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헌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헌충은 명나라 말기 반란 지도자로, 섬서성 출신이다. 그는 1630년 왕가윤의 난에 호응하여 팔대왕을 칭하며 세력을 키웠고, 이자성과 연합하여 활동하다가 갈라선 후 사천 지역을 점령하여 대서황제를 칭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사천 지역에서 대규모 학살이 벌어졌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21년 이후에는 중국 인터넷에서 무차별 살인을 의미하는 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나라의 황제 - 손가망
    손가망은 명나라 말기에서 청나라 초기에 걸쳐 활동하며 이자성의 난에 가담, 장헌충 휘하에서 활약하고 서나라 황제에 올랐다가 남명에 투항 후 청나라에 다시 투항하여 장군 겸 정치인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 명나라의 반란자 - 고영상
  • 명나라의 반란자 - 이자성
    이자성은 명나라 말기에 농민 반란을 일으켜 대순을 건국하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지도자이며, 청나라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
  • 명 말기의 민변 관련자 - 손가망
    손가망은 명나라 말기에서 청나라 초기에 걸쳐 활동하며 이자성의 난에 가담, 장헌충 휘하에서 활약하고 서나라 황제에 올랐다가 남명에 투항 후 청나라에 다시 투항하여 장군 겸 정치인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 명 말기의 민변 관련자 - 이정국 (1620년)
    이정국은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군인이자 장헌충의 양아들로, 장헌충 사후 남명에 투항하여 영력제를 옹립하고 청나라에 저항했으며, 손가망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 후 영력제의 처형 소식을 듣고 절망 속에 사망했으나, 그의 숭명반청 의지는 조선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장헌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장헌충 (張獻忠)
로마자 표기Jang Heonchung
묘호태조 (太祖)
시호고황제 (高皇帝)
신상 정보
출생일1606년 9월 18일
사망일1647년 1월 2일
출생지명나라 섬서성 유림시 정변현
사망 장소서나라 사천성 성도에서 전사
가족 관계
배우자진연의 딸 진씨 (Lady Chen)
정치
정치 체제서 왕조 황제
재위 기간1644년 ~ 1647년
연호대순 (大順) : 1644년 - 1646년
전임자없음
후임자손가망
군사
소속이자성 휘하 반란군 → 서나라 군대
계급반란군 지도자 → 황제
기타
종교불교

2. 생애

장헌충은 섬서(陝西) 연안위(延安衛) 류수간보(柳樹澗堡) 출신으로, 원래 군인이었으나 법을 어겨 제적되었다.[64] 숭정(崇禎) 3년(1630년) 왕가윤이 난을 일으키자 이에 호응하여 팔대왕(八大王)을 자칭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고영상 휘하로 투항하여 동쪽으로 진출, 산서(山西)와 하남(河南)을 돌며 전투를 벌였다.

이자성 휘하에 들어간 장헌충은 스스로를 장비의 후예라 칭하며 이자성과 대립했다. 이로 인해 고영상이 죽자, 장헌충은 황하 유역의 이자성과 갈라서 장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호남(湖南), 강서(江西)를 거쳐 사천(四川)으로 들어가 독립 세력을 구축했다. 숭정 10년(1637년) 명나라 총병관(總兵官) 진양옥 부대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죽을 뻔하기도 했다.

숭정 11년(1638년) 명나라에 항복하여 호북성(湖北省) 곡성현(穀城縣)의 부장(副將)이 되었으나, 이듬해 다시 반란을 일으켜 사천성(四川省) 경계 부근에서 전투를 벌였다. 숭정 13년(1641년) 양양(襄陽)을 함락하고 양왕(襄王) 주익명(朱翊銘)을 죽였으며, 1643년 우창을 거점으로 '대서왕(大西王)'을 칭했다.

1644년 8월 9일, 사천으로 향한 장헌충의 군은 성도부(成都府)를 함락시켰다. 장헌충은 60만 대군이라 칭하며 사천성(四川省)의 대부분을 제압하였고, 8월 15일에는 성도(成都)를 거점으로 대서황제(大西皇帝)를 칭하고 대순(大順)이라 개원하며 성도(成都)를 서경(西京)으로 삼았다. 대서 정권은 명 왕조의 잔존 세력을 병합하고 명 왕조의 관제를 본떠 관료 조직을 갖추었다. 이 무렵 예수회 선교사 利類思|en|Lodovico Buglio|루이스 부글리오중국어와 安文思|가브리엘 데 마갈량이스중국어가 장헌충의 산하로 들어갔다.[79]

1645년, 장헌충은 최소 두 차례 한중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를 계기로 정권 내부 단속을 강화했으나, 이는 큰 저항을 불러와 사천(四川)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이러한 반란은 정권의 내부 붕괴로 이어졌다.

1646년 8월 4일, 이자성이 멸망하고 세를 키운 청군의 압박으로 장헌충은 사천(四川)을 버리고 섬서(陝西)로 가기 위해 서경을 떠났으나, 10월 20일 염정현(鹽亭縣) 봉황산(鳳凰山)에서 청의 숙친왕(肅親王) 호오거(豪格)의 군세와 교전 중에 사살되었다. 당시 대서군은 25명밖에 남지 않았다. 장헌충 사후 그의 잔당들은 1659년 중경(重慶)이 함락될 때까지 저항을 계속하였다.

