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방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방 정교회는 서방 기독교 전통의 전례를 사용하는 정교회이다. 19세기 율리우스 요제프 오버베크의 노력으로 시작되었으며, 러시아 정교회의 지원을 받아 서방 전례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20세기에는 북아메리카와 프랑스에서 서방 전례 정교회 공동체가 설립되었으며, 현재 해외 러시아 정교회, 안티오키아 정교회 북미 대교구 등에서 서방 전례 교회를 찾아볼 수 있다. 주요 전례로는 성 티콘의 신성한 전례, 성 그레고리오의 신성한 전례, 영국 전례 등이 있다. 서방 정교회는 전례적 차이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서 교회의 분열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동서 교회의 분열 - 피렌체 공의회
    피렌체 공의회는 동서 교회의 재결합을 목표로 1438년 페라라에서 시작하여 1439년 피렌체로 이전되었으나, 신학적 쟁점과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실질적인 연합은 이루지 못했고, 르네상스 인문주의 발전에 기여한 비잔티움 학자들의 유입과 교황의 권위 및 교회 개혁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문화적 영향을 남겼다.
서방 정교회
개요
서방 예식 정교회 십자가
서방 예식 정교회 십자가
유형전례 예식
기원기독교
종교정교회
사용 언어영어
프랑스어
고대 영어
기타 지역 언어
관련 기독교동방 기독교
역사
기원19세기 후반 ~ 20세기 초반
주요 인물쥘 조제프 오버베크
성 티혼 (모스크바 총대주교)
플라톤 로잔스키
아르세니 스타드니츠키
이고리 센케비치
알렉시 (유시추크)
필립 투판겔
아프나시 (마르토스)
이오안 막시모비치
제롬 쇼
베네딕트 에카르트젤러
안드레아스 뷔르그
특징
전례서방 기독교 전례 (예: 성 그레고리오 전례, 성 암브로시오 전례, 사룸 전례)를 정교회 신학에 맞게 수정한 형태
조직
관할러시아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안티오키아 정교회
기타 자치 정교회
현황
분포 지역전 세계
참고
관련 항목동방 전례
특이한 정교회 교회 목록

2. 역사

비잔틴 전례가 널리 행해지는 지역에서도 서방 전례 교회의 예는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서방 전례 교회 설립 운동의 역사는 19세기 율리우스 요제프 오버베크의 활동에서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61] "Western Orthodoxy"라는 단어는 동서 교회의 분열 이전의 서방 교회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61]

현재 해외 러시아 정교회(ROCOR)와 안티오키아 정교회 북미 대교구의 일부인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보좌 주교구(AWRV)에 서방 전례 정교회 교회가 존재하며, 프랑스 등 서유럽에도 서방 전례 공동체가 있다. 이 교회들은 주로 가톨릭 교회나 개신교가 다수인 지역에 설립되었다.

세계 정교회와 완전한 친교 관계에 있는 많은 서방 전례 정교회 교구가 있지만, 정교회 내에서는 현재도 서방 전례 정교회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많은 비판도 존재한다.

2. 1. 기원 (19세기)

19세기, 전 로마 가톨릭 사제였던 율리안 요제프 오버베크는 현대적인 서방 전례 정교회를 설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오버베크는 가톨릭에서 루터교로 개종하고 결혼한 후, 1863년 영국으로 이민하여 울위치 왕립 육군사관학교에서 독일어 교수가 되었으며, 영국 성공회와 정교회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1865년, 오버베크는 런던의 러시아 대사관에서 러시아 정교회 평신도로 받아들여졌다.[9]

오버베크는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에 잉글랜드에 서방 정교회 교회를 시작할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다. 필라레트는 처음에 망설였지만, 이 아이디어를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 오버베크는 1866년 저서 『가톨릭 정교회와 영국 성공회』에서 기존 서방 교회가 왜 거부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며 서방 정교회에 대한 자신의 논리를 설명했다.[10]

