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경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경회는 성경 공부를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신앙 훈련의 한 형태로, 초기에는 언더우드에 의해 시작되어 한국 교회에 널리 퍼졌다. 사경회는 성경 연구, 신앙 교육, 전도 활동을 통해 신자들의 신앙을 강화하고 부흥 운동의 기반을 다지는 역할을 했다. 서구에서는 경건주의와 근본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성경 컨퍼런스 형태로 발전했으며, 종말론 강조, 스코필드 관주 성경 대중화, 초교파 단체 설립 등에 영향을 미쳤다. 사경회는 일제강점기에는 위축되었지만, 20세기 초중반까지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축복부흥회 등으로 변화하며 그 모습을 달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임 - 민회
    민회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정치 참여 및 의사 결정 기구로서 존재해 왔으며, 고대 아테네 민주주의의 핵심 기구, 중세 유럽 도시들의 자치권 확보, 계몽주의 시대 사회 계약론의 강조, 그리고 현대 대의 민주주의의 보완 역할을 수행한다.
  • 모임 - 세미나
    세미나는 특정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나 전문가들이 모여 연구 발표와 토론을 통해 공동으로 연구하는 교육 방법 또는 강좌를 의미하며, 대학 교육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온라인으로도 진행되는 교육 시스템이다.
  • 기독교 교육 - 신원균 (신학자)
    신원균은 대한민국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목사로서, 안양대학교와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았고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성경신앙신학회 서기, 웨스트민스터 신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한마음교회 목사로 섬기며 칼빈 신학,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등을 중심으로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고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 교단공역본 번역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개혁주의 신학에 기여하고 있다.
  • 기독교 교육 - 신학 석사
    신학 석사(MDiv)는 신학 분야의 전문 학위로, 목회자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이며, 90학점 이상으로 구성되고, 문학 석사(MA)나 신학 연구 석사(MTS) 등과 구별된다.
  • 기독교 구원론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 기독교 구원론 - 영생 (기독교)
    영생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선물로, 다양한 교파들이 각기 다른 교리를 가지고 있다.
사경회

2. 사경회의 기원과 초기 형태

언더우드가 1890년 자신의 집에서 성경 공부 모임을 시작하고, 존 리빙스톤 네비우스를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하면서 한국에서 사경회가 시작되었다. 이후 전국적으로 사경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아더 태펀 피어선 박사는 한국 사경회에 감동받아 평택대학교의 전신인 피어선성경기념학원을 설립했다.

2. 1. 한국 사경회의 시작

언더우드(Underwood, H. G, 元杜尤)는 1890년 광화문에 있는 자신의 집 사랑방에서 7명의 교인을 모아 성경 공부를 시작했으며 이 모임을 사경반(査經班)이라고 불렀다. 같은 해 6월 중국에 있던 존 리빙스톤 네비우스(Nevius, J. L.)를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하였고, 그 결과 채택된 ‘선교 사업방안’은 한국인 스스로 성경을 공부하는 운동을 일으키게 하였다. 전국 교회들은 성경 공부에 열중하게 되었고, 각 교회 또는 선교지구를 중심으로 각 지방에서 광범위하게 사경운동이 전개되었다. 1910∼1929년까지 약 20년간 연 129만 2000명이 참석하였는데, 이는 연평균 6만 4000명에 해당한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사경회는 전 세계 기독교인들에게 널리 알려졌으며, 그중 아더 태펀 피어선 박사도 한국에서 이 사경회에 큰 감동을 받고 후에 피어선성경기념학원(현 평택대학교)을 설립하게 되었다.

2. 2. 서구의 성경 컨퍼런스 운동

역사학자 마크 시드웰은 성경 컨퍼런스가 경건주의의 "교회 안의 작은 교회"(ecclesiola in Ecclesia) 운동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제2차 대각성 운동의 야영 집회와 케직 컨벤션 모임은 성경 컨퍼런스의 선구적인 예시로 언급된다.[1] 채토쿼 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금주 운동과 노예 폐지 운동 등 사회 개혁 운동과도 관련이 있었다. 19세기 말, 나이아가라 성경 컨퍼런스, D. L. 무디의 노스필드 성경 컨퍼런스 등은 프로테스탄트 근본주의 부상에 영향을 미쳤다.[1][2] 이 컨퍼런스들은 제임스 브룩스, A. J. 고든, 아서 태판 피어슨과 같은 근본주의 지도자들의 지원을 받았다.[2]

