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일 문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일 문제는 임의의 집단에서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존재할 확률에 대한 문제이다. 366명 이상이 있다면 비둘기집 원리에 따라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반드시 존재하며, 365명 이하의 경우, n명의 사람이 있을 때 생일이 같은 사람이 적어도 두 명 이상 있을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23명일 때 생일이 같은 사람이 있을 확률이 약 50%를 넘고, 50명일 때는 약 97%가 된다. 이러한 확률 계산은 순열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계산할 수 있으며, 지수 함수를 이용한 근사식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생일 문제는 일반화된 형태로도 나타낼 수 있으며, 암호 시스템의 생일 공격, 해시 함수, 의사 난수 생성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연 - 링컨과 케네디의 공통점
    링컨과 케네디의 공통점은 암살, 부통령의 대통령직 승계, 흑인 인권 문제 관여 등 두 미국 대통령 사이의 여러 우연의 일치로 여겨지지만, 단순한 우연이거나 아포페니아 현상일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확률론의 역설 - 몬티 홀 문제
    몬티 홀 문제는 세 개의 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진행자가 상품이 없는 문을 열어 보여줄 때, 선택을 바꾸는 것이 유리한지를 묻는 확률 문제로, 직관과 달리 선택을 바꾸는 것이 당첨 확률을 높이는 전략임을 보여주는 확률 역설이며, 의사 결정 방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확률론의 역설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설은 기대값이 무한대인 도박 게임에서 사람들이 기대값보다 훨씬 적은 금액을 지불하려 하는 현상을 보이는 확률론의 역설로, 동전 던지기 게임을 통해 설명되며, 기대 효용 이론, 유한한 상트페테르부르크 복권, 확률 가중치 등의 개념으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다.
  • 응용확률론 - 자급자족
    자급자족은 개인이 스스로 생산한 것만 소비하며 자립적 건축, 지속 가능한 농업, 재생 에너지 등을 통해 실현되는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이다.
  • 응용확률론 - 진폭 편이 방식
    진폭 편이 방식(ASK)은 반송파의 진폭을 변화시켜 데이터를 표현하는 변조 방식이며, 온오프 변조와 다치 ASK가 있으며, 오류 확률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생일 문제
개요
이름생일 문제
다른 이름생일 역설
유형확률
관련 개념비둘기집 원리
문제 설명
질문임의의 n명의 사람들 중에서 적어도 두 사람의 생일이 같을 확률은 얼마인가?
역설23명만 되어도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존재할 확률이 50%를 넘는다는 사실은 직관과 모순된다.
확률 계산
가정1년은 365일이다. (윤년은 고려하지 않음)
각 날짜에 태어날 확률은 동일하다.
계산 방법모든 사람의 생일이 다를 확률을 계산한 후, 1에서 빼는 방식으로 계산한다.
n명이 있을 때, 모든 사람의 생일이 다를 확률은 (365/365) * (364/365) * (363/365) * ... * ((365-n+1)/365) 이다.
공식P(n) = 1 - (365! / ((365 - n)! * 365^n))
확률 값
n = 1011.7%
n = 2041.1%
n = 2247.6%
n = 2350.7%
n = 3070.6%
n = 5097.0%
n = 5799.0%
n = 7099.9%
일반화
d일d개의 가능한 생일이 있는 경우, n명이 있을 때 두 사람이 같은 생일을 가질 확률은 다음과 같다.
일반화 공식1 - (d! / ((d - n)! * d^n))
응용
해시 함수해시 함수의 충돌 확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생물학DNA 서열 분석에서 특정 패턴이 우연히 나타날 확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통계학무작위 표본 추출에서 중복된 표본이 나올 확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참고 자료
참고 문헌http://www.math.ucsd.edu/~crypto/Monty/birthday.html
http://www.cut-the-knot.org/do_you_know/birthday.shtml
관련 항목비둘기집 원리

2. 확률 계산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존재할 확률을 직접 계산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생일이 다를 확률을 계산하여 전체 확률(1)에서 빼는 방법이 사용된다.

