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신은 여러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주제로, 늑대인간, 뱀파이어, 여우 정령 등 다양한 존재가 변신하는 이야기로 나타난다. 변신은 신화, 민담, 동화, 현대 문학 등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나며, 징벌, 탈출,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특히 동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등 지역별로 다양한 변신담이 존재하며, 변신은 인간 내면의 야만성, 억압과 해방, 또는 새로운 능력 획득을 상징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신 - 베르세르크
베르세르크는 북유럽 신화와 역사 속 광전사를 지칭하며, 곰 가죽 윗옷을 입은 전사, 갑옷을 입지 않은 전사, 또는 형태가 변하는 존재 등으로 해석되고, 오딘의 신통력을 받아 격렬한 전투 상태에서 엄청난 힘을 발휘했지만 전투 후 탈진에 시달렸으며, 용감한 전사이자 잔혹한 약탈자로 묘사되다 기독교화 이후 불법화되었고, 현대 대중문화에서 폭력적인 전사 이미지로 나타난다. - 변신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SF 소재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SF 소재 - 스팀펑크
스팀펑크는 19세기 산업혁명 시대 증기기관 기술에 기반한 대체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공상과학 및 예술 장르로, 19세기 과학소설과 초현실주의 그림의 영향을 받아 빅토리아 시대 대체 역사 소설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미디어와 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장르의 폭을 넓혀왔다.
| 변신 | |
|---|---|
| 개요 | |
| 정의 | 신화, 전설, 민간 설화 및 허구에서 물리적으로 변형되는 능력 |
| 관련 용어 | 형상 변환, 변신술, 변신 능력 |
| 하위 유형 | 동물 변신 신체 변형 복제 위장 액체화 금속화 형태 복사 |
| 유형 | |
| 동물 변신 | 늑대인간 스킨워커 애니모프 |
| 기타 | 인어 흡혈귀 천사 악마 |
| 대중 문화 | |
| 예시 | 미스틱 비스트 보이 클레이페이스 섐록 더 씽 T-1000 모핑 트랜스포머 베놈 메타모프 도플갱어 젤다 메타몽 또봇 |
2. 변신담
변신담은 인간이 이성, 동물, 식물 등 인간 이외의 존재로 변신하는 신화, 이야기, 전설 등을 가리킨다.[61]

전승에서 흔히 변신하는 존재로는 늑대인간, 뱀파이어, 동아시아의 여우, 북유럽 신화의 로키, 그리스 신화의 프로테우스와 같은 신화 속 신, 여신, 악마 등이 있다. 이들에게 동물이나 식물로 변신하는 것은 평범한 일이었다.[61]
인간이 늑대로 변신하는 늑대인간(리칸트로프) 외에도, 인간이 짐승으로 변신하는 존재를 수인(세리안스로프)이라고 한다. 영어에서는 리칸트로프(lycanthrope, 변화는 리칸트로피 lycanthropy)가 더 많이 사용된다.
영어에서 변신을 가리키는 다른 표현으로는 metamorph(변신 전반), skin-walker(아메리카 원주민이나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 변신 능력을 가진 인간), mimic(의태) 등이 있다. "were-"라는 접두사는 "인간(man)"을 뜻하는 고어에서 유래했으며, 웨어울프(werewolf: 늑대인간)처럼 변신하는 존재를 가리킨다.[61]
변신담은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나타나며, 일상에서 자주 보는 동물은 대개 그 지역 고유의 변신담과 관련되어 있다. 인간이 다른 존재로 변신하는 이야기뿐만 아니라, 동물이 변신하는 이야기도 많이 존재한다.[61]
2. 1. 변신담의 역사
변신담은 인간이 이성, 동물, 식물 등 인간 이외의 것으로 변신하는 신화, 이야기, 전설 등을 가리킨다. 그 역사는 오래되어, 고대 그리스부터 헬레니즘, 로마 제국 시대에 걸쳐 많은 이야기가 만들어졌으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가 그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다.[52]근현대에도 변신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많이 만들어졌는데, 카프카의 『변신』, 일본에서는 나카지마 아츠시의 『산월기』 등이 대표적이다.[52]