오버베크는 1869년에 옥스퍼드 운동의 많은 사람들을 포함한 122명의 서명을 담은 청원서를 성 시노드에 제출하여 서방 전례를 만들 것을 요청했다.[11] 1870년, 시노드 위원회는 오버베크의 청원을 승인했고, 위원회의 평가를 위해 수정된 서방 전례를 제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는 12월에 수정된 서방 전례를 제출했고, 이후 사용이 승인되었다.[12]

1876년까지 오버베크는 자신의 계획에 대한 인정을 받기 위해 다른 정교회에 호소했다. 1879년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요아킴 3세로부터 서방 기독교인이 서방 정교회를 가질 이론적 권리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 알현을 받았다. 3년 후, 요아킴 3세와 세계 총대주교청 시노드는 오버베크의 서방 전례와 베네딕토회 사무실을 조건부로 승인했다. 그러나 오버베크의 노력은 궁극적으로 서방 정교회의 설립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그는 런던의 그리스인(그리고 일반적으로 그리스 정교회)이 자신의 야망의 정체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특히 의심했으며, 1892년 이 계획에 대한 그리스 교회의 항의를 직접적으로 비난했다.[9] 『정교 가톨릭 리뷰』는 1885년에 출판을 중단했고, 오버베크는 서방 정교회를 보지 못한 채 1905년에 사망했다. 게오르기 플로로프스키는 오버베크의 경험을 "그것은 단순한 환상적인 꿈이 아니었다. 오버베크가 제기한 질문은 적절했고, 그의 대답 자체가 혼란스럽게 개념화되었다고 해도. 그리고 아마도 오버베크의 비전은 그의 개인적인 해석보다 더 컸을 것이다."라고 요약했다.[13]

2. 2. 20세기

1890년, 북아메리카 최초의 서방 전례 정교회 공동체가 위스콘신 주 그린베이에 설립되었는데, 성공회 교구로 르네 빌라트 신부가 목회했다. 이 교구는 블라디미르 소콜로프스키 주교에 의해 받아들여졌다.[14] 하지만, 빌라트는 곧 시리아 정교회에서 주교로 서품되었는데, 이 교회는 동방 정교회와 교류하지 않는 오리엔트 정교회이다. 서방 전례를 사용하는 다른 소규모 단체들이 받아들여졌지만, 대부분 영향력이 미미했거나 받아들여진 직후 독립을 선언했다. 1926년에는 폴란드에 서방 전례 교구가 설립되어, 6개의 교회가 동방 정교회로 받아들여졌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이 운동은 쇠퇴했다.[16]

1936년, 러시아 정교회는 이전 자유 가톨릭 주교였던 루이-샤를 윈나르트(1880–1937)가 이끄는 작은 그룹을 Église Orthodoxe Occidentale|프랑스 정교회프랑스어로 받아들였다.[17] 윈나르트는 대주교로 받아들여졌고, 이레네라는 종교명을 사용했으며, 곧 사망했다. 윈나르트의 작업은 그의 사제 중 한 명인 유그라프 코발레프스키(1905–1970)와 루시앙 샹보에 의해 이어졌으며, 샹보는 파리에 있는 작은 정교 베네딕토회 공동체를 감독했다. 1946년 이후, 코발레프스키는 6세기 파리 주교인 파리의 게르마누스의 서신, 수많은 초기 서방 미사 전례서 및 성례전서, 그리고 일부 비잔틴 개정을 기반으로 갈리아 전례를 재창조하기 시작했으며, 그의 발전은 ''파리의 성 게르마누스의 신성한 전례''였다.[18]

전 로마 가톨릭 수도사이자 서방 교회의 생 드니 신학 연구소에서 가르쳤지만 동방 전례에 머물렀던 대주교 알렉시스 반 데르 멘스브루그헤는 중세의 부착물을 갈리아 및 비잔틴 형식으로 대체하여 고대 로마 전례를 복원하려 했다. 결국, 알렉시스는 1960년 러시아 정교회 주교로 성성되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 관할하에 서방 전례 작업을 계속했다.[19]

