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당 (벨기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태당(Écolo)은 지속 가능한 발전, 환경 보호, 기후 변화 대응을 목표로 하는 벨기에의 녹색 정당이다. 1970년대 말 환경 단체를 중심으로 창당되었으며, 1999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연정에 참여했으나 2003년 탈퇴 후 2019년 총선에서 의석을 대폭 늘리며 다시 연정에 참여했다. 연방, 광역 지방, 기초 지방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회, 연방 평의회, 연방 사무국을 통해 운영된다. 역대 선거에서 하원, 상원, 브뤼셀 의회, 독일어 공동체 의회, 왈롱 의회, 유럽 의회 등에서 의석을 확보하며 활동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녹색정치 정당 - 녹색당 (벨기에)
벨기에 플란데런 지역의 녹색당인 흐룬은 1970년대 환경 보호 운동에서 시작하여 1982년 창당되었으며, 환경 정책, 사회 정의, 인권 등을 강조하고 왈로니아 지역의 에콜로와 협력하며 유럽녹색당 및 글로벌 그린즈의 회원이다. -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의 정당 - 사회당 (벨기에)
사회당은 1978년 벨기에 사회당 해체 후 왈롱 지부가 창당한 벨기에의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친유럽 및 친군주주의 성향을 띠며 연립 정부 참여와 당원들의 범죄 연루 논란을 겪어왔다. - 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의 정당 - 혁신운동
혁신운동은 보수 자유주의와 사회 자유주의 사이에서 이념적 변화를 겪으며 시민 자유, 자유 시장 등을 옹호하고 중도 우파 성향으로 우경화된 벨기에의 정당이다. - 유럽 녹색당 - 녹색동맹
1987년 핀란드에서 환경 운동가와 페미니스트들의 대중 운동으로 시작되어 유럽 최초로 집권 연정에 참여한 녹색당인 녹색동맹은 중도좌파 성향의 진보적인 정책과 다소 보수적인 면모를 동시에 보이는 특징을 가진 정당이다. - 유럽 녹색당 -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
잉글랜드 웨일스 녹색당은 사회정의와 환경보호를 이념으로 하는 영국의 정당으로, 유럽 의회 진출과 하원 의석 확보, 지방선거에서의 성장을 통해 영국 정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최저임금 인상, 4일 근무제,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등을 핵심 정책으로 추진한다.
생태당 (벨기에)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벨기에 |
창립일 | 1980년 |
본부 | Espace Kegeljan Av. de Marlagne 52, 나뮈르 |
웹사이트 | www.ecolo.be |
지도부 | |
공동 대표 | 라자 마우아네와 장마르크 놀레 |
싱크탱크 | 자키 모라엘 연구 센터 |
정치 성향 | |
이념 | 녹색 정치 |
정치적 위치 | 중도좌파 |
국제 관계 | |
국제 조직 | 글로벌 그린즈 |
유럽 정당 | 유럽 녹색당 |
유럽 의회 | 녹색당-유럽 자유 동맹 |
베네룩스 의회 | 사회당, 녹색당 및 민주당 |
플랑드르 연계 정당 | 흐룬 |
의회 의석 | |
대의원 (프랑스어 사용 선거구) | 3/61석 |
상원 (프랑스어 사용 선거구) | 5/24석 |
왈롱 의회 | 12/75석 |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 | 16/94석 |
브뤼셀 의회 (프랑스어 사용 선거구) | 15/72석 |
독일어 공동체 의회 | 3/25석 |
유럽 의회 (프랑스어 사용 선거구) | 1/8석 |
기타 | |
상징색 | 녹색 |
2. 역사
1970년대 말 환경 운동을 기반으로 창당된 생태당은 1980년대 초기 성장을 거쳐 벨기에 연방의회에 진출했으나, 곧 내부 갈등과 재정난으로 위기를 맞기도 했다. 이후 외연 확장을 통해 1990년대에 다시 지지세를 회복하였다.
1999년 총선에서는 다이옥신 파동 등의 영향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처음으로 귀 페르호프슈타트가 이끄는 제1차 페르호프슈타트 내각(Verhofstadt I Government영어)의 연립 정부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2003년 총선을 앞두고 연정에서 이탈한 후 선거에서 크게 패배하며 의석을 상당수 잃고 야당으로 돌아섰다. 이 선거에서 생태당은 이전 14석이었던 의회 의석의 3분의 2 가까이를 잃었다.