2. 1. 초기 생애

장헌충은 섬서(陝西) 연안위(延安衛) 류수간보(柳樹澗堡)柳樹澗|버드나무 샘중국어 (현재의 정변, 산서)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64] 원래 군적(軍籍)에 올라 있었으나 법을 어겨 제적되었다. 그는 키가 크고, 황갈색 피부에 "호안"(虎頷, 인상적인 수염을 의미)을 가지고 있어, "황호"라는 별명을 얻었다.[4][5] 명(明) 군대에서 복무했는데, 군법 위반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그의 외모에 감명받은 고위 장교의 개입으로 사면되었다.

숭정(崇禎) 3년 왕가윤(王嘉胤)이 난을 일으켰을 때 미지현(米脂縣)에 있던 장헌충은 이에 호응하고 팔대왕(八大王)을 자칭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고영상(高迎祥) 휘하로 투항하여 동쪽으로 진출하였고 산서(山西)와 하남(河南)을 돌며 전투를 벌였다.

2. 2. 반란 지도자

장헌충은 섬서(陝西) 연안위(延安衛) 류수간보(柳樹澗堡) 출신으로, 원래 군인이었으나 법을 어겨 제적되었다. 숭정 3년(1630년) 왕가윤(王嘉胤)이 반란을 일으키자 장헌충은 이에 호응하여 팔대왕(八大王)을 자칭했다. 얼마 후 고영상(高迎祥)에게 투항하여 산서(山西)와 하남(河南) 일대에서 전투를 벌였다.[64]

이자성 휘하에 들어간 장헌충은 스스로를 장비의 후예라 칭하며 이자성과 대립했다. 이로 인해 고영상이 죽자, 장헌충은 황하 유역의 이자성과 갈라서 장강 유역으로 이동하여 호남(湖南), 강서(江西)를 거쳐 사천(四川)으로 들어가 독립 세력을 구축했다. 숭정 10년(1637년) 명나라 총병관(總兵官) 진양옥(秦良玉) 부대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죽을 뻔하기도 했다.[4][7][8]

숭정 11년(1638년) 명나라에 항복하여 호북성(湖北省) 곡성현(穀城縣)의 부장(副將)이 되었으나, 이듬해 다시 반란을 일으켜 사천성 경계 부근에서 전투를 벌였다. 숭정 13년(1641년) 양양(襄陽)을 함락하고 양왕(襄王) 주익명(朱翊銘)을 죽였으며, 1643년 무창(武昌)을 거점으로 '대서왕(大西王)'을 칭했다.[9][11][10]

2. 3. 사천 정복과 대서국 건국

1630년 왕가윤(王嘉胤)이 난을 일으켰을 때 미지현(米脂縣)에 있던 장헌충은 이에 호응하고 팔대왕(八大王)을 자칭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고영상(高迎祥) 휘하로 들어가 동쪽으로 진출하였고 산서(山西)와 하남(河南)을 돌며 전투를 벌였다.

명말청초의 정세 속에서 이자성의 휘하에 투신한 장헌충은 황하 유역으로 진출한 이자성과 갈라서서 장강 유역으로 진출하여 호남(湖南)과 강서(江西)에서 사천(四川)으로 침입하여 독립 세력을 형성하였다. 1637년 명의 총병관(總兵官) 진양옥 부대의 공격으로 장헌충의 군은 큰 손해를 입고 본인도 죽을 뻔하였다.

한때 관군에 항복하여 1638년 호북성(湖北省) 곡성현(穀城縣)의 부장(副將)이 되어 왕가하(王家河)에 주둔하였고 이듬해인 1639년 다시금 명조에 대한 반기를 들어 사천성(四川省) 경계 부근에서 전투를 벌였다. 1641년 장헌충은 양양을 격파하고 명의 황족인 양왕(襄王) 주익명(朱翊銘)을 죽이고, 1643년 무창(武昌)을 거점으로 '대서왕(大西王)'을 칭하였다.

1644년 8월 9일, 스스로를 진왕(秦王)이라 칭하고 사천(四川)으로 향한 장헌충의 군은 성도부(成都府)를 함락시켰다. 순무(巡撫) 용문광(龍文光)과 황족 촉왕(蜀王) 주지주(朱至澍) 및 그 아내는 모두 자결하였다. 장헌충은 60만 대군이라 칭하며 사천성(四川省)의 대부분을 제압하였고 8월 15일에는 성도(成都)를 거점으로 대서황제(大西皇帝)를 칭하고 대순(大順)이라 개원하며 성도(成都)를 서경(西京)으로 삼았다. 대서정권은 명 왕조의 잔존 세력도 병합하고 명 왕조의 관제를 본떠 관료 조직을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무렵 그리스도교 전도를 위해 사천(四川)에 와 있던 예수회 선교사 利類思|en|Lodovico Buglio|루이스 부글리오중국어와 安文思|가브리엘 데 마갈량이스중국어가 장헌충의 산하로 들어갔다.[79]

