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광은 1370년 6월 10일에 제정되어 1371년 1월 17일에 개원한 연호이다. 1379년에는 천원으로 개원되었다. 선광 연호는 서기, 간지, 명나라 연호와의 연대 대조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대 중국, 베트남, 일본 등 다른 국가에서 사용된 연호와 비교하여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원의 연호 - 지정 (연호)
지정은 1341년부터 1370년까지 원 혜종이 사용한 연호로, 30년간 사용되었으며 혜종 사후 잠시 선광으로 바뀌었다가 폐지되었고, 지정 연호 사용 시기에는 여러 세력이 각자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일본 남북조 시대 역시 다른 연호를 사용했다. - 북원의 연호 - 천원 (북원)
천원은 북원에서 사용된 연호이며, 1379년 음력 6월 이전에 개원되어 1388년까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원나라의 연호 - 지치 (원)
지치(至治)는 원나라에서 1321년부터 1323년까지 사용된 연호이며, 태정으로 개원되기 전까지 서기 1321년부터 1323년까지 신유, 임술, 계해에 해당한다. - 원나라의 연호 - 원통 (연호)
원통은 1333년부터 1335년까지 사용된 원나라의 연호이며, 이 기간 동안 자연 재해가 발생했고 주변 국가들은 각기 다른 연호를 사용했다. - 중국사 - 순치
순치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 명나라 멸망 후 베이징 천도와 함께 사용되어 1661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당시 다양한 세력의 연호와 병존했다. - 중국사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선광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베트남 |
성 | 뚜옌꽝 성 |
면적 | 119.17 km² |
인구 (2019년) | 110,489명 |
인구 밀도 | 930명/km²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10개 방 (Phường) 5개 사 (Xã) |
역사 | |
프랑스 식민지 시대 | 宣光 (Tuyên Quang)으로 불림 |
베트남 전쟁 시기 |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 호찌민 루트의 일부 |
언어 | |
주요 언어 | 베트남어 |
문화 | |
주요 관광지 | 떤짜오 역사 유적지 (Di tích lịch sử Tân Trào) 막딘찌 사당 (Đền thờ Mạc Đĩnh Chi) |
전통 축제 | 여러 민족의 문화 축제 개최 |
교통 | |
주요 도로 | 국도 2호선, 국도 37호선 |
철도 | 하노이-라오까이 철도 통과 |
2. 연호 제정
지정(至正) 30년 음력 5월 16일(1370년 6월 10일)에 연호를 선광으로 정하고,[1] 다음 해 음력 1월 1일(1371년 1월 17일)에 개원하였다.[2][3][4] 선광 9년(1379년)에 천원으로 개원하였다.
wikitable
wikitable
3. 연대 대조표
선광 서기(西紀) 간지(干支) 명나라 연호 원년 1371년 신해(辛亥) 홍무(洪武) 4년 2년 1372년 임자(壬子) 홍무 5년 3년 1373년 계축(癸丑) 홍무 6년 4년 1374년 갑인(甲寅) 홍무 7년 5년 1375년 을묘(乙卯) 홍무 8년 6년 1376년 병진(丙辰) 홍무 9년 7년 1377년 정사(丁巳) 홍무 10년 8년 1378년 무오(戊午) 홍무 11년 (9년) 1379년 기미(己未) 홍무 12년 (10년) 1380년 경신(庚申) 홍무 13년 선광 서기(西紀) 간지(干支) 명나라 연호 (11년) 1381년 신유(辛酉) 홍무(洪武) 14년 선광(宣光) 원년(元年) 2년(二年) 3년(三年) 4년(四年) 5년(五年) 6년(六年) 7년(七年) 8년(八年) 9년(九年) 서력(西暦) 1371년 1372년 1373년 1374년 1375년 1376년 1377년 1378년 1379년 간지(干支)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무오(戊午) 기미(己未)
4. 동시대 다른 국가의 연호
선광(宣光) 원년(元年) 2년(二年) 3년(三年) 4년(四年) 5년(五年) 6년(六年) 7년(七年) 8년(八年) 9년(九年) 서력(西暦) 1371년 1372년 1373년 1374년 1375년 1376년 1377년 1378년 1379년 간지(干支)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무오(戊午) 기미(己未) 중국 명나라(明)는 1368년부터 1398년까지 홍무(洪武) 연호를 사용하였다. 명하(明夏)는 1367년부터 1371년까지 개희(開熙) 연호를 사용하였다. 베트남 티에우카인(紹慶)은 1370년부터 1372년까지, 롱카인(隆慶)은 1373년부터 1377년까지, 쓰엉푸(昌符)는 1377년부터 1388년까지 사용된 연호이다. 일본 일본에서는 쇼헤이(正平) (1346년 ~ 1370년), 겐토쿠(建德) (1370년 ~ 1372년), 분추(文中) (1372년 ~ 1375년), 덴주(天授) (1375년 ~ 1381년) 등의 연호가 남조(南朝)에서 사용되었다. 조지(貞治) (1362년 ~ 1368년), 오안(應安) (1368년 ~ 1375년), 에이와(永和) (1375년 ~ 1379년) 등의 연호가 북조(北朝)에서 사용되었다.
4. 1. 중국
명나라(明)는 1368년부터 1398년까지 홍무(洪武) 연호를 사용하였다. 명하(明夏)는 1367년부터 1371년까지 개희(開熙) 연호를 사용하였다.
4. 2. 베트남
티에우카인(紹慶)은 1370년부터 1372년까지, 롱카인(隆慶)은 1373년부터 1377년까지, 쓰엉푸(昌符)는 1377년부터 1388년까지 사용된 연호이다.
4. 3. 일본
일본에서는 쇼헤이(正平) (1346년 ~ 1370년), 겐토쿠(建德) (1370년 ~ 1372년), 분추(文中) (1372년 ~ 1375년), 덴주(天授) (1375년 ~ 1381년) 등의 연호가 남조(南朝)에서 사용되었다. 조지(貞治) (1362년 ~ 1368년), 오안(應安) (1368년 ~ 1375년), 에이와(永和) (1375년 ~ 1379년) 등의 연호가 북조(北朝)에서 사용되었다.
참조
[1]
날짜
경술년 5월 갑진일
[2]
날짜
신해년 1월 을유일
[3]
서적
신원사 권26 본기 제26 - 소종
:s:zh:新元史/卷024
[4]
웹사이트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https://astro.kas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