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르마프로디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르마프로디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헤르마프로디토스는 살마키스라는 물의 요정에게 사랑을 받지만 거절하고, 살마키스가 그를 덮쳐 신들에게 둘의 몸을 하나로 만들어 달라고 빌어 양성을 갖춘 존재가 된다. 숭배의 흔적은 키프로스에서 발견되며, 동방 종교의 영향을 받아 양성성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고대 그리스 문학, 조각, 회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었으며, 근현대에도 문학, 영화, 음악 등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르메스의 자식 - 에우도로스
    에우도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와 폴리멜레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이며, 일리아스에서 미르미돈 부대를 이끄는 빠르고 뛰어난 전사 지휘관으로 묘사된다.
  • 헤르메스의 자식 - 다프니스
    다프니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시칠리아의 목동으로, 목가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남녀 양성을 지닌 신 - 바포메트
    바포메트는 원래 기독교인이 상상한 이교 신이나 무함마드를 지칭하는 이름이었으나, 템플 기사단 이단 심문 과정에서 우상 숭배 대상으로 부각된 후 오컬트와 악마주의에서 재조명되어 엘리파스 레비의 검은 염소 머리 양성구유 형상으로 대표된다.
  • 남녀 양성을 지닌 신 - 아프로디토스
    아프로디토스는 그리스 신화의 아프로디테의 남성형으로 추정되며, 달과 동일시되어 남녀가 옷을 바꿔 입고 제물을 바치는 숭배 의식이 종교 축제에서 행해졌다.
  • 달의 신 - 월신
    월신은 달을 여성성과 연결하여 부르는 명칭으로, 고대부터 여성의 생식 주기와 연관되어 여성성의 상징으로 여겨져 다양한 문화권에서 숭배된 달의 여신을 의미한다.
  • 달의 신 - 메나에
    메나에는 달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음력과 관련 있으며 달을 관장하는 여신을 뜻한다.
헤르마프로디토스
기본 정보
헤르쿨라네움 프레스코 1–50 AD,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헤르쿨라네움 프레스코 (서기 1–50년),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유형그리스 신화
소속에로테스
거주지이다 산
부모헤르메스아프로디테
로마자 표기Hermaphroditos
그리스어Ἑρμαφρόδιτος (Hermaphróditos)

2. 신화 출전

헤르마프로디토스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3세기 그리스의 철학자 테오프라스토스의 저서 ''인물들''에서 찾을 수 있다.[19] 그는 이 책에서 여러 유형의 괴짜들을 묘사했는데, 그중 하나가 헤르마프로디테스를 숭배하는 미신적인 인물이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기원전 1세기)는 그의 저서 ''역사 도서관''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가 헤르메스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두 부모의 이름을 합쳐 이름을 지었다고 언급했다.[20] 그는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남성과 여성의 신체를 모두 가진 신으로 묘사하는 사람들도 있고, 양성을 가진 기형적인 존재로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할리카르나소스 벽 잔해에서 발견된 묘사에 따르면, 아프로디테살마키스를 어린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돌보는 님프라고 칭했다.[10] 이는 오비디우스의 이야기와는 다른 내용이다.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는 헤르마프로디토스가 나중에 양성을 갖게 된 것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그랬다고 암시하며 헤르메스를 탓했다.[11]

아우소니우스는 그의 ''격언''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의 부모와 살마키스와의 결합에 대해 이야기한다.[23] ''팔라타인 선집''에는 남녀 공용 목욕탕에 놓인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상에 대한 언급과[24] 실레노스와의 대화가 기록되어 있다.[25]

앨저넌 찰스 스윈번의 시 "헤르마프로디토스"는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보르게세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26]

헝가리 고전 문헌학자 케레니 카로이는 헤르마프로디토스 신화를 나르키소스, 히아킨토스, 히멘 등의 신화와 연결 지으며, 고대 그리스의 남성 청소년(''에페베스'') 숭배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8]

사티로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조각상. 기원후 2세기 로마 시대의 복제품, 기원전 2세기 헬레니즘 원본. 안티켄잠룽 베를린(알테스 박물관)


바르톨로메우스 스프랑거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1580년경)


