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시집 관현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동시집 관현악단은 1999년 다니엘 바렌보임과 에드워드 사이드에 의해 설립된 관현악단으로, 아랍인과 이스라엘인 사이의 공감과 공존을 목표로 한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출신 음악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중동 지역의 평화를 증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서동시집 관현악단은 세계 각지에서 공연을 펼쳐왔으며, 2016년에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에 의해 문화적 이해를 위한 유엔 글로벌 옹호자로 지정되었다. 또한, 다양한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서동시집 관현악단 | |
---|---|
기본 정보 | |
종류 | 오케스트라 |
위치 | 세비야, 스페인 |
창립 | 1999년 |
창립자 | 다니엘 바렌보임, 에드워드 사이드 |
음악 감독 | 다니엘 바렌보임 |
주요 활동 | |
목표 | 이스라엘-아랍 간의 상호 이해와 평화 공존 도모 |
특징 | 매년 여름, 다양한 국적의 젊은 음악가들이 모여 연주 및 토론 진행 단원 구성: 주로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및 아랍 국가 출신 |
역사 | |
창립 계기 | 다니엘 바렌보임과 에드워드 사이드의 공동 구상 |
초기 활동 | 1999년, 바이마르에서 첫 공연 |
주요 공연 | 2017년, 베를린 발트뷔네 야외 콘서트 잘츠부르크 축제 정기 출연 BBC 프롬스 공연 |
수상 및 인정 | |
수상 내역 | 고마쓰노미야 기념 세계문화상 수상 (2007년) |
평가 | "중동에 다리를 놓는 오케스트라" (아사히 신문) 음악을 통한 사회 통합 및 평화 구축 노력 인정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다니엘 바렌보임 (음악 감독) 에드워드 사이드 (공동 창립자) |
2. 역사
다니엘 바렌보임과 에드워드 사이드는[2] 1990년대 초 친구가 된뒤, 1999년에 아랍인과 이스라엘인 사이에서 중동 음악 앙상블을 통해 공감과 공존의 감정을 조성하기 위해 서동시집 관현악단을 설립했다.[3]
서동시집 관현악단은 2011년부터 매년 독일 베를린 발트뷔네에서 열리는 콘서트에 참여하고 있다.[6] 2012년에는 조르조 나폴리타노 이탈리아 대통령 부부가 참석한 가운데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위해 카스텔 간돌포 사도궁 안뜰에서 공연했고,[7] 영국 런던 BBC 프롬스에서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교향곡 전곡을 연주했다.[8] 같은 해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제9회 광주 비엔날레에 참여했다.[9] 2022년 5월에는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의 교향시 나의 조국으로 프라하 봄 축제를 열었다.
2. 1. 설립
1990년대 초 친구가 된 다니엘 바렌보임과 에드워드 사이드는[2] 주로 아랍인과 이스라엘인 사이에서 중동 음악 앙상블을 통해 공감과 공존의 감정을 조성하기 위해 1999년에 서동시집 관현악단을 설립했다.[3] 설립 직후, 단체는 아랍 음악 학생들로부터 200개 이상의 지원서를 받아 독일 바이마르에 첫 워크숍을 열었다.[4] 바렌보임은 이란 출신 음악가에게도 관심을 표명하여 매년 이란 음악가 3명에게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할 자리를 할당했다. 이란은 아랍 국가는 아니며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교전국도 아니지만, 1979년 이란의 이란 혁명 이후 몇 년 후에 시작된 이란-이스라엘 대리 분쟁을 감안할 때 이러한 환경이 존재한다.[4]2. 2. 주요 공연
서동시집 관현악단은 2011년부터 매년 독일 베를린 발트뷔네에서 열리는 콘서트에 참여하고 있다.[6]2012년 7월 11일에는 조르조 나폴리타노 이탈리아 대통령 부부가 참석한 가운데 교황 베네딕토 16세를 위해 카스텔 간돌포 사도궁 안뜰에서 공연을 지휘했다. 이 공연은 누르시아의 베네딕토의 기독교 축일을 기념하기 위해 열렸다.[7]
같은 해, 영국 런던 BBC 프롬스에서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교향곡 전곡을 연주하여, 1942년 헨리 우드 이후 한 명의 지휘자가 한 시즌에 베토벤 교향곡 9개 모두를 연주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8]
2012년 9월부터 11월까지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에서 열린 제9회 광주 비엔날레에 참여했다.[9]
2022년 5월에는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의 교향시 나의 조국으로 프라하 봄 축제를 열었다. 원래 지휘는 다니엘 바렌보임이 맡기로 했으나, 건강 문제로 토마스 구게이스로 교체되었다.
