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술 기하 평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술 기하 평균은 두 양수의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을 반복적으로 계산하여 얻는 극한값이다. 이 개념은 조제프루이 라그랑주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 의해 심층적으로 분석되었다. 산술 기하 평균 M(x, y)는 x와 y의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 사이에 존재하며, 임의의 양수 r에 대해 M(rx, ry) = rM(x, y)가 성립한다. 이 값은 타원 적분과 관련이 있으며, 타원 적분 계산 및 타원 필터 설계에 활용된다. 가우스 상수는 1과 √2의 산술 기하 평균의 역수이며, 이 값은 초월수이다. 산술 기하 평균은 타원 적분 계산, 원주율(π) 계산, 그리고 초월 함수 계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원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에타 함수
    바이어슈트라스 에타 함수는 오메가 상수와의 관계를 통해 정의되고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와 관련된 특수 함수이다.
  • 타원함수 - 타원 적분
    타원 적분은 불완전 타원 적분과 완전 타원 적적으로 나뉘며, 단진자의 주기나 타원의 호 길이 계산 등 물리적 현상 설명에 응용되는 특정한 형태의 적분이다.
  • 평균 - 제곱평균제곱근
    제곱평균제곱근(RMS)은 값들의 크기를 나타내는 통계량으로, 이산 데이터의 경우 각 값의 제곱의 평균의 제곱근, 연속 함수의 경우 함수 제곱의 적분 평균의 제곱근으로 정의되며, 전기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표준편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평균 - 조화 평균
    조화 평균은 양의 실수들의 역수의 산술 평균의 역수로 정의되며, 작은 값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비율이나 비를 포함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평균의 한 종류이다.
  • 특수 함수 - 람베르트 W 함수
    람베르트 W 함수는 we^w = z를 만족하는 w를 찾는 람베르트 이름을 딴 역함수 관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지수 함수 방정식을 푸는 데 응용되는 무한히 많은 가지를 가진 함수이다.
  • 특수 함수 - 감마 함수
    감마 함수는 양의 실수부를 갖는 복소수 z에 대해 오일러 적분으로 정의되고 해석적 연속을 통해 복소평면 전체로 확장된 팩토리얼 함수의 일반화로서,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표현과 성질을 가진다.
산술 기하 평균
개요
정의두 양의 실수 xy의 산술-기하 평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됨.
기호M(x, y) 또는 agm(x, y) 또는 AGM(x, y)
최초 연구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정의
반복 과정두 수 xy가 주어졌을 때, 다음 과정을 반복함:

극한기하 평균 M(x, y) 또는 agm(x, y)이라고 함.

2. 역사

두 수열에 기반한 최초의 알고리즘은 라그랑주의 저작에 기술되었다. 가우스는 라그랑주의 연구에서 나타난 이 알고리즘의 성질을 더욱 분석하였다.[22][1]

3. 정의

두 양수 x, y에 대해, 산술 평균 수열 {''a''''n''}과 기하 평균 수열 {''g''''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

:a_1=\frac{x+y}{2}

:g_1=\sqrt{xy}

이후 n번째 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egin{align}

a_{n+1} & =\frac{a_n + g_n}{2}\\

g_{n+1} & =\sqrt{a_n\times g_n}\\

\end{align}

이 과정을 반복하면, 두 수열 {''a''''n''}, {''g''''n''}은 동일한 값으로 수렴하며, 이 극한값을 x와 y의 산술 기하 평균 M(x, y)라 한다.[21]

예를 들어 24와 6의 산술 기하 평균을 구하기 위해, 먼저 그들의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a_1=\frac{24+6}{2}=15

:g_1=\sqrt{24\times 6}=12

다섯 번 반복하면 다음 표와 같은 값을 얻는다.

n
0246
11512
213.513.416407864998738178455042…
313.458203932499369089227521…13.458139030990984877207090…
413.458171481745176983217305…13.458171481706053858316334…
513.458171481725615420766820…13.458171481725615420766806…



반복을 매 번 행할 때마다 일치하는 숫자(밑줄)의 개수가 대략 두 배로 늘어난다. 두 수열의 공통 극한이 산술 기하 평균이며, 그 값은 약 13.4581714817256154207668131569743992430538388544이다.[2]

4. 성질

M|엠영어(x, y)는 x와 y의 산술 평균기하 평균 사이에 존재한다.[3] 임의의 양수 r에 대해, M|엠영어(rx, ry) = rM|엠영어(x, y)가 성립한다.[4] 산술 기하 평균은 다음과 같은 적분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4]

:\\

&=\frac{\pi}{4}\cdot\frac{x+y}{K\left(\frac{x-y}{x+y}\right)}

\end{align}}}

여기서 K|케이영어(k)는 제1종 완전 타원 적분이다.

:}}

산술 기하 평균의 빠른 수렴 속도는 위 공식을 이용해 타원 적분을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하게 한다. 공학에서 타원 필터 설계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23][5]

5. 예

24와 6의 산술 기하 평균을 구하기 위해, 먼저 그들의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을 계산한다.

:a_1=\frac{24+6}{2}=15

:g_1=\sqrt{24\times 6}=12

이 과정을 다음과 같이 반복한다.