요정, 마녀, 마법사들은 모두 변신 능력으로 유명했다. 모든 요정이 변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일부는 "매력"이라는 힘을 통해 환상을 만들어 변신하는 것처럼 보였고, 스프리건처럼 크기를 바꾸는 데 제한이 있거나, 몇 가지 형태로만 변신할 수 있는 요정도 있었다.[2] 하지만 헤들리 카우와 같은 요정들은 여러 형태로 변신할 수 있었고, 인간과 초자연적인 마법사 모두 그러한 변화를 일으키거나 다른 사람에게 그 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5] 마녀는 토끼로 변신하여 그 모습으로 우유와 버터를 훔칠 수 있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3]
잭과 콩나무, ''노로우웨이의 검은 황소''와 같은 많은 영국의 요정 이야기들은 변신을 다루고 있다. 전승에서 일반적인 변신하는 동물은 늑대인간, 뱀파이어, 동아시아의 여우, 북유럽 신화의 로키 또는 그리스 신화의 프로테우스와 같은 신화 속 신, 여신, 악마 등이 있다. 신에게 있어서 모든 동물이나 식물로 변신하는 것은 평범한 일이었다.[52]
인간에서 늑대로 변신하는 늑대인간 외에도, 사람에서 짐승으로 변신하는 생물을 가리키는 말로 수인(세리안스로프)이 있다. 영어에서는 리칸트로프(lycanthrope, 변화는 리칸트로피 lycanthropy)가 더 많이 사용된다. 영어에서 변신을 가리키는 말은 metamorph(변신 전반), skin-walker(아메리카 원주민의 전승이나 북유럽 신화에서 보이는, 동물로 변신하는 능력을 가진 인간), mimic(의태) 등이 있다. 접두사 "were-"는 "인간(man)"을 의미하는 고어에서 유래하며, 웨어울프(werewolf: 늑대인간) 등과 같이 변신하는 존재를 가리킨다. 동물·수인으로의 변신(수화)에 대해서는, transformation과 furry(털로 덮인 자)의 합성어인 "transfur"와 anthropomorph(의인화)의 약어인 "anthro"도 속어로 사용되고 있다.[52]
변신담은 거의 모든 문화에서 보이며, 일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동물에는 대개 관련된 변신담이 있다. 변신의 대상이 되는 동물은 이야기가 전해지는 지역에 고유한 생물인 경우가 많다. 인간이 다른 것으로 변신하는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동물이 변신하는 이야기도 많이 존재한다.[52]
2. 2. 변신 모티프
늑대인간, 뱀파이어, 동아시아의 여우 등 특정 동물이나, 북유럽 신화의 로키 또는 그리스 신화의 프로테우스와 같은 신화 속 신, 여신, 악마 등 다양한 존재들이 변신 모티프의 대상이 된다. 신들은 모든 동물이나 식물로 쉽게 변신할 수 있었다.늑대인간(리칸트로프)은 인간이 늑대로 변신하는 유명한 사례지만, 이 외에도 인간이 짐승으로 변신하는 존재를 수인(세리안스로프)이라고 한다. 영어권에서는 리칸트로프(lycanthrope)라는 용어가 더 자주 쓰이며, 변신 자체는 리칸트로피(lycanthropy)라고 불린다.
영어에는 변신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이 있다. metamorph(변신 전반), skin-walker(아메리카 원주민이나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 변신 능력을 가진 인간), mimic(의태) 등이 그 예다. "were-"라는 접두사는 "인간(man)"을 뜻하는 옛말에서 유래하여 웨어울프(werewolf: 늑대인간)처럼 변신하는 존재를 나타낸다.
변신 이야기는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흔히 볼 수 있는 동물들은 대개 그 지역의 고유한 변신담과 관련되어 있다. 인간이 다른 존재로 변하는 이야기만큼이나, 동물이 변신하는 이야기도 많이 존재한다.[61]
3. 각지의 전승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변신 이야기는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늑대인간, 뱀파이어처럼 잘 알려진 존재 외에도, 동아시아의 여우, 북유럽 신화의 로키, 그리스 신화의 프로테우스 등 수많은 신화 속 신, 여신, 악마들이 변신 능력을 지녔다. 신들에게는 동물이나 식물로 변신하는 것이 평범한 일이었다.
사람이 늑대로 변하는 늑대인간(리칸트로프) 이야기가 유명하지만, 사람에서 짐승으로 변하는 존재를 통칭하는 수인(세리안스로프)이라는 용어도 있다. 영어에서는 '리칸트로프(lycanthrope)'가 더 자주 쓰이며, 'metamorph(변신 전반)', 'skin-walker(아메리카 원주민 전승이나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동물 변신 능력자)', 'mimic(의태)'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한다. 'were-'라는 접두사는 '인간(man)'을 뜻하는 고어에서 유래하여 웨어울프(werewolf: 인랑)처럼 변신하는 존재를 나타낸다.
