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슴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슴돌은 몽골 초원과 주변 지역에서 발견되는 청동기 시대의 기념물로, 기원전 1200년부터 700년까지 제작되었다. 화강암이나 녹색암으로 만들어진 이 돌들은 높이가 1~4m 이상이며, 사슴, 무기, 사람 얼굴 등 다양한 도상이 새겨져 있다. 사슴돌은 몽골의 고대 유목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몽골형, 사얀-알타이형, 서유라시아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돌들은 매장 의식과 관련이 있으며, 동물 문양과 전차, 무기 디자인을 중국으로 전파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2023년에는 오시긴 우블 유적을 포함한 사슴돌 유적들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세계유산 - 우브스호
    몽골과 러시아 국경에 위치한 우브스호는 염도가 높은 종착 호수이며, 유라시아 스텝 지형과 다양한 생물, 유목 부족의 유적을 포함한 생태적, 문화적 가치로 인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알타이 공화국의 역사 - 아파나시에보 문화
    아파나시에보 문화는 기원전 3300년경부터 기원전 2500년경까지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준가리아에 이르는 지역에 존재했던 청동기 시대의 고고학 문화로서, 폰토스-카스피 스텝의 얌나야 문화와 유전적으로 가깝고 초기 목축 및 구리, 청동 야금술을 사용했으며 쿠르간 문화와의 연관성을 통해 초기 인도유럽어족과의 관련성이 제기된다.
  • 알타이 공화국의 역사 - 파지리크 문화
    파지리크 문화는 기원전 6세기부터 3세기까지 알타이 산맥 일대에서 번성한 유목 문화로, 동결된 매장지에서 다양한 유물과 함께 동아시아, 서방 스텝 유목민 등의 혼합된 유전적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슴돌
지도
문화
이름사슴돌 문화
다른 이름사슴돌
순록돌
위치남시베리아
서부 몽골
시대청동기 시대, 초기 철기 시대
연대기원전 1400년 - 기원전 700년
주요 유적지해당사항 없음
영향 받은 문화아파나시에보 문화
체무르체크 문화
문크하이라한 문화
삭사이 문화
영향을 준 문화서쪽: 아르잔 문화, 찬드만 문화, 파지리크 문화
동쪽: 슬라브 석판 무덤 문화
설명몽골어: Буган чулуун хөшөө
특징
특징사슴돌 문화는 주로 시베리아와 몽골에서 발견되는 거석 기념물이다.
사슴돌은 청동기 시대 후기 사람들의 삶과 기술을 보여주는 많은 특징을 묘사하고 있다.
사슴돌은 카라수크 문화 또는 사슴돌 문명 유목민들이 기원전 1200년에서 800년 사이에 세운 대규모 장례 단지의 일부이다.
무기사슴돌에 묘사된 무기는 몽골과 인접 지역에서 흔히 발견되며, 남부 시베리아 카라수크 문화 (기원전 13-8세기) 뿐만 아니라 북부 중국과 초기 스키타이 무덤 (기원전 7세기)에서도 발견된다.
연대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사슴돌은 아르잔 문화 및 기타 초기 스키타이 시대 유적보다 300년에서 500년 더 오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역사적 배경

몽골에서 사슴돌은 키르기스르라고 불리는 고분과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기원전 1200~700년경의 후기 청동기 시대 장례 의식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인다.[7] 사슴돌과 키르기스르를 건설하는 데에는 상당한 노동력과 조직력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당시 사회가 복잡한 계층 구조를 이루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사회 구조는 몽골 초원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이후 유목 국가와 제국의 기초가 되었다.[7] 무덤은 매우 얕아서 인골은 제대로 보존되지 않았으며, 유물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7]

사슴돌은 주변 지역에서 가장 풍부한 화강암 또는 녹암으로 제작된다.[6] 높이는 다양하며, 대부분 약 0.91m 이상이지만, 어떤 것은 약 4.57m에 달한다. 돌의 상단은 평평하거나 둥글거나 부서져 있는데, 이는 원래 상단이 의도적으로 파괴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돌은 일반적으로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있다.[7]

조각과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돌을 세우기 전에 완성되었지만, 일부 돌은 그 자리에서 조각된 흔적을 보인다.[47] 디자인은 돌 표면에 쪼거나 갈아 넣었다. 깊은 홈과 직각 표면은 금속 도구의 존재를 나타낸다. 돌 도구는 일부 디자인의 거친 절단을 부드럽게 하는 데 사용되었다.[7]

사슴돌의 디자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정교해졌으며, 초기에는 단순한 형태의 사슴 그림이 주로 나타났지만, 후기에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형태의 "날아가는 사슴" 그림이 등장했다. 사슴돌에 묘사된 말 도구, 각궁 및 고리토스와 같은 다양한 도구와 도구를 살펴보면, 돌을 세운 사람들은 생활 방식과 전쟁에 말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것으로 보인다.[7]

