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기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 기술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상호 작용하는 데 필요한 도구로, 협동, 멘토링, 협상, 설득, 봉사 지향, 사회 지각력 등을 포함한다. 사회 기술은 목표 지향적이며, 결핍은 인지 및 모방 실패, 특정 상황에서의 부적절한 행동 수행 실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알코올 남용, ADHD, 자폐스펙트럼장애, 불안, 우울, 반사회적 장애 등 다양한 요인들이 사회 기술 결핍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행동 치료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사회 기술은 사람들이 소통, 학습, 도움 요청, 욕구 충족, 타인과의 교류, 친구 사귀기, 건강한 관계 수립, 자기 보호, 그리고 사회와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이다.[1] 사회 기술은 신뢰성, 공손, 책임, 공정, 배려, 시민정신과 같은 필수적인 성격 특성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내적인 도덕 기준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어, 생각과 행동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도록 이끌며, 사회 역량을 키우는 데 기여한다.
1998년 그레샴(Gresham)은 사회 기술 결핍을 발달 및 이행 단계와 관련지어 다음과 같이 범주화했다.[5]
2. 목록과 범주화
2. 1. 미국노동부 분류
미국노동부가 규명한 중요한 사회 기술은 다음과 같다.2. 2. 목표 지향성
사회 기술은 주요 목표와 하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2] 예를 들어, 직장 신입 사원이 고참 직원과 상호작용하는 것은 정보 수집이라는 주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신입 사원은 고참 직원과 라포를 형성하여 주요 목표를 달성하려는 하위 목표를 가질 수 있다.[3] 일본 학자 도이 다케오는 의식에 관한 연구에서 언어적 표현과 관습을 의미하는 '다테마에(建前)', 관습 뒤에 숨은 실제 동기를 의미하는 '혼네(本音)'로 구분하였다.[4]
3. 결핍 원인
성인 시기 행동 수정(adjustment)을 고려하면, 사회 기술 결핍은 행동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지장이 되기도 한다.[6]
사회 기술 결핍은 알코올 의존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스펙트럼장애, 불안 및 우울증, 반사회적 성격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3. 1. 알코올 남용
알코올 의존증 환자는 뇌 전전두피질 손상으로 인해 사회 기술에 심각한 장애를 겪는다.[7] 이는 알코올 남용이 뇌에 장기적인 신경독성 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이다.[7] 알코올 남용으로 인해 손상되는 사회 기술에는 안면 감정 인식 장애, 운율 인지 문제, 마음이론 결핍 등이 있다.[7] 유머를 이해하는 능력 또한 알코올 중독자들에게는 저하된다.[7] 태아 알코올 증후군 환자 역시 사회 기술 결핍을 보이며, 이러한 결핍은 평생 지속되거나 뇌 노화에 따라 악화될 수 있다.[8]
3. 2. ADHD와 운동과잉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및 운동과잉장애(hyperkinetic disorder) 환자는 사회적 상호작용 등 사회 기술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9] ADHD 아동 및 청소년의 절반 가량이 또래에게 거절당하는 경험을 한다. 반면 일반 아동 및 청소년은 또래에게 거절당할 확률이 10–15%에 불과하다. ADHD 청소년은 친밀한 우정이나 연애 관계 형성이 어렵다. 이들은 ADHD나 관련 증상을 가진 또래, 혹은 그런 증상에 강한 내성을 가진 또래를 제외한 다른 또래들에게 미성숙하거나 사회에서 버림받은 사람으로 취급된다. 그러나 이들이 성숙하면 관계 형성은 쉬워진다. 사회 기술 훈련, 행동 수정, 약물치료는 효과가 있다. ADHD 청소년이 훗날 정신질환을 겪지 않으려면 비행이나 범죄 행위가 없는 친구, 심각한 정신질환이나 발달장애가 없는 친구를 사귀는 것이 중요하다. 또래 관계가 빈약하면 우울증, 우범성, 학업 실패, 약물 남용 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10][11]
3. 3. 자폐스펙트럼장애
자폐증이나 아스퍼거 증후군을 포함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사람은 사회기능의 결여가 특성이 되기도 한다. 자폐스펙트럼 측면에서 사회 기술이란 개념에 의문이 제기되었다.[12] 자폐 아동의 욕구에 대한 반응으로, 로만칙(Romanczyk)은 사회적 상황에 따라 자폐 아동의 특정 반응을 맞춰주는 방식이 아니라, 행동수정과 함께 사회 습득(social acquisition)의 포괄적 모델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13]
3. 4. 불안과 우울
