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마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마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님프로,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헤르마프로디토스를 사랑하여 그와 결합하여 남성과 여성의 특징을 모두 갖는 존재가 되었다. 살마키스는 터키 보드룸에 위치한 샘의 이름이기도 하며, 고대 작가들은 이 샘의 물이 남자를 여성스럽게 만든다고 묘사했다.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이야기는 폼페이 프레스코화, 문학 작품, 조각, 회화, 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그리스의 여신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살마키스
기본 정보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살마키스 조각상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살마키스 조각상
신화 속 정보
성별님프
주요 거주지카리아
관련 장소살마키스 샘
부모아버지: 헤르메스
어머니: 아프로디테 또는 이리스
배우자헤르마프로디토스
이야기
주요 사건헤르마프로디토스와의 결합
기타
로마자 표기Sallmakiseu

2. 신화



폼페이 콘킬리아(Conchiglia)의 카사 델라 베네레(Casa della Venere) 10호실의 프레스코화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 사이에 서 있는 에로스를 묘사한다. 이 프레스코화는 가장 초기(서기 79년 이전)이며 물의 요정이 헤르마프로디토스와 결합하기 전의 유일한 고대 작품일 것으로 추정된다.

2. 1.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제4권에는 살마키스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강간하려 한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데르케티스 참고).

Venatrix non est, nec curuae nescia flectere|사냥이나 궁술을 좋아하지 않는 님프가 살았는데,la

cornua, nec iunctis curritur apta feris.|달리기 시합에도 적합하지 않았네. 그녀는 디아나의 무리에 속하지 않은 유일한 나이아드였지.la

Saepe illam sociæ dixere: "Sume iaculum,|종종 그녀의 자매들은 말하곤 했네. "창을 집어 들거나,la

pictaque uenatu spicula trade tuo!|거친 화살통을 들고 사냥을 위해 여가를 깨뜨려!"la

Nec iaculum sumit, nec picta spicula sumit,|그러나 그녀는 창이나 화살을 집어 들지 않았고,la

illa, nec arcus amat, nec uenatu spicula sumit,|사냥을 위해 여가를 포기하지 않았네.la

Sed modo formosis lucentes fontibus artus|대신 아름다운 사지를 씻고 머리를 손질하곤 했지,la

perfundit, comitque caput, consultaque semper|그녀의 물은 거울과 같았네.|오비디우스, ''변신 이야기'' 4.306–312].la

어느 날, 헤르마프로디토스는 그의 연못에서 수영을 했다. 그를 본 살마키스는 그에게 사랑에 빠져 그에게 다가가 자신의 사랑을 고백했지만, 그는 관심이 없었고 그녀에게 떠나라고 요구했다. 그녀는 그렇게 했지만, 그녀의 열정은 그녀를 다시 돌아오게 했고 그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없었다.[1] 헤르마프로디토스가 연못에서 나오자 그녀는 그에게 달려들어 그가 도망치려 할 때 억지로 키스했다. 살마키스는 그 후 신들에게 그들을 영원히 함께 있게 해달라고 간청했고, 신들은 그들을 영원히 함께 묶어 남성과 여성의 부분을 모두 가진 신으로 만들어 주었다. 그리하여 그녀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하나가 되었고 그는 샘을 저주하여 그곳에서 목욕하는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은 효과가 나타나게 했다.[2]

할리카르나소스의 벽 잔해에서 발견된 묘사에 따르면, 아프로디테는 살마키스를, 부모가 맡긴 어린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돌본 요정으로 묘사하며, 이는 오비디우스가 제시한 버전과는 매우 다르다.[3]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는 또한 헤르마프로디토스가 원치 않게 나중에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그렇게 태어났음을 암시하며, 소년의 아버지인 헤르메스의 정체성을 탓한다.[4]

2. 2. 다른 판본

할리카르나소스 벽 잔해에서 발견된 묘사에 따르면, 아프로디테는 살마키스를 부모가 맡긴 어린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돌본 요정으로 묘사하는데, 이는 오비디우스가 제시한 버전과는 매우 다르다.[3]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는 또한 헤르마프로디토스가 원치 않게 나중에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그렇게 태어났음을 암시하며, 소년의 아버지인 헤르메스의 정체성을 탓한다.[4]