사슴돌이 놓인 환경. 몽골 북부 머뤈 인근의 청동기 시대 유적지 우쉬긴 우베르



2. 1. 기원

사슴돌 예술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사슴돌 예술은 카라수크 문화와 관련된 문화의 전통에서 간접적으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기원전 20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서부 스텝 지역의 얌나 문화에서 인간 형상을 묘사한 케르노시브스키 우상과 같은 사례가 그 기원일 수 있다.[10] 킴메르인의 석비-쿠르간 석비도 사슴돌 기원의 일부일 수 있다. 오쿠네프 문화 (기원전 2700-1800년) 역시 기원전 3000년부터
토템 형태의 입석
을 제작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어 사슴돌 기원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고전적인 사슴돌의 예술적 영감은 신석기 시대부터 북부 시베리아 생태계의 동물과 그들의 암각화 예술 표현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야콥슨(Jacobson)은 고대 스키토-시베리아 양식을 지배하는 동물들이 북부 숲 또는 숲-스텝 지역의 동물들이며, 초기 유목민 양식과 이미지의 고대성은 시베리아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동물 형상 표현 전통을 시사한다고 설명한다.

종합적으로, 고전적인 몽골형 사슴돌은 최초의 형태였을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1500년 이전에 시베리아 북부 타이가 숲에서 기원한 사슴돌 이전의 전통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사슴돌 문화는 슬라브-무덤 문화의 영향으로 서쪽으로 확산되어 초기 스키타이 알타이 전통과 만나게 되었고, 그곳에서 사얀-알타이 양식의 사슴돌이 발달했다.

1892년, V.V. 라들로프는 몽골의 사슴돌 그림 컬렉션을 출판하면서 사슴돌이 무덤 벽을 암시하는 패턴이나 정교한 원형 패턴으로 배치되어 의식에 사용되었음을 시사했다.[10]

1954년, A.P. 오클라드니코프는 울란우데 근처에서 발견된 이볼가 돌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며, 사슴 이미지를 순록으로 확인하고 기원전 6~7세기로 추정했다. 그는 돌의 배치와 다른 이미지를 통해 장례 의식과 관련된 전사 지도자의 기념비일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10]

V.V. 볼코프는 1981년 연구에서 동부 사슴돌은 슬라브 무덤 문화의 묘지와 관련이 있고, 다른 문화적 전통은 의식의 중심지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10]

H.L. 클리노바는 사슴 이미지가 사카 부족에서 유래했다고 보았고, 볼코프는 사슴돌 예술 제작 방법이 스키타이인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몽골 고고학자 D. 체벤도르지는 사슴돌 예술이 청동기 시대 몽골에서 시작되어 투바와 바이칼 지역으로 퍼져나갔다고 본다.

D. G. 사비노프(1994)와 M. H. 마나이-울(1970)은 사슴돌이 단독으로 나타나지 않고 다른 석조 기념물과 함께 나타나며, 주변 토양에서 말과 같은 동물의 유해가 발견된다는 점을 들어 종교적인 목적, 아마도 샤머니즘 의식이 일어나는 장소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6]



일부 학자들은 돌 상단의 원과 하단의 단검 및 허리띠가 인간의 신체, 특히 전사나 지도자의 신체를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날아가는 사슴 장식은 파지리크 문화의 얼음 미라 문신과 같이 죽은 자의 신체에 새겨진 문신일 수 있다는 가설도 있다.

2006년, 스미소니언 협회와 몽골 과학 아카데미는 3D 스캐너를 사용하여 사슴돌을 디지털 방식으로 기록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33]

3. 제작 방식

사슴돌은 주로 주변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이나 녹암으로 제작된다.[6] 돌의 높이는 다양한데, 대부분 약 0.91m 이상이지만, 어떤 것은 약 4.57m에 달하기도 한다. 돌의 상단은 평평하거나, 둥글거나, 부서진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원래 상단이 의도적으로 파괴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돌은 일반적으로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었다.[45][46]

조각과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돌을 세우기 전에 완성되었지만, 일부 돌은 그 자리에서 조각된 흔적을 보이기도 한다.[47] 디자인은 돌 표면에 쪼거나 갈아 넣는 방식으로 새겨졌다. 깊은 홈과 직각 표면은 금속 도구의 사용을 시사한다. 일부 디자인의 거친 부분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에는 돌 도구가 사용되었다.[48]

4. 종류

V.V. Volkov는 30년간의 연구를 통해 사슴돌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45]

사슴돌은 화강암이나 :en:Greenstone (archaeology)과 같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돌을 주재료로 만들어졌다. 높이는 약 0.91m[46]에서 약 4.57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꼭대기는 원형이거나 파쇄되어 평평한 형태를 띤다. 의도적으로 끝을 부순 흔적이 발견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사슴돌은 동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었으며, 설치 전에 조각된 경우가 많지만, 설치 위치나 방향을 고려하여 조각된 경우도 있다.[47]

대부분의 사슴돌은 인물 형상을 의도한 것으로, 일반적인 "기둥" 모양, 허리띠, 방패, 목걸이, 귀걸이 등의 장신구, 그리고 상징적이거나 사실적인 얼굴을 묘사한 부조나 그림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훼손되지 않은 경우 앞면은 항상 동쪽을 향한다.