1953년, 러시아 정교회의 압력으로 동방 전례를 채택하게 되자, 서방 정교회는 자체적으로 행동하여 교회의 이름을 프랑스 정교회로 변경했다. 수년간의 고립 끝에, 교회는 러시아 정교회 해외(ROCOR)의 아나스타시 그리바노프스키 대주교에 의해 자율 교회로 인정받았으며, 1959년부터 1966년까지 러시아 정교회 해외(ROCOR)와 성찬례를 나누었다.[18]

러시아 정교회의 서방 전례 선교가 쇠퇴하고 끝났지만, Église Orthodoxe Catholique de France|프랑스 가톨릭 정교회프랑스어는 번성했다. 그러나 막시모비치가 사망한 후, 코발레프스키는 1970년 사망할 때까지 정교회 보호를 받지 못했다. 1972년, 교회는 루마니아 정교회에서 새로운 정교회 상급자를 찾았다. 질 베르트랑-하디가 주교로 성성되었고 생 드니의 제르망이라는 종교명을 사용했다. 1993년, 프랑스 가톨릭 정교회 내의 불법적인 정교회 문제에 대해 루마니아 정교회 시노드와 오랜 갈등을 겪은 후, 루마니아 정교회는 프랑스 가톨릭 정교회의 축복을 철회하고 성찬례를 중단했다.[18]

성 모스크바의 티콘의 서방 전례 기여는 더욱 지속적이었다. 그가 러시아 정교회 북미 교구의 주교였을 때, 일부 미국 성공회 신자들은 성공회 전례를 유지하면서 정교회에 합류하는 데 관심을 보였다. 티콘은 1892년 ''공동 기도서''를 보내고, 성공회 전례를 사용하는 전직 성공회 신자들로 구성된 정교회 교구의 실행 가능성에 대해 문의했다. 1904년, 성 시노드는 그러한 교구가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리고 정교회 예배에서 고백해야 할 기도와 의식에 대한 ''공동 기도서'' 텍스트의 교리적 수정 사항 목록을 제공했다. 또한 성 시노드는 ''공동 기도서'' 및 성공회 전례의 세부적인 변경, 새로운 기도문 모음, 전체 의식 등은 모스크바가 아닌 미국 현지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20]

가장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서방 전례 교구 그룹은 1930년대 주교 아프티미오스 오피에시 아래에서 미국 정교 카톨릭 교회의 일부로 정교회 내에서 시작되었다. 1932년, 아프티미오스 주교는 성공회 사제 이그나티우스 니콜스를 워싱턴 보좌 주교로 서임하고 서방 전례 교구에 배정했다. 그러나 미국 성공회가 "미국" 정교회라는 성공회 신자들의 불만으로 인해,[21] 아프티미오스와 니콜스가 속한 미국 정교회는 미국 정교회(OCA)가 될 교회와 소원해졌다. 아프티미오스와 니콜스 모두의 그 이후 결혼은 정교회 교회법을 위반했으며, 그들은 교회와 그 자회사를 떠나 교회법적 인정을 받지 못했다.[22]

1932년, 니콜스는 서방 전례 거행에 헌신하는 성직자와 평신도를 위한 경건한 단체인 성 바실 평신도 협회를 설립했다. 니콜스는 또한 1939년 알렉산더 터너를 주교로 서임했다. 터너는 1947년 니콜스가 사망할 때까지 마운트 버논에서 작은 교구를 목회했으며, 그 후 협회의 리더십을 맡아 정교회 교회법 밖에서는 성 바실 협회에 미래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파울 슈네일라 신부를 통해 그는 안토니 바시르 대주교와 비공식적인 대화를 시작했다. 1961년, 협회 (3개의 교구로 구성)는 안토니 대주교의 1958년 칙령에 따라 시리아 안티오키아 대교구에 받아들여졌다. 수용 시, 알렉산더 터너 주교는 안티오키아 정교회의 교회법 사제가 되어 1971년 사망할 때까지 이 그룹을 총대리로 이끌었고, 그 후 슈네일라가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터너가 사망한 후, 유일하게 생존한 바실리안인 윌리엄 프란시스 포브스는 미국 정교 카톨릭 교회로 돌아와 1974년 10월 주교로 서임되었다.[24]