3. 살마키스의 샘

폼페이 콘킬리아의 카사 델라 베네레 10호실의 프레스코화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 사이에 서 있는 에로스를 묘사한다. 이 프레스코화는 가장 초기(서기 79년 이전)이며 물의 요정이 헤르마프로디토스와 결합하기 전의 유일한 고대 작품일 것으로 추정한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제4권에는 살마키스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강간하려 한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데르케티스 참고).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살마키스는 사냥이나 궁술을 좋아하지 않고, 달리기 시합에도 적합하지 않은 님프였다. 그녀는 디아나의 무리에 속하지 않은 유일한 나이아드였다. 그녀의 자매들은 종종 "창을 집어 들거나, 거친 화살통을 들고 사냥을 위해 여가를 깨뜨려!"라고 말했지만, 그녀는 창이나 화살을 집어 들지도, 사냥을 위해 여가를 포기하지도 않았다. 대신 아름다운 사지를 씻고 머리를 손질하곤 했으며, 그녀의 물은 거울과 같았다.[1]

어느 날, 헤르마프로디토스는 살마키스의 연못에서 수영을 했다. 그를 본 살마키스는 그에게 사랑에 빠져 다가가 자신의 사랑을 고백했지만, 그는 관심이 없었고 그녀에게 떠나라고 요구했다. 그녀는 그렇게 했지만, 그녀의 열정은 그녀를 다시 돌아오게 했고 그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없었다. 헤르마프로디토스가 연못에서 나오자 그녀는 그에게 달려들어 그가 도망치려 할 때 억지로 키스했다. 살마키스는 그 후 신들에게 그들을 영원히 함께 있게 해달라고 간청했고, 신들은 그들을 영원히 함께 묶어 남성과 여성의 부분을 모두 가진 신으로 만들어 주었다. 그리하여 그녀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하나가 되었고 그는 샘을 저주하여 그곳에서 목욕하는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은 효과가 나타나게 했다.[2]

'''살마키스'''는 오늘날 터키 보드룸에 위치한 분수 또는 샘의 이름이었다. 일부 고전 작가들에 따르면, 이 물은 남자를 여성스럽고 연약하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전설은 오비디우스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이야기의 핵심이다.

4. 고대 미술

폼페이의 카사 델라 베네레 인 콘킬리아(조개 껍질 속의 비너스) 10번 방의 프레스코화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 사이에 서 있는 에로스를 묘사하고 있다. 이 프레스코화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의 결합 이전의 물의 요정인 살마키스를 묘사한 가장 초기(서기 79년 이전)이자 유일한 고대 미술 작품일 가능성이 있다.

5. 후대의 수용

살마키스 이야기는 후대의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문학 ===


  • 프랜시스 보몬트오비디우스의 작품을 바탕으로 시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썼다. 이 시는 1602년 런던에서 익명으로 출판되었다.[6]
  • 앨저넌 찰스 스윈번은 1863년 시 "헤르마프로디투스"에서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베르니니의 조각상을 언급하며 마지막 연에서 살마키스를 언급한다.
  • 마리오 솔다티의 단편 소설집 "살마체"(Salmacis)는 남자가 여자로 변하는 과정을 은유적으로 묘사한다.[7]


=== 조각 ===

  • 프랑수아조제프 보지오의 조각상 ''살마키스 님프''(1826년)는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 중이다.[8]
  • 토머스 브록의 살마키스( ''놀란 목욕객'')는 1868년에 설계되어, 1869년 로열 아카데미에 전시되었다. 1875년부터 도자기 복제품이 만들어져 1878년 파리 박람회에 전시되었다.[9][10]
  • 폰타나 그레카(Fontana Greca)는 이탈리아 남부 갈리폴리에 있는 르네상스 시대 분수로, 그리스 신화의 세 가지 변신을 묘사한 부조가 있다. 중앙 부조는 아프로디테 옆을 나는 에로스를, 아래에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가 포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회화 ===

  • 폼페이 콘킬리아(Conchiglia)의 카사 델라 베네레(Casa della Venere) 10호실 프레스코화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 사이에 에로스가 서 있는 모습을 묘사한다. 이는 서기 79년 이전의 가장 초기 작품이며, 헤르마프로디토스와 결합하기 전 살마키스의 모습을 담은 유일한 고대 작품으로 추정된다.[11]
  • 샤를 랑델이 1877년에 그린 살마키스 그림은 1878년 The Art Journal에서 파리 전시회 최고 작품 중 하나로 칭찬받았다. 그림은 갈대 숲에 앉아 놀란 표정으로 가슴에 옷을 움켜쥔 살마키스를 묘사한다.[11]


=== 음악 ===

  • 영국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제네시스는 1971년 앨범 ''Nursery Cryme''에 "Fountain of Salmacis"라는 곡을 쓰고 연주했다. 이 곡은 살마키스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강간하려다 실패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노래 마지막 부분에는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가 "하나로 합쳐져" 샘이 나타나는 호수 아래에서 영원히 살게 되었다고 묘사한다.

