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로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연로그는 지수 함수의 역함수이며, ln x, loge x로 표기한다. 1649년 이전에 자연로그의 개념이 연구되었으며, 쌍곡선의 구적법과 관련이 있다. 자연로그는 지수 함수의 역함수로 정의되거나, 쌍곡선의 그래프 아래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주요 성질로는 ln 1 = 0, ln e = 1, 곱의 법칙, 몫의 법칙, 거듭제곱의 법칙 등이 있다. 자연로그는 미분하면 1/x가 되며, 적분은 x ln x - x + C로 나타낼 수 있다. 테일러 급수와 연분수를 이용하여 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복소수 범위로 확장될 수 있다.
''x''의 자연로그는 또는 로 표기한다. 밑을 명시하지 않은 는 수학에서 자연로그로 사용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상용 로그로 사용되기도 한다.[9]
자연로그의 개념은 1649년 이전에 그레고아르 드 생-뱅상과 알퐁스 안토니오 데 사라사에 의해 연구되었다.[34] 이들의 연구는 방정식 ''xy'' = 1을 갖는 쌍곡선의 구적법과 쌍곡선 부채꼴의 면적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그들의 해는 현재 자연로그와 관련된 속성을 가진 "쌍곡 로그" 함수를 생성했다.
자연로그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면 의 에 대한 미분은 이다.[4] 증명은 다음과 같다.
부분 적분법을 사용하여 자연로그를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13]
오일러 공식을 이용하면 로그 함수를 복소수 범위까지 확장할 수 있다. 오일러 공식은 다음과 같다.
2. 표기
3. 역사
니콜라스 메르카토르는 1668년에 출판된 자신의 저서 ''Logarithmotechnia''에서 자연로그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했지만,[35] 존 스페이델은 1619년에 이미 자연로그 표를 구성했다.[36]
4. 정의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지수 함수 의 역함수이며, 이 경우 이다.[4] 지수 함수 는 모든 실수 에 대해 양수이고 가역적이므로, 는 모든 양수 에 대해 잘 정의된다.
양의 실수 의 자연로그는 방정식 를 갖는 쌍곡선의 그래프 아래, 과 사이의 면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의 적분이다.[4]
만약 가 에 있다면, 이 영역은 음의 면적을 가지며, 로그는 음수가 된다.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로그의 기본적인 곱셈 속성을 만족하기 때문에 로그이다.[5]
이것은 를 정의하는 적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두 번째 부분에서 변수 치환 (따라서 )를 적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이것은 수평 방향으로 만큼, 수직 방향으로 만큼 축척하는 것이다. 이 변환에서 면적은 변하지 않지만 와 사이의 영역이 재구성된다. 함수 는 함수 와 같기 때문에, 결과 면적은 정확히 이다.
숫자 는 인 유일한 실수 로 정의될 수 있다.
지수 함수가 먼저 (구체적으로는 무한 급수로)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연로그를 자연 지수 함수의 역함수로 정의할 수도 있다. 즉 은 를 만족하는 함수이다. 실수 전체에서 정의된 자연 지수 함수의 치역은 양수 전체의 집합과 일치하며, 또한 자연 지수 함수는 엄격하게 단조 증가 (따라서 일대일)이므로, 은 이 방법으로 임의의 양수 에 대해 모순 없이 정의된다.
5. 성질
6. 미분
:
로 두면, 일 때 이다. 따라서
:
양의 실수에 대한 실수 값 함수로서의 자연로그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만약 자연로그가 다음과 같은 적분으로 정의된다면
그러면 미분은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의 첫 번째 부분에서 즉시 유도된다.
반면에, 자연로그가 (자연) 지수 함수의 역함수로 정의된다면, 에 대해 미분은 로그의 성질과 지수 함수의 정의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수 의 정의로부터,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그런 다음 미분은 기본적인 원리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다.
따라서 역함수 와는 달리, 함수 내의 상수는 미분을 변경하지 않는다.
로그 함수의 미분 문제[32]
를 생각할 때, 밑 가 와 같다면, 이 도함수는 단순히 가 되며, 에서의 미분 계수는 이 된다.
7. 적분
:
여기서 ''C''는 적분 상수이다.
유도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
형태의 함수의 부정적분은 로 주어진다. 이는 연쇄 법칙과 다음 사실 때문이다:[13]
:
다시 말해, 을 포함하지 않는 실수 선상의 구간에 대해 적분하면,
:
마찬가지로, 적분이 인 구간에 걸쳐 있을 때,
:
예를 들어, 가 무한대가 되는 점을 포함하지 않는 구간에서 의 적분은 다음과 같다.
:
8. 급수 전개
자연로그는 0에서 정의되지 않으므로, 자체는 다른 많은 초등 함수와 달리 매클로린 급수를 갖지 않는다. 대신, 다른 점 주변의 테일러 급수 전개를 찾는다. 예를 들어, 이면[10] 다음이 성립한다.