많은 사슴돌 표면에 새겨진 양식화된 "날아가는 사슴"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묘사된 인물의 몸에 새겨진 문신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파지릭 문화 유적에서 발견된 "날아가는 사슴" 문신은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한다. 사슴돌은 죽은 자의 문신, 도구, 무기를 함께 표현한 개략적인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슴돌에 묘사된 말 도구, 각궁, 고리토스 등의 다양한 도구는 돌을 세운 사람들이 말에 크게 의존했음을 보여준다.

높이 약 1m~3m[48]의 사슴돌은 헤레크술과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사슴 외에도 활, 화살, 방패, 칼 등의 무늬가 새겨져 있기도 한데, 이러한 장신구는 카라숙 문화의 특징적인 요소이다.[49] 사슴 무늬는 전기 스키타이 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동물 무늬로 여겨지며,[49]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기원전 10~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50] 사슴돌 주변에는 지름 2m~3m의 스톤 서클이 존재하며, 의식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말의 두개골, 경추, 발굽 등이 출토되기도 한다.[49]

사슴돌의 디자인에는 명확한 연대기적 발전 순서가 없으며, 이는 이전부터 훌륭한 전통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아마도 나무와 같이 썩기 쉬운 재료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돌은 금속 도구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사용되기 시작했을 것이다. 또한, 사슴돌의 다른 유형(I, II, III 유형) 간에 명확한 연대기적 차이가 없으며, 종종 같은 장소에서 발견된다. 사이안-알타이 돌(II형)과 같은 몇몇 단순한 디자인은 실제로 몽골 디자인(I형)과 함께 가장 오래된 사슴돌(기원전 1300년) 중 하나로 연대가 측정된다.

4. 1. 제1형: 고전 몽골형



V. V. Volkov는 30년간의 연구를 통해 사슴돌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으며, 그 중 제1형은 고전 몽골형이다.

제1형 사슴돌은 묘사 기법이 매우 정교하고 우아하다. 일반적으로 허리에 띠를 두른 전사의 모습과, 그의 몸통에 양식화된 날아가는 붉은 사슴이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17] 이 유형의 돌은 주로 남부 시베리아와 몽골 북부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분포는 이 돌들이 사슴돌 전통의 기원이며, 다른 유형들은 이를 단순화하거나 정교하게 발전시킨 형태임을 시사한다.[17]

이 사슴돌들은 종종 키르기스르 매장과 관련이 있다.[17] 다만, 이 키르기스르 매장지는 더 이전의 고고학적 시대에 속하며, 사슴돌 제작자들에 의해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



사슴돌, 홉스골 주, 몽골


홉스골 사슴돌 하단 무기 확대


날아가는 사슴이 있는 사슴돌, 제1형의 특징. 울란바토르

4. 2. 제2형: 사얀-알타이형

사얀-알타이형 사슴돌은 자유롭게 떠다니는 곧은 다리 동물, 단검 및 기타 도구를 포함하여 일부 서아시아-유럽의 특징을 보인다. 사슴 모티프의 출현이 현저히 감소했으며, 나타나는 것들은 순록과 비행의 관계를 강조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얀-알타이형 사슴돌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유형으로 세분될 수 있다.

  • 고르노-알타이형: 돌의 허리띠 부분에 도구를 표시하는 단순한 전사 모티프를 가지고 있다. 순록 모티프가 나타나지만 거의 없다. 알타이의 사슴돌은 정기적으로 초기 스키타이 파지리크 문화와 연관된다.[14]
  • 사얀-투바형: 고르노-알타이형과 유사하지만 동물의 이미지가 더 적다. 사슴 모티프는 없다. 예술적 스타일은 훨씬 단순하며 종종 벨트, 목걸이, 귀걸이 및 얼굴로만 구성된다. 투바에서 사슴돌은 아르잔 1 및 아르잔 2의 부유한 스키타이 매장과 관련이 있다.[14]