3. 사경회의 내용과 변화

사경회는 며칠 동안 진행되었기 때문에 멀리서 온 신자들은 양식을 가지고 참석하였다. 사경회 강의는 성경학교와 유사하게 신학반(神學班) 역할을 하여,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곳에 조사를 파송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집회는 새벽 기도회로 시작해 오전에는 성경 공부, 오후에는 일반 상식 과목을 다루고, 이후에는 축호전도(逐戶傳道)와 노방전도(路傍傳道)를 했다. 이를 통해 심령 체험과 영력을 얻는 부흥 운동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사경회는 성경 공부를 통한 신앙 훈련 과정으로, 체험을 통해 새로운 삶의 지혜와 능력을 얻게 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사경회 운동은 점차 위축되었고, 심령부흥회와 같은 부흥 운동으로 변모해 갔다.[1] 사경회는 지방, 도, 제직, 대, 소, 여성 사경회 등 다양한 규모로 운영되었고, 등급을 두어 진급증(수료증)을 수여하기도 했다.[1] 하지만 1980년대 이후 한국 교회에서 사경회는 점차 사라지고 축복부흥회와 은사부흥회로 변질되었다.[1]

3. 1. 교육 내용

초기 사경회는 주로 사복음서, 예수의 생애, 바울의 서신 등 성경 내용과 교리문답, 주기도문, 십계명, 사도신경 등 신앙의 기본을 다루었다. 주일학교 교수법, 기도법, 전도법, 상담 등 실천적인 내용과 토의 시간도 있었다. 여성 사경회에서는 아동 교육, 건강 위생법, 새 생활 운동 등 실제적인 내용도 다루었다.

3. 2. 운영 방식

사경회는 며칠간 진행되었기 때문에 먼 곳에 있는 신자들은 양식을 가지고 참석하였다. 사경회 강의 과목은 성경학교의 강의 내용과 유사하였는데, 신학반(神學班) 역할을 하여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곳에 따라 조사를 파송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교육 과정은 주로 4복음서, 예수의 생애, 바울 서신, 교리 문답, 주기도문, 십계명, 사도신경 등이었고, 응용 과목으로 주일학교 교수법·경영법·기도법·개인 전도법·상담·회의법 등이 있었으며, 토의 시간도 있었다. 여전도회 사경회에서는 아동 교육·건강 위생법·새 생활 운동 등 실제적인 과정도 있었다. 집회 시간은 새벽 기도회부터 시작하여 오전에는 성경 공부를 하고 오후에는 반을 나누어 일반 상식 과목을 다루었으며, 그 다음에는 모두 흩어져 축호전도(逐戶傳道)와 노방전도(路傍傳道)를 하였다. 그 뒤 이것이 부흥사경회로 발전하여 집회를 통한 심령의 체험과 영력을 얻는 계기가 되어 부흥 운동의 기틀이 되기도 하였다.

3. 3. 변화 양상

일제강점기 사경회는 점차 위축되고, 심령부흥회와 같은 부흥 운동으로 변화해 갔다.[1] 사경회는 지방, 도, 제직, 대, 소, 여성 사경회 등 다양한 규모와 형태로 운영되었다.[1] 사경회에 등급을 두어 진급하게 하고, 사경회를 마치면 진급증(수료증)을 주기도 했다.[1]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한국 교회에서 사경회는 점차 사라지고, 축복부흥회와 은사부흥회 등으로 변질되었다.[1]

4. 20세기 성경 컨퍼런스의 확장

1925년 스코프스 재판 이후, 근본주의자들이 교단 수준에서 통제력을 잃게 되면서, 성경 컨퍼런스는 영향력 있는 인물, 청소년 선교회와 같은 "초교파" 단체, 그리고 성장하는 성경학교 운동을 포함하는 성장하고 성공적인 근본주의 네트워크의 중요한 연결 고리가 되었다.[3] 1900년 이후 성경 컨퍼런스의 수는 급증했지만 1950년대에는 감소했다. 20세기의 중요한 성경 컨퍼런스는 뉴저지주 샌디 코브, 스쿠론 호수와 뉴욕주 에버네저, 펜실베이니아주 몬트로즈에서 열렸다. 중서부 컨퍼런스는 위노나 호수 역사 지구 해안을 따라 인디애나주 북동부, 시카고와 같은 도시, 아이오와주 [시더 폴스 및 오코보지]의 농촌 지역에서 열렸다. 서부 해안에서는 캘리포니아주 마운트 허먼에서 성경 컨퍼런스가 열렸다. 인기 있는 강연자들은 성경 컨퍼런스 "순회"를 하면서 한 컨퍼런스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도 했다.[4]