모데나 대성당의 로마네스크 조각

2. 1.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헤르마프로디토스는 이다 산(오늘날의 터키)의 동굴에서 나이아데스들에 의해 길러졌다.[39] 그는 열다섯 살이 되자 주변 환경에 싫증을 느껴 리키아카리아의 도시들을 여행했다. 할리카르나소스(오늘날의 터키 보드룸) 근교의 숲에서 물의 요정 살마키스를 만났는데, 살마키스는 그를 보고 욕정에 사로잡혀 유혹했으나 거절당했다. 헤르마프로디토스는 살마키스가 떠났다고 생각하고 옷을 벗은 뒤 연못에 들어가 목욕을 했다. 그러나 나무 뒤에 숨어 있던 살마키스가 옷을 벗고 튀어나와 연못에 뛰어들었다. 그녀는 소년의 몸을 휘감고 강제로 입을 맞추면서 그의 가슴을 더듬었다. 그가 몸부림치자 그녀는 신들에게 둘이 절대로 떨어질 수 없도록 해달라고 빌었다. 그녀의 소원은 이루어져 두 사람의 몸은 하나가 되어 양성을 갖춘 존재가 되었다. 양성구유가 된 헤르마프로디토스는 부모인 헤르메스아프로디테에게 이 연못에서 목욕하는 사람은 누구든 자신과 같은 몸이 되게 해달라고 빌었고, 그 소원 역시 이루어졌다.[40]

2. 2. 다른 문헌에서의 언급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그의 저서 ''역사총서''에서 어떤 사람들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신이라고 말하며 특정한 시기에 인간들 사이에 나타난다고 말했지만, 양성을 가진 그런 존재는 기형이며, 드물게 세상에 나타나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불행을, 때로는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단언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언급한다.[9]

할리카르나소스의 벽 잔해에서 발견된 묘사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어머니 아프로디테살마키스를 어린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돌보고 보살피는 님프라고 칭했는데, 이는 오비디우스가 제시한 버전과는 매우 다른 내용이다.[10]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는 헤르마프로디토스가 자신의 의지와는 달리 나중에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태어날 때부터 그랬다고 암시하며, 아이의 아버지인 헤르메스의 정체성을 탓한다.[11]

헤르마프로디토스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그리스 문학에서 철학자 테오프라스토스 (기원전 3세기)가 그의 저서 ''인물들''의 XVI장 '미신적인 인간'에서 다양한 유형의 괴짜 사람들을 묘사하며 이루어졌다.[19]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가 헤르마프로디토스의 부모라는 최초의 언급은 그리스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기원전 1세기)가 그의 저서 ''역사 도서관'' 4권 4.6.5에서 했다.

그의 신화에 대한 유일한 완전한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IV.274–388 (서기 8년)에 나오는데, 여기서 강조점은 쾌락을 추구하는 물의 요정 살마키스와 그녀가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초창기 남성적 힘을 손상시키고, 그의 수줍음과 그들의 몸을 접목시키는 것에 있다.[21]

1602년에 익명으로 출판된 이 이야기의 서사시 형태는 나중에 (1640년) 일부에 의해 프랜시스 보몬트의 작품으로 여겨졌다.[22]

아우소니우스는 그의 ''다양한 사물에 대한 격언 / 격언'' (4세기)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의 부모와 요정 살마키스와의 결합에 대해 이야기한다.[23]

''팔라타인 선집'' IX.783 (서기 980년)에는 남녀 모두를 위한 목욕탕에 놓인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상에 대한 언급이 있다.[24] IX.317 구절은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실레노스 사이의 대화를 바탕으로 한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실레노스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세 번 성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한다. 헤르마프로디토스는 맹세로 헤르메스를 소환하여 이 사실에 불만을 제기하고 반대하는 반면, 실레누스는 그의 주장의 신뢰성을 위해 을 소환한다.[25]

앨저넌 찰스 스윈번의 시 "헤르마프로디토스"는 ''시와 발라드''에 수록되어 있으며, ''루브르 박물관, 1863년 3월''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어, 오데에 영감을 준 것은 보르게세 헤르마프로디토스라는 것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26]

고전 문헌학자 케레니 카로이는 나르키소스와 히아킨토스의 전설, 즉 고대 영웅 숭배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와 히멘 (히메나이오스)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언급하며, 남성 청소년(''에페베스'')과 관련된 그리스 신화와 관련지었다.[8]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제4권[35]에 등장하는 것이 유일하다.