협회와 관련된 원래의 공동체 외에도, 특히 성공회 내의 요소들이 전례 변화와 여성 서품에 불만을 품게 되면서, 다른 여러 교구가 안티오키아 대교구의 서방 전례 대리구에 받아들여졌다.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에 처음으로 받아들여진 성공회 교구는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의 성육신 성공회였다.[25]

2013년 7월 10일, 러시아 정교회 해외(ROCOR) 내 서방 전례 구역의 인정과 지위가 크게 변화했다. 러시아 정교회 해외(ROCOR)의 주교 시노드는 제1 대주교의 주재 하에 다음과 같이 결정했다:[26]

  • 러시아 정교회 해외(ROCOR)는 더 이상 서방 전례 구역을 위한 성직자를 서품하지 않을 것이다.
  • 맨해튼의 주교 제롬 쇼는 승인받지 않은 교회 봉사로 인해 견책을 받고 서품 권한 없이 강제 은퇴하게 될 것이다.
  • 쇼 주교가 집전한 일부 서품은 인정되지 않으며, 해당 후보자들은 정규화 전에 철저한 조사를 받게 될 것이다.
  • 위원회는 서방 전례 성직자와 공동체를 러시아 정교회에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 서방 전례 성직자와 공동체는 동방 정교회의 예배 형식을 채택해야 하지만, "서방 전례의 특정 특성"은 유지할 수 있다.
  • 특히 러시아 정교회의 규칙과 전통을 준수해야 한다.


러시아 정교회 해외(ROCOR)는 2013년 7월 결정의 원인이 된 특이 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실무 위원회를 설립했다. 다음 해에 새로운 지도부 구조가 수립되었고, 이는 고(故) 일라리온 대주교의 오모포리온 아래에서 활성화된 서방 전례 대리구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러시아 정교회 해외(ROCOR)는 새로운 서방 전례 구역과 수도원을 계속해서 설립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현재까지 스웨덴과 미국을 포함하여 서방 전례 내에서 사제, 부제, 보조 사제가 서품되고 있다.[27]

2. 3. 21세기 (현재)

러시아 정교회 해외교회(ROCOR)는 2013년 결정의 원인이 된 특이 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실무 위원회를 설립하고, 새로운 지도부 구조를 수립하여 서방 전례 대리구를 설립했다.[27] 미국 정교회(OCA)는 2018년 캐나다 앨버타에 서방 전례 선교 구역 교회를 설립했지만,[29] 아직 서방 전례 교구를 위한 조직 구조를 공식적으로 설립하지 않았다.

3. 주요 인물

율리안 요제프 오버벡은 서방 전례 정교회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현대적인 서방 전례 정교회 설립을 위해 노력했다.[9]

성 요한 막시모비치는 서방 전례 정교회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모스크바의 티콘은 서방 전례 수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가 북미 교구의 주교였을 때, 일부 미국 성공회 신자들은 성공회 전례를 유지하면서 정교회에 합류하는 데 관심을 보였다.[20]

미하일 카이저 신부는 서방 전례 정교회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다.

파리의 데니스 샹보 신부는 기적을 행하는 치유자로 알려져 많은 이들이 성인으로 여긴다.

아프티미오스 오피에시는 1930년대에 미국 정교 카톨릭 교회의 일부로서 서방 전례 교구 그룹의 정교회 편입을 주도한 주교이다.[21]

알렉산더 터너는 아프티미오스 오피에시 주교에게서 주교로 서품받았으며, 1961년 안티오키아 대교구에 서방 전례 공동체를 편입시킨 인물이다.[23]

루이-샤를 윈나르트는 1936년에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프랑스 정교회"(Église Orthodoxe Occidentale|프랑스 정교회프랑스어)로 받아들여진 작은 그룹의 지도자였다.[17]

유그라프 코발레프스키는 루이-샤를 윈나르트의 작업을 계승하여 갈리아 전례를 재창조하는데 기여한 인물이다.[18]

4. 전례

서방 정교회 교구들은 모두 동일한 전례를 사용하지 않으며, 동방 정교회에 입교하기 전 각자의 소속에 따라 특정 전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프랑스에서 러시아 정교회ru의 알렉시스 반 데르 멘스브루게 주교는 1962년에 복원된 갈리아 전례와 복원된 첼레스티누스 이전의 이탈리아 전례가 포함된 미사서를 출판했다.[39][40][41] 그러나 멘스브루게의 복원된 전례는 동방 정교회 단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39]

4. 1. 주요 전례

서방 정교회에서 사용되는 주요 전례는 다음과 같다.