야당 시기를 거치며 생태당은 2007년 6월 10일 총선에서 하원 150석 중 8석과 상원 직선 의석 40석 중 2석을 확보하며 상당한 회복세를 보였다. 2010년 총선에서도 하원 8석, 상원 2석을 다시 획득하며 이전 선거의 성과를 유지했다.[7] 이후 2014년 총선에서는 의석수가 다소 감소하기도 했으나, 2019년 총선에서 다시 의석 수를 크게 늘리며 약진하였고, 이후 구성된 알렉산더 더 크로 내각에 참여하며 다시 연립 정부의 일원이 되었다.
2. 1. 창당 초기 (1970년대 말 ~ 1980년대)
에콜로는 1970년대 말 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던 시기에 "지구의 친구"와 같은 환경 운동 단체들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특히 1978년 아모코 카디즈호 기름 유출 사고와 1979년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그리고 냉전 시기 미국의 미사일 유럽 배치 문제 등은 환경 및 평화 문제에 대한 대중적 경각심을 일깨웠고, 이는 에콜로가 자신들의 주장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1980년 8월, 197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녹색 후보자 명단"을 조직했던 왈롱 지역의 환경 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에콜로가 공식적으로 창당되었다.[32] 창당 초기 에콜로는 1979년 처음 참가한 선거에서 불어권 유효표의 약 5%를 획득하며 성장 가능성을 보였다. 이후 에콜로는 주로 탈물질주의적 가치를 중시하는 젊고 교육 수준이 높은 계층의 지지를 받으며 꾸준히 성장했다.[39] 1981년 선거에서는 "다른 정치를 하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처음으로 연방 의회 의석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986년에 들어 에콜로는 위기를 맞았다. 당시 기독교 정당과 자유주의 정당으로 구성된 연립 정부에 대한 각외 협력 문제, 당의 노선과 조직 운영 방식을 둘러싼 내부 갈등이 심화되었다. 또한 당원들의 대규모 탈당과 국회의원 수 감소로 인한 재정난까지 겹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33]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에콜로는 외연 확장을 모색했다. 1987년부터는 기독교 노동 운동 계열의 '연대참여당'(Solidarité et Participation프랑스어) 출신 활동가들이 에콜로에 합류하기 시작했다.[40] 또한 1988년, 벨기에의 언어 공동체 간 협상 결과 왈롱 지역에 대한 재정 지원이 축소되면서 긴축 재정 정책이 시행되자, 이에 반발한 교사들이 에콜로에 가세하며 당의 지지 기반이 넓어졌다.[40]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에콜로는 1989년 유럽 의회 선거와 1991년 총선에서 다시 지지세를 회복하며 침체기를 벗어났다.[33]
2. 2. 1999년 총선 승리와 연정 참여 (1999년 ~ 2003년)
1999년 6월 13일 총선거에서 에콜로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기존 5~10% 수준이던 지지율이 15~20%까지 상승했는데, 이는 선거 직전 터진 다이옥신 파동이 환경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던 녹색당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결과였다. 또한 마르크 뒤트루 아동 성범죄 사건 수사 과정에서 드러난 사법 체계의 문제점에 대한 국민적 불만 역시 기존 정당에 대한 비판 여론을 키우며 에콜로에게 반사이익을 안겨주었다. 선거 결과, 벨기에 전체 녹색당(에콜로와 플람스 지역의 그룬)은 14.4%를 득표했으며, 에콜로는 왈롱 등 불어권 지역에서 약 1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주요 정당으로 부상했다.이러한 선거 승리를 바탕으로 에콜로는 사회민주당, 자유당과 함께 연립 정부 구성에 참여했다 (1999년 ~ 2003년). 이른바 '무지개 연정'이라 불린 이 정부는 플람스 자유민주당의 귀 페르호프슈타트가 이끈 제1차 페르호프슈타트 내각(Verhofstadt I Government영어)이었다. 에콜로는 이 연정에서 부총리, 교통부 장관, 에너지 및 지속가능발전부 장관직을 맡았다. 연방 정부 참여 외에도 에콜로는 왈롱 지역 정부와 불어 공동체 정부 구성에도 참여했다.