변신 이야기는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발견되며, 주로 그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다. 인간이 다른 존재로 변하는 이야기뿐만 아니라, 동물이 변신하는 이야기도 흔하게 전해진다.[61]
각 지역별 주요 전승은 다음과 같다.
| 지역 | 주요 전승 내용 |
|---|---|
| 북유럽 | 오딘과 로키는 변신 능력을 가진 대표적인 신이다. 로키는 암말로 변신하여 슬레이프니르를 낳았다. 프레이야는 멧돼지나 매로 변신했다. 볼숭 사가에는 늑대인간이 되는 저주 등 다양한 변신 이야기가 등장한다. |
| 슬라브 | 늑대인간과 동물로의 변신은 흔하며, 레이시의 행위에 의해 만들어진다.[52] 벨레스는 동물, 마법, 저승을 관장하는 변신 능력을 가진 신이었다. |
| 동아시아 | 중국, 일본, 한국에는 동물이 인간으로 변신하는 이야기가 많다. 이들은 대개 장수하여 능력을 얻고, 꼬리가 늘어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류 혼인담이 많이 나타난다는 공통점이 있다. |
| 기타 지역 | 남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카리브해, 아르헨티나, 소말리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변신 이야기가 전해진다. |
동아시아의 경우 다음과 같이 좀 더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지역 | 주요 전승 내용 |
|---|---|
| 중국 | 동물이 변신하여 사람의 모습으로 이야기하는 이야기가 많다. 요호가 가장 보편적이며, 아름다운 젊은 여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52] 백사전은 뱀이 인간 남성과 사랑에 빠지는 전설을 그리고 있다.[52] |
| 일본 | 윤회에 의해 사람이 동물로 다시 태어나는 이야기는 있어도, 살면서 동물 등으로 변신하는 이야기는 대부분 없다. 요괴의 상당수는 변신 능력을 가진 동물이다. 여우가 가장 일반적이며, 오소리, 바케네코, 네코마타, 너구리, 수달 등도 포함된다.[52] 오키나와에는 돼지가 미남 미녀로 변하여 인간을 속이는 이야기가 전해진다.[52] |
| 한국 | 구미호는 변신 능력을 가진 여우이다. 구미호는 대부분 미소녀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사기를 치는 남자가 구미호였다는 이야기도 있다.[69] 구미호는 9개의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되기 위해 그 미모로 사람을 속이고 간이나 심장을 먹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69] |

3. 1. 그리스 로마 문학
고전 문학에서 변신은 신들의 형벌이나 유혹, 인간의 욕망과 좌절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키르케가 오디세우스의 동료를 돼지로 바꿈), 아풀레이우스의 《Metamorphoses (Apuleius)|황금 당나귀|en|The Golden Assla》(주인공 루키우스가 당나귀로 변신)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신들 중에서도 프로테우스는 변신으로 유명하다. 메넬라오스와 아리스타이오스는 프로테우스에게 정보를 얻기 위해 그의 여러 변신을 이겨냈다.
그리스 신화에서 변신은 종종 신들이 인간에게 내리는 형벌의 형태로 나타난다.
제우스는 인간 여성에게 접근하기 위해 여러 번 변신했다.
여성이 남성의 구애를 거절하기 위해 변신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러한 변신은 제우스와 다른 신들의 일시적인 변신과는 달리, 풀리지 않는다.
데메테르는 포세이돈에게 구애를 받았을 때 암말로 변신해 피했지만, 포세이돈도 수말로 변신했기 때문에 강제로 관계를 맺었다.
인간이 변신하는 경우도 있다.
- 테이레시아스는 교미하는 뱀을 보고 암컷 뱀을 지팡이로 쳐서 여성으로 변신해 몇 년을 보냈다. 이후 다시 교미하는 뱀을 보고 수컷 뱀을 쳐서 남자로 돌아왔다.
- 카에니스(:en:Caenis)는 포세이돈에게 강간당한 후 남자로 변신했다.
- 바우키스와 필레몬은 신들에 대한 환대에 대한 보답으로 죽을 때 두 그루의 나무로 변했다.
