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사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 사바스는 5세기에 활동한 기독교 수도사로, 카파도키아에서 태어나 예루살렘 인근에서 수도 생활을 했다. 그는 에우티미우스 대수도원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제자들과 함께 마르 사바 수도원을 설립했다. 그는 칼케돈 신조를 지지하며 단성론과 오리겐주의에 반대했고, 여러 수도원을 세우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사바스는 '예루살렘 티피콘'으로 알려진 수도원 교회 예배 규칙을 작성했으며, 532년에 사망했다. 그의 유물은 한때 베네치아에 보관되었다가 마르 사바 수도원으로 반환되었으며, 텍사스의 산 사바 강 등 여러 지명이 그를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이세리주 출신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439년 출생 - 유송 명제
유송 명제는 남조 송의 제7대 황제로, 전폐제 폭정 이후 즉위하여 유자훈의 난을 진압하려 했으나 말년에 폭정을 펼쳐 유송 왕조 쇠퇴의 원인이 되었으며, 즉위 전 '돼지 왕자'라 불리며 모욕을 당하고 북위와의 전쟁에서 영토를 상실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 532년 사망 - 원랑
원랑은 531년 고환에 의해 북위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532년 효무제에게 양위하고 살해되었으며, 북위 절민제와 황위를 다투고 고환의 지지 속에 즉위하여 연호를 중흥으로 정했다. - 532년 사망 - 교황 보니파시오 2세
교황 보니파시오 2세는 율리우스력의 시작 년도를 로마 건국 원년에서 서력기원으로 변경했다.
성 사바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성 사바스 |
존칭 | 존경하는 교부 대수도원장 |
![]() | |
출생일 | 439년 |
출생지 | 카파도키아 카에사레아 아자카 |
사망일 | 532년 12월 5일 |
사망지 | 팔레스티나 프리마 예루살렘 |
축일 | 12월 5일 |
숭배 |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
주요 성지 | 성 사바스 수도원, 팔레스타인 |
상징 | 수도복을 입고 종종 주교 지팡이를 든 수사 손에 사과를 들고 있음 |
매장지 | 키드론 계곡 성 사바스 수도원 |
2. 생애
성 사바스는 군 지휘관 요한과 소피아의 아들로, 카파도키아 카이사레아 인근 무탈라스케에서 태어났다.[1] 부모가 군사 문제로 알렉산드리아로 떠나면서 다섯 살 된 사바스를 삼촌에게 맡겼다. 여덟 살 때 안티오키아의 플라비아누스 주교가 있는 수도원에 들어갔고, 글과 성경에 정통하게 되었다. 17세에 수도사 삭발례를 받고 10년간 플라비아누스 주교의 수도원에서 지냈다.[1]
이후 예루살렘을 거쳐 성 에우티미우스 대수도원으로 갔으나, 에우티미우스는 아바 테오크티스투스에게 보냈다. 30세까지 그곳에서 순종하며 지낸 후, 테오크티스투스의 후계자는 동굴에서 은둔 생활을 허락했다. 5년간 고독하게 살면서 영적 성숙을 이루었고, 에우티미우스는 그를 어린 장로라 부르며 격려했다.
에우티미우스 사망(473년경) 후, 성 게라시무스 요르단 수도원 근처 동굴로 옮겼다. 이곳에서 제자들이 모여들어 대 라브라가 생겨났다(484년).[7] 테코아 근처에 뉴 라브라를 세우기도 했다.
칼케돈 신조를 지지하고 단성론과 오리겐주의에 반대하며, 황제들에게 영향을 미치려 했다.[7] 여러 수도원을 세웠고, 그의 기도로 많은 기적이 일어났다고 전해진다.
491년 예루살렘의 살루스티우스 대주교는 사바스를 서품했고, 494년 팔레스티나 프리마의 모든 수도원의 대수도원장으로 임명했다. 교회 예배 규칙인 ''예루살렘 티피콘''을 작성했으며, 532년에 사망했다. 축일은 12월 5일이다.