2000년 10월에 실시된 지방선거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가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2. 3. 2003년 총선 패배와 야당 시기 (2003년 ~ 2019년)
2003년 총선을 앞두고 생태당은 브뤼셀 공항 주변 소음 문제를 둘러싸고 다른 연정 파트너들과 갈등을 겪다가 귀 페르호프슈타트가 이끄는 연립 정부에서 탈퇴했다.[39] 하지만 선거운동 기간 동안 '신뢰할 수 없는 파트너'라는 이미지와 연정 탈퇴 시점이 너무 늦었다는 비판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39] 결국 2003년 5월 18일 실시된 총선에서 크게 패배하여 프랑스어권 지지율이 10% 이하로 떨어졌고, 이전 14석이었던 의회 의석의 3분의 2 가까이를 잃었다. 이는 부활한 사회당의 약진과 대비되는 결과였다.집권 기간 동안 생태당은 "집권 야당"이라는 개념을 내세워 정부 내에서 비판적 목소리를 내려고 시도했으나, 이는 당내 갈등 심화 등 집권에 따른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2003년 이후 생태당은 야당 역할을 수행했지만, 지역 수준에서는 중요한 잠재적 연정 파트너로 평가받았으며 실제로 여러 지역 연정에 참여했다. 예를 들어 리에주에서는 1982년부터 연정에 참여해 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야당 시기를 거치며 생태당은 2007년 6월 10일 총선에서 의석과 득표율을 이전 선거 대비 두 배 가까이 늘리며 상당한 회복세를 보였다. 하원 150석 중 8석과 상원 직선 의석 40석 중 2석을 확보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이 시기 생태당은 플랑드르 지역의 환경 정당인 그룬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하원에서 통합 의원회를 구성했다.
2010년 6월 13일 총선에서도 하원 8석, 상원 2석을 그대로 유지하며 2007년의 성과를 지켜냈다.[7] 다만 득표율은 0.8%가량 소폭 하락했다. 2010년 총선 이후 벨기에는 연립 정부 구성에 난항을 겪으며 535일 동안 정권 공백 상태에 빠지는 등 정국 혼란을 겪었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왈롱 사회당의 에리오 디르포가 이끄는 연립 정부에 생태당은 참여하지 않고 야당으로 남았다. 2014년 총선에서는 하원 의석수가 6석으로 다시 감소했으며, 샤를 미셸이 이끄는 연립 정부에도 참여하지 않고 야당 지위를 유지했다.
2019년 총선에서는 하원 의석 수를 이전 6석에서 13석으로 두 배 이상 늘리며 다시 한번 저력을 보여주었다.
2. 4. 2019년 총선 이후와 연정 재참여 (2019년 ~ 현재)
2019년 벨기에 총선거에서 하원 의석 수를 기존 6석에서 13석으로 두 배 이상 늘리며 크게 약진했다. 선거 후 정당 간 협의는 난항을 겪었지만, 선거 16개월 후인 2020년 10월 알렉산더 더 크로를 총리로 하는 더 크로 내각이 구성되자 7개 정당 연립 정부에 참여했다. 이를 통해 생태당은 교통부 장관, 환경·기후·지속가능개발·그린딜 장관, 기회균등·젠더평등·다양성 담당 각료 등 총 3명의 각료를 배출하며 주요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있다.[34][35]3. 정치적 관점 및 정책
에콜로(Ecolo)는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의 이익을 위해 지속 가능한 발전 정책을 통해 환경 보존과 기후 변화 대응을 추진하는 정당이다. 또한 새로운 정치 관행을 장려하고 참여 민주주의 모델에서 시민 참여를 강화함으로써 더욱 민주적이고 포괄적인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8]
4. 구조
에콜로의 주요 기관은 총회, 연방 평의회, 연방 사무국이다.
'''총회'''(l'Assemblée Générale (AG)프랑스어)는 당원 전체로 구성된 당의 최고 의결 기구이다. 당의 존속 결정, 집행부 선출, 강령 개정, 연방선거나 유럽 의회 선거 후보 선출 등 중요한 결정을 담당한다. 총회는 정치 상황에 따라 1년에 한 번 또는 여러 차례 개최된다.
'''연방 평의회'''(Conseil de Fédération (CF)프랑스어)는 당내에서 의회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대의원들로 구성된다. 연방 평의회는 일반적인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강령의 정책 내용을 준비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집행부를 견제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연방 사무국'''(Secrétariat Fédéral프랑스어)은 두 명의 공동대표로 이루어진다. 남녀 각각 한 명씩, 그리고 왈롱과 브뤼셀 지역에서 각각 한 명씩 선출된다. 이들은 총회에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다. 연방 사무국은 당의 일상적인 업무를 처리하고 당 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에콜로는 다음과 같이 세 단계의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연방당:''' 나뮈르에 위치하며, 연방 사무국과 연방 평의회, 그리고 총회를 준비하는 연방 평의회 사무국이 있다.
- '''광역지방당:''' 광역 지방선거가 실시되는 지역별로 총 16개(왈롱 15개, 브뤼셀 1개)가 있다. 각 광역지방당에는 광역지방 사무국과 광역지방 평의회가 있다.