2. 4. 대서국의 통치와 몰락

1630년 왕가윤(王嘉胤)이 난을 일으켰을 때, 장헌충은 이에 호응하여 팔대왕(八大王)을 자칭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고영상(高迎祥) 휘하로 들어가 산서(山西)와 하남(河南)을 돌며 전투를 벌였다. 이자성(李自成)과 갈라선 후에는 장강(長江) 유역으로 진출하여 호남(湖南)과 강서(江西)에서 사천(四川)으로 침입하여 독립 세력을 형성하였다. 1637년 명의 총병관(總兵官) 진양옥(秦良玉) 부대의 공격으로 큰 손해를 입기도 했다.[64]

1638년 관군에 항복하여 호북성 곡성현(穀城縣)의 부장(副將)이 되었으나, 1639년 다시 명에 반기를 들었다. 1641년 양양(襄陽)을 격파하고 명의 황족인 양왕(襄王) 주익명(朱翊銘)을 죽였으며, 1643년 우창을 거점으로 '대서왕(大西王)'을 칭하였다.

1644년 8월 9일, 장헌충의 군은 성도부(成都府)를 함락시켰다. 장헌충은 60만 대군이라 칭하며 사천성 대부분을 제압하였고, 8월 15일에는 성도를 거점으로 대서황제(大西皇帝)를 칭하고 대순(大順)이라 개원하며 성도를 서경(西京)으로 삼았다. 대서 정권은 명 왕조의 잔존 세력을 병합하고 명 왕조의 관제를 본떠 관료 조직을 갖추었다. 이 무렵 예수회 선교사 루이스 부글리오(Louis Buglio, 중국명 이류사利類思)와 가브리엘 데 마갈량이스(Gabriel de Magalhães, 중국명 안문사安文思)가 장헌충의 산하로 들어갔다.[79]

1645년 장헌충은 최소 두 차례 한중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를 계기로 정권 내부 단속을 강화했으나, 이는 큰 저항을 불러와 사천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이러한 반란은 정권의 내부 붕괴로 이어졌다.

1644년 11월 상황; 장헌충(Xi) 왕국은 최대 영토에 근접해 있었다


사천에서 장헌충은 민간 행정부를 수립하려 했고, 초기에 상당한 지지를 얻었다. 가브리엘 데 마갈량이스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관대함, 정의, 웅장함으로 통치를 시작하여 모든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공포 때문에 숨어 지내던 문무를 겸비한 많은 관리들이 은신처를 떠나 그의 편으로 달려갔다."[13]

그러나 그의 통치에 대한 저항은 멈추지 않았고, 1645년 봄에 명나라 충성파에 의해 충칭이 다시 점령되었다. 장헌충은 이후 사천에서 남아있는 저항을 뿌리뽑기 위해 1645년 중반까지 본격적인 공포 통치를 시작했다.[13] 1645년 11월, 데 마갈량이스에 따르면 장헌충은 "거대하고 강력한 군대가 자신을 향해 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자신의 왕국의 백성들이 적과 은밀한 협약을 맺고 봉기를 계획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는 의심되는 저항 세력을 모두 죽이기로 결심했다"고 발표했다.[16] 장헌충의 공포 정치는 강도를 더해갔고, 특히 1646년 이후 더욱 심해졌다. 당시 장헌충의 정부는 사실상 붕괴되었고, 그의 주요 관리 중 셋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자살하거나 처형되었다.[13]

1646년 8월 4일, 이자성이 멸망하고 세를 키운 청군의 압박으로 장헌충은 사천을 버리고 섬서로 가기 위해 서경을 떠났으나, 10월 20일 염정현(鹽亭縣) 봉황산(鳳凰山)에서 청의 숙친왕(肅親王) 호오거(豪格)의 군세와 교전 중에 사살되었다.

3. 사천 대학살(도촉)

장헌충은 '도촉'(屠蜀) 또는 '도천'(屠川)이라 불리는 무차별 학살로 사천 지역의 인구를 급격히 감소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79] 이와 관련된 기록과 설화, 당시 상황을 전하는 자료들을 통해 사천 대학살의 실체와 그 영향을 살펴본다.

장헌충이 사람을 죽이고 글을 새겼다는 '칠살비'(七殺碑) 설화가 전해진다.[71][72][73]

> 하늘은 사람을 먹여살리기 위해 만물을 창조하는데

> 사람은 하늘에 보답하기 위해 조금의 선행도 쌓지를 않는구나.

>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그러나 이 설화의 진위는 불분명하다. 1934년 한 선교사가 칠살비 원형으로 추정되는 비석을 발견했는데, 뒷면에는 희생자들을 기리는 남명 장군 비문이 새겨져 있었고,[74][75] 문제의 세 번째 줄은 다른 내용이었다.[74][76]

> 하늘은 사람을 먹여살리기 위해 만물을 창조하는데

> 사람은 하늘에 보답하기 위해 조금의 선행도 쌓지를 않는구나.