4. 3. 제3형: 서유라시아형

제3형 사슴돌은 두 개의 가로선 또는 "벨트"로 구획된 돌의 중앙 부분을 특징으로 한다. "귀걸이 고리", 큰 원, "얼굴"이라고 알려진 두 개 또는 세 개의 그룹으로 된 사선, 그리고 이름과 유사한 돌구덩이 모음인 "목걸이"도 주요 특징이다. 우랄 산맥 지역, 크림 반도, 심지어 엘베강까지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발견된 기원전 600-300년 사이의 기념물도 "사슴돌"로 분류되기도 한다.[10][11]

Type III: 유라시아형

5. 도상학

사슴돌에는 다양한 이미지와 문양이 나타나며, 이를 표현하는 방식 또한 다양하다. 주로 화강암이나 :en:Greenstone (archaeology)을 재료로 사용하는데, 이는 사슴돌이 출토되는 유적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다.[45]

사슴돌의 높이는 약 0.91m에서 약 4.57m에 이르는 등 다양하며, 기둥 꼭대기는 원형이거나 파쇄되어 평평한 형태를 띤다. 의도적으로 기둥 끝을 부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사슴돌은 대체로 동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었으며, 대부분의 조각은 돌을 세우기 전에 이루어졌지만, 일부는 설치 위치나 방향을 고려하여 조각된 흔적이 발견된다.[47]

사슴돌에는 사슴 외에도 활, 화살, 방패, 칼 등 카라숙 문화 특유의 무늬가 새겨져 있기도 하다.[49] 이러한 요소들과 사슴 무늬가 전기 스키타이 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동물 무늬라는 점[49]을 고려하여, 사슴돌은 기원전 10~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50] 사슴돌 주변에는 지름 2m~3m의 스톤 서클이 있으며, 여기에서 의식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말의 두개골, 경추, 발굽 등이 출토되기도 한다.[49]

V.V.Volkov는 30년간의 조사 끝에 사슴돌을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5. 1. 순록

거의 모든 사슴돌에는 순록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순록은 붉은사슴 또는 마랄( ''Cervus elaphus sibericus'')로 추정된다.[16] 초기 돌에는 단순한 순록 이미지가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디자인은 점점 더 정교해진다. 500년의 공백 이후, 복잡한 날아가는 순록 묘사가 나타난다. 순록은 단순히 땅 위를 달리는 것이 아니라 공중을 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인류학자 피어스 비테브스키는 "순록은 목을 쭉 뻗고 앞뒤로 다리를 뻗은 채로 묘사되어 단순히 질주하는 것이 아니라 공중을 뛰어넘는 것처럼 보인다"고 썼다.[6]

뿔은 때때로 쌍으로 나타나며, 전체 사슴을 아우를 수 있는 방대한 나선형 디자인을 사용하여 극도로 화려해졌다. 이러한 뿔은 때때로 태양 원반 또는 기타 태양 관련 이미지를 담고 있다. 같은 시대의 다른 예술 작품은 순록과 태양의 연관성을 더욱 강조하는데, 이는 시베리아 샤머니즘에서 매우 흔한 연관성이다. 매장된 전사의 문신에는 작은 새 머리로 장식된 뿔을 특징으로 하는 사슴이 새겨져 있다.

이 순록-태양-새 이미지는 샤먼의 영적인 변형을 땅에서 하늘로, 즉 현세의 삶에서 천국의 삶으로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슴 이미지가 전사의 문신에도 나타나기 때문에 순록이 위험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한다고 믿어졌을 가능성도 있다.[17] 또 다른 이론은 사슴 영혼이 전사의 영혼이 천국으로 가는 것을 돕는 안내자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17]

5. 2. 기타 동물

사얀-알타이 사슴돌에는 순록 외에도 호랑이, 돼지, 소, 말, 개구리, 새 등 다양한 동물들이 묘사되어 있다.[17] 순록과는 달리, 이러한 동물들은 더 자연스러운 스타일로 묘사된다. 이 동물들은 종종 서로 대치하는 모습으로 짝을 이루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호랑이가 말과 대치하는 모습은 훨씬 더 현실적인 활동을 나타낸다.[17] 이러한 장식적 세부 묘사의 부족은 이 동물들이 순록에 비해 초자연적 중요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17]

5. 3. 문양

꺾쇠표 문양은 가끔 나타나며, 보통 돌의 상단 부분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문양은 군사용 방패와 유사하여, 돌이 무력 충돌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45] 또한 꺾쇠표 문양이 해골을 나타내는 주술적 상징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45]

5. 4. 사람 얼굴

돌의 윗부분은 보통 둥글거나 평평하지만, 때로는 각을 지어 조각되어 높은 면이 동쪽을 향한다.[13] 사람의 얼굴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주로 돌의 윗부분에 새겨지고 역시 동쪽을 향한다. 얼굴은 몇 개의 규칙적인 빗금(//, ///)으로 상징적으로만 표현되기도 한다.[13] 목에는 보통 구슬 끈 형태의 목걸이가 장식되어 있으며, 커다란 둥근 귀걸이가 옆면에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청동기 후기의 유행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13] 이러한 얼굴들은 마치 노래하는 것처럼 입을 벌리고 조각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샤머니즘에서 목소리 표현이 흔하고 중요한 주제이기 때문에 사슴돌의 종교적/샤머니즘적 연관성을 시사한다.[13]