  • '''성 티콘의 신성한 전례''' - 현재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의 일부 교회에서 사용하고 있다.
  • '''성 그레고리오의 신성한 전례''' -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의 일부 교회에서 사용하고 있다.[31]
  • '''영국 전례''' - 1907년 러시아 성 시노드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1549년 ''기도서''를 러시아식으로 개정한 것이다. 솔즈베리 미사서, 고딕 미사서, 요크 전례, 1718년 스코틀랜드 비선서파 전례의 자료가 추가되었다. 고딕 미사서의 에피클레시스(성령 강림 기도)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전례는 성 티콘 전례와 같은 전례가 아니며, 두 전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32]
  • '''성 게르마누스의 전례''' - 프랑스 정교회에서 사용한다.[33][34]
  • '''글래스톤베리 전례''' - 한때 서방의 총대주교청에서 사용되었다.[35][36][37]


동방 정교회에서 허용되는 서방 정교회 전례는 성 티콘의 신성한 전례와 성 그레고리오의 신성한 전례이다.[38]

프랑스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알렉시스 반 데르 멘스브루게 주교는 1962년에 복원된 갈리아 전례와 복원된 첼레스티누스 이전의 이탈리아 전례가 포함된 미사서를 출판했다.[39][40][41] 그러나 멘스브루게의 복원된 전례는 동방 정교회 단체에서 사용하지 않는다.[39]

4. 2. 전례 발전

메이엔도르프, 슈메만, 슈네일라는 생 세르기우스 신학 연구소에서 프랑스 정교회(ECOF) 구성원들과 교류하며 서방 전례에 익숙해졌다.[42] 슈메만은 로마 가톨릭 교회와 성공회의 전례 운동을 따르며 정교회 전례 쇄신을 옹호했다.[42]

4. 3. 전례서

현재 서방 정교회에서 사용되는 전례는 다음과 같다.

  • '''성 티콘의 신성한 전례''':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의 일부 교회에서 사용된다.
  • '''성 그레고리오의 신성한 전례''':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의 일부 교회에서 사용된다.[31]
  • '''영국 전례''': 1907년 러시아 성 시노드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1549년 ''기도서''를 러시아식으로 개정한 것이다. 솔즈베리 미사서, 고딕 미사서, 요크 전례, 1718년 스코틀랜드 비선서파 전례의 자료가 추가되었다. 고딕 미사서의 에피클레시스(성령 강림 기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성 티콘 전례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32]
  • '''성 게르마누스의 전례''': 프랑스 정교회에서 사용한다.[33][34]
  • '''글래스톤베리 전례''': 서방의 총대주교청에서 사용되었다.[35][36][37]


동방 정교회에서 허용되는 서방 정교회 전례는 성 티콘의 신성한 전례와 성 그레고리오의 신성한 전례이다.[38]

프랑스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알렉시스 반 데르 멘스브루게 주교는 1962년에 복원된 갈리아 전례와 복원된 첼레스티누스 이전의 이탈리아 전례가 포함된 미사서를 출판했다.[39][40][41] 하지만, 멘스브루게의 복원된 전례는 동방 정교회 단체에서 사용되지 않는다.[39]

