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나라는 1644년 장헌충이 쓰촨 지역을 점령한 후 건국한 왕조이다. 장헌충은 스스로 대서황제를 칭하고 독자적인 제도를 시행했으나, 청나라의 공격으로 1646년에 손가망에게 선위하고 멸망했다. 장헌충은 초대 황제였으며, 손가망은 2대 황제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나라 - 이정국 (1620년)
    이정국은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군인이자 장헌충의 양아들로, 장헌충 사후 남명에 투항하여 영력제를 옹립하고 청나라에 저항했으며, 손가망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 후 영력제의 처형 소식을 듣고 절망 속에 사망했으나, 그의 숭명반청 의지는 조선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 시대 말기의 민란 황조 정권 - 순나라
    순나라는 1644년 이자성이 세운 왕조로, 이자성은 농민 봉기군을 이끌고 명나라 멸망에 기여했으나 오삼계의 배신과 청나라의 개입으로 멸망했다.
  • 충칭시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 충칭시의 역사 - 명하
    14세기 중반 명옥진이 충칭을 수도로 건국한 명하는 홍건적 출신 장수가 세운 한족 국가였으나, 명나라에 의해 멸망하고 명승 대에 복속되었다.
서나라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른 표기大西
일반 명칭서나라
정부 형태군주제
수도황저우 (1643년)
청두 (1644년–1647년)
공용어중국어
종교불교
도교
유교
중국 민간 신앙
통화중국 주화
중국 엽전
[[명나라-청나라 교체기]] 동안의 서나라
명나라-청나라 교체기 동안의 서나라
역사
존속 기간 시작1643년
존속 기간 종료1647년
사건 시작왕으로 선포
사건 종료폐지
사건1황제로 즉위
날짜_사건11644년
이전 국가명나라
이후 국가청나라
남명
정치
지도자장헌충
재임 기간1643년–1647년
직함군주
인구
민족한족

2. 역사

1641년 장헌충은 이자성의 부장으로 60만여 명의 농민 반란군을 지휘하여 호북 양양을 공격, 양 충왕과 양 헌왕을 살해하고 양양 정벌에 성공하였다. 1643년에는 우창에 입성하여 스스로 "대서왕(大西王)"이라 칭하였다.

1644년 장헌충은 사천으로 진출하여 대부분의 주군현(州郡縣)을 점령 및 장악하였으며, 특히 성도를 공격하여 촉 민왕과 촉 헌왕을 살해하였다. 같은 해 1월 6일 국호와 연호를 대서(大西)라 하고, 스스로를 대서황제(大西皇帝)라 칭하였다. 또한 성도를 대서경(大西京)이라 개칭하고, 독자적인 과거 제도를 실시하여 관직 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독자적인 화폐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1646년 숭덕제의 장자 호오거가 이끄는 청나라 군사가 사천으로 진격하였다. 이에 장헌충은 대서경에서 항전하였으나, 1646년 12월 20일 손가망에게 선위하였으며 이정국섭정하였지만 불과 7일만에 멸망하였다.[1]

장헌충은 사천 일대를 떠나지 않은 채 손가망을 비롯한 옛 서나라 제장 및 군사들을 이끌고 호오거의 군사들에 항쟁하였지만 1647년 1월 2일 패배하여 봉황산(鳳凰山)에서 전사하였다.[2] 하지만 옛 서나라 반란군은 일정 세력을 유지하였고 1659년 투성이 함락될 때까지 청나라에 저항을 하였다.

2. 1. 건국 이전

장헌충은 이자성의 부장으로 60만여 명의 농민 반란군을 지휘하여 1641년 호북 양양을 공격, 양 충왕과 양 헌왕(홍희제의 제5황자이자 양번왕의 후손)을 살해하고 양양 정벌에 성공하였다. 1643년에는 우창에 입성하여 스스로 "대서왕(大西王)"이라 칭하였다.

2. 2. 건국과 정책

1644년 장헌충은 사천으로 진출하여 대부분의 주군현(州郡縣)을 점령 및 장악하였으며, 특히 성도를 공격하여 촉 민왕(蜀愍王)과 촉 헌왕(蜀獻王, 홍무제의 제11황자이자 촉번왕)의 후손)을 살해하여 사천 주둔 관련 세력을 넓혔다. 같은 해 1월 6일 국호와 연호를 대서(大西)라 하고, 스스로를 대서황제(大西皇帝)라 칭하였다. 또한 성도를 대서경(大西京)이라 개칭하고, 서나라의 독자적인 과거 제도를 실시하여 관직 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서나라 독자적인 화폐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2. 3. 멸망과 그 이후

1646년, 숭덕제의 장자 호오거가 이끄는 청나라 군사가 사천으로 진격하였다. 이에 장헌충은 대서경에서 항전하였으나, 1646년 12월 20일 손가망에게 선위하였으며 이정국섭정하였지만 불과 7일만에 서나라는 멸망하였다.[1]

장헌충은 사천 일대를 떠나지 않은 채 손가망을 비롯한 옛 서나라의 제장 및 군사들을 이끌고 호오거의 군사들에 항쟁하였지만 1647년 1월 2일 패배하여 봉황산(鳳凰山)에서 전사하였다.[2] 하지만 옛 서나라 반란군은 일정 세력을 유지하였고 1659년 투성(渝城)이 함락될 때까지 청나라에 저항을 하였다.

3. 역대 황제

'''서나라 황제 열표'''
대수시호성명재위기간
제1대고진황제
(高秦皇帝)
장헌충1644년 ~ 1646년
제2대사황제
(嗣皇帝)
손가망1646년



서나라의 초대 황제는 장헌충이고, 2대 황제는 손가망이다.

3. 1. 장헌충

장헌충
은 1643년부터 1647년까지 서나라의 황제였다. 연호대순으로 1644년부터 1647년까지 사용하였다.

이름초상화재위 기간연호 및 연도
장헌충1643년–1647년대순 1644년–1647년


참조

[1] 서적 The Hidden Land: The Garrison System And the Ming Dynasty Routledge
[2] 서적 Part One: The Ch'ing Empire to 18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