이는 1 주변의 에 대한 테일러 급수이다. 변수 변경을 통해 메르카토르 급수가 생성된다.
이 급수는 및 일 때 유효하다.
레온하르트 오일러[11]는 조건을 무시하고 이 급수를 에 적용하여 조화 급수가 의 자연로그, 즉 무한대의 로그와 같음을 보였다. 오늘날 더 형식적으로, 에서 잘린 조화 급수는 이 클 때 의 로그에 가깝고, 그 차이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로 수렴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위 그림은 ln(1 + ''x'')영어와 0 주변의 일부 테일러 다항식의 그래프이다. 이러한 근사값은 −1 < ''x'' ≤ 1영어 영역에서만 함수로 수렴한다. 이 영역 밖에서는 고차 테일러 다항식이 함수의 더 나쁜 근사값으로 떨어진다.
양의 정수 에 대한 유용한 특수한 경우로, 을 취하면 다음과 같다.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이제, 양의 정수 에 대해 을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왜냐하면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다시 양의 정수 에 대한 치환 을 사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이것은 지금까지 설명된 급수 중에서 가장 빠르게 수렴한다.
자연로그는 또한 무한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12]
두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이 항등식으로부터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9. 복소수에서의 자연로그
: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
지수 함수는 임의의 복소수 z에 대해 형태로 확장할 수 있으며, 무한 급수를 사용하여 복소 로그를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두 가지 어려움이 있다.
복소 지수 함수는 곱셈 속성을 유지하므로, 모든 복소수 z와 정수 k에 대해 가 성립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복소 로그 함수는 다중값 함수가 된다. 즉, 하나의 복소수에 대해 여러 개의 로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또는 등등 무수히 많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중값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치를 사용한다. 복소수 z를 극좌표 형식으로 표현하면 (r>0)이다. 이때 편각 θ의 범위를 로 제한하면, 로그 함수를 단일값 함수로 정의할 수 있다. 이 함수를 로그 함수의 주치라고 하며, 로 표기한다.
복소 로그 함수의 주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단, )
복소 로그 함수는 자른 평면에서 단일 값을 가지며, 실수 함수에서의 로그 함수가 만족하는 항등식을 만족하지 않을 수 있다.
10. 계산
1에 가까운 값의 자연로그는 1을 중심으로 하는 테일러 급수의 수렴 속도가 빠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로그와 관련된 항등식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이러한 방법은 계산기가 없던 시절, 수치표를 참조하여 계산할 때 사용되었다.[14] 10의 자연로그는 약 2.30258509이며, 과학적 표기법으로 표시된 숫자의 자연로그를 계산할 때 사용된다.
:
이는 작은 소수 집합의 로그를 사용하여 매우 크거나 작은 크기의 숫자의 로그를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높은 정밀도의 자연로그 계산에는 테일러 급수보다 할리 방법이나 뉴턴 방법을 사용하여 지수 함수를 역함수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할리 방법을 사용하면 에 대해 3차 수렴하는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
극도로 높은 정밀도를 위해서는 다음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15][16]
:
여기서 M은 1과 4/s의 산술-기하 평균이고, 이며, m은 p 비트의 정밀도를 얻도록 선택한다. 또는 다음 공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
여기서 은 야코비 세타 함수이다.[17]
1979년 휴렛 팩커드 (HP-41C) 계산기에서 처음 구현된[18][19] '''LNP1'''[20] 또는 '''log1p'''[20] 함수는 0에 가까운 값에 대한 자연로그를 더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함수는 log1p(x) 값을 반환하는 대신, 1에 가까운 값 y를 ln(y)를 반환하는 함수에 전달한다.[18][19][20] 이는 부동 소수점 연산에서 발생하는 반올림 오차를 줄여준다.
expm1",[20] "expm"[18][19] 또는 "exp1m"이라는 유사한 역함수도 존재한다.[21]
역쌍곡 탄젠트를 이용한 다음 항등식은 log1p(x)를 구현하지 않는 시스템에서 작은 x 값에 대해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다.
:
산술-기하 평균을 사용하여 자연 로그를 계산하는 계산 복잡도는 이다. 여기서 n은 정밀도의 자릿수이고, M(n)은 두 n 자릿수 숫자를 곱하는 계산 복잡도이다.
11. 연분수
단순한 연분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일반화된 연분수가 존재한다.