3. 2. 영국, 아일랜드
웨일스 신화에서는 마법을 통한 변신이 자주 등장한다. 아라운은 프이스와 모습을 바꿔 1년 하루 동안 서로의 영지를 교환했다. 킬 코이트의 아들 스위트는 복수를 위해 아내와 하인을 쥐로 변신시켰고, 아내가 잡히자 세 명의 성직자로 변신해 몸값 협상을 시도했다.[4]아일랜드 신화에도 변신 이야기가 많이 나타난다. 오이페는 리르의 아이들을 백조로 만들었고,[4] 『에딘에게 구혼』에서는 파르문나흐가 에딘을 나비로 만들었다.[4] 핀 막 쿨의 아내 사바는 사슴으로 변신한 요정이었다.[4] 파르솔론족의 유일한 생존자 토안은 수 세기 동안 사슴, 뱀, 독수리, 연어 등으로 변신하며 살다가 인간으로 다시 태어났다.[4]
요정, 마녀, 마법사는 모두 변신 능력으로 유명하다. 모든 요정이 변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스프리건처럼 변신할 수 있는 크기가 제한되어 있고, 아하 이슈케처럼 말과 젊은 남자 등 2, 3가지 모습밖에 될 수 없는 것도 있다.[62] 다른 요정은 글래머(glamour)라는 환영을 만들어내는 힘을 사용하여, 허상만을 나타내기도 한다.[63] 그러나, 구역질 리의 우개(Hedley Kow)와 같은 존재는 여러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인간과 기이한 마법사 모두 그러한 변신 능력을 가지고 타인을 벌하기도 한다.[64]
마녀는 멧토끼로 모습을 바꿀 수 있으며, 그 모습으로 우유와 버터를 훔친다.[65] 맨섬에서는 토끼 고기를 먹을 수 있는 사람을 고용할 수 없다고 하는데, 그 섬에서는 "토끼는 어떤 노파가 변신한 것이다"라고 믿기 때문이라는 전승을 민속학자 세이바인 베어링-구르드가 기록했다.[66]
거인 사냥꾼 잭(Jack the Giant Killer)이나 노로웨이의 검은 황소(The Black Bull of Norroway)와 같은 많은 영국 동화에서 변신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3. 2. 1. 켈트족 신화
웨일스 신화에서는 변신 마법이 자주 등장한다. 아라운은 프이스와 모습을 바꿔 1년 하루 동안 서로의 영지를 교환했다. 킬 코이트의 아들 스위트는 복수를 위해 아내와 하인을 쥐로 변신시켰고, 아내가 잡히자 세 명의 성직자로 변신해 몸값 협상을 시도했다.[4]마스와 그위디온은 꽃을 블로데이웨드라는 여성으로 만들었다. 블로데이웨드가 남편 스우를 배신하자 스우는 독수리로 변신했고, 블로데이웨드는 올빼미로 변했다.[4]
길파에스위가 마스를 섬기는 소녀를 겁탈하도록 방조한 그위디온은 동물로 변하는 벌을 받았다. 그위디온은 수사슴, 암퇘지, 늑대로, 길파에스위는 암사슴, 수퇘지, 암늑대로 각각 1년씩 변했다. 매년 한 마리씩 아이가 태어났고, 마스는 이들을 인간으로 바꾸었다.[4]
케리드웬의 현자 약을 마신 그위온은 그녀에게서 도망치기 위해 여러 모습으로 변신했다. 결국 그위온은 밀알이 되어 암탉이 된 케리드웬에게 먹혔고, 케리드웬은 임신하여 그위온은 탈리에신으로 다시 태어났다.[4]
아일랜드 신화에서도 변신 이야기가 많이 나타난다. 오이페는 리르의 아이들을 백조로 만들었고,[4] 『에딘에게 구혼』에서는 파르문나흐가 에딘을 나비로 만들었다.[4] 핀 막 쿨의 아내 사바는 사슴으로 변신한 요정이었다.[4] 파르솔론족의 유일한 생존자 토안은 수 세기 동안 사슴, 뱀, 독수리, 연어 등으로 변신하며 살다가 인간으로 다시 태어났다.[4]
3. 2. 2. 영국 민간 전승
요정, 마녀, 마법사는 모두 변신 능력으로 유명하다. 모든 요정이 변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스프리건처럼 변신할 수 있는 크기가 제한되어 있고, 말과 젊은 남자만 될 수 있는 아하 이슈케처럼 2, 3가지 모습밖에 될 수 없는 것도 있다.[62] 다른 요정은 글래머(glamour)라는 환영을 만들어내는 힘을 사용하여, 허상만을 나타내기도 한다.[63] 그러나, 구역질 리의 우개(Hedley Kow)와 같은 존재는 여러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인간과 기이한 마법사 모두 그러한 변신 능력을 가지고 타인을 벌하기도 한다.[64]마녀는 멧토끼로 모습을 바꿀 수 있으며, 그 모습으로 우유와 버터를 훔친다.[65] 맨섬에서는 토끼 고기를 먹을 수 있는 사람을 고용할 수 없다고 하는데, 그 섬에서는 "토끼는 어떤 노파가 변신한 것이다"라고 믿기 때문이라는 전승을 민속학자 세이바인 베어링-구르드가 기록했다.[66]
거인 사냥꾼 잭(Jack the Giant Killer)이나 노로웨이의 검은 황소(The Black Bull of Norroway)와 같은 많은 영국 동화에서 변신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3. 3. 북유럽
오딘과 로키는 북유럽 신화에서 변신 능력을 가진 대표적인 신이다. 드물게는 두 신 모두 여성의 모습을 취하기도 했으며, 암말의 모습을 한 로키는 슬레이프니르를 낳았다. 『로키의 말다툼』에서는 여자가 된 것과 아이를 낳은 것을 서로 비웃었다고 기록되어 있다.[67]휜들라의 시에서 여신 프레이야는 연인 오타르를 숨기기 위해 멧돼지로 변하게 했다.[68] 또한 그녀는 매의 깃털로 만들어진 날개옷으로 매로 변신할 수 있었다. 로키는 그 날개옷을 종종 빌려 입었다.