- '''기초지방당:''' 기초지방자치단체별로 당 조직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광역이나 연방 수준의 당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지만, 경우에 따라 평의회와 사무국을 통합하는 등 간소화된 형태를 띠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리에주와 같이 일부 광역지방당은 주(Province) 단위로 조직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5. 역대 선거 결과
=== 하원 ===
=== 상원 ===
- 2014년 이후 상원은 간접 선거로 전환되었다.
=== 지역 의회 ===
==== 브뤼셀 의회 ====
선거 | 합계 | 득표율 | 의석 | 전체 의석 | 변동 | 집권 여부 |
---|---|---|---|---|---|---|
1989년 | 44,874 | 10.24 (#5) | 8 | 75 | 야당 | |
1995년 | 37,308 | 9.03 (#4) | 7 | 75 | -1 | 야당 |
1999년 | 77,969 | 18.3 (#2) | 14 | 75 | +7 | 야당 |
2004년 | 37,908 | 9.7 (#4) | 7 | 89 | -7 | 여당 |
2009년 | 82,663 | 20.2 (#3) | 16 | 89 | +9 | 여당 |
2014년 | 41,368 | 10.11 (#5) | 8 | 89 | -8 | 야당 |
2019년 | 81,247 | 19.1 (#1) | 15 | 89 | +7 | 여당 |
2024년 | 38,386 | 8.6 (#5) | 7 | 89 | -8 | 미정 |
==== 독일어 공동체 의회 ====
선거 | 득표수 | % | 의석수 | 전체 의석 | 변동 | 정부 참여 여부 |
---|---|---|---|---|---|---|
1990년 | 5,897 | 15.0 (#5) | 4 | 25 | 야당 | |
1995년 | 5,128 | 13.9 (#4) | 3 | 25 | -1 | 야당 |
1999년 | 4,694 | 12.7 (#5) | 3 | 25 | 0 | 여당 |
2004년 | 2,972 | 8.2 (#5) | 2 | 25 | -1 | 야당 |
2009년 | 4,310 | 11.5 (#5) | 3 | 25 | +1 | 야당 |
2014년 | 3,591 | 9.5 (#6) | 2 | 25 | -1 | 야당 |
2019년 | 4,902 | 12.5 (#5) | 3 | 25 | +1 | 야당 |
2024년 | 3,644 | 9.1 (#6) | 2 | 25 | -1 | 야당 |
==== 왈롱 의회 ====
선거 | 득표수 | % | 의석 수 | 전체 의석 | 변동 | 정부 참여 여부 |
---|---|---|---|---|---|---|
1995년 | 196,988 | 10.4 (#4) | 8 | 75 | 야당 | |
1999년 | 347,225 | 18.2 (#3) | 14 | 75 | +6 | 연정 |
2004년 | 167,916 | 8.5 (#4) | 3 | 75 | -11 | 야당 |
2009년 | 372,067 | 18.5 (#3) | 14 | 75 | +11 | 연정 |
2014년 | 141,813 | 8.6 (#4) | 4 | 75 | -10 | 야당 |
2019년 | 294,631 | 14.5 (#3) | 12 | 75 | +8 | 연정 |
2024년 | 139,775 | 6.9 (#5) | 5 | 75 | -7 | 미정 |
=== 유럽 의회 ===
선거 | 명단 대표 | 득표수 | % | 의석 수 | 전체 의석 | 변동 | EP 그룹 | |||
---|---|---|---|---|---|---|---|---|---|---|
프랑스어권 선거구 | 독일어권 선거구 | 프랑스어권 선거구 | 독일어권 선거구 | 전체 | ||||||
1979년 | 폴 라누아 | 107,833 | 해당 없음 | 5.14 (#5) | 해당 없음 | 1.98 | 0 | 24 | 신규 | − |
1984년 | 프랑수아 롤랑 뒤 비비에 | 220,663 | 해당 없음 | 9.85 (#4) | 해당 없음 | 3.86 | 1 | 24 | +1 | 무지개 그룹(RBW) |
1989년 | 폴 라누아 | 371,053 | 해당 없음 | 16.56 (#4) | 해당 없음 | 6.29 | 2 | 24 | +1 | 녹색 그룹(G) |
1994년 | 폴 라누아 불명확 | 290,859 | 5,714 | 13.02 (#4) | 14.90 (#4) | 4.97 | 1 | 25 | -1 | |
1999년 | 폴 라누아 디디에 크레머 | 525,316 | 6,276 | 22.70 (#3) | 17.01 (#3) | 8.59 | 3 | 25 | +2 | 녹색당/EFA |
2004년 | 피에르 용크히어 람베르 자에거스 | 239,687 | 3,880 | 9.84 (#4) | 10.49 (#4) | 3.75 | 1 | 24 | -2 | |
2009년 | 이자벨 뒤랑 클라우디아 니센 | 562,081 | 6,025 | 22.88 (#3) | 15.58 (#3) | 8.64 | 2 | 22 | +1 | |
2014년 | 필립 람베르 어윈 셰프게스 | 285,196 | 6,429 | 11.69 (#3) | 16.66 (#2) | 4.36 | 1 | 21 | -1 | |
2019년 | 필립 람베르 슈키프림 타키 | 485,655 | 6,675 | 19.91 (#2) | 16.37 (#2) | 7.31 | 2 | 21 | +1 | |
2024년 | 사스키아 브리몽 슈키프림 타키 | 259,745 | 4,819 | 10.06 (#5) | 11.10 (#6) | 3.71 | 1 | 22 | -1 |
참조
[1]
웹사이트
Wallonia/Belgium
http://parties-and-e[...]