3. 목적
서동시집 관현악단은 이스라엘인과 팔레스타인인 간의 이해를 증진하고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평화롭고 공정한 해결을 위한 길을 열기 위해 설립되었다. 바렌보임은 이 앙상블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디반은 사랑 이야기도 아니고 평화 이야기도 아니다. 평화를 위한 프로젝트라고 칭찬을 많이 받았지만 그렇지 않다. 잘 연주하든 그렇지 않든 평화를 가져오지 않을 것이다. 디반은 무지에 맞서는 프로젝트로 구상되었다. 다른 사람을 알기 위해서, 동의할 필요 없이 다른 사람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라는 사실에 맞서는 프로젝트이다. 나는 디반의 아랍 단원들을 이스라엘의 관점으로 바꾸려 하지 않으며, 이스라엘인들에게 아랍의 관점을 설득하려 하지 않는다. 하지만 나는 몇 년 전에 에드워드가 죽은 후 지금은 혼자 남았지만, 양측이 칼을 사용하지 않고 의견 불일치를 겪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싶다.[10]
이 단체의 젊은 이스라엘인 음악가 중 한 명은 이 점을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 바렌보임은 항상 그의 프로젝트는 정치적인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정말 훌륭한 것 중 하나는 이것이 양측의 정치적 성명이라는 것이다. 나 같은 사람들이 아니라 아랍인들과 함께 앉아 연주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오케스트라는 다른 사람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전 세계에 표현할 수 있는 인간의 실험실이다.[11]
4. 안달루시아
이 관현악단은 전 세계에서 공연을 펼쳤다. 매년 여름에는 세비야에서 여름 학교를 운영한다. 2002년부터 안달루시아 자치 정부와 한 사립 재단이 스페인 세비야에 이 앙상블의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스페인 출신의 젊은 음악가들도 이 오케스트라에 참여하고 있다.
웨스트-이스턴 디반 워크숍은 매년 여름 안달루시아에서 수 주 동안 진행된다. 워크숍 기간이 끝나면 웨스트-이스턴 디반 오케스트라의 콘서트 투어가 시작된다. 이 오케스트라는 창단 이후 여러 상을 수상했는데, 그중에는 2002년 사에드와 바렌보임에게 수여된 아스투리아스 공상 콩코드 상과 일본 예술 협회에서 수여하는 프리미엄 임페리얼 상이 있다.
2004년, 사에드와 바렌보임이 옹호하는 공존과 대화의 원칙에 기반한 여러 음악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해 안달루시아 자치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세비야에 바렌보임-사이드 재단이 설립되었다. 바렌보임-사이드 재단은 오케스트라 운영 외에도 관현악 연구 아카데미, 팔레스타인 음악 교육 프로젝트, 세비야 유아 음악 교육 프로젝트와 같은 다른 프로젝트도 지원한다.
5. 대중문화
파울 스마츠니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지식은 시작이다》[12]를 통해 서동시집 관현악단의 활동이 널리 알려졌다. 이 영화는 2006년 에미상 예술 관련 다큐멘터리 부문에서 수상했다. 2007년 오케스트라는 프리미엄 임페리얼 젊은 예술가상을 수상했다. 텔덱 레이블에서 음반을 녹음했다.[13] 현재 악장은 다니엘 바렌보임의 아들인 Michael Barenboim|미하엘 바렌보임de이다.