> 신령은 다 알고 있으니, 스스로 생각해보고 반성하라.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사천 대학살이 청나라에 의해 자행되었고, 장헌충은 누명을 쓴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77][71][78]

당시 포르투갈 선교사였던 가브리엘 드 마갈량이스 보고서에는 사천에서의 학살에 대한 기록이 상세히 나타나 있다.[79] 그는 장헌충이 성도(成都)를 "원주민이 없는 무인지경"으로 만들었고, 주변 강은 "피처럼 붉게 물들었다"고 기록했다.[80]

장헌충의 반란 기록 중 하나인 『촉벽』(蜀碧)에 따르면, 장헌충은 "사천 사람은 아직 죽지 않은 것인가? 내 손으로 얻었으니 내 손으로 없앨 것이다."라고 선언했고, 죽일 사람이 없던 어느 날 밤에는 자신의 처자식까지 죽였다고 한다.[59]

『촉벽』에는 장헌충의 학살 방법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학살 방법설명
포노(鉋奴)손발 절단
변지(邊地)등줄기를 두 동강 내기
설추(雪鰍)공중에서 등을 창으로 꿰뚫기
관희(貫戲)아이들을 불타는 성에 가두고 태워 죽이기


3. 1. 학살의 규모와 원인

많은 기록에서 장헌충은 잔혹한 살육을 즐겼으며 '도촉'(屠蜀) 또는 '도천'(屠川)이라 불리는 무차별 학살로 사천의 인구를 급격히 감소시켰다고 적고 있다.[79] 1578년(만력 6년) 인구 310만 2073인이었던 사천은[66] 1685년(강희 24년)에는 18,090인으로 인구가 줄어 있었다.[67] 이 때문에 청 왕조 초기 1671년에서 1776년까지 호북성(湖北省) ・ 호남성(湖南省) ・ 광동성(廣東省) 등지에서 수백만 명의 주민을 사천성으로 이주시켰다. 이를 호광전사천(湖廣塡四川)이라 한다.[68] 오늘날의 쓰촨 지역 사투리인 서남관화(西南官話)가 베이징(北京)의 푸퉁화(普通話)에 가까운 것도 이때 장헌충에 의해 사천 지역의 인구가 거의 절멸 직전에 몰렸기 때문에 고대 사천인들이 괴멸되어 버렸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해석되고 있다.

일본의 역사학자 아사미 마사카즈(浅見雅一)는 장헌충에 관한 사료는 대부분이 후대의 것들임을 지적하며 장헌충 당시의 사료로써 다음과 같은 자료들을 거론한다.[79]

  • 장헌충을 섬겼으며 대서 정권의 붕괴까지 모두 목격했던 포르투갈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 가브리엘 드 마갈량이스(Gabriel de Magalhāes, 중국명 안문사安文思)가 로마 교황청에 보낸 1647년 5월 18일자 『사천 성과 그리스도 교회의 파괴와 손실에 대하여, 그리고 그 땅에서 루이스 브리오와 가브리엘 데 마갈량이스가 연금의 신세가 된 것에 대한 보고서』[69]
  • 청두(成都) 대자사(大慈寺)에서 벌어졌던 대학살의 생존자로 알려진 구양직(歐陽直)이 저술한 『구양씨유서』(歐陽氏遺書)[70]
  • 1642년 5세의 나이로 당시 화양현령(華陽縣令)으로 부임한 아버지와 함께 사천으로 와서 체험한 것을 토대로 심순위(沈荀蔚)가 저술한 『촉난서략』(蜀難敘略)


중국측의 사료는 청 왕조의 점령지에서의 치부(예를 들어 양저우에서 벌어졌던 열흘 동안의 대학살)나 청 왕조를 비판하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사료의 신빙성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으나, 아사미 마사카즈는 이러한 비판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포르투갈 선교사 마갈량이스의 보고서를 토대로 중국측의 동시대 자료나 다른 사료를 비교 검토한 끝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마갈량이스의 보고서는 사실 경과를 서술한 것이며, 매우 정확한 것이다.
  • 『구양씨유서』는 사실 경과에 대한 기술이 단편적이지만 그 역시 정확하다.
  • 『기사략』(紀事略)은 날짜 기재에 다소 착오가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신빙성이 있으며, 구양직과 비슷한 입장에 있었던 인물이 저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 『촉기』(蜀記)에 대해서는 날짜가 대부분 착오가 있고 사실 경과도 대부분 맞지 않으나, 일부 내용이 『구양씨유서』 이상의 상세한 기술을 담고 있고 그 내용이 마갈량이스의 보고서와도 일치하는 점에서 장헌충에 가까운 입장에 있었던 자가 저술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도촉'이라 지칭되는 장헌충에 의한 사천에서의 대학살 사건이 실제 역사적 사실인가에 대해서는, 실제로 상당한 규모로 이루어졌다는 것은 틀림없지만 사천을 침공했을 때의 파괴, 대서 정권 내부에서의 반란에 대한 진압, 그리고 사천을 떠나 섬서(陝西)로 향할 때의 조직적인 학살의 3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대학살이 가능했던 요인으로써는 대서 정권의 성립 당시 장헌충이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었으며 그런 까닭에 그를 중심으로 하는 통치기구가 정비될 수 있었다는 것을 들었다. 즉 대서 정권의 사천에서의 대학살은 도리어 그러한 대학살을 벌일 수 있을 정도의 체계적인 통치조직과 굳건한 지지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장헌충의 통치와 그 이후의 사건들은 사천을 황폐화시켰고, 그는 "제국 역사상 가장 소름끼치는 대량 학살 중 하나를 저질렀다"고 전해진다.[21] 그의 살인과 가죽을 벗기는 행위에 대한 끔찍한 이야기가 여러 기록에 전해진다. 18세기 학살에 대한 기록인 ''촉벽''(蜀碧중국어)에 따르면, 모든 학살 후에 머리나 해골을 모아 여러 큰 더미를 만들었고, 손은 다른 큰 더미에, 귀와 코는 더 많은 더미에 쌓아 장헌충이 학살 수를 셀 수 있게 했다.[22] 한 사건에서 그는 자신의 행정부를 위해 학자를 모집하기 위해 과거를 조직했는데, 수천 명에 달하는 모든 응시자를 살해했다고 한다.[23] 또 다른 사건에서 그는 병에서 회복된 것에 감사하기 위해 많은 여성의 발을 잘랐다고 한다. 잘린 발은 두 개의 더미로 쌓였고, 발이 유난히 작았던 가장 총애하는 후궁의 발이 맨 위에 놓였다. 이 두 개의 발 더미는 기름을 부어 불을 붙여 그가 "천상의 촛불"이라고 부르는 것이 되었다.[24]

