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각삼각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각삼각형은 한 각이 90°인 삼각형이다. 빗변은 직각의 대변으로 가장 긴 변이며, 피타고라스 정리에 따라 세 변의 길이 사이에는 a² + b² = c²의 관계가 성립한다. 직각삼각형은 두 개의 예각을 가지며, 두 예각의 합은 90°이다. 직각삼각형의 외심은 빗변의 중점에 위치하며, 내심은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이다. 삼각함수는 직각삼각형의 변의 비율로 정의되며, 특수한 각도를 갖는 30-60-90 삼각형과 45-45-90 삼각형은 삼각함수 값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각형 - 버뮤다 삼각지대
버뮤다 삼각지대는 플로리다 해협, 버뮤다, 푸에르토리코를 잇는 삼각형 해역으로, 선박과 항공기 실종으로 '마의 삼각 해역'이라 불리지만, 과장 및 허구임이 밝혀졌고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하며 자연적 요인과 초자연적 설명이 존재한다. - 삼각형 - 정삼각형
정삼각형은 세 변의 길이가 같고 모든 내각이 60°인 삼각형으로, 이등변삼각형의 특수한 형태이며 내심, 외심, 무게중심이 일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수학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수학 - 존 밀너
존 밀너는 미분위상수학, 대수적 K이론, 동역학계에 기여한 미국의 수학자로, 7차원 이국적 초구의 존재를 증명하여 미분위상수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필즈상, 울프 수학상, 아벨상을 모두 수상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직각삼각형 | |
---|---|
개요 | |
![]() | |
종류 | 삼각형 |
면적 | S = 1/2 ab |
둘레 | C = 2πR |
영어 | Right triangle |
한자 | 直角三角形 |
로마자 표기 | Jikgak samgak hyeong |
2. 정의 및 기본 성질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정리 중 하나이다. 변의 길이가 인 삼각형 에서 반둘레 , 넓이 가장 긴 변에 대한 높이 , 외접반지름 내접원 반지름 방접원 반지름 는 각각 에 접하며, 중선은 일 때, 다음은 모든 직각삼각형의 성질이다.
직각삼각형은 한 각이 직각(90°)인 삼각형이다.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에 마주보는 변을 "빗변"이라고 하며, 빗변은 직각삼각형의 세 변 중 가장 길다. 빗변의 중점은 세 꼭짓점까지의 거리가 같다(외심).[7] 직각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은 "밑변"과 "높이"라고 불린다. 직각삼각형의 직각이 아닌 두 내각은 모두 예각(90° 미만의 각)이며, 그 합은 90°이다. (여각 관계)[7]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외접원의 지름과 같고, 직각을 낀 두 변의 길이의 합에서 내접원의 지름을 뺀 차이와 같다.
합동인 두 개의 직각삼각형에서 빗변만 겹치면 직사각형이 만들어진다. 직각삼각형은 면적 ''ab''인 직사각형을 하나의 대각선으로 나누어 2등분한 도형이므로, 면적은 1/2''ab''이다.
또한, 합동인 두 개의 직각삼각형을 인접한 변을 하나씩 겹치면 이등변 삼각형이 만들어진다. 두 개의 합동인 삼각형을 한 변씩 겹쳐서 다른 삼각형이 만들어지는 것은 이 경우에 한정된다.
3. 주요 정리 및 공식
'''탈레스의 정리'''는 가 원의 지름이고 가 원 위의 다른 점이면 는 에서 직각을 갖는 직각삼각형이라고 말한다. 역은 직각삼각형의 빗변이 외접원의 지름이라고 말한다. 따름 정리에 따르면 외접원은 지름의 중간점에 중심을 가지므로 직각 꼭짓점을 통과하는 중선은 반지름이며 외접원의 반지름은 빗변 길이의 절반이다.