사슴돌에 새겨진 사람의 얼굴은 때때로 얼굴이 길고, 코가 길며, 눈이 깊게 새겨진 유럽형처럼 보이기도 한다.[19] 일부 인물은 초기 유목민 또는 스키토-시베리아 스타일로 후드를 쓴 모습으로 나타난다.[19]

5. 5. 무기와 도구

사슴돌에 묘사된 지도자들은 칼, 단검, 자루가 있는 도끼, 화살통, 불쏘시개, 전차의 곡선형 고삐 걸이와 같은 무기와 도구를 갖추고 있었다.[17] 활과 단검이 자주 나타나며, 불쏘시개나 전차 고삐 걸이와 같은 전형적인 청동기 시대 도구도 보인다.[17] 이러한 도구의 출현은 돌의 시기를 청동기 시대로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슴돌 무기는 일반적으로 북서쪽의 동시대 카라숙 문화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고대 금속 공예의 잘 알려진 중심지로서 상 왕조 중국까지 영향을 미쳤다.[5][20]

사슴돌에 새겨진 무기 및 도구 (제1형, 제2형, 제3형)
유형무기 및 도구
제1형칼집이 있는 긴 칼, 뿔 달린 동물 머리와 칼집이 있는 단검, 오픈워크 칼집이 있는 칼, 동물 머리와 칼집이 있는 단검, 손잡이가 있는 단검, 고리가 있는 칼, 고리와 칼집이 있는 칼, 깃발이 달린 창, 활과 화살통, 손도끼, 긴 자루 소켓 도끼[21][22]
제2형 및 제3형양날의 곧은 칼과 둥근 손잡이가 있는 단검, 곡궁, 긴 자루 도끼[21][22]





전차는 서부 유라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사슴돌 문화에서 말 전차의 발전은 그 확장이었지만, 이는 아마도 상 왕조 중국에서 말 전차의 등장을 자극했을 것이다. 사슴돌-키리그수르 문화에 해당하는 몽골 고원 지역은 "동아시아의 전차와 말 사용(및 관련 무기 및 도구)의 주요 기원 지역"이자 "안양" (중국 상 왕조 수도)에서 사용된 전차와 말의 기원으로 확인되었으며, 무기 기술과 디자인뿐만 아니라 말 전차 자체에도 기여했다.[23] 고삐는 기원전 1200년경 은허에서 중국에 처음 등장했으며, 아마도 북부 지역에서 중국으로 도입되었을 것이다.

상 왕조로 이러한 기술을 몽골 스텝에서 이전하는 데에는 테브시-울란주크 문화의 사람들이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들은 사슴돌 문화와 유사한 손 무기를 가지고 있었다.

사슴돌의 높이는 약 1~3m[48]이며, 헤레크술과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사슴 외에도 활, 화살, 방패, 칼 등의 무늬가 새겨져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장신구의 무늬는 카라숙 문화 특유의 것이다.[49]

5. 6. 말과 전차

몽골에서 확인된 가장 초기의 가축화된 말은 사슴돌 문화의 사람들에게 속한다.[22] 말은 사슴돌 건축가들의 생활 방식의 중심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기병용으로 사용되었는지 또는 수레를 끄는 데 사용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사슴돌에는 말 위에 탄 기병을 나타내는 그림은 없다.[22] 동부 유라시아에서 말 타기의 첫 번째 증거는 기원전 1천년 초 알타이 산맥에서 발견되었으며, 말 안장의 확실한 증거는 기원전 400년에 파지릭 문화의 사카 유적에서만 발견된다.[22]

반대로, --이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두 마리의 말과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가 포함되어 있다.[22] 고삐 걸이와 같이 수레 타기에 전형적인 다양한 도구들도 사슴돌 그림에 나타난다.[23] 고삐 걸이는 기병의 손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고삐를 제자리에 고정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아마도 기병의 허리에 걸려 있었을 것이다.[24] 이것은 무기를 사용하는 동안 "자유로운 손"으로 말을 제어하기 위한 허리에 부착된 고삐 걸이로 작동했다.[25]

전차는 서부 유라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사슴돌 문화에서 말 전차의 발전은 그 확장이었지만, 이는 아마도 상 왕조의 중국에서 말 전차의 부상을 자극했을 것이다.[22] 사슴돌-키리그수르 문화에 해당하는 몽골 고원 지역은 "동아시아의 전차와 말 사용(및 관련 무기 및 도구)의 주요 기원 지역"이자 "안양" (중국 상 왕조 수도)에서 사용된 전차와 말의 기원으로 확인되었으며, 무기 기술과 디자인뿐만 아니라 말 전차 자체에도 기여했다.[23] 고삐는 기원전 1200년경 은허에서 중국에 처음 등장했으며, 아마도 북부 지역에서 중국으로 도입되었을 것이다.