그는 청나라 군대보다 먼저 성도를 버리기 전에 추가적인 학살을 명령했다고 한다.[17] 이 학살, 이후의 기근과 전염병, 호랑이의 공격, 그리고 혼란과 청나라 군대로부터 도망치는 사람들로 인해 사천의 인구가 대규모로 감소했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성도와 그 주변 군(주로 성도 평원)과 장헌충이 성도에서 섬서로 퇴각하는 경로에 있는 지역으로 여겨진다.[25]

장헌충에게 살해된 실제 인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논란의 대상이다. 명나라의 공식 역사서인 ''명사''는 장헌충의 활동으로 인해 6억 명이 사망했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당시 중국 전체 인구가 1억 5천만 명 미만, 어쩌면 훨씬 적었을 것이므로 명백한 과장이다.[33][34] 현대 역사가의 평가에 따르면, "사망자 수는 엄청났을 것으로 여겨지며, 장헌충이 만주족에게 결국 살해되기 전까지 총 3백만 명의 성 인구 중 100만 명에 달했을 수도 있다."[35] 대량 학살로 인한 사망과 기타 원인, 그리고 인구의 이동이 합쳐져 사천성의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다. 사천성의 인구는 최대 75%까지 감소한 것으로 추산되며, 100만 명 미만의 사람들이 사천성에 남았고, 대부분은 주변 지역에 몰려 있었다.[43] 장헌충이 사천에 들어오기 60년 이상 전인 1578년 사천성에 대한 마지막 명나라 인구 조사 결과는 3,102,073명이었다. 그러나 1661년까지 사천에는 16,096명의 성인 남성만 등록되었으며, 청두는 호랑이가 자주 출몰하는 사실상 유령 도시가 되었다고 한다.[36] 장헌충 사망 후 70년이 넘고 사천 재정착이 시작된 후인 1720년대의 사천성 인구는 634,802가구(추산에 따르면 약 250만 명)였다.[13]

많은 사람들이 학살이 있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장헌충이 사천성 인구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믿지 않으며, 그의 사망 이후 지속적인 혼란, 기근, 질병으로 인해 가장 큰 손실이 발생했다고 생각한다.[13][17] 어떤 사람들은 많은 사람들이 죽었지만, 사천성이 기록된 것처럼 사실상 인구가 감소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3] 후자오시와 같은 일부 현대 중국 역사가들은 그를 원시 혁명가로 간주하며,[24] 대량 학살에 대한 기록이 과장되었으며, 사망자 중 다수는 청, 명, 반군을 포함한 다른 세력에 의해 발생했으며, 그의 희생자는 명나라 귀족, 부유한 지주 및 기타 "반혁명" 세력이었으며, 그의 끔찍한 평판은 "청나라의 비방"과 "반동 선전"의 결과라고 주장했다.[37][38][39]

3. 2. 칠살비(七殺碑) 전설

장헌충이 사람을 죽이고 글을 지어 새겼다는 비석, 일명 '칠살비'에 대한 설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71][72][73]

> 하늘은 사람을 먹여살리기 위해 만물을 창조하는데
사람은 하늘에 보답하기 위해 조금의 선행도 쌓지를 않는구나.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그러나 이 설화가 정확한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의문이 남아있다. 1934년에 한 선교사에 의해 칠살비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비석이 실제로 사천지방에서 출토되었는데, 뒷면에는 수많은 희생자들을 기리는 남명 장군의 비문이 새겨져 있었으며[74][75] 문제의 세 번째 줄은 전혀 다른 내용이었다고 한다.[74][76]

> 하늘은 사람을 먹여살리기 위해 만물을 창조하는데
사람은 하늘에 보답하기 위해 조금의 선행도 쌓지를 않는구나.
신령은 다 알고 있으니, 스스로 생각해보고 반성하라.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사천 대학살이 실은 청나라가 일으킨 것이며, 장헌충은 단지 그 죄를 뒤집어쓴 것이라고 생각했다.[77][71][78]

3. 3. 포르투갈 선교사의 보고서

Gabriel de Magalhāes|가브리엘 드 마갈량이스pt(중국명 안문사安文思)는 포르투갈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로, 1647년 5월 18일 로마 교황청에 『사천 성과 그리스도 교회의 파괴와 손실에 대하여, 그리고 그 땅에서 루이스 브리오와 가브리엘 데 마갈량이스가 연금의 신세가 된 것에 대한 보고서』[69]를 보냈다.

