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각 함수 항등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각 함수 항등식은 삼각 함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등식으로, 삼각 함수의 정의, 주기성, 대칭성, 이동 성질, 피타고라스 정리, 덧셈 정리, 배각 공식, 차수 줄이기 공식, 곱을 합/차로 바꾸는 공식, 합/차를 곱으로 바꾸는 공식 등 다양한 성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등식들은 삼각 함수가 포함된 식을 간단하게 만들거나 방정식을 푸는 데 활용되며, 미적분학에서 삼각 함수의 미분 및 적분 계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등식 - 오일러 공식
    오일러 공식은 임의의 실수 x에 대해 e^{ix} = \cos x + i\sin x가 성립함을 나타내는 수학 공식으로, 지수 함수와 삼각 함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며 복소 평면에서의 회전 기술, 복소수 극형식 표현 등에 활용된다.
  • 항등식 - 피어츠 항등식
    피어츠 항등식은 디랙 스피너와 바일 스피너의 곱셈 결과를 나타내는 관계식으로, 디랙 스피너는 스칼라, 벡터, 텐서, 축벡터, 유사스칼라 간의 곱셈 결과를 표로 나타내며, 바일 스피너는 반가환성을 만족하는 특정 형태를 가진다.
  • 삼각법 - 사인파
    사인파는 고조파가 없는 단일 주파수 파형으로, 삼각함수로 표현되며 진폭, 각진동수, 위상 등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지고, 푸리에 분석을 통해 복잡한 파형으로 분해 및 합성이 가능하며, 전자공학, 음악,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삼각법 - 편평률
    편평률은 회전타원체의 납작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장반축과 단반축을 이용하여 계산되며, `f = (a - b) / a`, `f' = (a - b) / b`, `n = (a - b) / (a + b)` 세 가지 형태로 정의되고, 지구를 포함한 다른 천체들의 자전 속도와 구성 물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미적분학 -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은 미지 함수와 도함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으로, 상미분방정식과 편미분방정식으로 나뉘며,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연 현상과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고 해석적, 수치적 해법으로 해를 구하며,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분석한다.
  • 미적분학 - 회전 (벡터)
    회전(벡터)은 벡터장의 국소적인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벡터량으로, 벡터장을 선적분한 값과 폐곡선이 둘러싸는 면적의 비의 극한으로 정의되며, 물리적 현상 기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삼각 함수 항등식

2. 삼각함수의 정의

삼각함수는 직각삼각형의 변의 비율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직각삼각형에서 빗변(hypotenuse)은 직각의 대변을 의미하며, 높이(opposite)는 주어진 각의 대변, 밑변(adjacent)은 주어진 각과 직각이 만나는 변이다.

이 정의를 바탕으로, 사인(sin), 코사인(cos), 탄젠트(tan) 등의 삼각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사인(sin)''': 높이를 빗변으로 나눈 값
  • '''코사인(cos)''': 밑변을 빗변으로 나눈 값
  • '''탄젠트(tan)''': 높이를 밑변으로 나눈 값


단위원과 각의 동경을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일반적인 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단위원은 반지름이 1인 원이며, 원의 중심에서 x축 양의 방향으로 시작하는 각 θ의 동경이 단위원과 만나는 점의 x좌표를 cosθ, y좌표를 sinθ로 정의한다. tanθ는 sinθ를 cosθ로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2. 1. 기본 삼각함수

:\cos x = \sin \left(x + \frac{\pi}{2} \right)

:\tan x = \frac{\sin x}{\cos x} \qquad \operatorname{cot} x = \frac{\cos x}{\sin x} = \frac{1}{\tan x}

:\operatorname{sec} x = \frac{1}{\cos x} \qquad \operatorname{csc} x = \frac{1}{\sin x}

2. 2. 주기성, 대칭성, 이동

다음 관계는 단위원을 사용하면 쉽게 보일 수 있다.