서방 전례 정교회 전례서.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는 공식 전례서인 ''정교회 미사 경본''(Orthodox Missal)을 제공하며,[43] 여기에는 성 티콘 전례와 성 그레고리 전례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시기, 축제, 성인, 미사 전후 기도에 적합한 고유 기도문도 포함되어 있다. 안티오키아 대교구는 故 마이클 트리그 신부의 지도 아래 캘리포니아의 성 미카엘 교회가 개발한 ''성 안드레 봉사서''(Saint Andrew Service Book, SASB)[44], 일명 ''서방 전례 봉사서''(The Western Rite Service Book)[45]를 발행했다. SASB는 조과와 만과의 형식, 성체 축복 및 비잔틴 성령 청원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지만 ''정교회 미사 경본''에는 없는 삼중 아멘을 포함한다.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 내의 본당에서는 성 티콘 전례 또는 성 그레고리 전례를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본당에서는 티콘 전례를 사용하지만, 일부에서는 평일 또는 연중 특정 일요일에 그레고리 전례를 사용한다. 현재 정교회 서방 전례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성무일과서는 없지만, 성 그레고리 전례를 거행하는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의 사제들은 가능한 한 ''수도원 성무일과서(Breviarium Monasticum)''를 ''성공회 성무일과서(Anglican Breviary)''에서 기도해야 한다.[46]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대리구 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은 것으로는 ''성 던스턴 평송 시편''(St. Dunstan's Plainsong Psalter),[47] ''영국 성무일과 해설서''(The English Office Noted),[48] 및 ''성 암브로스 찬송가''(St. Ambrose Hymnal)가 있다.[49]

5. 현황

서방 전례에 속한 교구와 선교지는 여러 정교회 관할 구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장 큰 그룹은 프랑스 정교회이며,[52] 그 외 동방 정교회 관할 구역,[53][54] 및 서방 정교회 친교회에도 존재한다.[55][56][57] 구력주의자 전통에 속한 교구와 선교지도 있다.[58]

이 단체들은 서방 정교회로 개종할 신자들을 미래에 받아들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동방 정교회 내에서 동방 정교회 사제들이 섬기는 정통 평신도 핵심으로 구성된 정통 선교 단체이다.


  • 성 브렌단 OSS – 파나마 시티 플로리다 – 러시아 정교회 해외교회


비잔틴 전례가 주로 널리 행해지는 지역에서의 서방 전례 교회의 예는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아말피라고도 불리는 라틴 성 마리아 수도원이 잘 알려진 예이다), 서방 전례 교회 설립 운동의 역사는 19세기 율리우스 요제프 오버베크의 활동과 생애에서 시작되었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현재 해외 러시아 정교회(ROCOR)와 안티오키아 정교회 북미 대교구의 일부인 안티오키아 서방 전례 보좌 주교구(AWRV)에 서방 전례 정교회 교회가 존재하며, 프랑스 등 서유럽에도 서방 전례 공동체가 존재한다. 서방 전례 정교회 교회는 주로 로마 가톨릭 교회 혹은 개신교가 다수인 지역에 설립되어 있다.

세계 정교회와 완전한 친교 관계에 있는 많은 서방 전례 정교회 교구가 있지만, 정교회 내에서는 현재도 서방 전례 정교회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많은 비판도 존재한다.

6. 비판

칼리스토스 웨어 대주교는 서방 전례 정교회가 본질적으로 분열적이라고 비판했다. 그 이유는 서방 전례가 인접한 비잔틴 전례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과 다른 전례 전통을 따르기 때문에 전례적 일치를 공유하지 않으며, 대다수의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에게 낯선 모습을 제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웨어 대주교는 특히 동방 정교회가 아닌 국가, 이 경우에는 영국에서 더 분열될 것을 우려했다.[59]