일본의 역사학자 아사미 마사카즈(浅見雅一)는 마갈량이스의 보고서가 사실 경과를 매우 정확하게 서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79] 또한, 마갈량이스의 보고서는 장헌충에 의한 사천 대학살("도촉" 또는 "도천")이 실제로 상당한 규모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언급했다.

마갈량이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장헌충은 사천을 침공했을 때, 대서 정권 내부 반란 진압, 사천을 떠나 섬서(陝西)로 향할 때 조직적인 학살을 자행했다.[79] 그는 성도(成都)를 "원주민이 없는 무인지경의 고립 상태"로 만들었고, 주변 강은 "붉게 물들어 마치 물이 아니라 피 같았다"고 기록했다.[80] 또한, "시체로 가득 차서 바다까지 흘러들어, 아주 수량이 많은 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며칠 동안 항해하는 것이 불가능했다"고 덧붙였다.[80]

마갈량이스는 장헌충이 관리와 지식인에 대한 증오심을 품고 있었다고 기록했다. 장헌충은 과거를 열어 인재를 뽑는다는 명목으로 생원과 거인들을 수도로 불러모았으나, "붓이 아닌 칼을, 먹이 아닌 그들의 피를 주었다"며 1만 3천 명을 참수했다.[81]

장헌충은 군대를 이끌고 도시와 마을을 불태워 "단 한 채도 남지 않"게 만들었다.[82] 마갈량이스는 1년 후 사천 성을 다시 방문했을 때, "그곳은 한때 사람이 거주하던 땅이 아니라 이미 야생 숲으로 변하여, 사람이라기보다는 호랑이나 다른 맹수의 우리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합해 보였다"고 기록했다.[83]

마갈량이스는 장헌충이 관대함, 정의, 웅장함으로 통치를 시작하여 모든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고 기록했다.[13] 그러나 1645년 중반부터 장헌충은 사천에서 남아있는 저항을 뿌리뽑기 위해 본격적인 공포 통치를 시작했다.[13] 1645년 11월, 장헌충은 "자신의 왕국의 백성들이 적과 은밀한 협약을 맺고 봉기를 계획하고 있다"며 의심되는 저항 세력을 모두 죽이기로 결심했다고 발표했다.[16]

3. 4. 『촉벽』(蜀碧)의 기록

장헌충의 반란을 기록한 문헌인 『촉벽』(蜀碧)에 따르면, 장헌충은 "사천 사람은 아직 죽지 않은 것인가. 내 손으로 얻었으니 내 손으로 없애버릴 것이다. 단 한 사람이라도 남을 위해 남겨두지는 않겠다"고 선언했다고 한다.[59] 또한 아무것도 할 일이 없었던 어느 날 밤에는 "오늘 밤에는 죽일 놈이 하나도 없단 말이냐?"라며 자신의 처와 애첩 수십 명과 자식까지 죽였다고 한다.[59]

18세기에 쓰여진 학살에 대한 기록인 『촉벽』(蜀碧중국어)에 따르면, 모든 학살 후에 머리나 해골을 모아 여러 큰 더미를 만들었고, 손은 다른 큰 더미에, 귀와 코는 더 많은 더미에 쌓아 장헌충이 학살 수를 셀 수 있게 했다고 한다.[22]

『촉벽』에 기록된 장헌충의 학살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학살 방법설명
포노(匏奴)손발을 절단하기
변지(邊地)등줄기를 두 동강 내기
설추(雪鰍)공중에서 등을 창으로 꿰뚫기
관희(貫戲)아이들을 불타는 성에 가두고 태워죽이기


4. 장헌충의 사제자(四弟子)

서 태조 고황제 장헌충은 이정국, 애능기, 손가망, 유문수의 스승이자 주군이었다.

이름직위최후
이정국서나라 총리대신서나라 멸망 이후 옛 적국 남명에 투항.
애능기前 서나라 행정부 의장서나라 멸망 이후 옛 적국 남명에 투항.
손가망서나라 제2대 황제서나라 멸망 이후 옛 적국 청나라에 투항.
유문수前 서나라 행정부 부의장 겸 종묘사직당 주석서나라 멸망 이후 옛 적국 남명에 투항.