:ln영어(1+x) = frac|x^1|1영어-frac|x^2|2영어+frac|x^3|3영어-frac|x^4|4영어+frac|x^5|5영어-⋯
: = cfrac|x|1-0x+}}}}}}}}
:ln영어(Big|1영어+frac|x|y영어) = cfrac|x|y+}}}}}}}}}}
: = cfrac|2x|2y+x-}}}}}}
이러한 연분수, 특히 마지막 연분수는 1에 가까운 값에 대해 빠르게 수렴한다. 그러나 훨씬 더 큰 수의 자연 로그는 더 작은 수의 자연 로그를 반복적으로 더하여 유사하게 빠르게 수렴하도록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 1.253 × 1.024 이므로, 2의 자연로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n영어 2 = 3 ln영어(Big|1영어+frac|1|4영어) + ln영어(Big|1영어+frac|3|125영어)
: = cfrac|6|9-}}}}}} + cfrac|6|253-}}}}}}}
또한, 10 = 1.2510 × 1.0243 이므로, 10의 자연 로그도 유사하게 계산할 수 있다.
:ln영어 10 = 10 ln영어(Big|1영어+frac|1|4영어) + 3ln영어(Big|1영어+frac|3|125영어)
: = cfrac|20|9-}}}}}} + cfrac|18|253-}}}}}}}
자연 로그의 역수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rac|1|ln(x)영어 = frac|2x|x^2-1영어sqrt|}}sqrt|+}}}}…
예를 들어:
:frac|1|ln(2)영어 = frac|4|3영어sqrt|}} sqrt| +}}}} …
참조
[1]
OEIS
Decimal expansion of e
[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Oxford
1975
[3]
서적
Mathematics for physic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5
[4]
웹사이트
Natural Logarithm
https://mathworld.wo[...]
2020-08-29
[5]
웹사이트
Rules, Examples, & Formulas
https://www.britanni[...]
2020-08-29
[6]
논문
Alphonse Antonio de Sarasa and logarithms
2001
[7]
웹사이트
The number e
http://www-history.m[...]
Th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2001-09-01
[8]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AMS Bookstore
1991
[9]
문서
Including C, C++, SAS, MATLAB, Mathematica, Fortran, and some BASIC dialects
[10]
웹사이트
"Logarithmic Expansions" at Math2.org
http://www.math2.org[...]
[11]
서적
Introductio in Analysin Infinitorum. Tomus Primus.
Bousquet
1748
[12]
웹사이트
A PROCEDURE FOR GENERATING INFINITE SERIES IDENTITIES
https://www.emis.de/[...]
2022-02-27
[13]
서적
Calculus and Analytic Geometry
Addison-Wesley
1979
[14]
OEIS
Decimal expansion of natural logarithm of 10
[15]
논문
Practically fast multiple-precision evaluation of log(x)
http://ci.nii.ac.jp/[...]
1982
[16]
논문
Fast Computations of the exponential Function
1999
[17]
서적
Pi and the AGM: A Study in Analytic Number Theory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Wiley-Interscience
1987
[18]
서적
HP 48G Series – Advanced User's Reference Manual (AUR)
http://www.hpcalc.or[...]
Hewlett-Packard
1994-12-01
[19]
서적
HP 50g / 49g+ / 48gII graphing calculator advanced user's reference manual (AUR)
http://www.hpcalc.or[...]
Hewlett-Packard
2009-07-14
[20]
웹사이트
Computation of expm1 = exp(x)−1
http://www.math.utah[...]
Department of Mathematics, Center for Scientific Computing, University of Utah
2002-07-09
[21]
문서
For a similar approach to reduce round-off errors of calculations for certain input values see trigonometric functions like versine, vercosine, coversine, covercosine, haversine, havercosine, hacoversine, hacovercosine, exsecant and excosecant.
[22]
서적
The Mathematical-Function Computation Handbook - Programming Using the MathCW Portable Software Library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AG
2017-08-22
[23]
서적
Mathematics for physic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5
[24]
웹사이트
自然対数の底eの定義
https://w3e.kanazawa[...]
金沢工業大学
2024-03-05
[25]
논문
Alphonse Antonio de Sarasa and Logarithms
2001
[26]
웹사이트
The number e
http://www-history.m[...]
Th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2001-09-01
[27]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5th ed
https://books.google[...]
AMS Bookstore
1991
[28]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John Wiley & Sons
1991-03-06
[29]
논문
Australian Aboriginal and Islander mathematics
http://www1.aiatsis.[...]
1987
[30]
논문
The vigesimal system of enumeration
http://www.jps.auckl[...]
1902
[31]
논문
Sexagesimal fractions among the Babylonians
1922
[32]
서적
Calculus: An Applied Approach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7
[33]
웹사이트
Math Words, and Some Other Words, of Interest
http://www.pballew.n[...]
[34]
논문
Alphonse Antonio de Sarasa and Logarithms
2001
[35]
웹인용
The number e
http://www-history.m[...]
Th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2001-09-01
[36]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5th ed
https://books.google[...]
AMS Booksto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