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보 (불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보(三寶)는 불교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는 세 가지 보물로, 불(佛), 법(法), 승(僧)을 의미한다. 상좌부 불교에서는 삼보에 귀의한다는 의미의 삼귀의문을 통해 믿음을 굳건히 하며, 대승불교에서는 불·법·승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바탕으로 삼보를 해석한다. 한국 불교는 삼보에 대한 귀의를 강조하며, 이는 개인의 수행뿐 아니라 사회적 책임으로 이어진다. 한편, 도교에서도 자비, 검소, 겸손을 삼보로 여기거나, 도, 경, 사를 삼보로 간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수 3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 명수 3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삼보 (불교)
불교의 삼보
의미불교의 귀의 대상이자 깨달음의 길을 제시하는 세 가지 보물
구성 요소불(佛) (Buddha)
법(法) (Dharma)
승(僧) (Sangha)
각 요소 상세
불 (佛)깨달음을 얻은 존재, 가르침의 근원
법 (法)부처의 가르침, 진리, 깨달음으로 이끄는 길
승 (僧)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공동체, 수행자 집단
다른 언어 표기
중국어三宝 (Sānbǎo)
일본어三宝 (Sanbō)
미얀마어ရတနာသုံးပါး (ratanā suṃ" pā")
팔리어ratana-taya
산스크리트어ratna-traya, trīṇi ratnāni

2. 상좌부 불교의 삼귀의

'''삼귀의'''(Saraṇataya)는 불교에서 삼보에 귀의함을 나타내는 문구이다.[4] 수다원과에 도달한 사람은 삼보에 대한 완벽한 믿음을 갖춘 것으로 여겨진다(사예류과지).[5]

2. 1. 삼귀의문

'''삼귀의'''(Saraṇataya) 또는 '''삼귀의문'''은 삼보를 숭배하고 불교에 귀의했음을 읊는 문구이다.[4]

Buddhaṃ saraṇaṃ gacchāmi|붓당 사라낭 갓차미pi

Dhammaṃ saraṇaṃ gacchāmi|담망 사라낭 갓차미pi

Saṅghaṃ saraṇaṃ gacchāmi|상강 사라낭 갓차미pi

Dutiyampi buddhaṃ saraṇaṃ gacchāmi|두띠얌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pi

Dutiyampi dhammaṃ saraṇaṃ gacchāmi|두띠얌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pi

Dutiyampi saṅghaṃ saraṇaṃ gacchāmi|두띠얌삐 상강 사라낭 갓차미pi

Tatiyampi buddhaṃ saraṇaṃ gacchāmi|따띠얌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pi

Tatiyampi dhammaṃ saraṇaṃ gacchāmi|따띠얌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pi

Tatiyampi saṅghaṃ saraṇaṃ gacchāmi|따띠얌삐 상강 사라낭 갓차미pi

: 저는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저는 가르침(법)에 귀의합니다.

: 저는 승가에 귀의합니다.

: 두 번, 저는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두 번, 저는 가르침(법)에 귀의합니다.

: 두 번, 저는 승가에 귀의합니다.

: 세 번, 저는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세 번, 저는 가르침(법)에 귀의합니다.

: 세 번, 저는 승가에 귀의합니다.

수다원과에 도달한 사람은 삼보에 대한 완벽한 믿음을 갖춘 것으로 여겨진다(사예류과지).[5]

2. 2. 수다원과 삼귀의

수다원에 이른 사람은 삼보에 대한 완전한 믿음을 갖춘 것으로 여겨진다.[5]

3. 대승불교의 삼귀의

대승불교에서 삼보는 깨달음을 체현한 자, 부처가 설한 가르침, 불제자 집단을 말하며, 불교에서는 이 삼보에 대한 "귀의"(의지한다는 의미)가 강조된다.[3]

3. 1. 삼보에 대한 다양한 이해

대승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체현한 자인 "불"(석가, 여래 등), 부처가 설한 가르침을 집대성한 "법", 법을 배우는 불제자의 집단인 "승가"라는 이해가 가장 일반적이다. 그 외에 "불"을 불상, "법"을 경권, ""을 출가자로 파악하는 이해도 있다.

다만 절대신에 대한 "신앙"을 기초로 하는 아브라함 계통 종교인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달리, 불교에서는 삼보에 대한 "귀의"(의지한다는 의미)가 강조된다.

참고로, 중국과 일본에서는 출가자 개인을 "승"(혹은 "승려")으로 해석하여, 본래의 승가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다.(자세한 내용은 참조.)

삼보를 불·법·승의 3자로 나누어 파악하는 것을 별상삼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 3자 모두 진여에서 발하기 때문에 하나라고 파악하는 일체삼보, 불상·경권·출가승의 3자로 파악하는 주지삼보라는 개념도 존재한다.[3] 대승의 『대반열반경』에서는, 불·법·승의 삼보는 일체로서 본래 구별되는 것이 아니며, 여래상주를 설하는 법 또한 상주하며, 승 또한 상주한다고 설한다. 또한, 그 때문에 여래는 일귀의처로서 삼보에 차별(삼차별)이 없다고 설하고 있다.

그 외에, 불보를 "제여래", 법보를 "대승경", 승보를 "제보살"로 하고, 밀교적으로 해석하면 이 삼보는 불부·연화부·금강부의 삼부이다.

3. 2. 중국, 일본 불교에서의 '승'의 의미 변화

중국과 일본에서는 출가자 개인을 "승"(혹은 "승려")으로 해석하여, 본래의 승가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다.(자세한 내용은 참조.)[3]

3. 3. 별상삼보, 일체삼보, 주지삼보

삼보를 불·법·승의 세 가지로 나누어 파악하는 것을 별상삼보라고 하며, 이 세 가지 모두 진여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하나로 파악하는 일체삼보, 불상·경권·출가승의 세 가지로 파악하는 주지삼보라는 개념도 존재한다.[3] 대반열반경에서는 불·법·승의 삼보는 일체로서 본래 구별되는 것이 아니며, 여래상주를 설하는 법 또한 상주하며, 승 또한 상주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여래는 하나의 귀의처로서 삼보에 차별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3. 4. 밀교적 해석

밀교에서는 불보를 "제여래", 법보를 "대승경", 승보를 "제보살"로 해석하며, 이 삼보를 불부·연화부·금강부의 삼부로 본다.[3]

4. 도교의 삼보

도교에도 불교와는 다른 의미를 지닌 삼보가 존재한다. 도교의 삼보는 크게 노자의 삼보와 경전에 의한 삼보로 나뉜다.

4. 1. 노자의 삼보

도교에서는 노자가 "나에게 삼보가 있으니, 이를 지키고 보존한다. 첫째는 '''자비'''이며, 둘째는 '''검소'''이며, 셋째는 '''감히 천하의 앞에 서지 않음'''이다."라고 말한 것을 삼보라고 한다.

4. 2. 경전에 의한 삼보

'''도'''(태상무극대도), '''경'''(36부 존경), '''사'''(현중대법사)를 삼보로 본다.

참조

[1] 서적 The Judson Burmese-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American Baptist Mission Press
[2] 서적 増補改訂パーリ語辞典 春秋社
[3] 서적 三宝 岩波書店
[4] 웹사이트 仏旗・法輪・三帰依文 http://www.jbf.ne.jp[...] 全日本仏教会 2022-12-01
[5] SLTP 相応部預流相応 有慧品
[6] 웹사이트 三寶(삼보)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6-03-06
[7] 웹사이트 僧(승) http://buddha.donggu[...] 운허 & 동국역경원 2016-03-06
[8] 문서 귀의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