장헌충은 사천을 포기하기 전에 자신의 군대를 4개 부대로 나누었고, 각 부대는 그의 4명의 장군(이정국, 손가망, 유문수, 애능기)이 이끌었다. 그의 군대 잔당과 명나라 충신들은 장헌충 사후에도 사천, 운남, 귀주에서 저항을 이어갔으며, 사천 대부분 지역은 10여 년이 지나서야 청나라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동사천에서의 전투는 1664년에야 마침내 종식되었다.[17]

5. 현대적 재해석

2021년, 중국에서 연이은 몇 차례의 무차별 대량 살인 사건 이후, 장헌충은 중국 인터넷에서 정치적 상징이자 인터넷 밈으로 인기를 얻었다. 이는 자살 공격을 감행하는, 사회에 절망하고 "가속주의"를 기대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45][46] ''주간문춘''의 야스다 미네토시는 이 용어가 중국의 반체제 오타쿠 트롤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2024년 선전 칼부림 사건의 범행 동기가 아마도 "장헌충"일 것이라고 추측했다.[47] 살인 사건이 발생한 후, "헌충학"으로 번역되는 ''Xianzhongxue''라는 용어가 인터넷 유행어가 되었다.[48]

5. 1. 인터넷 밈 '헌충학'

2021년, 중국에서 연이은 몇 차례의 무차별 대량 살인 사건 이후, 장헌충은 중국 인터넷에서 정치적 상징이자 인터넷 밈으로 인기를 얻었다. 이는 자살 공격을 감행하는, 사회에 절망하고 "가속주의"를 기대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45][46] ''주간문춘''의 야스다 미네토시는 이 용어가 중국의 반체제 오타쿠 트롤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2024년 선전 칼부림 사건의 범행 동기가 아마도 "장헌충"일 것이라고 추측했다.[47] 살인 사건이 발생한 후, "헌충학"으로 번역되는 ''Xianzhongxue''라는 용어가 인터넷 유행어가 되었다.[48]

2021년경부터 중국 인터넷에서는 "'''헌충학'''"이라는 단어가 무차별 살인을 가리키는 인터넷 밈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21년 6월경 중국에서 무차별 살인 사건이 다발했고, 그 대부분이 사회에 대한 보복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기 때문에, 이들은 "헌충 사건"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중국 네티즌 일부는 장헌충을 무차별 살인으로 사회에 저항하는 하층 시민의 영웅으로 여기고, "헌충하고 싶은 마음이 높아지고 있다"는 식으로 무차별 살인을 암시하는 자들까지 있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이 밈을 위험한 것으로 간주하여, 다른 중국의 인터넷 밈 (눕기족 등)과 마찬가지로 엄격한 검열의 대상이 되고 있다.[60][61]

프리 라이터 야스다 미네토시는, 2024년 6월에 발생한 쑤저우 일본인 학교 스쿨버스 습격 사건이나, 같은 해 9월에 발생한 선전 일본인 남자아이 피살 사건과 같은 일본인에 대한 혐오 무차별 살인 사건에 대해서도, 이 헌충 밈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 인터넷에서 만연하는 반일 감정과 일본인 학교 음모론 등의 반일 콘텐츠를 근거로, "어차피 '헌충'을 할 거라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일본인 학교 아이들을 노리자는 변질자의 동기 부여가 생기기 쉬운 사회가 되어 있다."라고 평했다.[62]