중국에서 전차의 채택은 기원전 1200년경, 상나라 황제 무정 시대에 이루어졌다.[39] 당시 중국 비문에는 전차를 탄 북방의 적, 즉 중국인이 "귀방"(귀신족) 또는 "선운"이라고 부르는 자들과의 주요 충돌도 보고되었다.[40]

상 왕조의 중국으로 이러한 기술을 몽골 스텝에서 이전하는 데에는 테브시-울란주크 문화의 사람들이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들은 사슴돌 문화와 유사한 손 무기를 가지고 있었다.[37] 북부 민족은 전차 장비와 함께 엎드린 자세로 매장된 많은 무덤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수도 안양에 많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아마도 전문적인 전차 기술과 관련 전쟁 기술을 위해 중국에 의해 사용되었을 것이다.

6. 목적과 의미

사슴돌의 정확한 목적과 의미는 아직까지 논쟁의 대상이지만,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몽골에서 사슴돌은 일반적으로 키르기스르 고분과 관련이 있으며, 기원전 1200~700년경의 후기 청동기 시대 장례 의식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인다.[7] 무덤은 매우 얕아서 인골은 제대로 보존되지 않으며, 유물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7] 인골 흔적이 전혀 없다는 것은 사슴돌이 묘비가 아님을 확인시켜준다. 아마도 죽은 지도자가 다른 곳에서 잃거나 매장된 세노타프 기념물일 것이다.[7]

많은 사슴돌 표면의 스타일화된 "날아가는 사슴"은 장식 디자인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묘사된 특정 개인의 몸에 새겨진 문신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가설은 파지릭 문화의 개인 피부에서 "날아가는 사슴"의 광범위한 문신 으로 강화되었다. 사슴돌은 죽은 자의 문신, 몸체, 도구 및 무기를 함께 표현한 개략적이지만 완전한 표현일 수 있다.[7]

사슴돌에 묘사된 말 도구, 각궁 및 고리토스와 같은 다양한 도구와 도구를 살펴보면, 돌을 세운 사람들은 생활 방식과 전쟁에 말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것으로 보인다.[7]

돌에 새겨진 표시와 희생 유물의 존재는 종교적인 목적, 아마도 샤머니즘 의식이 일어나는 주요 장소를 시사할 수 있다.[6]

일부 돌은 상단에 원이 있고 하단에 양식화된 단검과 허리띠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윌리엄 피츠휴와 같은 일부 학자들이 돌이 영적인 인간의 신체, 특히 전사나 지도자와 같은 저명한 인물의 신체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제안하도록 이끌었다.[7] 장식적인 날아가는 사슴은 실제로 파지리크에서 발견된 얼음 미라의 문신과 같이 죽은 자의 신체에 새겨진 문신일 것이다.[32] 이 이론은 각 돌이 그것을 대표하는 개인에 대한 독특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때문일 수 있다.

V.V. 볼코프의 1981년 연구는 사슴돌 뒤에 있는 두 가지 문화적 조건을 확인했다. 동부 사슴돌은 슬래브 무덤 문화의 묘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문화적 전통은 의식의 중심지로 사용되었음을 암시하는 원형 구조와 관련이 있다.[10]

V.V.Volkov가 30년 동안 조사한 바에 따르면 사슴돌은 3가지 유형으로 크게 나뉜다.

사슴돌 예술의 기원은 여전히 불확실하다.[7] 현재 자료에 따르면, 사슴돌 예술은 카라수크 문화 관련 문화의 보존되지 않은 전통에서 간접적으로 파생되었을 수 있으며, 기원전 2-1천년기에 서부 스텝의 얌나 문화에서 인간 형상을 묘사한 사례, 예를 들어 케르노시브스키 우상이 그 기원일 수 있다.[7]

7. 쇠퇴와 유산

기원전 700년경, 몽골 중부와 동부에서 "사슴돌 문화"는 판무덤 문화로 대체되었다.[42] 판무덤 유적은 대부분 신석기 시대 아무르 계통이었지만, 일부는 기존의 훕스걸/바이칼 수렵 채집인과 신석기 시대 아무르 계통이 혼합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울란주크/판무덤 계통이 북쪽과 서쪽으로 확산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 일치한다.[42] 서쪽에서는 "사슴돌 문화"가 우유크 문화, 찬드만 문화, 파지릭 문화와 같은 다양한 사카 문화로 대체되거나 발전했다.[12]

기원전 700년경, 초기 철기 시대에 판무덤 문화가 몽골 중부로 확장되어 사슴돌 유적지를 점령했다. 남부 시베리아와 서부 몽골에서는 고전 사카 문화가 번성하기 시작했다.