다음 식은 삼각함수의 주기성을 나타낸다.

: \sin{x} = \sin(x + 2k\pi) \qquad \cos{x} = \cos(x + 2k\pi) \qquad \tan{x} = \tan(x + k\pi)

: \sec{x} = \sec(x + 2k\pi) \qquad \csc{x} = \csc(x + 2k\pi) \qquad \cot{x} = \cot(x + k\pi)

다음 식은 삼각함수의 대칭성을 나타낸다.

-sin \theta , cos \theta


:

\begin{matrix}

\sin(-x) = -\sin{x}, & & \sin\left({\pi \over 2} - x\right) = \cos{x}, & & \sin\left(\pi - x\right) = \;\;\sin{x} \\

\cos(-x) =\;\;\cos{x}, & & \cos\left({\pi \over 2} - x\right) = \sin{x}, & & \cos\left(\pi - x\right) = -\cos{x} \\

\tan(-x) = -\tan{x}, & & \tan\left({\pi \over 2} - x\right) = \cot{x}, & & \tan\left(\pi - x\right) = -\tan{x} \\

\cot(-x) = -\cot{x}, & & \cot\left({\pi \over 2} - x\right) = \tan{x}, & & \cot\left(\pi - x\right) = -\cot{x} \\

\sec(-x) =\;\;\sec{x}, & & \sec\left({\pi \over 2} - x\right) = \csc{x}, & & \sec\left(\pi - x\right) = -\sec{x} \\

\csc(-x) = -\csc{x}, & & \csc\left({\pi \over 2} - x\right) = \sec{x}, & & \csc\left(\pi - x\right) = \;\;\csc{x}

\end{matrix}



다음은 삼각함수의 이동 성질을 나타낸다.

:

\begin{matrix}

\sin\left(x + {\pi \over 2}\right) = \;\;\cos{x}, & & \sin\left(x + \pi\right) = - \sin{x} \\

\cos\left(x + {\pi \over 2}\right) = - \sin{x}, & & \cos\left(x + \pi\right) = - \cos{x} \\

\tan\left(x + {\pi \over 2}\right) = - \cot{x}, & & \tan\left(x + \pi\right) = \;\;\tan{x} \\

\cot\left(x + {\pi \over 2}\right) = - \tan{x}, & & \cot\left(x + \pi\right) = \;\;\cot{x} \\

\sec\left(x + {\pi \over 2}\right) = - \csc{x}, & & \sec\left(x + \pi\right) = - \sec{x} \\

\csc\left(x + {\pi \over 2}\right) = \;\;\sec{x}, & & \csc\left(x + \pi\right) = - \csc{x}

\end{matrix}



또한, 주기가 같지만, 상(phase)이 다른 사인파들의 선형결합은 또 다른 상의 동일주기의 사인파가 된다. 즉, 다음과 같다.

:a\sin x+b\cos x=\sqrt{a^2+b^2}\cdot\sin(x+\varphi)

여기서

:

\varphi=

\begin{cases}

\arctan{\frac b a},&\mbox{if }a\ge0 \\

\arctan{\frac b a} \pm \pi,&\mbox{if }a<0

\end{cases}


3. 삼각함수의 성질

삼각함수는 그 자체로 여러 가지 성질을 가지고 있다.

피타고라스 정리와 관련된 다음 공식은 삼각함수의 정의를 통해 쉽게 증명할 수 있다.

:\sin^2 x + \cos^2 x = 1 \qquad \tan^2 x + 1 = \sec^2 x \qquad \cot^2 x + 1 = \csc^2 x

오일러 공식을 이용하면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쉽게 증명할 수 있다. 탄젠트 공식은 사인, 코사인 공식을 결합하여 얻는다.