참조

[1] 웹사이트 中国国家博物馆藏西王赏功钱考 https://www.chnmuseu[...] China Academic Journal Electronic Publishing House
[2] 뉴스 Skeletons of massacre victims uncovered at construction site http://app1.chinadai[...] Shanghai Star 2002-04-11
[3] 뉴스 "张献忠屠四川"非造假 成都曾挖出万人枯骨坑 ("Zhang Xianzhong's massacre of Sichuan" not fabricated, ten thousand human bones in pit excavated in Chengdu.) http://sc.people.com[...] sc.people.com.cn 2010-04-08
[4] 간행물 Chang Hsien-chung
[5] 문서 Ming shi http://zh.wikisource[...]
[6] 서적 Rivers in Time: A Cultural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7] 서적 Chongqing & The Three Gorges https://books.google[...] Kim Hunter Gordon
[8] 서적 Cultural Centrality and Political Change in Chinese History: Northeast Henan in the Fall of the Ming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Imperial Chinese Military History: 8000 Bc – 1912 Ad https://books.google[...] Writers Club Press
[1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11]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서적 Crimson Rain: Seven Centuries of Violence in a Chinese Coun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The Culmination of a Chinese Peasant Rebellion: Chang Hsien-chung in Szechwan, 1644–46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1957-05
[14] 서적 The Hidden Land: The Garrison System And the Ming Dynasty Routledge 2019
[15] 서적 Journey to the East: The Jesuit Mission to China, 1579–1724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Biography of Fernandes Cai, António (1620–1670) http://ricci.rt.usfc[...] The Ricci Roundtable
[17]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8] 서적 On the Trail of the Yellow Tiger: War, Trauma, and Social Dislocation in Southwest China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2018
[19] 문서 Parsons 1957 https://www.jstor.or[...]
[20] 문서 Draft History of Qing
[21] 서적 Crimson Rain: Seven Centuries of Violence in a Chinese Coun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2] 문서 Shu Bi http://open-lit.com/[...]
[23] 서적 The Everlasting Empire: The Political Culture of Ancient China and Its Imperial Legac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Chongqing & The Three Gorges https://books.google[...] Kim Hunter Gordon
[25]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6] 서적 中國現代化的癥結 (The Problems of Moderniz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秀威出版
[27] 서적 The Taiping Ideology: Its Sources, Interpretations, and Influ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8] 서적 Death by Government Transaction Publisher
[29] 논문 Chang Hsien-Chong and the Dark Age https://commons.wiki[...] 1938
[30] 논문 The Revolution in Szechwan, 1911–1912 https://commons.wiki[...] West China Border Research Society 1933–1934
[31] 문서 The inscription reads: 天有萬物與人,人無一物與天。 鬼神明明,自思自量。 On its reverse are inscriptions by Yang Zhan (楊展) titled Ten-thousand-men Tomb (萬人墳), and described his distress at the sight of the remains of the massacre, so he had them collected and buried.
[32] 웹사이트 The Manchu Qing Dynasty - Part I -- Political, Social, Cultural, Historical Analysis Of China http://www.imperialc[...]
[33] 문서 Ming shi http://zh.wikisource[...]
[34] 서적 China: A Cultural and 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5] 서적 China: A Cultural and Histor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6]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7] 서적 张献忠屠蜀考辩
[38] 간행물 Book Reviews—Zhongguo nongmin zhanzheng shi yanjiu [Research on the history of Chinese peasant wars]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1982-02
[39] 서적 Migration and settlement in Sichuan, 1644–1796 Harvard University
[40] 웹사이트 關於梓潼神廟內的張獻忠塑像 http://www.daoist.or[...] 弘道 2019-03-14
[41] 서적 Studies on the Population of China, 1368–1953, Volume 4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Sichuan Frontier and Tibet: Imperial Strategy in the Early Q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4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44]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5] 뉴스 多起隨機傷人事件後,網絡迷因「張獻忠」為何被全網封殺? https://theinitium.c[...] 2021-06-22
[46] 웹사이트 从"加速"、"躺平"到"献忠学":在审查系统下一个个消失的政治黑话 https://www.wainao.m[...] 2021-07-16
[47] 웹사이트 《深圳児童殺害事件の背景》中国版“無敵の人”の無差別犯罪「献忠」続発の深い闇 https://bunshun.jp/a[...] 2024-10-22
[48] 웹사이트 China reels from spate of suspected 'revenge against society' attacks https://www.theguard[...] 2024-12-02
[49] 문서 教会史料を通してみた張献忠の四川支配 https://koara.lib.ke[...] 三田史学会 1990
[50] 문서 明会要
[51] 문서 四川道志 嘉慶
[52] 문서 紫禁城の栄光 講談社学術文庫
[53] 문서 新訂 中国語概論 大修館書店
[54] 문서 Relação da perda e destruição da Provincia e Christandade de Sù chuēn,e do que os Padres Lus Bulhio,e Gabriel de Magalhães passarão em seu captivero.
[55] 문서 蜀碧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蜀碧・嘉定屠城紀略・揚州十日記 平凡社
[60] 웹사이트 多起隨機傷人事件後,網絡迷因「張獻忠」為何被全網封殺? {{!}} 端傳媒 Initium Media https://theinitium.c[...] 2024-10-02
[61] 뉴스 从“加速”、“躺平”到“献忠学”:在审查系统下一个个消失的政治黑话 https://www.wainao.m[...] 2024-10-06
[62] 뉴스 《深圳・日本人学校10歳男児死亡事件》中国政府発表を肯定する父親の「感動の手紙」仰天背景 https://bunshun.jp/a[...] 2024-10-06
[6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고유명사용어집(국사편찬위원회) http://esillok.histo[...]
[64] 문서 오늘날의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섬서성) 위린시 (산시성) 딩볜현 학란향(郝灘郷) 유거촌(劉渠村).
[65] 문서 인조실록 46권, 인조 23년 12월 23일 신축 1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66] 문서 명회요
[67] 문서 사천도지 가경(嘉慶)
[68] 서적 고찰명: 중국도시 이야기 문학동네
[69] 문서 Relação da perda e destruição da Provincia e Christandade de Sù chuēn,e do que os Padres Lus Bulhio,e Gabriel de Magalhães passarão em seu captivero.
[70] 문서 촉벽
[71] 서적 中國現代化的癥結 (The Problems of Modernization in China https://books.google[...] 秀威出版
[72] 서적 The Taiping Ideology: Its Sources, Interpretations, and Influ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3] 서적 Death by Government Transaction Publisher
[74] 저널 Chang Hsien-Chong and the Dark Age https://commons.wiki[...] 1938
[75] 저널 The Revolution in Szechwan, 1911–1912 https://commons.wiki[...] West China Border Research Society 1933–1934
[76] 문서 The inscription reads: 天有萬物與人,人無一物與天。 鬼神明明,自思自量。 On its reverse are inscriptions by Yang Zhan (楊展) titled Ten-thousand-men Tomb (萬人墳), and described his distress at the sight of the remains of the massacre, so he had them collected and buried.
[77] 서적
[78] 웹인용 The Manchu Qing Dynasty - Part I -- Political, Social, Cultural, Historical Analysis Of China http://www.imperialc[...]
[79] 간행물 浅見雅一、「[http://koara.lib.keio.ac.jp/xoonips/modules/xoonips/detail.php?koara_id=AN00100104-19900700-0049 教会史料を通してみた張献忠の四川支配]」『史学』 1990年 59巻 2/3巻 p.49-91, 三田史学会
[80] 문서 Jap.Sin.127,ff.11.
[81] 문서 Jap.Sin.127,ff.12v.
[82] 문서 Jap.Sin.127,ff.15.
[83] 문서 Jap.Sin.127,ff.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