앨저넌 찰스 스윈번의 시 「헤르마프로디투스」(Hermaphroditus)에는 프랑스어로 「루브르 박물관에서, 1863년 3월 (''Au Musée du Louvre, Mars 1863'')」이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송시에 영감을 준 것이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3. 헤르마프로디토스 숭배

헬레니즘 시대의 페르가몬 출토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상, 기원전 3세기 (이스탄불)


알키프론에 따르면 아테네에는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사원이 있었으며, 그는 결혼한 사람들을 주관하는 신으로 여겨졌을 수 있다. 남편과 아내의 결합은 남성과 여성으로 분리할 수 없이 혼합된 신으로 표현된다.[17]

''그리스 선집''에서 제욱시푸스 목욕탕의 조각상을 묘사하는 부분에서는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상도 언급하고 있다.[18]

3. 1. 키프로스 기원설

키프로스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 숭배의 가장 오래된 흔적이 발견된다. 마크로비우스의 《사투르누스 축제》에 따르면, 아리스토파네스아프로디토스라고 부른 수염 달린 남성 아프로디테 조각상이 있었다. 필로코루스는 그의 《아티스》에서 이 신성을 언급하며, 남녀가 서로 옷을 바꿔 입는 희생을 통해 달과 동일시했다.[41][12][13] 페라코라에서 발견된 기원전 7세기의 테라코타 명판은 아프로디토스가 고대 그리스 숭배였음을 시사한다.[42][14]

헤르마프로디토스 숭배의 신격화와 기원은 동방 종교에서 비롯되었으며, 여기서 양성적 성격은 남녀 양성을 모두 통합하는 원시적 존재의 아이디어를 표현했다. 이러한 이중성은 디오니소스프리아포스에게도 부여되었으며, 즉 하나의 존재에 두 개의 생성과 임신의 원리가 결합되어 광범위한 수태와 생산 능력을 나타낸다.[43][15]

이 키프로스 아프로디테는 나중에 헤르마프로디토스와 동일하며, 이는 단순히 헤르마 형태의 아프로디토스를 의미하며, 테오프라스토스의 《성격》에서 처음 등장한다.[44][16] 아테네에 소개된 후 (아마도 기원전 5세기) 이 신의 중요성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더 이상 특별한 숭배의 대상이 아니라, 불분명한 의미의 미신적인 의식으로 표현되는 특정 종파의 경배로 제한되었다.[45][12]

3. 2. 동방 기원설

헤르마프로디토스 숭배의 기원은 동방 종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키프로스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숭배 흔적을 통해 알 수 있다. 마크로비우스의 《사투르누스 축제》에 따르면, 키프로스에는 수염이 달린 남성 아프로디테 조각상이 있었는데, 아리스토파네스는 이를 아프로디토스라고 불렀다. 필로코루스는 그의 저서 《아티스》에서 이 신을 숭배할 때 남녀가 서로 옷을 바꿔 입는 희생 의식을 통해 달과 동일시했다고 기록했다.[41][12][13]

아프로디토스 우상.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페라코라에서는 기원전 7세기의 테라코타 조각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아프로디토스 숭배가 그리스 고졸기에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42][14]

동방에서는 양성적인 존재에 대한 숭배가 있었는데, 힌두교의 아르다나리시와라 신이 대표적인 예이다. 아르다나리시와라는 남자와 여자의 몸이 반반씩 합쳐진 모습으로, 남녀 양성이 융합된 원시적 존재를 상징한다.[43] 이러한 이중성은 디오니소스프리아포스에게도 나타나는데, 이는 하나의 존재에 두 가지 생성과 임신의 원리가 결합되어 광범위한 수태와 생산 능력을 의미한다.[12][15]

