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달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달은 호주 종리 출신의 명나라 개국 공신으로, 주원장과 함께 홍건적에 가담하여 원나라에 대항했다. 그는 용맹하고 결단력 있는 성격으로, 주원장의 신임을 얻어 강남을 평정하고 명나라 건국 후 25만 대군을 이끌고 원나라를 토벌하여 수도 칸발리크를 함락시켰다. 몽골 영토 깊숙이 진격하여 카라코룸을 약탈하고 자바이칼 지방까지 진출하는 등 혁혁한 군사적 공을 세웠다. 1370년 위국공에 봉해졌으나, 1385년 사망 당시 주원장의 독살 의혹을 받았다. 그의 아들 서휘조는 정난의 변에 연루되어 불우한 말년을 보냈으며, 서달은 김용의 무협 소설 《의천도룡기》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대장군 - 정덕제
    홍치제의 아들인 정덕제는 명나라의 제10대 황제로, 즉위 초 총명하다는 평을 받았으나 환관 총애, 불교 심취, 잦은 친정 등으로 국정을 소홀히 하여 반란이 잇따르며 명나라 쇠퇴를 가속화시켰다.
  • 명나라의 대장군 - 남옥 (명나라)
    남옥은 명나라 초기의 장군으로, 상우춘 휘하에서 공을 세웠고 부이르 호 전투에서 북원을 격파하는 혁혁한 공을 세웠으나, 홍무제의 경계를 받아 모반 혐의로 처형되어 남옥의 옥이 발생했다.
  • 홍무제 때의 재상 - 호유용
    호유용은 명나라 초 좌승상으로 권력을 남용하다 홍무제에 의해 역모죄로 처형되었고, 이 사건으로 재상 제도가 폐지되고 황제 중심의 독재 체제가 강화되었으며, 최근에는 사건 조작 가능성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홍무제 때의 재상 - 이선장
    이선장은 명나라 초 주원장의 참모로, 뛰어난 계략과 법가 사상으로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나, 호유용의 옥에 연루되어 숙청된 인물이다.
서달 (중국)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달의 초상화
서달의 초상화
이름서달
원래 이름徐達
로마자 표기Seo Dal
직위
좌승상1371년
우승상1368년 ~ 1371년
생애
출생1332년
출생지원나라 허난장베이 성 안펑루 하오 주 중리현 용펑향
사망1385년
사망지응천부
가족
배우자장 부인
사 부인
손 부인
가 부인
자녀서휘조, 위국공
서천부
서증수, 정국공
서의화, 인효문황후
대왕비
안왕비
서영서
서묘금
작위
위국공1370년 ~ 1485년
후임서휘조

2. 생애

서달은 호주(濠州) 종리(鍾離) 출신의 농민으로, 같은 고향 출신인 주원장과는 오랜 친구였다. 1353년 이후, 주원장과 함께 행동하며 홍건군에 참가했고, 주원장이 두각을 나타내는 과정에서 측근으로 활약했다.

군인으로서 뛰어난 자질을 보였는데, 군벌 장사성과의 전투나 산둥 평정에 공을 세워 정로대장군으로 승진했다. 1364년에 주원장이 오(吳) 왕이 되자, 서달도 그동안의 수많은 공적을 인정받아 대장군・좌상국에 임명되었다.

주원장에 의한 강남 평정이 이루어지고, 명나라가 건국된 1368년에는 원나라의 지배 하에 남아있던 화북을 탈취하여 중국의 통일을 회복하기 위해 파견된 북벌군을 이끌고 북상하여, 허난의 원나라 측 군벌 코코 테무르를 격파하고, 원나라의 황제 토곤 테무르를 북쪽으로 몰아내고 대도를 점령하여 중국에서 몽골 세력을 몰아냈다. 서달은 이 공적으로 명나라의 태조가 된 주원장으로부터 창업 제일의 공신으로 칭찬받아, 우승상, 위공에 임명되었다.

그 후에도 원나라와의 전투에서 활약했지만, 공적을 너무 많이 세운 탓에 황제가 되어 의심이 많아진 주원장에게 점차 미움을 받게 되었다. 서달은 군기에 엄격하고 냉정침착했으며, 제일의 공신이 되고서도 거만해지는 일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군대 내에서 그의 인망은 매우 높았다고 한다. 54세에 병사했다.

2. 1. 초기 생애와 홍건적 가담

徐達|쉬다중국어는 호주(濠州) 종리(鍾離) 출신의 가난한 농민이었다. 어릴 적부터 주원장과 친하게 지냈으며, 1353년 주원장과 함께 홍건적에 가담하여 원나라에 대항하는 봉기에 참여했다.[2] 그는 날씬한 얼굴과 높은 광대뼈를 가진 강인한 외모로 묘사되며, 용맹하고 결단력 있는 성격이었다. 22세 때 곽자흥(郭子興)의 부대에 있던 주원장의 부하가 되었고, 이후 손덕애(孫德崖)에게 붙잡힌 주원장을 구출하면서 그의 깊은 신뢰를 얻게 되었다.