366명 이상이 모이면 비둘기집 원리에 따라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반드시 존재한다.[27]

(내용 생략 - '기본 계산', '근사' 하위 섹션과 중복)

23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생일이 겹치지 않을 확률을 ''A''라고 하고, 최소 두 명의 생일이 같을 확률을 ''B''라고 하면, ''B'' = 1 - ''P''(''A'')가 된다. 순열을 사용하면, ''P''(''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egin{align} V_{nr} &= \frac{365!}{(365-23)!} \\[8pt] V_t &= 365^{23} \\[8pt] P(A) &= \frac{V_{nr}}{V_t} \approx 0.492703 \\[8pt] P(B) &= 1 - P(A) \approx 0.507297 \quad (50.7297\%)\end{align}

폴 할모스는 자서전에서 생일 문제의 계산 방식보다 추상적인 수학적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등식을 이용해 1~2분 안에 확률을 구할 수 있지만, 곱셈은 더 오래 걸리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2. 1. 기본 계산

n명의 사람이 있을 때, 모든 사람의 생일이 다를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bar p(n) = 1 \times \left(1-\frac{1}{365}\right) \times \left(1-\frac{2}{365}\right) \times \cdots \times \left(1-\frac{n-1}{365}\right) = { 365! \over 365^n (365-n)!}

여기서, n≤365 인 자연수이고, !는 계승 (수학)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일이 같은 사람이 적어도 두 명 이상 있을 확률 p(n)

:p(n) = 1 - { 365! \over 365^n (365-n)!}

가 된다.

이 식을 이용해 계산하면, 23명일 때 확률이 약 50.7%, 50명일 때 약 97.0%가 된다.

np(n)
10.0%
52.7%
1011.7%
2041.1%
2350.7%
3070.6%
4089.1%
5097.0%
6099.4%
7099.9%
10099.99997%
20099.9999999999999999999999999998%
300(100 − (6×10−80))%
350(100 − (3×10−129))%
365(100 − (1.45×10−155))%
366100%
367100%


2. 2. 근사

비둘기집 원리에 따라 366명 이상이 모이면 생일이 같은 두 사람이 반드시 존재한다.[27] 365명 이하일 경우, n명의 사람이 있을 때 생일이 같은 사람이 두 명 이상 있을 확률을 p(n)이라 하면, 모든 사람의 생일이 다를 확률 $\bar p(n)$은 $1-p(n)$이다. $\bar p(n)$을 먼저 구하면 다음과 같다.

:\begin{align} \bar p(n) &= 1 \times \left(1-\frac{1}{365}\right) \times \left(1-\frac{2}{365}\right) \times \cdots \times \left(1-\frac{n-1}{365}\right) \\ &= { 365 \times 364 \times 363 \times \cdots \times (365-n+1) \over 365^n } \\ &= { 365! \over 365^n (365-n)!} \end{align}

따라서 생일이 같은 사람이 두 명 이상 있을 확률 p(n)은

:\begin{align} p(n) &= 1 - { 365! \over 365^n (365-n)!} \end{align}

가 된다. 여기서 n≤365 인 자연수이고, !는 계승 (수학)을 의미한다.

특정 n 값에 대해 p(n)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np(n)
10.0%
52.7%
1011.7%
2041.1%
2350.7%
3070.6%
4089.1%
5097.0%
6099.4%
7099.9%
10099.99997%
20099.9999999999999999999999999998%
300(100 − (6×10−80))%
350(100 − (3×10−129))%
365(100 − (1.45×10−155))%
366100%
367100%



즉, 50명만 모여도 생일이 같은 두 명 이상이 있을 확률은 97%이고, 100명이 모이면 거의 1에 가까워진다.

지수 함수테일러 급수 전개 (상수 e ≈ 2.718281828)는 다음과 같다.

: e^x = 1 + x + \frac{x^2}{2!}+\cdots

|x| << 1일 때 ex에 대한 1차 근사를 제공한다.

: e^x \approx 1 + x.

이 근사를 사용하여, $\bar p(n)$을 근사할 수 있다.