키프로스의 아프로디테는 이후 신화 속 헤르마프로디토스와 동일시되며, 이는 헤르마 형태의 아프로디토스를 의미한다. 테오프라스토스는 그의 저서 《성격론》에서 처음으로 이 개념을 언급했다.[44][16] 아프로디토스는 기원전 5세기경 아테네에 소개되었으나, 이후 그 중요성이 감소하여 특정 종파의 상징으로 전락했다.[45][12]

알키프론에 따르면, 아테네에는 헤르마프로디토스 사원이 있었으며, 그는 결혼한 사람들을 주관하는 신으로 여겨졌을 가능성이 있다. 남편과 아내의 결합은 남성과 여성으로 분리할 수 없이 혼합된 신으로 표현된다.[17]

3. 3. 아테네 전래와 쇠퇴

키프로스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 숭배의 가장 오래된 흔적이 발견된다. 마크로비우스의 《사투르누스 축제》에 따르면, 아리스토파네스아프로디토스라고 부른, 수염이 달린 남성 아프로디테 조각상이 있었다. 필로코루스는 그의 저서 《아티스》에서 이 신을 언급하며, 남녀가 서로 옷을 바꿔 입는 희생을 통해 달과 동일시했다고 설명한다.[41][12][13] 페라코라에서 발견된 기원전 7세기의 테라코타 명판은 아프로디토스가 고대 그리스 숭배였음을 보여준다.[42][14]

이러한 양성 숭배는 동방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힌두교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몸을 반반 합쳐놓은 아수라 남작과 같은 아르다나리시와라라는 신이 숭배되었는데, 이는 양성이 융합된 원시적 존재에 대한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43]

키프로스의 아프로디토스는 이후 신화에 나오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동일하며, 헤르마프로디토스는 단순히 헤르마 형태로 나타난 아프로디토스라고 볼 수 있다. 이는 테오프라스토스의 《성격론》에서 처음 나타난다.[44][16] 아프로디토스는 기원전 5세기경 아테네에 소개되었고, 그 이후 영향력이 감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아프로디토스는 종교적 숭배 대상이 아닌, 특정 종파의 상징으로 전락했다.[45][12]

알키프론에 따르면 아테네에는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사원이 있었으며, 그는 결혼한 사람들을 주관하는 신으로 여겨졌을 수 있다. 남편과 아내의 결합은 남성과 여성으로 분리할 수 없이 혼합된 신으로 표현된다.

''그리스 선집''에서 제욱시푸스 목욕탕의 조각상을 묘사하는 부분에서는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상도 언급하고 있다.[18]

4. 상징성

헤르마프로디토스, 횃불과 칸타로스를 들고 있으며, 실레노스(오른쪽)와 마이네이드(왼쪽) 사이; 폼페이의 카사 델 센테나리오(IX 8,3–6)에 있는 프로큐레이터의 트리클리니움에서 가져온 로마 프레스코화


헤르마프로디토스는 아프로디테헤르메스(그리스 신화의 비너스와 머큐리)의 양성적인 아이로, 오랫동안 양성성 또는 여성성의 상징이었다. 그리스-로마 예술에서 남성 생식기를 가진 여성 모습으로 묘사되었다.[3]

테오프라스토스의 설명은 헤르마프로디토스와 결혼 제도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한다. 그 달의 4일에 대한 언급은 결혼식을 올리기에 가장 운이 좋은 날이라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헤르마프로디토스와 결혼의 연관성은 그가 남성적이고 여성적인 자질을 모두 구현함으로써 남녀가 신성한 결합으로 함께하는 것을 상징한다는 점인 것 같다. 헤르마프로디토스를 결혼식과 연결하는 또 다른 요인은 그의 부모가 신부를 보호하고 축복하는 역할이었다는 것이다.[4][5]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이름은 부모인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이 세 신 모두 에로틱하고 다산적인 인물들 사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모두 뚜렷한 성적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 때로는 헤르마프로디토스를 아프로디토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5. 문학 및 예술에서