타인과 사회화할 기회가 거의 없던 이들은 사회 기술로 인해 무척 힘들어한다. 이는 불안이나 우울 등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하향나선효과(downward spiral effect)를 가져다준다. 대인관계에서의 평판에 대한 걱정과 타인의 부정적 반응에 대한 공포로 인하여 겪는 사회불안 때문에, 실패나 사회적 거절에 대한 과도한 예상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피하거나 이로부터 차단하는 현상을 일으킨다.[14] 사회불안이 높은 사람은 타인과 소통할 때 매우 힘들어하며, 사회적 단서(social cue)나 행동을 적절히 보여주는 능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15] 소셜 미디어 사용은 불안과 우울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국립건강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health) 국립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의 3,56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인터넷은 많은 문제를 낳고 있으며 미국 고등학생 4% 정도가 인터넷 사용 문제를 보이고, 이는 우울과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 연구 대상의 1/3 가량인 28.51%는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인터넷에서 시간을 보낸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다른 연구들은 인터넷 사용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기도 한다.[16]
우울증 역시 사회화 기회를 피하게 하여 사회 기술을 저해시키고 사회화에 관심을 떨어뜨린다.[17]
3. 5. 반사회적 장애
Snakes in Suits: When Psychopaths Go to Work의 저자들은 직장 내 사이코패스에 대해 탐색한다. FBI 고문들은 전형적인 사이코패스(psychopath)들이 힘을 갖고 유지하는 5단계 모델을 제시한다. 이들이 보이는 특성들은 피상적 매력(superficial charm), 부정직, 자아중심주의, 조종성, 과대성, 공감결여, 낮은 우호성, 착취성, 독립성, 경직성, 완고함, 독재 경향 등이다. 바비악(Babiak)과 헤어(Hare)는 사이코패스를 변호하며, 성공은 최선의 복수라고 생각하며, 이들의 문제 행동은 통찰이 거의 없기에 무한히 반복된다고 말한다. 또한 이들은 분노, 좌절, 격노 등 원감정은 저항할 수 없는 매력으로 굴절된다고 말한다.
바비악 등은 감정파악능력(emotional literacy)과 도덕적 양심의 결여는 강함,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능력, 탁월한 위기 관리 능력으로 혼동된다고 지적한다. 또한 바비악 등은 사이코패스는 치료 효과를 볼 수 없다는 연구로부터 규정한 사이코패스의 실체를 강조한다.[18][19]
뉴욕 버팔로 대학교 에밀리 그리잘바는 사업상의 자기애(narcissism)를 조사하였다. 그리잘바는 취약한 자기애와 과대 자기애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20] 과대 자기애가 평범한 정도는 탁월한 관리자가 되는 것과 연결된다고 보았다. 과대 자기애는 자신감을 특성으로 한다. 이들은 자신이 우월하다는 흔들리지 않는 신념이 있다. 이들은 매력적일 수 있고 오만할 수도 있으며, 이기적이고 남을 이용하며 권리를 주장하기도 한다.[21] 독일 쾰른대학교 옌스 랑게와 얀 크루시우스는 직장내 자기애성 야심가와 '악성-양성 질투'를 연관지었다. 과대 자기애성자는 자존감이 낮아지거나 신경증을 보이는 경우가 적고, 질투가 함께 하면 취약한 자기애성자에게는 보일 수 있는 불안과 우울에 덜 민감해진다. 반면, 취약한 자기애성자는 자신이 특별하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보이길 원하나 그렇게 유능하거나 매력 있지는 않은 사람이다. 그 결과 이들의 자존감은 상당히 동요한다. 이들은 자의식이 강하고 수동적이지만 과장된 자기상이 위협받으면 폭력성을 동반할 수 있는 공격성이 폭발할 수 있다.[22] 리처드 보야치스(Richard Boyatzis)는 이것이 건설적으로 공유할 수 없는 감정 표현의 비생산적 형태로, 알맞은 사회 기술의 결여를 반영한다고 말한다.[2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 사회과학자이자 행동과학자인 에디 브루멜만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 콜럼버스 교정 브래드 부쉬먼은 서구 문화에서 자기애는 관계가 아닌 자아로 초점이 옮겨지면서 상승세에 있으며, 모든 자기애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즉 '건강하지 못한 우월성의 느낌'이라고 표현한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립대학교 데이비드 킬리는 자기애가 일시적으로 도움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자기에게 충실하고 개인 본연의 성실성을 갖고, 타인에게 친절하게 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한다.[24]
4. 관리
사회 기술은 행동 치료를 통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4. 1. 행동치료
행동주의는 사회 기술을 사회적 보상을 쉽게 얻도록 기능하는 학습된 행동이라고 본다. 슈나이더와 번의 1985년 연구에 따르면, 사회 기술 훈련에 대한 조작적 조건화 절차가 가장 큰 효과를 가지며, 모델링, 코칭, 사회인지기법이 그 뒤를 따른다.[25] 행동분석가들은 사회 기술보다 행동기술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26] 행동기술 훈련은 공동체 강화 접근 및 가족 훈련과 같은 중독 치료 프로그램에서 사용된다.[27]행동기술 훈련은 경계선 인격장애,[28] 우울증,[29] 발달장애 환자에게도 사용된다.[26][30] 일반적으로 행동주의자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중요한 기술인 끝기술을 발달시키려 한다.[31] 이러한 치료 접근법은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 문제를 겪으며, 안전한 환경에서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와 처벌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 기반한다. 또한 올바른 기술을 통해 보상을 늘려나가는 방법을 다룬다.