:

\begin{align}

\bar p(n) & \approx 1 \cdot e^{-1/365} \cdot e^{-2/365} \cdots e^{-(n-1)/365} \\[6pt]

& = e^{-\big(1+2+ \,\cdots\, +(n-1)\big)/365} \\[6pt]

& = e^{-\frac{n(n-1)/2}{365}} = e^{-\frac{n(n-1)}{730}}.

\end{align}



따라서,

: p(n) = 1-\bar p(n) \approx 1 - e^{-\frac{n(n-1)}{730}}.

더욱 단순화된 근사식은 다음과 같다.

:p(n)\approx 1-e^{-\frac{n^2}{730}}

푸아송 분포를 이용한 근사도 가능하다. 23명의 그룹에 대해 푸아송 근사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Poi}\left(\frac{\binom{23}{2}}{365}\right) =\operatorname{Poi}\left(\frac{253}{365}\right) \approx \operatorname{Poi}(0.6932)

따라서

:\Pr(X>0)=1-\Pr(X=0) \approx 1-e^{-0.6932} \approx 1-0.499998=0.500002.

이 근사는 $e^x \approx 1 + x$를 사용하는 테일러 전개에 기반한 위의 근사와 동일하다.

윤년, 쌍둥이 등은 고려하지 않고, 365일 모두 동일한 확률이라고 가정한다.[4][5] 실제 생일 분포는 균등하지 않지만, 근사적으로 계산할 때는 이 가정을 사용한다.

3. 일반화

Birthday problem|생일 문제영어는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될 수 있다. d일을 가진 해를 기준으로, '''일반화된 생일 문제'''는 n명의 무작위로 선택된 사람들 집합에서 생일이 일치할 확률이 최소 50%가 되도록 하는 최소 숫자 n(d)를 묻는 문제이다. 즉, n(d)는 다음을 만족하는 최소 정수 n이다.

:1-\left(1-\frac{1}{d}\right)\left(1-\frac{2}{d}\right)\cdots\left(1-\frac{n-1}{d}\right)\geq \frac{1}{2}.

따라서 고전적인 생일 문제는 n(365)를 결정하는 것과 같다. n(d)에 대한 여러 경계 및 공식이 발표되었다.[9] 어떤 d ≥ 1에 대해, 숫자 n(d)는 다음을 만족한다.[10]

:\frac{3-2\ln2}{6}

이 경계는 n(d) - 가 임의로 (3-2ln2)/6 ≈ 0.27에 가까워진다는 점에서 최적이다. 반면, d < 43 에 대해 최댓값으로 9 - ≈ 1.28을 갖는다.

이 경계는 대부분의 경우 n(d)의 정확한 값을 제공할 만큼 충분히 좁다. 예를 들어, d = 365에 대해, 이러한 경계는 22.7633 < n(365) < 23.7736임을 의미하며, 23이 해당 범위의 유일한 정수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계로부터 n(d)는 항상 다음 중 하나와 같다.

:\left\lceil\sqrt{2d\ln2}\,\right\rceil \quad\text{또는}\quad \left\lceil\sqrt{2d\ln2}\,\right\rceil+1

여기서 는 천장 함수를 나타낸다.

다음 공식

:n(d) = \left\lceil\sqrt{2d\ln2}\,\right\rceil

은 모든 정수 d의 73%에 대해 성립한다.[11] 공식

:n(d) = \left\lceil\sqrt{2d\ln2}+\frac{3-2\ln2}{6}\right\rceil

은 거의 모든 d, 즉 점근 밀도가 1인 정수 집합 d에 대해 성립한다.[11]

다음 공식

:n(d)=\left\lceil \sqrt{2d\ln2}+\frac{3-2\ln2}{6}+\frac{9-4(\ln2)^2}{72\sqrt{2d\ln2}}\right\rceil

은 모든 d ≤ 1018에 대해 성립하지만, 이 공식에 대한 반례가 무한히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12]