7. 1. 동물 문양

사슴돌에 동물들을 예술적으로 묘사한 것은 가장 초기에 인식된 동물 문양의 한 유형이다. 이 양식은 기원전 1천년기에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 스키토-시베리아 미술의 특징이 되었다.[34] 동물 문양과 사얀-알타이 사슴돌의 확산은 스키타이 집단의 서쪽 이동에 의해 뒷받침되었으며, 이들은 그리스 기록에서 사카 또는 사르마티아인으로 알려졌다.

남동쪽으로, 상하가점 문화는 기원전 9세기부터 시작된 북중국의 가장 초기의 "스키타이"(사카) 문화로 여겨진다.[35] 그곳의 동물 문양 발달은 기원전 9-8세기에 몽골 유목민과의 접촉의 결과였을 수 있다.[35]

7. 2. 중국으로의 전차와 무기 디자인 전파

전차는 서부 유라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사슴돌 문화에서 말 전차의 발전은 그 확장이었지만, 이는 아마도 상 왕조의 중국에서 말 전차의 부상을 자극했을 것이다.[3] 몽골 고원 지역은 동아시아의 전차와 말 사용(및 관련 무기 및 도구)의 주요 기원 지역이자 안양 (중국 상 왕조 수도)에서 사용된 전차와 말의 기원으로 확인되었으며, 무기 기술과 디자인뿐만 아니라 말 전차 자체에도 기여했다.[36] 고삐는 기원전 1200년경 은허에서 중국에 처음 등장했으며, 아마도 북부 지역에서 중국으로 도입되었을 것이다.[23]

중국에서 전차의 채택은 기원전 1200년경, 상나라 황제 무정 시대에 이루어졌다.[39] 당시 중국 비문에는 전차를 탄 북방의 적, 즉 중국인이 "귀방"(귀신족) 또는 "선운"이라고 부르는 자들과의 주요 충돌도 보고되었다.[40]

상 왕조의 중국으로 이러한 기술을 몽골 스텝에서 이전하는 데에는 테브시-울란주크 문화의 사람들이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들은 사슴돌 문화와 유사한 손 무기를 가지고 있었다.[36] 북부 민족은 전차 장비와 함께 엎드린 자세로 매장된 많은 무덤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수도 안양에 많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아마도 전문적인 전차 기술과 관련 전쟁 기술을 위해 중국에 의해 사용되었을 것이다.[36] 수많은 북방 스텝 스타일의 중국 유물이 확인되었다.[36]

사슴돌의 예술은 또한 중국 예술, 특히 서주 (기원전 1045–771년) 시대에 자연주의와 동물 테마가 갑자기 나타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41]

8. 세계유산

사슴돌을 포함하는 오시긴 우블 유적(Uushigiin Övör, 흐브스걸주) 등 4건의 청동기 시대 후기 고고 유적이 202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51]

8. 1. 등재 기준

Deer Stone Monuments and Related Bronze Age Sites영어은 2023년 유네스코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51] 등재 기준은 다음과 같다.

  • (1): 독창적인 예술적, 역사적 업적, 또는 희귀하거나 뛰어난 보편적 의미를 지닌 문학적, 예술적 작품을 포함하는 인간의 창의성의 걸작을 나타낸다.
  • (3): 현재 존재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특별한 증거를 제시한다.