고대 그리스 화병에는 여성의 유방과 남성의 성기를 모두 가진 존재가 그려져 있으며, 날개가 달린 모습은 헤르마프로디토스의 형제인 에로스를 연상시킨다.[49] -- 로마 시대 회화에서는 베수비오 화산 분화로 사라진 헤르쿨라네움폼페이프레스코 벽화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가 묘사되었다. 헤르쿨라네움의 헤르마프로디토스는 남성 성기를 제외하면 완전한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되었고, -- -- 폼페이에서는 자신을 강간하려는 사티로스에게서 벗어나려는 헤르마프로디토스가 그려졌다.[50] --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는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묘사한 가장 유명한 조각 작품이다. -- 폼페이 벽화와 같은 상황을 묘사한 사티로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도 있다.-- 이 두 조각은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여성적인 곡선미를 강조한 반면, 페르가몬에서 발견된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은 유방과 골반이 작고 체형이 직선적이라 남성적으로 묘사되었다.--

살마키스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덮치는 극적인 장면은 여러 회화 작품으로 그려졌다. 바르톨로메우스 스프랑게르의 -- 와 프랑수아조지프 나베즈의 -- 작품이 대표적이다.

안토니오 마리아 자네티(Antonio Maria Zanetti)가 그린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에로스가 헤르메스를 관을 씌우는 부조 드로잉 (1721년경)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 워릭셔의 뱅크로프트 가든에 있는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상


보르게세 헤르마프로디토스, 서기 2세기 로마 시대 복제품 (루브르 박물관)

  • 그리스 도기 화가들은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남성과 여성의 특징을 가진 날개 달린 청년(에로테스)으로 묘사했다.[27]
  • 폼페이헤르쿨라네움에서 발견된 로마 프레스코는 헤르마프로디토스를 혼자 또는 사티로스, 판, 실레노스와 교류하는 다양한 스타일로 보여준다.[28]
  • 프랑수아-조제프 나베의 ''님프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겐트 미술관
  • 바르톨로메우스 스프랑거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빈 미술사 박물관
  • 스카르셀리노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보르게세 미술관, 로마
  • 장 프랑수아 드 트루아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 루도비코 카라치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 프란체스코 알바니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 조반니 안토니오 펠레그리니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 베르나르 피카르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 요한 빌헬름 바우어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 베르길 솔리스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토스''
  • 루이 핀손의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
  • 루퍼트 버니의 ''살마키스의 님프''
  • 오브리 비어즐리의 ''장미 속의 헤르마프로디토스''
  • 야코포 폰토르모의 ''헤르마프로디테 인물''
  • 얀 고사르트(얀 마부제)의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의 변신''
  • 장 도예의 ''살마키스와 헤르마프로디트''
  • 이 인물의 가장 유명한 조각상은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이다.
  • ''헤르마프로디토스'', 릴 미술관
  • 페르가몬에서 발견된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실물 크기 조각상은 가장 큰 조각상 중 하나로,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있으며, 키가 186.5cm이다.
  • 존 헨리 폴리의 조각상은 1851년 만국 박람회에 전시되었으며, 나중에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의 뱅크로프트 정원에 기증되어 현재 그곳에 서 있다.
  • 헤르마프로디토스의 대리석 조각상이 정원 남쪽 끝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II.2.2. 로레이우스 티부르티누스 저택의 13호실.


5. 1. 고대

고대 그리스어 문학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테오프라스토스(기원전 3세기)의 《성격론》 제16부에 나온다. 여기서 테오프라스토스는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비롯한 여러 기형적인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46]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가 헤르마프로디토스의 부모라는 이야기가 처음 언급되는 문헌은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기원전 1세기)의 《비블리오테카 히스토리카》 제4권이다.[47]

헤르마프로디토스 신화가 완전히 전해지는 유일한 문헌은 오비디우스(기원후 8년)의 《변신 이야기》 제4권 274-388이다. 이 책에 수록된 이야기는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숫기없음과 살마키스와의 신체 융합을 자세하게 묘사하면서, 성욕이 충만한 여성(살마키스)의 여성적인 덫과, 그로 인해 이제 막 싹트려는 소년의 남성성이 위태로워지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8]