볼숭 사가에는 변신하는 인물들이 많이 등장한다. 시게이르(Siggeir)의 어머니는 패배한 의붓 형제를 천천히 죽이는 고문을 돕기 위해 늑대가 되었다. 시그문드는 살아남아 조카이자 아들인 신피요틀리와 함께 늑대 가죽을 쓴 남자들을 죽이고, 그들은 모피를 처분하여 늑대인간이 되는 저주를 받았다.
파프니르는 원래 드워프 또는 거인이었지만, 여러 판본에서 보물을 지키는 드래곤으로 변신했다.
3. 4. 슬라브
슬라브 신화에서 늑대인간과 동물로의 변신은 흔하며, 주로 레이시의 행위에 의해 만들어진다.[52] 벨레스는 동물, 마법, 저승을 관장하는 변신 능력을 가진 신이었다. 벨레스는 곰, 늑대, 뱀 또는 올빼미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25] 슬라브 폭풍의 신인 페룬과 싸울 때는 용으로 변신하기도 했다.[26]3. 5. 동아시아
중국, 일본, 한국에는 동물이 인간으로 변신하는 이야기가 많이 전해진다. 이러한 이야기 속 동물들은 대개 장수하며 능력을 얻고, 꼬리가 늘어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종종 숨기고 있던 동물의 특징을 드러내기도 한다. 또한 이들과 인간의 결혼, 즉 이류 혼인담이 많이 나타난다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특징들은 각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3. 5. 1. 중국
중국 전승에는 동물이 변신하여 사람의 모습으로 이야기하는 이야기가 많다. 변신하는 가장 보편적인 것은 요호이며, 여우는 통상 아름답고 젊은 여성으로 나타나 대부분은 위험한 존재이지만, 몇몇은 사랑 이야기의 히로인으로 등장한다.[52]백사전은 뱀이 인간 남성과 사랑에 빠지는 전설을 그리고 있다.[52]
3. 5. 2. 일본
일본에는 윤회에 의해 사람이 동물로 다시 태어나는 이야기는 있어도, 살면서 동물 등으로 변신하는 이야기는 대부분 없다.일본 요괴의 상당수는 변신 능력을 가진 동물이다. 여우가 가장 일반적인 것이지만, 오소리, 바케네코, 네코마타, 너구리, 수달 등도 포함된다.[52] 이들은 인간 외에도 바위 등 무기물로 변신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 본토와는 다른 문화를 가진 오키나와에는 돼지가 미남 미녀로 변하여 인간을 속이는 이야기가 전해진다.[52]
불교 전래 이후 일본에는 윤회에 의해 사람이 동물로 다시 태어나는 이야기는 있어도, 살아있는 채로 동물 등으로 변신하는 이야기는 적다.[59]
- 히타치 국 풍토기에는 우타가키로 맺어진 소년과 소녀가 시간을 잊고 정을 나누었기 때문에, 날이 밝은 것을 부끄러워하여 소나무로 변신해 버리는 와라와메노 마츠바라 이야기가 있다.
고지키/일본서기 및 오토기조시에는 여성을 산 채로 도구로 변신시켜 위협이 되는 존재로부터 모습을 숨기는 이야기가 있다.
- 고지키/일본서기의 야마타노오로치 설화에서는 스사노오가 야마타노오로치의 제물이 될 소녀 쿠시나다히메를 구하기 위해 그녀를 빗으로 변신시킨다.
- 오토기조시에 수록된 아마와카히코 소시에서는 아마와카히코가 아버지 귀신으로부터 인간의 딸을 숨기기 위해 그녀를 팔걸이, 부채, 베개 등 다양한 도구로 변신시킨다.
유랴쿠기에는 말 정도 크기의 흰 개로 변한 후미이시노코마로의 기술이 보인다.
