빗살무늬토기 문화인 2명을 분석했는데, 남성은 R1(R1b-M343)와 U4d2를, 여성은 U5a1d2b를 가지고 있었다. 빗살무늬토기 문화인들은 대부분 동유럽 수렵 채집인(EHG) 계통이었으며, 나르바 문화인들보다 EHG 비중이 더 높았다.

Lamnidis 등(2018)은 빗살무늬토기 문화인에게서 15%의 서유럽 수렵 채집인(WHG), 65%의 동유럽 수렵 채집인(EHG), 20%의 서부 스텝 유목민(WSH) 조상을 발견했다.

빗살무늬토기 문화의 담당자는 지리적으로 볼 때 인도유럽어족이 아니라 핀우고르어파를 사용한 사람들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5]. 실제로, 신석기 시대 후기 러시아 빗살무늬토기 문화 유적의 인골에서 핀우고르계 민족과 관련된 하플로그룹 N1a1이 검출되었다[6]. 빗살무늬토기의 기원은 중국 북동부의 랴오허 문명에 있으며[7], 시베리아를 거쳐 유럽으로 전해졌다고 생각된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candinav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 웹사이트 Arvoitukselliset jätinkirkot http://museot.keski-[...] Keski-pohjanmaan liitto 2013-01-26
[3] 서적 Historical Perspectives to Postglacial Uplift: Case Studies from the Lower Satakunta Region Springer 2018
[4] 서적 Estonia: Return To Independence Routledge 2018
[5] 서적 Estonia: Return To Independence Routledge 2018
[6] 논문 Archaeology of lake settlements IV-II mill. BC/ Mazurkevich A., Polkovnikova M., Dolbunova E. ed. https://www.academia[...] 2014
[7] 웹사이트 中国北方新石器文化研究の新展開【詳細報告】 https://web.archive.[...]
[8] 논문 Dynamics of anthropological differentiation in population of southern Western Siberia in Neolithic - Early Iron Age http://www.disser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