:\sin(x \pm y) = \sin{x} \cos{y} \pm \cos{x} \sin{y}\,

:\cos(x \pm y) = \cos{x} \cos{y} \mp \sin{x} \sin{y}\,

:(좌변에 "+" 기호가 있는 경우, 우변에는 "−" 기호를 사용함. 복부호 동순임)

:\tan(x \pm y) = \frac{\tan{x} \pm \tan{y}}{1 \mp \tan{x}\tan{y}}

:\cot(x \pm y) = \frac{\cot{y}\cot{x} \mp 1}{\cot{y} \pm \cot{x}}

여기서

:{\rm c\dot{\imath} s}{x} = \exp(i x) = e^{i x} = \cos{x}+i \sin{x}\,

: i^{2}=-1.\,

덧셈정리에서 x = y로 놓으면 배각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드무아브르의 공식에서 n = 2로 놓아도 된다.

:\sin{2x} = 2\sin{x}\cos{x} \,

:\cos{2x} = \cos^2{x} - \sin^2{x} = 2 \cos^2{x} - 1 = 1 - 2 \sin^2{x} = \frac{1-\tan^2{x}}{1+\tan^2{x}}\,

:\tan{2x} = \frac{2 \tan {x}} {1 - \tan^2{x}}

:\frac{\tan^2{x}-1}{\tan{x}} = \frac{-2} {\tan{2x}}

:\cot{2x} = \frac{\cot^2{x}-1}{2\cot{x}}

n차 제곱한 삼각함수를 일차식의 삼각함수 식으로 바꿀 수 있다. 차수 줄이기 공식은 배각 공식의 코사인 공식을 변형하여 얻을 수 있다.

:\cos^2{x} = {1 + \cos{2x} \over 2}

:\sin^2{x} = {1 - \cos{2x} \over 2}

:\tan^2{x} = \frac{1 - \cos{2x}}{1 + \cos{2x}}

:\cot^2{x} = \frac{1 + \cos{2x}}{1 - \cos{2x}}

삼각함수의 곱을 합 또는 차로, 합 또는 차를 곱으로 변환하는 공식은 덧셈정리를 이용해 유도할 수 있다.

3. 1. 피타고라스 정리

다음 식들은 삼각함수의 정의와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면 쉽게 보일 수 있다.

:\sin^2 x + \cos^2 x = 1 \qquad \tan^2 x + 1 = \sec^2 x \qquad \cot^2 x + 1 = \csc^2 x

3. 2. 덧셈 정리

오일러의 공식을 이용하면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쉽게 증명할 수 있다. 탄젠트 공식은 사인, 코사인 공식을 결합하여 얻는다.

:\sin(x \pm y) = \sin{x} \cos{y} \pm \cos{x} \sin{y}\,

:\cos(x \pm y) = \cos{x} \cos{y} \mp \sin{x} \sin{y}\,

:(좌변에 "+" 기호가 있는 경우, 우변에는 "−" 기호를 사용함. 복부호 동순임)

:\tan(x \pm y) = \frac{\tan{x} \pm \tan{y}}{1 \mp \tan{x}\tan{y}}

:\cot(x \pm y) = \frac{\cot{y}\cot{x} \mp 1}{\cot{y} \pm \cot{x}}

:{\rm c\dot{\imath} s}(x+y)={\rm c\dot{\imath} s}{x}\,{\rm c\dot{\imath} s}{y}

:{\rm c\dot{\imath} s}(x-y)=

여기서

:{\rm c\dot{\imath} s}{x} = \exp(i x) = e^{i x} = \cos{x}+i \sin{x}\,

: i^{2}=-1.\,

3. 3. 배각 공식

다음 공식은 덧셈 공식에서 x = y로 놓으면 바로 얻어진다. 피타고라스의 식을 쓰면 변형을 얻는다. 또한 드무아브르의 공식에서 n = 2로 놓아도 된다.