3. 5. 3. 한국
구미호는 한국 전승에 등장하는 변신 능력을 가진 여우이다. 구미호는 대부분 미소녀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사기를 치는 남자가 구미호였다는 이야기도 있다.[69] 구미호는 9개의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되기 위해 그 미모로 사람을 속이고 간이나 심장을 먹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69]3. 6. 기타 지역
- ǀKaggenzam은 남아프리카 ǀXam족의 데미우르고스이자 민속 영웅이다.[14] 그는 변신 능력을 가진 트릭스터 신으로, 주로 사마귀의 모습을 취하지만, 엘란드, 이 , 뱀, 애벌레의 모습으로도 변신한다.[15]
- 아마존강돌고래는 원주민에게 보토, 엔칸타도 또는 토니냐로 알려져 있으며,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신화에서 매우 흔하게 등장한다. 이들은 밤에 인간으로 변신하며, 분기공을 숨기기 위해 모자를 쓴다고 전해진다.[20]
- 리가후 또는 루 가루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민속의 변신 괴물이다. 이들은 주술사와 아프리카 마법 실천가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23][24]
- 아르헨티나의 나우엘 우아피 호수는 마푸체어로 "재규어(또는 퓨마)의 섬"을 의미한다. ''나우엘''은 "마법으로 퓨마(또는 재규어)로 변신한 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
- 소말리아 신화에서, ''코리 이스마리스''("막대기로 자신을 문지르는 자")는 해질녘에 마법의 막대기로 자신을 문질러 하이에나 인간으로 변신할 수 있었다.
4. 현대의 변신 모티프
현대 소설, 영화, 대중문화에서도 변신은 중요한 소재로 활용된다. 조지 맥도널드의 "공주와 커디"[41], 카를로 콜로디의 "피노키오의 모험", C.S. 루이스의 "나니아 연대기"[44][45],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 조앤 롤링의 "해리 포터" 시리즈 등 다양한 작품에서 변신 모티프를 찾아볼 수 있다.
- 조지 맥도날드의 ''공주와 커디''(1883)에서 커디는, 많은 인간들이 그들의 행동으로 천천히 짐승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정보를 받는다. 커디는 변신이 눈에 보이기 전에 감지하는 능력을 부여받고, 변신했다가 다시 인간으로 돌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짐승들의 도움을 받는다.[41]
- 카를로 콜로디의 이야기 ''피노키오의 모험''(1883)에서 장난감 나라를 방문하는 소년들은 당나귀로 변한다.
- C.S. 루이스의 ''나니아 연대기''에서 유스터스 스크럽은 ''새벽 출정호의 항해''에서 용으로 변신하고,[44] ''말과 소년''에서는 칼로르멘의 호전적인 라바다쉬 왕자가 당나귀로 변신한다.[45] 유스터스의 변신은 엄밀히 말해 처벌은 아니며, 단순하게 그의 이기심의 진실을 드러낼 뿐이다. 그는 나중에 그의 도덕적 본성이 변화하면서 뉘우친 후에 변신이 되돌려진다. 라바다쉬는 공개적인 장소에서 변신을 되돌리는 것을 허락받아, 그의 이전 추종자들이 그가 당나귀였음을 알게 된다. 그는 수도를 다시 떠나면 영구적으로 당나귀가 될 것이라는 경고를 받으며, 이는 그가 더 이상의 군사 작전을 이끌지 못하게 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에서도 변신은 시각적인 즐거움과 함께 주제 의식을 전달하는 중요한 장치로 사용된다.
- 존 W. 캠벨이 쓴 SF 단편 소설 "거기 누구인가?"(나중에 ''괴물''과 ''괴물''로 영화화됨)는 흡수하는 모든 생물의 형태와 기억을 취할 수 있는 변신 외계 생명체에 관한 이야기이다.
-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애니마구스' 능력을 가진 일부 마법사와 마녀들은 자신이 선택한 특정 동물로 변신할 수 있으며, 마법부에 그들의 능력을 등록해야 한다.
- 모탈 컴뱃 프랜차이즈에서 샹 쏭은 변신술사이다.
- ''X파일''에는 지구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침투하는 식민지인으로 알려진 종족이 등장한다.
- ''닥터 후'' 시리얼 "지고의 공포"(1975)에서, 주인공인 지고인들은 인간과 다른 동물(말 등)로 변신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본래의 모습으로 다시 변신하기 위해 복사된 사람이나 동물을 살아있게 해야 한다.[47]
- 마블 코믹스 유니버스는 미스터 판타스틱, 미스틱, 임파서블 맨을 포함한 광범위한 변신자와, 스크럴, 팔랑스, 심비오트와 같이 구성원이 변신할 수 있는 외계 종족을 특징으로 한다.