다음 공식

:n(d)=\left\lceil \sqrt{2d\ln2}+\frac{3-2\ln2}{6}+\frac{9-4(\ln2)^2}{72\sqrt{2d\ln2}}-\frac{2(\ln2)^2}{135d}\right\rceil

은 모든 d ≤ 1018에 대해 성립하며, 이 공식이 모든 d에 대해 성립할 것으로 추측된다.[12]

n(d)의 처음 99개 값은 다음 표와 같다.

d1–23–56–910–1617–2324–3233–4243–5455–6869–8283–99
n(d)23456789101112



유사한 계산을 통해 d가 341–372 범위에 있을 때 n(d) = 23임을 알 수 있다.

3. 1. 여러 명이 생일을 공유할 확률

정신적 계산에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경험 법칙은 다음과 같다.[7]

:p(n,d) \approx \frac{n^2}{2d}

이는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

:n \approx \sqrt { 2d \times p(n)}

이것은 확률이 1/2 이하일 때 잘 작동한다. 이 방정식에서 d는 1년의 일수이다.

예를 들어, 생일이 같을 확률이 1/2인 경우 필요한 사람 수를 추정하려면 다음과 같다.

:n \approx \sqrt{ 2 \times 365 \times \tfrac12} = \sqrt{365} \approx 19

이것은 정확한 답인 23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생일이 일치할 확률이 1/2 이상이 되기 위한 ''사람 수''를 근사할 수 있다.

:n \geq \tfrac{1}{2} + \sqrt{\tfrac{1}{4} + 2 \times \ln(2) \times 365} = 22.999943.

이것은 1/k의 확률을 가진 사건이 k ln 2번 반복될 경우, 적어도 한 번 발생할 확률이 1/2이라는 좋은 근사에서 비롯된다.

집단 내에서 생일을 공유하는 사람이 3명, 4명, 5명 등이 될 확률이 50%를 초과하려면 얼마나 많은 사람이 필요할지 질문할 수 있다.

처음 몇 가지 값은 다음과 같다. 생일을 공유하는 3명의 사람이 있을 확률이 50%를 초과하려면 88명이 필요하고, 생일을 공유하는 4명의 사람이 있을 확률이 50%를 초과하려면 187명이 필요하다.[13]

3. 2. 특정 생일을 공유할 확률

Birthday problem|생일 문제영어에서는 다른 사람과 생일이 같은 특정한 사람(예: 당신)이 있을 확률을 다룬다. ''n''명의 다른 사람이 있는 방에서 적어도 한 명이 당신과 같은 생일을 가질 확률 ''q''(''n'')는 다음과 같다.

: q(n) = 1 - \left( \frac{365-1}{365} \right)^n

일반적인 ''d''일(날짜)의 경우 다음을 따른다.

: q(n;d) = 1 - \left( \frac{d-1}{d} \right)^n.

''d'' = 365 (일반적인 경우)에서 ''n'' = 23을 대입하면 약 6.1%가 되는데, 이는 16번 중 1번 미만의 확률이다. ''n''명의 사람이 있는 방에서 적어도 한 명의 다른 사람이 당신과 같은 생일을 가질 확률이 50% 이상이 되려면, ''n''은 최소 253명이 되어야 한다. 이 숫자는 365/2 = 182.5 보다 훨씬 크다. 그 이유는 방 안의 다른 사람들 사이에 생일이 일치하는 경우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어떤 집단에서 ''n''명의 사람이 있을때, "당신"이 들어갔을 경우 당신과 같은 생일을 가진 사람이 있을 확률 ''p''3는 다음과 같다.

:p_3(n) = 1- \left( \frac{364}{365} \right)^n

''n'' = 23이라면, ''p''3 = 0.0611…이다. ''n''이 253일 때 처음으로 ''p''3가 0.5 이상이 된다.

3. 3. 최근접 생일

k영어일 이내로 생일이 가까운 사람이 있을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18]

: p(n,k,d) = 1 - \frac{ (d - nk -1)! }{ d^{n-1} \bigl(d - n(k+1)\bigr)!}

여기서 n은 그룹 내 사람 수, k는 생일 간격 (일), d는 가능한 생일 수(보통 365)이다.