고대 그리스의 화병 중에는 여성의 유방과 남성의 성기를 모두 가진 존재가 그려진 것이 있는데, 날개가 달린 것이 마치 헤르마프로디토스의 형제인 에로스를 연상시킨다.[49] -- 로마 시대의 회화에서는 베수비오 화산의 분화로 인해 사라진 두 도시, 헤르쿨라네움폼페이프레스코 벽화에 헤르마프로디토스가 묘사되어 있다. 헤르쿨라네움의 헤르마프로디토스는 남성의 성기만 제외하면 완전한 여성의 모습으로 홀로 서 있고,-- -- 폼페이에는 자신을 강간하려고 하는 사티로스에게서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는 헤르마프로디토스가 그려져 있다.[50] --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묘사한 조각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이다. -- 폼페이의 벽화와 완전히 같은 상황을 묘사한, 사티로스와 함께 조각된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도 있다.-- 이 두 조각이 헤르마프로디토스의 여성적인 곡선미를 강조한 반면, 페르가몬에서 발견된 헤르마프로디토스 조각은 유방과 골반이 상대적으로 작고 체형도 직선적이라 남성적으로 묘사된 것이 특징이다.--

5. 2. 근현대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다른 각도)


앨저넌 찰스 스윈번의 시 「헤르마프로디투스」(Hermaphroditus)는 프랑스어로 「루브르 박물관에서, 1863년 3월 (''Au Musée du Louvre, Mars 1863'')」이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잠자는 헤르마프로디토스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35] 당시 빅토리아 시대 평론가들은 다음 구절을 포함한 이 시를 공격했다.

:그대는 남자가 되어 여자의 한숨을 덜어주리라,

:아니면 남자를 기쁘게 하기 위해 여자가 되리라.

:어떤 기묘한 목적으로 기묘한 신은 아름답게 만들었는가,

:두 헛된 꽃의 이중의 꽃을?

6. 현대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 이 신화는 1971년 앨범 《Nursery Cryme》에 수록된 제네시스의 노래 "Fountain of Salmacis"의 주제이다.[32]
  • 아틀란티아데스(헤르마프로디토스의 또 다른 이름)는 DC 리버스에서 원더우먼의 조력자이다.[33]
  • 사티리콘 - 1969년 페데리코 펠리니의 영화. 헤르마프로디토스는 어린아이와 같고 매우 허약한 신으로 묘사되며, 명백히 스스로를 치유할 수 없지만 다양한 질병에 시달리며 애원하는 인류의 치유자 역할을 맡고 있다. 허약한 몸이 헤르마프로디토스 본인의 양성적인 상태와 관련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펠리니의 영화의 대략적인 원작인 페트로니우스소설사티리콘』에서는 헤르마프로디토스가 언급되지 않는다. 어떤 자료[36]에 따르면, 영화의 에피소드는 "때로는 『사티리콘』과 함께 출판된 가짜 페트로니우스의 시에 기초했을 수 있다"고 한다.
  • 제네시스의 1971년 앨범 『괴기 골동품 음악 상자』.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살마키스의 신화가 종곡에서 다뤄지며, 가사에서 신화가 자세히 언급된다.
  • 『미들섹스』(''Middlesex'') - 2002년 제프리 에우제니데스의 소설. 헤르마프로디토스를 소재로 다루었으며,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일본어판은 2004년 출판. ISBN 978-4152085542.)