:\sin{2x} = 2\sin{x}\cos{x} \,

:\cos{2x} = \cos^2{x} - \sin^2{x} = 2 \cos^2{x} - 1 = 1 - 2 \sin^2{x} = \frac{1-\tan^2{x}}{1+\tan^2{x}}\,

:\tan{2x} = \frac{2 \tan {x}} {1 - \tan^2{x}}

:\frac{\tan^2{x}-1}{\tan{x}} = \frac{-2} {\tan{2x}}

:\cot{2x} = \frac{\cot^2{x}-1}{2\cot{x}}

아래 공식들은 덧셈정리에서 한 각을 2x, 다른 한 각을 x로 놓고 전개하면 얻을 수 있다.

:\sin{3x} = 3\sin{x} - 4\sin^3{x}\,

:\cos{3x} = 4\cos^3{x} - 3\cos{x}\,

:\tan{3x} = \frac{3\tan{x} - \tan^3{x}} {1 - 3\tan^2{x}}

아래 공식들은 배각의 공식에서 x를 2x로 두고 전개하여 풀면 얻을 수 있다.

:\sin{4x} = 4\sin{x}\cos{x} - 8\sin^3{x}\cos{x}

:\cos{4x} = 8\cos^4{x} - 8\cos^2{x} + 1

:\tan{4x} = \frac{4\tan{x} - 4\tan^3{x}}{1 - 6\tan^2{x} + \tan^4{x}}

:\sin{5x} = 5\sin{x} - 20\sin^3{x} + 16\sin^5{x}

:\cos{5x} = 5\cos{x} - 20\cos^3{x} + 16\cos^5{x}

:\tan{5x} = \frac{\tan^5{x} - 10\tan^3{x} + 5\tan{x}}{1 - 10\tan^2{x} + 5\tan^4{x}}

:\sin{6x} = 6\sin{x}\cos{x} - 32\sin^3{x}\cos^3{x}

:\cos{6x} = 32\cos^6{x} - 48\cos^4{x} +18\cos^2{x} - 1

T_nn번째 체비쇼프 다항식일 때,

:\cos{nx}=T_n(\cos{x})

드무아브르의 공식:

:\cos{nx}+i\sin{nx}=(\cos{x}+i\sin{x})^n

디리클레 핵D_n(x) 은 다음 항등식의 양변에서 도출되는 함수이다.

:1+2\cos{x}+2\cos{2x}+2\cos{3x}+\cdots+2\cos{nx}=\frac{\sin{\left(n+\frac{1}{2}\right)x}}{\sin{x \over 2}}

디리클레 핵을 갖는 2n차의 어떤 제곱적분 가능함수의 합성곱(convolution)은 함수의 n차 푸리에 근사와 함께 동시에 일어난다.

3. 4. 차수 줄이기 공식

n차 제곱한 삼각함수를 일차식의 삼각함수 식으로 바꾼다.

두배각 공식의 코사인 공식을 \cos^2{x}\sin^2{x}으로 푼다.

:\cos^2{x} = {1 + \cos{2x} \over 2}

:\sin^2{x} = {1 - \cos{2x} \over 2}

:\tan^2{x} = \frac{1 - \cos{2x}}{1 + \cos{2x}}

:\cot^2{x} = \frac{1 + \cos{2x}}{1 - \cos{2x}}

:\sin^3{x} = \frac{3\sin{x} - \sin{3x}}{4}

:\cos^3{x} = \frac{3\cos{x} + \cos{3x}}{4}

:\sin^4{x} = \frac{3 - 4\cos{2x} + \cos{4x}}{8}

:\cos^4{x} = \frac{3 + 4\cos{2x} + \cos{4x}}{8}

:\sin^5{x} = \frac{10\sin{x} - 5\sin{3x} + \sin{5x}}{16}

:\cos^5{x} = \frac{10\cos{x} + 5\cos{3x} + \cos{5x}}{16}

차수 줄이기 이차식 공식에서 x\textstyle \frac x 2을 대입하고, \textstyle \cos \frac x 2\textstyle \sin \frac x 2으로 푼다.