어떤 쌍의 생일이 k일 이내일 확률이 50%를 초과하기 위해 필요한 사람의 수는 다음 표와 같다.

kn (d = 365 일 때)
023
114
211
39
48
58
67
77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무작위로 선택된 7명의 그룹에서는 그들 중 두 명이 서로 일주일 이내에 생일을 가질 확률이 50%를 넘는다.[18]

4. 응용

생일 문제는 암호화 해시 함수의 충돌 가능성을 이용한 암호학생일 공격(Birthday attack)에 응용될 수 있다. 해시값이 N비트인 암호화 해시 함수에서 특정 해시값을 갖는 메시지를 찾는 원상 공격의 기댓값은 2N-1이지만, 같은 해시값을 갖는 두 개의 다른 메시지를 찾는 충돌 공격(생일 공격)의 기댓값은 생일 문제에 의해 2N/2으로 훨씬 작다. 따라서 암호화 해시 함수의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한 해시값의 크기에 주의해야 한다.

블록 암호 알고리즘을 CTR 모드로 사용한 의사 난수 생성기에도 생일 문제가 응용된다. 블록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2L/2 정도의 블록 분량의 난수 출력을 수행하면 1/2의 확률로 진정한 난수와 구별할 수 있다.

통계학에서 표지-재포획법은 호수 내 물고기 개체 수 추정에 사용된다.[8]

4. 1. 생일 공격

(b영어)해시 공간 크기
(2b)적어도 하나의 해시 충돌 확률이 p영어가 되도록 해시된 요소의 수p영어 = 10-18p영어 = 10-15p영어 = 10-12p영어 = 10-9p영어 = 10-6p영어 = 0.001p영어 = 0.01p영어 = 0.25p영어 = 0.50p영어 = 0.758322222.99316646.13212864256128512



생일 문제 (1)와 생일 공격 (2)의 비교: (1)에서 충돌은 하나의 세트 내에서 발견된다. 이 경우 24명의 달 우주 비행사의 276개 쌍 중 3개가 충돌한다. (2)에서 충돌은 두 세트 사이에서 발견된다. 이 경우, 16가지 변형의 무해하고 유해한 계약 각각의 SHA-256 해시의 첫 번째 바이트 쌍 중 1개가 충돌한다.


이 표의 밝은 필드는 특정 크기의 해시 공간(행)이 주어졌을 때 주어진 충돌 확률(열)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해시 수를 보여준다. 생일 비유를 사용하면 "해시 공간 크기"는 "사용 가능한 날짜"와 유사하고, "충돌 확률"은 "생일이 같은 확률"과 유사하며, "필요한 해시된 요소 수"는 "그룹 내 필요한 사람 수"와 유사하다. 이 차트를 사용하여 최소 필요 해시 크기(해시 및 오류 확률의 상한이 주어짐) 또는 충돌 확률(고정된 해시 수 및 오류 확률)을 결정할 수도 있다.

비교를 위해, 10-18에서 10-15는 일반적인 하드 디스크의 수정 불가능한 비트 오류율이다.[8] 이론적으로, MD5와 같은 128비트 해시 함수는 가능한 출력이 훨씬 많더라도 약 8.2 × 1011개의 문서까지 해당 범위를 유지해야 한다.

4. 2. CTR 모드 난수 식별성

블록 암호 알고리즘을 CTR 모드로 사용한 의사 난수 생성기는, 블록 길이를 L이라고 할 때, 2L/2 정도의 블록 분량의 난수 출력을 수행하면 1/2의 확률로 진정한 난수와 구별할 수 있다. 진정한 난수는 생일 문제에서, 2L/2 블록 분량의 난수 속에 같은 값을 가진 블록이 약 1/2의 확률로 존재한다. 한편 CTR 모드는 카운터가 같은 값으로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같은 값을 가진 블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4. 3. 표지-재포획법

통계학에서 표지-재포획법은 호수 내 물고기 개체수 추정에 사용된다.[8]