- DC 코믹스 유니버스는 광범위한 변신자를 특징으로 하며,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비스트 보이, 플라스틱 맨, 마션 맨헌터, 미스 마션, 메타모르포, 클레이페이스이다.
- 스타 트렉 유니버스는 오리지널 시리즈의 오르가니언과 카멜로이드와, ''딥 스페이스 나인''의 체인질링을 포함한 여러 변신 외계 종족을 특징으로 한다.
- ''트랜스포머'' 미디어 프랜차이즈는 변신 로봇의 외계 종족을 중심으로 한다.
- ''트와일라잇 사가''는 또한 늑대로 변신할 수 있고 비인간적인 힘, 속도, 체온과 노화 과정을 가진 변신자를 특징으로 한다.[49]
- ''스타워즈: 에피소드 2 - 클론의 습격''(2002)에서, 잠 웨셀은 파드메 아미달라를 암살하려 한다. 잠이 도망가자, 아나킨은 그녀를 추격하고 그녀가 변신자라는 것을 발견한다.
- ''슈퍼내추럴''에서, 변신자는 시리즈의 반복적인 생물체이다. 변신자는 시즌 1 에피소드 6 "스킨"에서 처음 등장했다.
- ''프린지''에서, 변신자는 대체 우주의 무기질, 인간의 하이브리드이다.
- ''엔칸토: 마법의 세계''에서 카밀로는 변신 능력을 가지고 있다.
- ''애니몰피스'' 책에서, 안달라이트라는 외계 종족은 애니몰피스와 공유하는 변신 또는 "모핑" 기술을 가지고 있어, 그들이 획득한 DNA를 가진 모든 생물로 변신할 수 있는 힘을 준다.
- ''올림푸스의 영웅들'' 책 시리즈에서, 데미갓 프랭크 장은 그의 조상 포세이돈으로부터 변신 능력을 선물로 받는다.
- 그래픽 소설 ''니모나''와 애니메이션 영화 각색에서, 제목의 캐릭터는 장난기 많은 변신자이다.
- ''벤 10'' 프랜차이즈(특히 벤 테니슨)에서, 옴니트릭스를 사용하는 캐릭터는 다양한 외계 종족으로 변신할 수 있다.
- 일라스티걸은 픽사의 애니메이션 슈퍼히어로 영화 ''인크레더블''에 등장하는 허구의 슈퍼히어로이며 변신할 수 있다.[50][51]
- 마이클 잭슨 뮤직 비디오 2편, 스릴러에서는 마이클 잭슨이 늑대인간과 좀비로 변신하고, 블랙 오어 화이트에서는 그가 표범으로 변신하며 인종 간의 얼굴 모핑이 포함된다.
- 스눕 독 노래 "내 이름이 뭐지?"의 뮤직 비디오에서 스눕 독 자신과 다른 사람들은 도베르만, 로트와일러, 핏불, 코커 스패니얼 및 기타 개 품종과 같은 개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현대의 변신 모티프는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에 대한 기대와 불안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유전자 변형, 인공지능, 로봇 기술 등은 인간의 정체성과 존재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며, 이는 변신 모티프를 통해 탐구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Forewor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백과사전
Glamour
[3]
서적
Meeting The Other Crowd: The Fairy Stories of Hidden Ireland
[4]
서적
Scottish Highlanders and Native Americans: indigenous education in the eighteenth-century Atlantic world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5]
백과사전
Shape-shifting
[6]
학술지
Shapeshifting in Old Norse-Icelandic Literature
[7]
웹사이트
Loki – Norse Trickster Loki
http://ancienthistor[...]
about.com
2010-06-18
[8]
학술지
Carnivore Incarnate: Wicked Wolves and Noble Bears in Norse Tales of Shapeshifting
[9]
간행물
Tor Books
[10]
서적
The Brahmayāmalatantra and Early Śaiva Cult of Yoginīs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D Thesis, UMI Number: 3292099
[11]
웹사이트
Armenian Mythology
http://bulfinch.engl[...]
[12]
서적
Filipino Popular Tales
[13]
웹사이트
A Fox Woman Tale of Korea
http://www.endicott-[...]
The Endicott Studio
[14]
서적
Bushman Dictionary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15]
서적
A brief account of Bushman folklore and other texts
https://repository.u[...]
Juta
[16]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Volume 1
https://books.google[...]
JHU Press
[17]
학술지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group sizes of river dolphins : Inia geoffrensis and Sotalia fluviatilis
https://babel.banrep[...]
[18]
웹사이트
Inia geoffrensis Amazon river dolphin (Also: boto; pink river dolphin)
https://animaldivers[...]