:\left|\cos{\frac{x}{2}}\right| = \sqrt{\frac{1 + \cos{x}}{2}}

:\left|\sin{\frac{x}{2}}\right| = \sqrt{\frac{1 - \cos{x}}{2}}

:\left|\tan{\frac{x}{2}}\right| =\sqrt{\frac{1 - \cos{x}}{1 + \cos{x}}}

또한, \textstyle \tan \frac x 2\textstyle \frac {\sin \frac x 2} {\cos \frac x 2}과 같고, 여기에 분자 분모에 같은 \textstyle 2 \cos \frac x 2을 곱한다. 그러면, 분자는 사인의 두배각 공식에 의해 \sin x이 되고, 분모는 \textstyle 2 \cos^2 \frac x 2 - 1 + 1 이므로 코사인 두배각 공식을 쓰면 \cos x + 1 이 된다. 두 번째 식은 분자와 분모에 다시 \sin x를 곱하고, 피타고라스 공식으로 간단히 하면 얻어진다.

:\tan{\frac{x}{2}} =\frac{\sin{x}}{\cos{x} + 1} = \frac{1 - \cos{x}}{\sin{x}} =\csc{x} - \cot{x}

3. 5. 곱을 합/차로 바꾸는 공식

우변을 덧셈정리로 전개하면 증명된다.

:\sin{x} \cos{y} = \frac{\sin(x + y) + \sin(x - y)}{2}

:\cos{x} \sin{y} = \frac{\sin(x + y) - \sin(x - y)}{2}

:\cos{x} \cos{y} = \frac{\cos(x + y) + \cos(x - y)}{2}

:\sin{x} \sin{y} = -\frac{\cos(x + y) - \cos(x - y)}{2}

3. 6. 합/차를 곱으로 바꾸는 공식

위 식의 x\textstyle \frac{x + y}{2}로, y\textstyle \frac{x - y}{2} 로 바꾸면 다음과 같은 공식들을 얻을 수 있다.

:\sin{x} \pm \sin{y} = 2 \sin\left( \frac{x \pm y}{2} \right) \cos\left( \frac{x \mp y}{2} \right)

:\cos{x} + \cos{y} = 2 \cos\left( \frac{x + y}{2} \right) \cos\left( \frac{x - y}{2} \right)

:\cos{x} - \cos{y} = -2 \sin\left( \frac{x + y}{2} \right) \sin\left( \frac{x - y}{2} \right)

:\tan{x} \pm \tan{y} = \frac{\sin{(x \pm y)}}{\cos{x}\cos{y}}

또한, 다음과 같은 공식들도 성립한다.

:\frac{\sin{x} + \sin{y}}{\sin{x} - \sin{y}} = \frac{\tan{\tan

:\frac{\sin{x} + \sin{y}}{\cos{x} - \cos{y}} = \cot{\cos{x} + \cos{y}} = \tan{\cos{x} + \cos{y}} = \tan{{1 \over 2}(x-y)}

4. 삼각함수의 역함수

역삼각함수라고도 한다.

x > 0이면,

:\arctan{x}+\arccot{x}=\frac{\pi}{2}.

만약 x < 0이면, 등식 우변이 \textstyle -\frac \pi 2가 된다.

:\arctan{x}+\arctan{y}=\arctan\left(\frac{x+y}{1-xy}\right)

피타고라스 정리로부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항등식을 얻는다.

:\cos(\arcsin{x})=\sqrt{1-x^2}

5. 변수 없는 항등식

리처드 파인만은 소년 시절에 다음의 기묘한 식을 배우고 언제나 기억했다고 알려져 있다.

:\cos 20^\circ\cdot\cos 40^\circ\cdot\cos 80^\circ=\frac 1 8

그러나, 이 식은 다음의 변수를 포함한 일반적인 식의 특수한 경우이다. (\scriptstyle x=20^\circ, k=3을 넣고, \scriptstyle \sin x = \sin (180^\circ-x)를 이용해 우변을 정리한다.)