:\begin{align}

a_2 & =\frac{15 + 12}{2}=13.5\\

g_2 & =\sqrt{15\times 12}=13.41640786499\dots\\

\dots

\end{align}

다섯 번을 반복하면 다음의 값들을 얻는다.

nangn
0246
11512
213.513.416407864998738178455042…
313.458203932499369089227521…13.458139030990984877207090…
413.458171481745176983217305…13.458171481706053858316334…
513.458171481725615420766820…13.458171481725615420766806…



반복을 매 번 행할 때마다 일치하는 숫자(밑줄)의 개수가 대략 두 배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수열의 공통 극한이 곧 산술 기하 평균이며, 그 값은 약 13.4581714817256154207668131569743992430538388544이다.[21]

6. 관련 개념

가우스 상수는 1과 루트 2의 산술 기하 평균의 역수이다.[24]

기하 조화 평균은 기하 평균과 조화 평균을 이용하여 정의하는 수열의 극한값이다. 산술 조화 평균은 기하 평균과 같다.[14]

7. 응용

산술 기하 평균은 빠른 수렴 속도를 가지므로, 타원 적분 계산에 효율적이다. 가우스-르장드르 알고리즘을 통해 원주율(π)을 계산할 수 있다.[17]

:\pi = \frac{4\,M(1,1/\sqrt{2})^2} {1 - \displaystyle\sum_{j=1}^\infty 2^{j+1} c_j^2} ,

여기서

:c_j = \frac{1}{2}\left(a_{j-1}-g_{j-1}\right) ,

:a_0=1g_0=1/\sqrt{2}이고, 다음 식을 사용하여 정밀도 손실 없이 계산할 수 있다.

:c_j = \frac{c_{j-1}^2}{4a_j} .

a_0 = 1g_0 = \cos\alpha를 사용하면 AGM은 다음과 같다.

:M(1,\cos\alpha) = \frac{\pi}{2K(\sin \alpha)} ,

여기서 K(k)는 제 1종 완전 타원 적분이다.

:K(k) = \int_0^{\pi/2}(1 - k^2 \sin^2\theta)^{-1/2} \, d\theta.

즉, 이 4분의 주기는 AGM을 통해 효율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K(k) = \frac{\pi}{2M(1,\sqrt{1-k^2})} .

존 랜던의 상승 변환과 함께 AGM의 이러한 속성을 사용하여, 리처드 P. 브렌트는 지수 함수(e^x), 삼각 함수(\cos x, \sin x)를 빠르게 계산하기 위한 최초의 AGM 알고리즘을 제안했다.[18][19] 이후, 많은 저자들이 AGM 알고리즘의 사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20]

또한, 산술 기하 평균의 수렴이 빠르기 때문에 수치 해석에 의한 원주율 계산에 사용될 수 있다.

8. M의 존재성 증명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에 의해 모든 `n`에 대해 g_n \leq a_n이 성립한다.[3] 즉, 수열 \{g_n\}은 단조 증가하고 xy 중 더 큰 값으로 위로 유계된다.

두 수열 \{a_n\}, \{g_n\} 모두 단조수열임을 보일 수 있다.

:g_{n+1}=\sqrt{g_n a_n}\ge\sqrt{g_n g_n}=g_n

:a_{n+1}=\frac{g_n+a_n}{2}\le\frac{a_n+a_n}{2}=a_n

따라서 \{a_n\}, \{g_n\} 모두 단조, 유계이며 수렴한다. 단조 수렴 정리에 따라, 수열은 수렴하므로 다음을 만족하는 g가 존재한다.

:\lim_{n\to \infty}g_n = g

또한

:a_n=\frac{g_{n+1}^2}{g_n}

의 양변에 극한을 취하면 두 수열의 극한값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im_{n\to \infty}a_n = \lim_{n\to \infty}\frac{g_{n + 1}^2}{g_{n}} = \frac{g^2}{g} = g

증명 완료

참조

[1] 간행물 The Arithmetic-Geometric Mean of Gauss https://www.research[...] 1984-01
[2] Wolfram Alpha agm(24, 6) http://www.wolframal[...]
[3] 서적 Handbook of Means and Their Inequalities http://link.springer[...] Springer Netherlands 2023-12-11
[4] 문서 Elliptic Integrals
[5] 서적 Analog Electronic Filters: Theory, Design and Synthesis https://books.google[...] Springer
[6] 서적 Pi and the AGM: A Study in Analytic Number Theory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Wiley-Interscience
[7] 문서
[8] 문서
[9] 간행물 Zur Theorie der Abelschen Funktionen und Integrale https://www.deepdyve[...]
[10] 간행물 The Lemniscate Constants
[11] 문서
[12] 문서
[13] 서적 Pi and the AGM: A Study in Analytic Number Theory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Wiley-Interscience
[14] 간행물 A simplified version of the fast algorithms of Brent and Salamin
[15] 문서
[16] 서적 On the Direct Numerical Calculation of Elliptic Functions and Integral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간행물 Computation of π using arithmetic–geometric mean https://link.springe[...]
[18] 간행물 An investigation of a general theorem for finding the length of any arc of any conic hyperbola, by means of two elliptic arcs, with some other new and useful theorems deduced therefrom
[19] 간행물 Fast Multiple-Precision Evaluation of Elementary Functions https://link.springe[...]
[20] 서적 Pi and the AGM Wiley
[21] Wolfram Alpha agm(24, 6) - WolframAlpha http://www.wolframal[...]
[22] 서적 Pi: A Source Book http://books.google.[...] Springer
[23] 서적 Analog Electronic Filters: Theory, Design and Synthesis http://books.google.[...] Springer
[24] 인용 An eloquent formula for the perimeter of an ellipse http://www.ams.org/n[...] 2013-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