참조

[1] 문서 Diodorus Siculus, Library of History 4. 6. 5 "... Hermaphroditus, as he has been called, who was born of Hermes and Aphrodite and received a name which is a combination of those of both his parents."
[2] 문서 Ovid, Metamorphoses 4. 28
[3] 문서 Antonio Beccadelli (Eugene Michael O'Connor, tr., ed.) ''Hermaphroditus'': Introduction.
[4] 간행물 Hermaphroditus
[5] 서적 Gods, Goddesses, and Mythology, Volume 1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2005
[6] 문서 Alcithoë tells the story of Salmacis in ''Metamorphoses'' Book IV, lines 274–316 http://etext.virgini[...]
[7] 문서 Salmacis and Hermaphroditus merge in Metamorphoses Book IV, lines 346–388 http://etext.virgini[...]
[8] 문서 Kerenyi, p. 172-3.
[9] 문서 Diodorus Siculus, Library of History 4. 6. 5
[10] 논문 The Invention of Marriage: Hermaphroditus and Salmacis at Halicarnassus and in Ovid. http://www.jstor.org[...] The Classical Associ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1] 문서 Apollo and Dionysus https://www.loebclas[...]
[12] 간행물 Hermaphroditus
[13] 서적 Three Books of Occul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Llewellyn Worldwide
[14] 서적 The Supreme Gods of the Bosporan Kingdom: Celestial Aphrodite and the Most High God https://books.google[...] BRILL
[15] 웹사이트 Encyclopaedia of the Hellenistic World, Asia Minor: Hermaphroditus – Cult http://asiaminor.ehw[...]
[16] 웹사이트 Encyclopaedia of the Hellenistic World, Asia Minor: Hermaphroditus – Literary sources http://asiaminor.ehw[...]
[17] 서적 Alciphron : literally and completely translated from the Greek, with introduction and notes https://archive.org/[...] Athens : Privately printed for the Athenian Society 1896
[18] 웹사이트 Greek Anthology, 2.1 https://www.perseus.[...]
[19] 웹사이트 an eudæmonist: The Characters of Theophrastus http://www.eudaemoni[...]
[20] 웹사이트 Library of History Book IV 4.6.5 (translated by Charles Henry Oldfather) at Theoi.com http://www.theoi.com[...]
[21] Wikisource Translation of Metamorphoses IV
[22] 웹사이트 Salmacis and Hermaphroditus https://scholarsbank[...]
[23] 웹사이트 Ausonius, Epigrams on Various Matters, CII—CIII https://archive.org/[...]
[24] 웹사이트 The Greek Anthology IX.783 https://archive.org/[...]
[25] 웹사이트 The Greek Anthology IX.317 https://archive.org/[...]
[26] 웹사이트 Hermaphroditus http://swinburnearch[...]
[27] 문서 "Engendered from the sea-foam, we are told she [Aphrodite] became the mother by Mercurius [Hermes] of the second Cupidus [literally Eros, but Cicero is probably referring to Hermaphroditos]"
[28] 웹사이트 Greek and Hellenistic Lovemaking, Embodying Male and Female Sexuality: Hermaphroditus p. 54 https://books.google[...]
[29] 서적 Istanbul Archaeological Museums https://books.google[...] A Turizm Yayinlari 1989
[30] 웹사이트 An explanatory plaque is also accessible here. http://www.waymarkin[...]
[31] 학술지 Sensing Hermaphroditus in the Dionysian Theatre Garden https://openartsjour[...] 2021-06-01
[32] 웹사이트 'The Fountain of Salmacis' at www.songfacts.com. https://www.songfact[...]
[33] 문서 Wonder Woman Vol 5 #69
[34]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1951
[35] Wikisource Metamorphoses/Book IV
[36] 웹사이트 http://www.class.uh.[...]
[37] 서적 Hermaphroditus
[38] 서적 Gods, Goddesses, and Mythology, Volume 1 http://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2005
[39] 웹사이트 Alcithoë tells the story of Salmacis in Metamorphoses Book IV, lines 274-316 http://etext.virgini[...]
[40] 웹사이트 Salmacis and Hermaphroditus merge in Metamorphoses Book IV, lines 346-388 http://etext.virgini[...]
[41] 서적 Three books of occult philosophy http://books.google.[...] 1993
[42] 서적 The supreme gods of the Bosporan Kingdom: Celestial Aphrodite and the Most High God http://books.google.[...]
[43] 웹사이트 Encyclopaedia of the Hellenistic World, Asia Minor: Hermaphroditus - Cult http://asiaminor.ehw[...]
[44] 웹사이트 Encyclopaedia of the Hellenistic World, Asia Minor: Hermaphroditus - Literary sources http://asiaminor.ehw[...]
[45] 웹인용 "Encyclopaedia Britannica, 1911: Hermaphroditus" https://web.archive.[...] 2014-11-12
[46] 웹사이트 an eudæmonist: The Characters of Theophrastus http://www.eudaemoni[...]
[47] 웹사이트 Library of History Book IV 4.6.5 (translated by Charles Henry Oldfather) at Theoi.com http://www.theoi.com[...]
[48] Wikisource Translation of Metamorphoses IV
[49] 인용구
[50] 서적 Greek and Hellenistic Lovemaking, Embodying Male and Female Sexuality: Hermaphroditus p. 54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