2019
[2]
웹사이트
Ecolo lance le "Centre d’études Jacky Morael"
https://www.lesoir.b[...]
2021-02-01
[3]
서적
New Parties in Government: In power for the first time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20-02-09
[4]
웹사이트
Politieke fracties
https://www.beneluxp[...]
2023-08-08
[5]
서적
Encyclopedia of Digital Government
https://books.google[...]
Idea Group Inc (IGI)
2013-07-18
[6]
서적
Riding the populist wave: Europe's mainstream right in crisi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7]
웹사이트
IBZ: Official Results
http://polling2010.b[...]
2010-08-20
[8]
웹사이트
Waar staan de Franstalige partijen voor?
https://www.vrt.be/v[...]
VRT NWS
2024-04-17
[9]
웹사이트
Date: 17-04-1977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77-04-17
[10]
웹사이트
Date: 17-12-1978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78-12-17
[11]
웹사이트
Date: 08-11-1981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81-11-08
[12]
웹사이트
Date: 13-10-1985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85-10-13
[13]
웹사이트
Date: 13-12-1987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87-12-13
[14]
웹사이트
Date: 24-11-1991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91-11-24
[15]
웹사이트
Date: 21-05-1995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95-05-21
[16]
웹사이트
Date: 13-06-1999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99-06-13
[17]
웹사이트
Date: 18-05-2003 / Type d'élection: Chambre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2003-05-18
[18]
웹사이트
Elections 2007 - Chamber - List Results Kingdom -
http://polling2007.b[...]
Federal Public Service Interior
2007-06-29
[19]
웹사이트
Elections 2010 - Chamber - List Results Kingdom -
http://polling2010.b[...]
Federal Public Service Interior
2010-07-08
[20]
웹사이트
Elections 2014 - Chamber - List Results Kingdom -
http://polling2014.b[...]
Federal Public Service Interior
2014-06-06
[21]
웹사이트
Vlaams Belang haalt een kwart méér stemmen dan PS, maar krijgt twee zetels mínder: hoe kan dat?
https://www.demorgen[...]
2019-05-28
[22]
웹사이트
Date: 17-04-1977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77-04-17
[23]
웹사이트
Date: 17-12-1978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78-12-17
[24]
웹사이트
Date: 08-11-1981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81-11-08
[25]
웹사이트
Date: 13-10-1985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85-10-13
[26]
웹사이트
Date: 13-12-1987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87-12-13
[27]
웹사이트
Date: 24-11-1991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91-11-24
[28]
웹사이트
Date: 21-05-1995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95-05-21
[29]
웹사이트
Date: 13-06-1999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1999-06-13
[30]
웹사이트
Date: 18-05-2003 / Type d'élection: Sénat / Type de circonscription: Royaume / Circonscription: Le Royaume
http://www.ibzdgip.f[...]
Vrije Universiteit Brussel
2003-05-18
[31]
서적
변貌する世界の緑の党
緑風出版
2013
[32]
서적
변貌する世界の緑の党
[33]
서적
변貌する世界の緑の党
[34]
웹사이트
Composition of the Belgian federal government
https://www.belgium.[...]
[35]
웹사이트
ジェトロ「ビジネス短信」添付資料
https://www.jetro.go[...]
2020-10-06
[36]
웹사이트
http://parties-and-e[...]
[37]
서적
New Parties in Government: In power for the first time
https://www.academia[...]
Routledge
2020-02-09
[38]
서적
Green Parties i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6-25
[39]
서적
The Politics of Belgium
palgrave macmillan
2009
[40]
서적
La Belgique en mutation
Bruylant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