5. 사경회와 성경 컨퍼런스의 의의 및 유산

언더우드(Underwood, H. G, 元杜尤)는 1890년 광화문에 있는 자신의 집 사랑방에서 7명의 교인을 모아 성경 공부를 시작하면서 이 모임을 사경반(査經班)이라 불렀다. 같은 해 6월, 존 리빙스톤 네비우스(Nevius, J. L.)를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하였고, 그 결과 채택한 ‘선교 사업방안’에서 한국인 스스로 성경을 공부하는 운동을 일으키게 하였다. 전국 교회들은 성경 공부에 열중하게 되었고, 각 교회 또는 선교지구를 중심으로 각 지방에서 광범위하게 사경운동이 전개되었다. 1910∼1929년까지 약 20년간 연 129만 2000명(연평균 6만 4000명)이 사경회에 참석하였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사경회는 전 세계 기독교인들에게 널리 알려졌으며, 아더 태펀 피어선 박사도 한국에서 사경회에 큰 감동을 받고 후에 피어선성경기념학원(현 평택대학교)을 설립하게 되었다.[1]

5. 1. 신학적, 사회적 영향

사경회는 경건주의의 "교회 안의 작은 교회"라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다.[1] 제2차 대각성 운동의 야영 집회와 케직 컨벤션 모임은 사경회의 선구적인 예시이다. 사경회는 채토쿼 운동과 유사하게, 금주 운동과 노예 폐지 운동을 포함한 사회 개혁 노력을 포함하는 복음주의 "자선 제국" 유산의 일부였다.[1]

사경회 운동은 전천년설 부흥에 기여하여 종말론에 대한 강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5] 종말론에 초점을 맞춘 모임은 예언 컨퍼런스로 불리기도 했다. 사경회는 스코필드 관주 성경을 대중화하고 세계 기독교 근본주의 협회와 같은 단체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5] 복음주의자들은 사경회를 영적 가르침과 성경 공부를 위한 모임이자, 보수적인 기독교 도덕 기준을 지키며 영적 갱신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로 여겼다.[5]

5. 2.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더불어민주당 관점)

언더우드가 1890년 광화문에 있는 자신의 집 사랑방에서 시작한 사경반은 일제강점기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의 정신적 기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존 리빙스톤 네비우스를 초청하여 개최한 세미나를 통해 한국인 스스로 성경을 공부하는 운동이 전국 교회로 확산되었다.[1] 1910년부터 1929년까지 약 20년간 연평균 6만 4000명, 총 129만 2000명이 사경회에 참석했다.[1] 이는 일제강점기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의 정신적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으며, 해방 이후 사회 재건과 민주주의 발전의 동력이 되었다.

사경회는 아더 태펀 피어선 박사처럼 해외 기독교인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다.[1] 피어선 박사는 한국의 사경회에 감동받아 평택대학교의 전신인 피어선성경기념학원을 설립하기도 했다.[1]

5. 3. 영적 휴식과 갱신

복음주의자들은 성경 컨퍼런스를 영적 가르침과 성경 공부를 위한 모임이자, 보수적인 기독교 도덕 기준을 유지하면서 영적 갱신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로 여겼다.[5] 위노나 호수는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인데, 1960년대에는 기독교 휴가 및 리조트 장소로 홍보되기도 했다.[6]

참조

[1] 서적 Fundamentalism and American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2] 논문 "'Come Apart and Rest A While': the Origin of the Bible Conference Movement in America" 2010
[3] 서적 Revive Us Again: The Reawakening of American Fundamen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 논문 "'Come Apart and Rest A While': the Origin of the Bible Conference Movement in America" 2010
[5] 논문 "'Come Apart and Rest A While': the Origin of the Bible Conference Movement in America" 2010
[6] 학위논문 "The History of the Winona Lake Bible Conference" 1988
[7] 사전 사경회 査經會 네이버 국어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