:\prod_{j=0}^{k-1}\cos(2^j x)=\frac{\sin(2^k x)}{2^k\sin{x}}

다음 식들은 아마 변수가 있는 일반화된 식을 찾기가 위보다 어려울 것이다.

:\cos 36^\circ+\cos 108^\circ=\frac 1 2

:\cos 24^\circ+\cos 48^\circ+\cos 96^\circ+\cos 168^\circ=\frac 1 2

21을 택해서 각을 나누면, 도로 표현한 각이 더 이상 깔끔하지 않다. 다음 식을 보자.

:\cos\frac{2\pi}{21}+\cos\frac{2(2\pi)}{21}+\cos\frac{4(2\pi)}{21}+\cos\frac{5(2\pi)}{21}+\cos\frac{8(2\pi)}{21}+\cos\frac{10(2\pi)}{21}=\frac 1 2

1, 2, 4, 5, 8, 10 이란 인자를 보면 차츰 답이 드러난다. 이 수들은 모두 \frac{21}{2}보다 작고, 21과의 공약수가 1인 수들이다. 사실 위 세 가지 예는 더 인수분해되지 않는 원분다항식에 대한 기본정리의 따름정리이다. 코사인값은 다항식의 영(zero)들의 실수부이고, 그들의 합은 21(가장 마지막 예)의 뫼비우스 함수값이다. (식에선 값의 반만이 나타난다.)

6. 미적분학

미적분학에서 삼각함수를 사용할 때는 각을 라디안으로 표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관계식들은 성립하지 않는다.

:\lim_{x\rightarrow 0}\frac{\sin{x}}{x}=1

:\lim_{x\rightarrow 0}\frac{1-\cos{x}}{x}=0

위 식은 미분의 극한 정의와 덧셈정리를 이용하거나, 삼각함수가 테일러 급수로 정의된 경우에는 각 항을 미분하여 증명할 수 있다. 나머지 삼각함수의 미분은 위 항등식과 미분법칙으로 얻어지며, 적분식은 적분표를 참고한다.

6. 1. 미분

미적분학에서 삼각함수는 각을 라디안으로 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관계식들은 성립하지 않는다. 우선 삼각함수가 기하학적으로 정의된 후에 함수들의 미분을 구하기 위해선 우선 다음을 증명한다.

:\lim_{x\rightarrow 0}\frac{\sin{x}}{x}=1

:\lim_{x\rightarrow 0}\frac{1-\cos{x}}{x}=0

그리고, 미분의 극한 정의와 덧셈정리를 이용한다. 삼각함수가 테일러 급수로 정의되었다면, 각 항을 미분하여 알아낼 수 있다. (참고 \lim_{x\rightarrow 0}\frac{1-\cos{x}}{x^2}=\frac{1}{2}))

삼각함수와 역삼각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d \over dx}\sin{x} = \cos{x}

:{d \over dx}\cos{x} = -\sin{x}

:{d \over dx}\tan{x} = \sec^2{x}

:{d \over dx}\csc{x} = -\csc{x}\cot{x}

:{d \over dx}\sec{x} = \sec{x}\tan{x}

:{d \over dx}\cot{x} = -\csc^2{x}

:{d \over dx}\arcsin{x} = \frac{1}{\sqrt{1-x^2}}

:{d \over dx}\arccos{x} = -\frac{1}{\sqrt{1-x^2}}

:{d \over dx}\arctan{x} = \frac{1}{1+x^2}

:{d \over dx}\arccot{x} = -\frac{1}{1+x^2}

:{d \over dx}\arcsec{x} = \frac{1}{|x|\sqrt{x^2 - 1}}

:{d \over dx}\arccsc{x} = -\frac{1}

6. 2. 적분

적분표를 참고하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