3. 1.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의 세 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로, 현대 대수 표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여기서 는 빗변(직각의 반대편)의 길이이고, 와 는 나머지 두 변의 길이이다. 피타고라스 수는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정수 값을 말한다. 이 정리는 고대 시대에 증명되었으며, 유클리드의 ''원론'' 명제 I.47에 "직각삼각형에서 직각을 마주보는 변의 제곱은 직각을 포함하는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라고 나와있다.
삼제곱의 정리라고도 불리는 이 정리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가 직각을 끼는 두 변을 각각 한 변으로 하는 두 정사각형 넓이의 합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빗변의 길이를 , 직각을 끼는 두 변의 길이를 각각 , 라고 하면, 다음의 등식이 성립한다.
:
삼제곱의 정리는 역도 성립한다. 즉, 위의 등식을 만족하는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다.
3. 2. 직각삼각형의 합동 조건
직각삼각형은 각 하나가 90도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두 가지의 특별한 합동 조건이 있다.3. 3. 직각삼각형의 넓이
모든 삼각형과 마찬가지로, 면적은 밑변에 해당 높이를 곱한 값의 절반과 같다. 직각삼각형에서 한 변을 밑변으로 간주하면 다른 변이 높이가 되므로, 직각삼각형의 면적은 두 변의 곱의 절반이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면적 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와 는 삼각형의 변이다.
내접원이 빗변 에 점 에서 접할 경우, 반둘레를 라고 하면 및 가 되고, 면적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이 공식은 직각삼각형에만 적용된다.[1]
3. 4. 내심, 외심, 수심
직각삼각형의 외접원의 반지름은 빗변 길이의 절반이다.
:
내접원의 반지름 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와 는 직각삼각형의 두 변, 는 빗변)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지름의 합은 두 변의 길이 합의 절반이다.[5]
:
직각삼각형의 수심(세 높이의 교차점)은 직각 꼭짓점과 일치한다.
직각삼각형의 오일러 선은 빗변에 대한 중선을 포함한다. 즉, 직각을 이루는 꼭짓점과 그 꼭짓점의 대변의 중점을 모두 통과한다. 이는 직각삼각형의 수심이 직각 꼭짓점에 위치하고 외심(변의 수직 이등분선의 교점)이 빗변의 중점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4. 삼각비와 삼각함수
삼각비는 직각삼각형의 변의 비율로 정의할 수 있다. 주어진 각에 대해, 이 각으로 직각 삼각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각을 기준으로 변을 대변, 인접변(밑변), 빗변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변의 비율은 선택된 특정 직각 삼각형에 의존하지 않고 주어진 각에만 의존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모든 삼각형은 닮음이기 때문이다. 주어진 각 α에 대해 대변, 인접변(밑변) 및 빗변이 각각 및 로 표시되면 삼각함수는 다음과 같다.
:
위 식에서 는 대변, 는 밑변, 는 빗변이다.
예각에 대한 삼각함수를 기하학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직각 삼각형을 이용하며 빗변 , 밑변 , 대변 에 의해
: (사인)
: (코사인)
: (탄젠트)
로 정의한다.
