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반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라반드는 아랍의 영향을 받은 스페인 춤에서 유래되었으며, 16, 17세기 스페인과 스페인 식민지에서 유행했다. 17세기에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로 전파되었고, 프랑스에서는 느린 궁정 춤으로 발전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모음곡의 일부로 편입되었으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와 같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루이 슈포어, 에드바르 그리그, 클로드 드뷔시 등 다양한 작곡가들이 사라반드를 부활시켰으며, 잉마르 베르히만의 영화 제목으로도 사용되었다. 사라반드는 3박자 리듬과 4마디 단위의 악절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로크 춤곡 - 파사칼리아
파사칼리아는 17세기 초 스페인에서 기원하여 기악 반주가 있는 춤이나 노래의 간주곡으로 사용되었으며, 베이스 위에 변주곡을 반복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브람스, 브리튼 등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준 음악 형식이다. - 바로크 춤곡 - 지그
지그는 춤곡의 한 종류이며, 어원은 여러 설이 존재하고 프랑스식과 이탈리아식으로 나뉘며, 조너선 리텔의 소설 《관대한 여인들》의 마지막 부분의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 음악에 관한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합창
합창은 여러 명이 함께 노래하는 음악 형식으로, 작곡가가 가사와 인간 목소리를 고려하여 작곡하며,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지휘자의 지휘 아래 여러 성부로 구성되어 악기 반주 또는 아카펠라로 노래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사라반드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사라방드 |
종류 | 무곡, 음악 장르 |
기원 | 스페인 |
발생 시기 | 16세기 중반 |
특징 | 느린 3박자 춤곡 |
변형 | 바로크 사라반드 콘트라댄스 사라반드 |
역사 및 특징 | |
기원 | 16세기 중반 스페인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 |
초기 형태 | 빠르고 격렬한 춤, 노래와 캐스터네츠 동반 |
프랑스 유입 | 17세기 초 프랑스 궁정 무용으로 유행, 느리고 장중한 춤곡으로 변화 |
바로크 시대 | 모음곡의 필수 악장으로 자리 잡음, 느린 3박자, 2번째 박자에 악센트 특징 |
콘트라댄스 | 18세기 후반, 콘트라댄스(컨트리 댄스)의 한 형태로 편곡되어 유행 |
음악적 특징 | |
박자 | 3/4박자 (드물게 3/2박자) |
템포 | 느림 |
리듬 | 2번째 박자에 악센트 (강세) |
형식 | 2부분 형식 (A-B) |
조성 | 단조 (장조도 사용) |
일반적인 구조 | 8마디 악절이 두 개로 나뉘어 구성 |
춤 | 남녀가 추는 춤으로, 장중하고 우아한 분위기 연출 |
주요 작곡가 및 작품 | |
작곡가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아르칸젤로 코렐리 프랑수아 쿠프랭 |
작품 |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5번 헨델: 하프시코드 모음곡 D단조 HWV 437 코렐리: 합주 협주곡 8번 "크리스마스 협주곡" |
현대적 영향 | |
영향 | 현대 음악, 영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감을 줌 |
예시 |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 배리 린든에 헨델의 사라반드 사용 |
2. 역사
사라반드는 16세기 스페인과 스페인 식민지에서 유행한 춤곡으로, 아랍의 영향을 받은 활기찬 춤에서 유래했다.[1][2] 1539년 중앙 아메리카 파나마에서 쓰여진 시에 처음 언급되었다.[3][4]
16세기 후반, 이 춤은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스페인에서 금지되기도 했지만,[5][6][7] 17세기에는 이탈리아로 전파되었고, 프랑스에서는 느린 궁정 춤으로 변화했다.[5]
18세기 바로크 음악 시대에는 모음곡의 한 악장으로 작곡되었으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와 헨델 등의 작품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도 여러 작곡가들이 사라반드를 부활시켰으며, 잉마르 베르히만 감독은 자신의 영화 제목으로 사용하기도 했다.[11]
2. 1. 기원
사라반드는 아랍의 영향을 받은 스페인 춤에서 유래되었으며, 활기찬 남녀 2열 댄서들이 캐스터네츠를 치며 춤을 추었다.[1][2] '사라반다'라는 춤은 1539년 중앙 아메리카에서 페르난도 데 구스만 메히아가 파나마에서 쓴 시 'Vida y tiempo de Maricastaña'에 처음 언급되었다.[3][4] 1596년 알론소 로페스 "엘 핀시아노"는 이 춤의 기원을 디오니소스 숭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추적했다. 이 춤은 16, 17세기에 특히 유행했으며, 처음에는 스페인과 스페인 식민지에서 인기를 끌었다.예수회 사제 후안 데 마리아나는 이 춤을 부도덕하다고 생각하여, 그의 저서 'Tratato contra los juegos públicos'(공공 오락에 대한 논문, 1609)에서 "단어는 매우 저속하고 동작은 매우 추악하여 매우 점잖은 사람에게서도 좋지 않은 감정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춤과 노래"라고 묘사했다.[5]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entremés에 등장하는 한 인물은 이 춤의 악명을 언급하며 지옥이 이 춤의 "탄생지이자 번식지"라고 말했다(origen y principio|links=noes).[6][7]
사라반드가 처음 언급된 것은 중앙 아메리카였다. 1539년 페르난도 구스만 메히아가 파나마에서 쓴 시에서 "사라반다"(zarabanda)라고 불리는 춤이 언급되었다. 이 춤은 스페인의 식민지에서 인기가 있었고, 이것이 대서양을 건너 스페인으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에서는 외설성을 이유로 1583년 8월 3일에 펠리페 2세에 의해 금지되었으며, 형벌[12][13]은 태형 200대와, 남자일 경우 6년간의 갤리선 노역형, 여자일 경우 왕국에서 추방이었다. 그러나 동시대 작가, 예를 들어 세르반테스나 로페 데 베가 등의 작품에 자주 언급되었다.