5. 1. 문학

프랜시스 보몬트오비디우스의 작품을 바탕으로 시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썼다. 이 시는 1602년 런던에서 익명으로 출판되었다.[6]

앨저넌 찰스 스윈번의 1863년 시 "헤르마프로디투스"는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동명의 베르니니 조각상을 바탕으로 하며, 마지막 연에서 살마키스를 언급한다.

이탈리아 작가 마리오 솔다티의 단편 소설집 "살마체"(Salmacis)는 전체 컬렉션을 아우르는 제목이다. 이 이야기에서 남자가 여자로 변하는 과정을 매우 은유적인 맥락으로 묘사한다.[7]

5. 2. 조각



프랑수아조제프 보지오의 조각상 ''살마키스 님프''(1826년)는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8]

토머스 브록 경이 조각한 살마키스(일명 ''놀란 목욕객'')는 1868년에 설계되었다.[9] 이 조각은 1869년 런던 로열 아카데미에서 모델링되어 전시되었다. 1875년부터 다양한 도자기 복제품이 만들어졌으며, 그 중 하나가 1878년 파리 박람회에 전시되었다.[10]

''폰타나 그레카(Fontana Greca)''(그리스 분수)는 이탈리아 남부 갈리폴리에 위치한 르네상스 시대의 분수이다. 이 분수에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세 가지 변신을 묘사한 부조가 있다. 중앙 부조는 아프로디테 옆을 날아가는 에로스를 보여주는 반면, 그 아래에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가 함께 누워 포옹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5. 3. 회화

폼페이 콘킬리아(Conchiglia)의 카사 델라 베네레(Casa della Venere) 10호실 프레스코화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 사이에 서 있는 에로스를 묘사한다. 이 프레스코화는 가장 초기(서기 79년 이전)이며, 물의 요정이 헤르마프로디토스와 결합하기 전 모습을 담은 유일한 고대 작품으로 추정된다.[11]

프랑스 화가 샤를 랑델이 1877년에 그린 살마키스 그림은 1878년 The Art Journal에 따르면 파리 전시회에서 가장 칭찬받는 작품 중 하나였다. 이 그림은 갈대 숲에 앉아 놀란 표정으로 가슴에 옷을 움켜쥔 살마키스를 묘사하고 있다.[11]

5. 4. 음악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제네시스는 1971년 앨범 ''Nursery Cryme''에 "Fountain of Salmacis"라는 제목의 곡을 쓰고 연주했다. 이 곡은 살마키스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강간하려다 실패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노래의 마지막 부분 가사에는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가 "하나로 합쳐져" 샘이 나타나는 호수 아래에서 영원히 살게 되었다고 묘사한다.

참조

[1] 서적 Metamorphoses https://www.poetryin[...]
[2] 서적 Metamorphoses https://www.poetryin[...]
[3] 논문 The Invention of Marriage: Hermaphroditus and Salmacis at Halicarnassus and in Ovid http://www.jstor.org[...] The Classical Associ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Dialogues of the Gods https://www.loebclas[...]
[5] 웹사이트 Pompeii in Pictures: II.3.3 Pompeii. Casa della Venere in Conchiglia https://pompeiiinpic[...]
[6] 웹사이트 Francis Beaumont, Salmacis and Hermaphroditus - Luminarium.org http://www.luminariu[...]
[7] 서적 Salmace https://books.google[...] Edizioni La Libra
[8] 웹사이트 Sculpture: The Nymph Salmacis by François-Joseph Bosio, Louvre Museum, Paris http://cartelen.louv[...]
[9] 웹사이트 Bather surprised | Museum of Royal Worcester https://www.museumof[...]
[10] 웹사이트 Sir Thomas Brock | Museum of Royal Worcester https://www.museumof[...]
[11] 웹사이트 Salmacis: Landelle, Charles - The Art Journal (1878)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