2. 2. 명나라 건국과 군사적 활약

1353년 곽자흥(郭子興)의 휘하에 있던 주원장의 부하가 되어, 손덕애(孫德崖)에게 붙잡힌 주원장을 구출한 뒤로 신뢰를 받았다. 양쯔강을 건너 집경로(集敬路: 난징)를 공략한 뒤 대장이 되고, 전장(鎭江)을 점령한 뒤 통군원수(統軍元帥)가 되었다.[2]

1361년 주원장이 오국공(吳國公)이 되자 강남행추밀원사(江南行樞密院事)가 되었다. 이어서 장시(江西)의 한제(漢帝) 진우량을 격파하고, 주원장이 오왕(吳王)이 되자 좌상국(左相國)에 올랐다. 1367년 쑤저우의 오왕 장사성을 공략한 무공으로 신국공(信國公)에 봉해졌다.[2]

1368년 주원장이 응천부(應天府: 난징)에서 황제로 즉위하고 명나라를 건국하자, 서달은 무관(武官) 중 가장 높은 자리에 올랐다. 25만 대군을 이끌고 원나라 군대를 토벌했으며, 허난성에서 원나라 군벌 코코 테무르를 격파하고, 원나라 수도 칸발리크(현재의 베이징)를 함락시켜 원나라 마지막 황제 토곤 테무르를 북쪽으로 몰아냈다.[2]

퇴각하는 원나라 군대를 추격하여 몽골 영토 깊숙이 진격, 카라코룸을 약탈하고 수천 명의 몽골 귀족들을 포로로 잡는 등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자바이칼 지방까지 진출하여 중국 군대 역사상 가장 북쪽까지 진격한 기록을 세웠다.[2] 1370년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지고 5000석의 녹(祿)을 받았다.[2]

2. 3. 죽음과 관련된 논란

1385년, 서달은 5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을 둘러싸고 여러 가지 의혹이 제기되었는데, 가장 유력한 설은 주원장이 그의 능력과 명성을 두려워하여 독살했다는 것이다.[3] 일설에 따르면, 서달이 등에 난 종기로 고생할 때 주원장이 찐 거위를 보냈다. 당시 종기에 거위가 해롭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서달은 주원장의 의도를 눈치채고 눈물을 흘리며 거위를 먹고 며칠 후 사망했다고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 질병으로 사망했다는 주장도 있으며, 그의 가족들은 명나라에서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그의 죽음은 명나라 초기 권력 투쟁의 비극적인 단면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3. 가족 관계

부인장씨(張氏) [4]
사씨(謝氏), 사재흥의 딸[4]
손씨(孫氏)[5]
가씨(賈氏)[6]
자녀장남: 서휘조(徐輝祖, 1368–1407), 충정 위국공(忠贞魏国公)[4]
차남: 서첨복(徐添福)[4]
삼남: 서증수(徐增壽, ?–1402), 정국공(定國公)[4]
사남: 서응서(徐膺緒, 1372년 – 1416년 3월 2일)[5]
장녀: 서이화(仁孝文皇后 徐儀華, 1362년 3월 5일 – 1407년 8월 6일), 영락제 주체의 황후[4]
차녀: 대왕비(代王妃) 서씨, 주계와 결혼[4]
삼녀: 안왕비(安王妃) 서씨, 주영과 결혼[4]
사녀: 서묘금(徐妙锦)[6]


4. 평가

서달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지도력으로 명나라 건국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군율을 엄격하게 지키고 냉정하며 침착한 성격으로 부하들의 존경을 받았다.[3] 백성들에게 관대하고 청렴한 관리로 알려져 민심을 얻는 데에도 기여했다. 그의 군사적 업적은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꼽히게 한다.[2]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서달은 김용의 무협 소설 《의천도룡기》에 단역으로 등장한다. 에 반대하는 세력인 명교의 일원으로서 장무기의 지휘 아래 원나라를 타도하기 위한 반란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장무기는 서달에게 남송의 장군 악비가 쓴 병법서인 《무목유서》를 전한다. 서달은 이 책을 읽고 크게 깨달음을 얻어 뛰어난 군사 지휘관이 되었고, 주원장을 도와 원나라를 타도하고 명나라를 건국하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明史/卷125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https://zh.wikisourc[...] 2024-06-05
[2] 웹사이트 Xu D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10-09
[3] 서적 History of China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2007
[4] 문서 Died early
[5] 문서 a concubine
[6] 문서 Became a nun
[7] 문서 현재 안후이성 추저우 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