참조

[1] 논문 Mongolian Deer Stones, European Menhirs, and Canadian Arctic Inuksuit: Collective Memory and the Function of Northern Monument Traditions https://doi.org/10.1[...] 2017-03-01
[2]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3] 논문 Radiocarbon dating and cultural dynamics across Mongolia's early pastoral transition 2019-11-06
[4] 웹사이트 The Mysterious Steles of Mongolia https://news.cnrs.fr[...]
[5] 논문 Deer Stone Culture of Mongolia and Neighboring Regions https://www.academia[...] 2021
[6] 서적 Reindeer People: Living with Animals and Spirits in Siberia Harper Perennial 2011
[7] 서적 Монголын Умард нутгийн буган хөшөөд Ж. Баярсайхан 2017
[8] 논문 The Tumulus and Stag Stones at Shiebar-kul in Xinjiang, China https://www.f.waseda[...] 2002
[9] 웹사이트 Statues – "Deer stones" with photograph https://nav.shm.ru/e[...] Moscow State National Museum
[10] 서적 The deer goddess of ancient Siberia : a study in the ecology of belief https://books.google[...] Brill 1993
[11] 논문 Turkic Stelae - Figures https://www.academia[...] 2018-01-01
[12] 논문 Integrating Linguistic, Archaeological and Genetic Perspectives Unfold the Origin of Ugrians 2023-07
[13] 논문 Mongolian Deer Stones, European Menhirs, and Canadian Arctic Inuksuit: Collective Memory and the Function of Northern Monument Traditions https://doi.org/10.1[...] 2017-03-01
[14] 서적 Scythians: warriors of ancient Siberia https://www.academia[...] British Museum 2017-01-01
[15] 논문 Mongolian Deer Stones, European Menhirs, and Canadian Arctic Inuksuit: Collective Memory and the Function of Northern Monument Traditions https://doi.org/10.1[...] 2017-03-01
[16] 논문 Khyadag and Zunii Gol: Animal Art and the Bronze to Iron Age Transition in Northern Mongolia 2021
[17] 서적 Current Archaeological Research in Mongolia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at 2009
[18] 논문 Steppe Weapons in Ancient China and the Role of Hand-to-hand Combat https://www.academia[...] 2015
[19] 논문 Deer Stones and Warriors: Anthropomorphic Monoliths of the First Millennium B.C. https://doi.org/10.1[...] Brill 1993-01-01
[20] 논문 Deer Stones and Warriors: Anthropomorphic Monoliths of the First Millennium B.C. https://doi.org/10.1[...] Brill 1993-01-01
[21] 논문 Mongolian Deer Stones, European Menhirs, and Canadian Arctic Inuksuit: Collective Memory and the Function of Northern Monument Traditions https://www.research[...] 2017-03-01
[22] 논문 Les "pierres à cerfs" des vallées Hunuy et Tamir en Mongolie https://hal.science/[...] 2005
[23] 서적 The Metal Road of the Eastern Eurasian Steppe: The Formation of the Xiongnu Confederation and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1-03
[24] 논문 Also on the typology of bow-shaped objects and relevant issues 2012-01-01
[25] 서적 Communications And The Earliest Wheeled Transport of Eurasia https://archive.org/[...] 2012
[26] 문서 Actual 2-horse chariot with photograph http://paleolithic-n[...]
[27] 서적 Communications And The Earliest Wheeled Transport of Eurasia https://archive.org/[...] 2012
[28] 논문 Chariots in the Bronze Age of Central Mongolia based on the materials from the Khoid Tamir river valley https://doi.org/10.1[...] 2021-09-01
[29] 논문 Genomic Insights into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East Asia 2021
[30] 논문 Early Pastoral Economies and Herding Transitions in Eastern Eurasia 2020-01-22
[31] 논문 Bronze Age population dynamics and the rise of dairy pastoralism on the eastern Eurasian stepp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32] 문서
[33] 웹사이트 The Mongolian-Smithsonian Deer Stone Project (DSP) https://global.si.ed[...] 2022-09-03
[34] 논문 Early Pastoral Economies and Herding Transitions in Eastern Eurasia 2020-01-22
[35] 논문 THE CULTURES OF THE EARLY IRON AGE IN CHINA AS A PART OF THE SCYTHIAN WORLD https://cyberleninka[...] 2020
[36] 웹사이트 Ancient Mongolia https://artsandcultu[...] The National Museum of Mongolia
[37] 웹사이트 Shang knife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38] 서적 Traders and raiders on China's northern frontier: 19 November 1995 - 2 September 1996, Arthur M. Sackler Gallery https://ia601307.us.[...]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 [u.a.] 1995
[39] 논문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Introduction of The Chariot Into China https://www.jstor.or[...] 1988
[40] 논문 The Triumph: A Heritage of Sorts http://www.chinaheri[...] 2009
[41] 논문 BEYOND THE FRONTIER: A Reconsideration of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China and the Early Nomads https://www.jstor.or[...] 1988
[42] 논문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of the Xiongnu Empire at imperial and local scales 2023-04-14
[43] 논문 Ties between steppe and peninsula: Comparative perspective of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of Мongolia and Кorea 2020-11-21
[44] 서적 Deer Stones of the Jargalantyn Am 2011
[45] 웹사이트 The Reindeer People: Living with Animals and Spirits in Siberia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Company 2011-12-20
[46] 웹사이트 Project Muse http://muse.jhu.edu/[...]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11-12-29
[47] 웹사이트 American-Mongolia Deer Stone Project http://www.mnh.si.ed[...] Arctic Studies Center 2011-12-28
[48] 문서 遊牧国家の誕生・16P
[49] 문서 遊牧国家の誕生・18P
[50] 문서 遊牧国家の誕生・19P
[51] 웹사이트 Deer Stone Monuments and Related Bronze Age Sites https://whc.unesco.o[...] 2023-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