5. 기타 변형 문제

생일 문제에는 여러 변형이 존재한다.
분할 문제분할 문제는 무게가 다른 추들을 양팔 저울에 올려 균형을 맞추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각 추의 무게는 1그램에서 100만 그램 사이에서 무작위로 선택된다. 이 문제의 핵심은 저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왼쪽 팔과 오른쪽 팔 사이에서 무게를 옮길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확률이 1에 가까워지려면 몇 개의 추가 필요한지 묻는 것이다.[25]

일반적으로 23개의 추만으로도 균형을 맞출 확률이 꽤 높다는 사실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대부분은 답이 수천, 수만, 혹은 최소 수백 개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23개의 추만 있으면 저울의 균형을 맞출 확률과 불가능할 확률이 거의 같아진다.[25]
최초 일치최초 일치 문제는 방에 사람이 한 명씩 들어올 때, 기존에 있던 사람과 생일이 같은 첫 번째 사람이 나타나는 순서에 대한 문제이다. 즉, 몇 번째 사람이 들어왔을 때 처음으로 생일이 같은 경우가 발생하는지를 묻는다. 이 문제에서 20번째 사람이 들어왔을 때 이미 방에 있는 사람과 생일이 같은 사람이 존재할 확률이 가장 높다.
기타2014년 FIFA 월드컵에서 32개 팀, 각 팀당 23명의 선수를 분석한 결과, 16개 팀에서 생일을 공유하는 선수 쌍이 발견되었고, 그 중 5개 팀(아르헨티나, 프랑스, 이란, 대한민국, 스위스)은 두 쌍의 생일이 같았다.

6. 한국 문화 속의 생일 문제

주어진 소스에는 '한국 문화 속의 생일 문제'와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주어진 요약에 기반하여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Sources in Recreational Mathematics: An Annotated Bibliography https://www.puzzlemu[...] 2004
[2] 서적 Mathematical Recreations and Essays, 11th edition https://archive.org/[...] 1940
[3] 간행물 "Über Aufteilungs- und Besetzungswahrscheinlichkeiten" Amer. Math. Soc. 1939
[4] Harvard citations
[5] 서적 The Cauchy‑Schwarz Master Clas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 학술지 The Birthday Problem Royal Statistical Society 2007-09
[7] 학술지 A Generalized Birthday Problem http://http.cs.berke[...] 1991-06
[8] 문서 Empirical Measurements of Disk Failure Rates and Error Rates https://arxiv.org/ab[...]
[9] wikicite
[10] Harvard citations
[11] Harvard citations
[12] Harvard citations
[13] 웹사이트 Minimal number of people to give a 50% probability of having at least n coincident birthdays in one year. https://oeis.org/A01[...] OEIS 2020-02-17
[14] Conference Birthday Paradox for Multi-collisions Springer 2006
[15] 학술지 The Estimation of the Total Fish Population of a Lake 1938
[16] 학술지 A Double Birthday Paradox in the Study of Coincidences https://doi.org/10.3[...] 2024
[17] 학술지 Collision Probability Between Sets of Random Variables https://dx.doi.org/1[...] 2003
[18] 학술지 More Birthday Surprises 1970
[19] 웹사이트 Collision hash collisions with the birthday paradox http://matt.might.ne[...] 2015-07-17
[20]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Addison-Wesley
[21] 학술지 On Ramanujan's Q-Function
[22] 서적 Introduction to Algorithms
[23] 웹사이트 The birthday paradox at the World Cup https://www.bbc.co.u[...] BBC 2015-08-27
[24] 학술지 Birthday and birthmate problems: Misconceptions of probability among psychology undergraduates and casino visitors and personnel
[25] 학술지 Phase Transition and Finite Size Scaling in the Integer Partition Problem
[26] 학술지 The Estimation of the Total Fish Population of a Lake 1938
[27] 문서 반대로 1년 중에서 하나도 빠짐없이 생일에 해당하는 경우는 확률이 완전히 0%는 아니다. [[도박사의 오류]] 문서 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