참조
[1]
서적
Teaching Social Skills to Youth: A Step-by-step Guide to 182 Basic to Complex Skills Plus Helpful Teaching Techniques
https://books.google[...]
Boys Town Press
2017-10-08
[2]
웹인용
Goal Setting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Toolkit
http://www.popstoolk[...]
2017-10-08
[3]
웹인용
Sub-goals -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Toolkit
http://www.popstoolk[...]
2017-10-08
[4]
서적
The Anatomy of Self: The Individual Versus Society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5]
문서
Teaching Social Skills to Youth, p. 7
[6]
저널
A Critical Review of Social Skills Research with Behaviorally Disordered Students
1986
[7]
저널
Social cognition in alcoholism: a link to prefrontal cortex dysfunction?
2008-05
[8]
저널
A review of social skills deficits in individuals with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s and prenatal alcohol exposure: profiles, mechanisms, and interventions.
2012-04
[9]
서적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Hyperkinetic Disorder
OUP
[10]
저널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for youth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10-06
[11]
저널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formation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08-08
[12]
간행물
Social Skills Versus Skilled Social Behavior: A Problematic Distinc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www.baojourna[...]
2005
[13]
저널
Social skills versus skilled social behavior: A problematic distinc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14]
웹인용
The Behavioral Shutdown Theory of Depression
https://www.psycholo[...]
2016-04-03
[15]
저널
Social Anxiety Disorder and Social Skill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2013
[16]
논문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health in adolescents: data from a high school survey in Connecticut
2011
[17]
웹인용
Depression, Social Skills are Linked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Arizona
2013-10-24
[18]
서적
Snakes in Suits: When Psychopaths Go to Work
2007
[19]
웹인용
Snakes In Suits: When Psychopaths Go To Work
http://www.theaustra[...]
2006-09-22
[20]
서적
Murderous Minds: Exploring the Criminal Psychopathic Brain: Neurological Imaging and the Manifestation of Evil
Pegasus Books
2014-03-04
[21]
간행물
Gender Differences in Narcissism: A Meta-Analytic Review
https://www.research[...]
2014-12
[22]
웹인용
Theory of Neurotic Needs
https://web.archive.[...]
2021-09-21
[23]
문서
HBR's 10 Must Reads on Collaboration
[24]
뉴스
New Scientist Magazine
2016-07-09
[25]
문서
Children's social skills training: A meta-analysis
Springer-Verlag
1985
[26]
간행물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ssues and Controversies
http://www.baojourna[...]
2003
[27]
간행물
CRA and CRAFT: Behavioral Approaches to Treating Substance-Abusing Individuals
http://www.baojourna[...]
2004
[28]
간행물
Functional Analysis of Behavior in Corrections: Empowering Inmates in Skills Training Groups
http://www.baojourna[...]
2008
[29]
간행물
Toward a Comprehensive Functional Analysis of Depressive Behavior: Five Environmental Factors and a Possible Sixth and Seventh
http://www.baojourna[...]
2005
[30]
간행물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description of single – subject design studies
http://www.baojourna[...]
2007
[31]
간행물
The Final Piece to a Complete Science of Behavior: Behavior Development and Behavioral Cusps
http://www.baojourna[...]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