2. 2. 바로크 시대
사라반드는 원래 아랍의 영향을 받은 스페인 춤에서 유래되었으며, 활기찬 남녀 2열 댄서들이 캐스터네츠를 치며 추는 춤이었다.[1] '사라반다'라는 춤은 1539년 중앙 아메리카에서 페르난도 데 구스만 메히아가 파나마에서 쓴 시에 처음 언급되었다.[3] 16, 17세기에 이 춤은 스페인과 스페인 식민지에서 특히 유행하였다.그러나 예수회 사제 후안 데 마리아나는 이 춤을 부도덕하다고 비판하였고,[5]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작품 속 인물은 이 춤의 악명을 언급하며 지옥이 이 춤의 "탄생지이자 번식지"라고 말하기도 했다.[6] 결국 1583년 스페인에서는 이 춤이 금지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 공연되었으며 당시 문학 작품에서 자주 인용되었다.[3]
17세기에 사라반드는 이탈리아로 전파되었고, 프랑스에서는 느린 궁정 춤이 되었다.[5] 18세기 바로크 음악 작곡가들은 사라반드를 무곡 모음곡의 세 번째 악장으로 자주 사용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사라반드에 특별한 위치를 부여하기도 했는데, 골드베르크 변주곡과 요한 수난곡, 마태 수난곡의 마지막 악장 등이 그 예이다.
''라 폴리아''라는 화성 시퀀스는 무다라 (1546)와 코렐리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수십 명의 작곡가들이 사용했으며,[9] 헨델의 건반 모음곡 D단조 (HWV 437)의 4악장 사라반드 주제는 영화 ''배리 린든''에 사용되기도 했다.[10]
초기 스페인의 사라반드 음악은 알려진 바가 없다. 가장 오래된 예는 17세기 초 이탈리아의 기타를 위한 것이다. 처음에는 화성의 정형이 특징이었으나, 17세기 중반 무렵에는 리듬이 특징이 되었다. 이탈리아 성기 바로크의 소나타에서는 알레그로나 프레스토 등의 템포가 일반적이었지만 라르고나 아다지오의 경우도 있었다. 사라반드가 템포가 느린 무곡이 된 것은 프랑스에서이며, 정서적이고 우아하거나 장중한 곡조가 되었다. 17세기부터 류트와 클라브생을 위한 곡이 많이 만들어졌고, 모음곡에 빠질 수 없는 무곡이 되었다. 또한 극장 음악에서도 사라반드는 자주 사용되었다.[14] 영국의 사라반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 양쪽의 특징을 보이지만, 독일에서는 대체로 프랑스를 따라 느린 무곡으로 취급되었다.[14]
2. 3. 근대 이후
사라반드는 19세기와 20세기 초 루이 슈포어(1847년의 그의 ''살롱 작품'', Op. 135), 에드바르 그리그(1884년의 그의 ''홀베르그 모음곡''), 드뷔시, 사티와 같은 프랑스 작곡가, 그리고 본 윌리엄스(''직: 춤을 위한 가면극''), 벤자민 브리튼(''단순 교향곡''), 허버트 호웰스(''오르간을 위한 6개의 소품: 부활절 아침을 위한 사라반드'')와 같은 영국 작곡가, 카를로스 차베스(발레 ''콜키드의 딸'')에 의해 다양한 스타일로 부활했다.[11]잉마르 베르히만의 마지막 영화 ''사라반드''(2003)는 사라반드에서 제목을 따왔다. 이 영화는 베르히만이 ''외침과 속삭임''(1971)에서도 사용했던 바흐의 첼로 모음곡 5번 사라반드를 사용했다.[11] 19세기 말 이후 근대 음악에서는 바로크를 회고하거나 신고전주의적인 작풍에 의해 사라반드가 부활했다. 그리그의 『홀베르 시대에서』(1884·85년), 사티의 『3つのサラバンド|사라반드영어』(1887년), 드뷔시의 『피아노를 위해』(1894-1901년) 등이 그 예이다.
3. 특징
사라반드의 특징은 마디 내의 2박과 3박이 종종 결합되어 (예를 들어 4분의 3박자의 경우) 2분 음표 대신 점 4분 음표와 8분 음표를 조합한 리듬이 다용된다는 점이다. 이는 춤에서 끌리는 듯한 스텝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사라반드의 특징적인 장중한 리듬은 청취자에게 매우 인지하기 쉽다. 그 외의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장중한 3박자 리듬 (종종 2분의 3박자)
- 4마디 단위의 작은 악절 2개로 구성된 8마디의 큰 악절
- 시작 마디에 앞서 아우프타크트가 놓이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1990
[2]
서적
The Concis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Volume 1
https://books.googl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2013-01-11
[3]
간행물
Sarabande
[4]
문서
Panamá blues
El Hacedor
2010
[5]
문서
Saraband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6]
서적
Entremeses
Ediciones Akal
[7]
서적
Dance and Instrumental Diferencias in Spain During th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History and background, music and dance
https://books.google[...]
Pendragon Press
[8]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9]
간행물
Folia
Macmillan
2001
[10]
웹사이트
Barry Lyndon (music from the soundtrack)
http://www.allmusic.[...]
allmusic.com
[11]
웹사이트
Ingmar Bergman Saraband – Sources of inspiration
http://www.ingmarber[...]
2007-09-27
[12]
문서
正しい楽譜の読み方
現代ギター社
2009
[13]
서적
Rhythms of Resistance: African Musical Heritage in Brazil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0
[14]
Google books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15]
Google books
Dance and the Music of J.S. Ba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