6. CD/DVD 목록
서동시집 관현악단은 CD와 DVD를 발매했다. CD에는 차이콥스키, 모차르트, 베토벤 등의 교향곡과 서곡이 수록되었다. DVD에는 제네바, 라말라, 그라나다, 베를린 등지에서 열린 콘서트 실황이 담겼으며, 일부 DVD에는 다큐멘터리가 특전으로 수록되었다.[1][2][3][4]
6. 1. CD
- 차이콥스키: 교향곡 제5번, 베르디: 오페라 '운명의 힘' 서곡 (텔덱. 2005)
- 모차르트: 오보에, 클라리넷, 호른과 바순을 위한 협주교향곡 (의심작), 베토벤: 교향곡 제5번 외 (텔덱. 2005)
-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텔덱. 2006)
6. 2. DVD
(수록곡이 동일한 CD와 합본으로 발매. 다큐멘터리 'Lessons in Harmony' 가 특전으로 수록)
(수록곡 동일한 CD와 같은 공연 수록. 다큐멘터리 'Knowledge is the Beginning' 이 특전으로 수록)
- 그라나다 콘서트 - 베토벤: 레오노레 서곡 제3번, 보테시니: 로시니 주제에 의한 환상곡 (분야 미치노리 편곡), 브람스: 교향곡 제1번 (유로아츠. 2007)[3]
- 베를린 콘서트 - 베토벤: 레오노레 서곡 제3번, 교향곡 제9번 (메디치 아츠. 2009)[4]
(베토벤 교향곡 제9번이 수록된 CD와 같은 공연 수록. CD에서는 수록 시간 문제로 제외한 서곡 연주도 포함)
참조
[1]
뉴스
The Concert at the Waldbühne – West-Eastern Divan Orchestra & Daniel Barenboim
https://boulezsaal.d[...]
2017-08-14
[2]
웹사이트
Barenboim and Said: 'Parallels and Paradoxes'
https://www.npr.org/[...]
2023-12-26
[3]
뉴스
Barenboim Seeks Harmony, And More Than One Type
https://query.nytime[...]
2008-11-01
[4]
간행물
Lecture 4, "Meeting in Music"
http://www.bbc.co.uk[...]
2006-08-02
[5]
웹사이트
West-Eastern Divan Orchestra Designated United Nations Global Advocate for Cultural Understanding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s://www.un.org/p[...]
2017-08-14
[6]
웹사이트
West-Eastern Divan Orchestra
http://www.west-east[...]
2017-08-14
[7]
뉴스
Orchestra performance inspires Pope's message on peace
https://www.catholic[...]
2014-10-29
[8]
웹사이트
Daniel Barenboim to conduct Beethoven Symphonies at Proms 2012
http://www.classical[...]
2014-10-29
[9]
뉴스
Announcing the 90 artists in ROUNDTABLE: The 9th Gwangju Biennale
http://www.e-flux.co[...]
The Gwangju Biennale Foundation
2014-10-29
[10]
뉴스
Bridging the gap, part two
https://www.theguard[...]
2008-11-01
[11]
뉴스
Bridging the gap, part one
https://www.theguard[...]
2008-11-01
[12]
문서
Knowledge Is the Beginning (2005)
[13]
뉴스
Beethoven: Symphony No 9, Denoke/ Meier/ Fritz/ Pape/ Berlin Staasoper Chorus/ West–East Divan Orchestra/ Barenboim
https://www.theguard[...]
2008-11-01
[14]
웹사이트
第19回 高松宮殿下記念世界文化賞 受賞者 発表 / 第11回 若手芸術家奨励制度 発表
https://www.praemium[...]
高松宮殿下記念世界文化賞
2020-08-08
[15]
웹사이트
中東に橋を架けるバレンボイムのオーケストラ、分断進むアメリカに公演に行く
https://globe.asahi.[...]
2020-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