참조

[1] 웹사이트 The Western Rite and the Flow of History https://blogs.ancien[...] 2020-07-31
[2] 웹사이트 What is Western-Rite Orthodoxy? https://www.stpaulso[...] 2020-07-31
[3] 웹사이트 The Western Rite and the Eastern Church: Dr. J. J. Overbeck and his scheme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Orthodox Church in the West http://anglicanhisto[...] 2020-07-31
[4] 웹사이트 On the Western Rite in the ROCOR http://www.rocorstud[...] 2020-07-31
[5] 웹사이트 Western Rite: A Brief Introduction http://ww1.antiochia[...]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2020-07-31
[6]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2nd Edition [6 volumes] ABC-CLIO 2010-09-21
[7] 웹사이트 On the Question of Western Orthodoxy https://www.holy-tri[...] 2020-07-31
[8] 문서 Cf. Alexander Schmemann, "Some Reflection Upon 'A Case Study#REDIRECT
[9] unpublished? MA thesis The Western Rite and the Eastern Church: Dr. J. J. Overbeck and his scheme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Orthodox Church in the West http://anglicanhisto[...] University of Pittsburgh 2014-05-26
[10]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Blackwell Publishing 1999
[11]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12] 문서 "Sobranio mnenii i otzyvov Filareta, mitropolita moskovskago i kolomenskago, po uchebnym i tserkovno-gosudarstvennym voprosam" 1888
[13] 논문 Orthodox ecumen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1956
[14] 웹사이트 Western Orthodoxy https://selsey.org/w[...] 2020-07-31
[15] 서적 Bishops at Large Apocryphile Press 2006
[16]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17]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18] 서적 Le Soufre & L'encens Claire Vigne 1995
[19] 문서 "Obituaries: Archbishop Alexis van der Mensbrugghe" 1981
[20] 서적 Russian observations upon the American prayer book http://justus.anglic[...] A. R. Mowbray
[21] 서적 Independent Bishops: An International Directory Apogee Books 1990
[22] 서적 Independent Bishops
[23] 논문 Les petites églises catholiques non romaines. Suite et fin : Les Églises, le milieu et les circonstances. https://www.persee.f[...] 1970
[24] 서적 Independent Bishops
[25] 문서 "An Anglican Liturgy in the Orthodox Church: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Antiochian Orthodox Liturgy of Saint Tikhon" 2005
[26] 웹사이트 An extraordinary session of the Synod of Bishops is held http://www.russianor[...] Synod of Bishops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of Russia 2013-06-10
[27] 웹사이트 New Western Rite monastery planned for Louisiana http://orthochristia[...] 2017-01-25
[28] 웹사이트 "+Jonah, in Dallas speech, challenges foreign Churches, stirs crowd" http://ocanews.org/n[...] Orthodox Christians for Accountability 2009-04-09
[29] 웹사이트 Christ the King Orthodox Parish - Edmonton, Alberta - Western Rite Orthodoxy Edmonton http://www.icxc.ca/ Icxc.ca 2019-05-20
[30] 문서 The Power of Prayer http://www.orthodoxr[...]
[31] 웹사이트 The Divine Liturgy according to the Rite of Saint Gregory https://www.stgregor[...] 2021-10-23
[32] 웹사이트 The English Liturgy: according to the Western Rite, derived from the Sarum, 1549, 1718 etc., adapted using the rules authorised by the Holy Synod of Russia http://www.orthodoxr[...]
[33] 웹사이트 Ordinaire de la sainte liturgie http://liturgieortho[...] 2021-10-23
[34] 서적 Regards sur l'orthodoxie: mélanges offerts à Jacques Goudet L'AGE D'HOMME 1997
[35] 서적 Bishops at Large Apocryphile press
[36] 서적 The divine liturgy for the celebration of the Holy Eucharist according to the Glastonbury rite, commonly called the liturgy of Saint Joseph of Arimathea Metropolitical Press
[37] 서적 Regards sur l'orthodoxie : mélanges offerts à Jacques Goudet L'AGE D'HOMME 1997
[38]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http://doi.wiley.com[...] Blackwell Publishing Ltd 2017-09-01
[39] 서적 Orthodox identities in western Europe: migration, settlement, and innovation Ashgate