2024-03-11
[19]
학술지
Object carrying as socio-sexual display in an aquatic mammal
2008-06-23
[20]
서적
Half Human, Half Animal: Tales of Werewolves and Related Creatures
Authorhouse
[21]
학술지
Shameless creatures: An ethnozoology of the Amazon river dolphin
https://www.jstor.or[...]
1999-12
[22]
학술지
Amazon River dolphin love fetishes: From folklore to molecular forensics
https://onlinelibrar[...]
2008-10-22
[23]
웹사이트
TNT Folklore
http://www.triniview[...]
triniview.com
2017-01-16
[24]
웹사이트
Caribbean History Archives
http://caribbeanhist[...]
Gerard A. Besson
2017-01-16
[25]
웹사이트
Veles – The Slavic Shapeshifting God of Land, Water and Underground
https://www.slavorum[...]
2016-08-18
[26]
서적
Božanski boj: Tragovima svetih pjesama naše pretkršćanske starine
https://web.archive.[...]
IBIS GRAFIKA
[27]
웹사이트
The Laidly Worm of Spindleston Heugh
http://www.surlalune[...]
[28]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29]
서적
The Green Forest Fairy Book
Little, Brown and Company
[30]
서적
From the Beast to the Blonde: On Fairy Tales And Their Tellers
[31]
서적
Morphology of the Folk Tale
[32]
서적
The Folkta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서적
The Folkta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Dover Publications
[35]
서적
The Folkta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
웹사이트
Online text of Ch. VII in The Wonderful Adventures of Nils
https://archive.org/[...]
[37]
서적
Off with Their Heads!
[38]
서적
Off with Their Heads!
[39]
웹사이트
Married to Magic: Animal Brides and Bridegrooms in Folklore and Fantasy
https://web.archive.[...]
2006-11-11
[40]
서적
The Hard Facts of the Grimms' Fairy Tales
[41]
서적
Victorian Fantasy
[42]
서적
When Dreams Came True: Classical Fairy Tales and Their Tradition
[43]
서적
Literary Swordsmen and Sorcerers: The Makers of Heroic Fantasy
[44]
서적
The Chronicles of Narnia and Philosophy
[45]
서적
The Chronicles of Narnia and Philosophy
[46]
웹사이트
Doctor Who The Faceless Ones Blu-ray
https://merchandise.[...]
[47]
웹사이트
The Zygon Who Fell to Earth
http://www.drwhoguid[...]
[48]
웹사이트
Clip: Horror of Fang Rock: Part 4
https://www.bbc.co.u[...]
BBC
1977-09-24
[49]
서적
Breaking Dawn
Little, Brown and Company
[50]
웹사이트
Elastigirl (Helen Parr) - Incredibles - Superhero Database
https://www.superher[...]
2024-10-03
[51]
웹사이트
The Incredibles: 25 Weirdest Things About Elastigirl's Body
https://screenrant.c[...]
2024-10-03
[52]
웹사이트
Married to Magic: Animal Brides and Bridegrooms in Folklore and Fantasy
http://www.endicott-[...]
2006-11-11
[53]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Hobgoblins, Brownies, Boogies, and Other Supernatural Creatures
[54]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Hobgoblins, Brownies, Boogies, and Other Supernatural Creatures
[55]
서적
Meeting The Other Crowd: The Fairy Stories of Hidden Ireland
[56]
서적
民俗学の話
角川書店
[57]
간행물
スノッリ・ストゥルルソン『エッダ』「詩語法」訳注
広島大学文学部紀要
[5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新潮社
[59]
서적
風土記の世界
岩波書店
[60]
웹사이트
A Fox Woman Tale of Korea
http://www.endicott-[...]
[61]
웹사이트
Married to Magic: Animal Brides and Bridegrooms in Folklore and Fantasy
http://www.endicott-[...]
2006-11-11
[62]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Hobgoblins, Brownies, Boogies, and Other Supernatural Creatures
[63]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Hobgoblins, Brownies, Boogies, and Other Supernatural Creatures
[64]
서적
An Encyclopedia of Fairies, Hobgoblins, Brownies, Boogies, and Other Supernatural Creatures
[65]
서적
Meeting The Other Crowd: The Fairy Stories of Hidden Ireland
[66]
서적
민속학의 이야기
카도카와 서점
[67]
간행물
スノッリ・ストゥルルソン 「エッダ」 「詩語法」訳注
ヒロシマ ダイガク ブンガクブ キヨウ
[6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新潮社
[69]
웹사이트
A Fox Woman Tale of Korea
http://www.endicott-[...]
2006-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