5. 특수 직각삼각형
삼각 함수의 값은 특수 각을 가진 직각삼각형을 사용하여 특정 각도에 대해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는 30-60-90 삼각형과 45-45-90 삼각형 (직각이등변삼각형)이 포함된다. 30-60-90 삼각형은 의 모든 배수에 대한 삼각 함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45-45-90 삼각형은 의 모든 배수에 대한 삼각 함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1]
5. 1. 30-60-90 삼각형
세 각이 30°, 60°, 90°인 직각삼각형은 정삼각형을 반으로 나눈 반정삼각형이다.[1] 변의 길이 비는 이다.[1] 30-60-90 삼각형은 의 모든 배수에 대한 삼각함수 값을 구하는 데 사용된다.[1]삼각자는 직각삼각형이며, 두 예각이 30°, 60°인 반정삼각형과 밑각이 모두 45°인 직각이등변삼각형 2개가 한 벌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1]
5. 2. 45-45-90 삼각형 (직각이등변삼각형)
45-45-90 삼각형은 세 각이 45°, 45°, 90°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이 삼각형은 의 모든 배수에 대한 삼각 함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삼각자는 직각삼각형이며, 밑각이 모두 45°인 직각이등변삼각형 2개가 한 벌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2]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반정삼각형(정삼각형을 반으로 나눈 것)의 긴 변과 길이가 같은 경우가 많다. 이것들을 사용하여 평행선이나 수직선을 쉽게 작도할 수 있다.[2]5. 3. 케플러 삼각형
''a'' > ''b''인 두 양수 ''a''와 ''b''에 대해 조화 평균(H), 기하 평균(G), 산술 평균(A)이 있고, 직각삼각형의 두 변이 H와 G이고 빗변이 A이면, 이 직각삼각형의 변들은 등비 수열을 이룬다.[12] 이때,:
이며, 여기서 는 황금비이다. 이러한 직각삼각형을 케플러 삼각형이라고 한다.
6. 한국 전통 건축에서의 직각삼각형
메이지 시대 초기 일본에서는 직각삼각형을 "구고현의 형"[17]이라고 불렀다. 이 이름은 한나라의 『구장산술』 "구고" 장에서 유래되었으며, 중국과 일본의 와산에 계승되었다. "구고현"이라는 말은 일본 전통 건축의 규구술[18]에서도 사용된다.
6. 1. 구고현의 정리
메이지 시대 초기 일본에서는 직각삼각형을 "구고현의 형"[17]이라고 불렀다. 이 이름의 기원은 한나라의 『구장산술』 "구고" 장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구장산술』은 현대의 중국은 물론, 일본의 와산에도 계승되었다. "구고현"이라는 말은 현재 일본의 전통 건축의 규구술[18]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빗변을 "현", 인접변을 "구", 대변을 "고"로 나타낸다.)6. 2. 규구술
규구술[18]은 일본 전통 건축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직각삼각형의 원리를 이용한다. 빗변을 "현", 직각을 낀 두 변을 각각 "구", "고"라고 부른다.7. 기타
참조
[1]
간행물
A property of triangles involving area
2003-07
[2]
문서
Wentworth p. 156
[3]
간행물
Integer solutions of
1999-07
[4]
간행물
The upside-down Pythagorean Theorem
2008-07
[5]
문서
Inequalities proposed in "[[Crux Mathematicorum]]"
http://www.imomath.c[...]
[6]
웹사이트
Triangle right iff s = 2R + r, Art of problem solving, 2011
https://web.archive.[...]
2012-01-02
[7]
웹사이트
Properties of Right Triangles
https://web.archive.[...]
2012-02-15
[8]
문서
A Variant of the Pythagorean Theorem
http://www.cut-the-k[...]
2011
[9]
간행물
Converse of a Property of Right Triangles
2005-03
[10]
간행물
Hansen's Right Triangle Theorem, Its Converse and a Generalization
http://forumgeom.fau[...]
[11]
서적
Complex Numbers from A to...Z
Birkhäuser
2006
[12]
간행물
The golden ratio — the right triangle — and the arithmetic, geometric, and harmonic means
2005-07
[13]
서적
The Secrets of Triangles
Prometheus Books
2012
[14]
서적
Challenging Problems in Geometry
Dover
1996
[15]
간행물
Squares inscribed in angles and triangles
1998
[16]
웹사이트
【図形の性質と証明】④直角三角形の合同 A
https://www.pref.osa[...]
大阪府
2024-02-07
[17]
서적
米欧回覧実記・5
岩波書店(岩波文庫)
1996
[18]
웹사이트
規矩術指金使いの基本、勾殳玄の図、解勾股弦
https://tyouken.tend[...]
大工さんが作ったホーム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