[40] 서적 Missel ou Livre de la synaxe liturgique: approuvé et autorisé pour les églises orthodoxes de rit occidental relevant du Patriarcat de Moscou Contacts
[41] 문서 Vincent Bourne, La Divine Contradiction. Le chant et la lutte de l'Orthodoxie, Paris, Ed. Présence Orthodoxe, 1978
[42] 간행물 Alexander Schmemann, "Notes and Comments: The Western Rite" in St. Vladimir's Seminary Quarterly, 2.4 (1958), 37–38.
[43] 서적 Orthodox missal according to the use of the Western rite vicariate of the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Saint Luke's Priory Press
[44] 서적 Saint Andrew service book: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and other rites and ceremonies according to the Western Rite usage of the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45] 학위논문 An Anglican liturgy in the Orthodox Church: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Antiochian Orthodox liturgy of Saint Tikhon https://www.academia[...] St. Vladimir's Orthodox Theological Seminary 2005-05
[46] 웹사이트 Sacrificium laudis: the Anglican Breviary and the Ancient Western Orthodox Divine Office http://www.westernor[...] St. Mark's Parish 2003-05
[47] 웹사이트 St. Dunstan's Plainsong Psalter http://andrewespress[...] Andrewes Press 2020-11-30
[48] 웹사이트 The Daily Office http://www.stgregory[...] St. Gregory the Great Orthodox Church 2012-01-17
[49] 웹사이트 Order the St. Ambrose Hymnal http://www.stgregory[...] St. Gregory the Great Orthodox Church 2012-01-17
[50] 웹사이트 About Lancelot Andrews Press http://www.andrewesp[...] 2007-04-20
[51] 웹사이트 Westernorthodox.com http://www.westernor[...] 2007-04-20
[52] 웹사이트 Eglise Orthodoxe de France http://eglise-orthod[...] Eglise-orthodoxe-de-france.fr 2019-05-20
[53] 웹사이트 ROCOR Western Rite (Parishes) http://www.rocor-wr.[...]
[54] 웹사이트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http://www.antiochia[...] Antiochian.org 2019-05-20
[55] 웹사이트 Lieux de célébration dans l' Eglise Orthodoxe des Gaules http://www.eglise-or[...] Eglise-orthodoxe.eu 2019-05-20
[56] 웹사이트 Lieux - Eglise Orthodoxe Française - EOF orthodoxie https://www.eof.fr/l[...] Eof.fr 2019-05-20
[57] 웹사이트 France http://www.eoc-coc.o[...] Eoc-coc.org 2019-05-20
[58] 웹사이트 Parishes – The Autonomous Orthodox Metropolia of North and South America and the British Isles http://orthodoxmetro[...] Orthodoxmetropolia.org 2019-05-20
[59] 간행물 Bishop Kallistos. "Some Thoughts on the 'Western Rite' in Orthodoxy" in The Priest: A Newsletter for the Clergy of the Diocese of San Francisco, 5, May 1996.
[60] 문서 本記事で詳述する対象のグループは、日本ではまだ言及される事が少なく、この用語についても定訳は見当たらない。一応、"Western", "Rite", "Orthodoxy"のそれぞれに[[日本正教会]]の定訳を当て嵌め、本記事名を構成した。
[61] 문서 但しこれは英語の"Western Orthodoxy"について言える事であって、日本語で「西方奉神礼正教会」と言った場合、まず東西教会の分裂以前の教会を指していることは考えられない。
[62] 웹인용 The Western Rite and the Flow of History https://blogs.ancien[...] 2020-07-31
[63] 웹인용 What is Western-Rite Orthodoxy? https://www.stpaulso[...] 2020-07-31
[64] 웹인용 The Western Rite and the Eastern Church: Dr. J. J. Overbeck and his scheme for the re-establishment of the Orthodox Church in the West http://anglicanhisto[...] 2020-07-31
[65] 웹인용 On the Western Rite in the ROCOR http://www.rocorstud[...] 2020-07-31
[66] 웹인용 Western Rite: A Brief Introduction http://ww1.antiochia[...]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2020-07-31
[67]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2nd Edition [6 volumes] ABC-CLIO 2010-09-21
[68] 웹인용 On the Question of Western Orthodoxy https://www.holy-tri[...] 2020-07-31
[69] 문서 Cf. Alexander Schmemann, "Some Reflection Upon 'A Case Study'" St. Vladimir's Theological Quarterly 24.4 (1980), pp. 266–269; Gregory H. M. Dye, "Some Reflections on the Western Rite – II" St. Vladimir's Theological Quarterly 27.2 (1983), pp. 125–126; and Chrysostomos H. Stratman, The Roman Rite in Orthodoxy (Chicago: The Orthodox Christian Education Society, 1957), for examp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