성 사바스의 대 라브라는 오랫동안 이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수도원이었으며, 성 요한 다마스쿠스 등 저명한 수도승들을 배출했다. 현재 마르 사바 수도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로마의 산 사바 성당은 그를 기리기 위해 봉헌되었다.
텍사스의 산 사바 강 등은 1732년 12월 5일 성 사바스의 날에 이 강을 발견한 후안 안토니오 부스티요 이 세바요스에 의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2. 1. 초기 생애
성 사바스는 군 지휘관 요한과 소피아의 아들로, 카파도키아 카이사레아 인근의 무탈라스케에서 태어났다. 이 마을 이름은 그리스어로는 알려진 뜻이 없지만, Mata la zkha|마타 라 즈카ar는 "승리의 마을"로 번역된다.[1]그의 부모는 군사 문제로 알렉산드리아로 여행을 떠나면서 다섯 살 된 아들을 삼촌에게 맡겼다. 아이가 여덟 살이 되자, 근처의 안티오키아의 플라비아누스 주교가 있는 수도원에 들어갔다. 재능이 있던 사바스는 곧 글을 배우고 성경에 정통하게 되었다. 사바스는 세상으로 돌아가 결혼하라는 부모의 압력에 저항했고, 17세가 되자 수도사 삭발례를 받았다. 이후 플라비아누스 주교의 수도원에서 10년을 보냈다.[1]
2. 2. 팔레스타인에서의 수도 생활
사바스는 예루살렘으로 갔고, 거기서부터 성 에우티미우스 대수도원으로 갔다. 그러나 에우티미우스는 사바스를 엄격한 수도 공동체 규칙을 가진 근처 수도원의 원장인 아바 테오크티스투스에게 보냈다. 사바스는 30세가 될 때까지 이 수도원에서 순종하며 살았다.장로 테오크티스투스가 죽은 후, 그의 후계자는 사바스에게 동굴에서 은둔할 것을 축복했다. 그러나 토요일에는 은둔처에서 나와 수도원에 와서 신성한 예배에 참여하고 형제들과 함께 식사했다. 얼마 후 사바스는 은둔처를 전혀 떠나지 않아도 된다는 허락을 받았고, 5년 동안 동굴에서 고독하게 살았다.
에우티미우스는 젊은 수도사의 삶을 주의 깊게 지도했고, 그의 영적 성숙을 보고 그를 데리고 황무지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그들은 매년 1월 14일에 출발하여 종려주일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에우티미우스는 사바스를 어린 장로라고 불렀고, 그가 수도적 덕행을 쌓도록 격려했다.
2. 3. 수도원 설립과 활동
에우티미우스가 사망한(473년경) 후 사바스는 수도원(은둔자들을 위한 세포나 동굴의 무리, 교회와 때로는 중심에 식당이 있음)에서 물러나 성 게라시무스 요르단 수도원 근처의 동굴로 옮겨갔다. 몇 년 후 제자들이 수도 생활을 추구하며 사바스 주변에 모여들기 시작했다. 수도승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 라브라가 생겨났다. 예루살렘 남쪽 키드론 계곡에 있는 이 라브라의 창립 시기는 전통적으로 484년으로 알려져 있다.[7] 그의 수도승 중 일부가 그의 규칙에 반대하며 그들의 아빠스로 사제를 요구했기 때문에 반대가 계속되었고, 그는 테코아 근처에 지었던 뉴 라브라로 물러났다. 라브라에서 젊은 수도승들은 공동 생활을 했지만, 장로들은 세미은둔자 생활을 하며 각자 라브라 구역 내 자신의 오두막에서 엄숙한 교회 예배에만 참석했다.칼케돈 신조를 지지하고 단성론과 오리겐주의에 격렬히 반대했던 그는 511년 아나스타시우스 1세 황제를 직접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531년에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를 만나 그들에게 맞서 황제에게 영향을 미치려 했다.[7]
사바스는 여러 개의 수도원을 더 세웠다. 사바스의 기도 덕분에 많은 기적이 일어났다고 한다. 라브라에서는 샘물이 솟아났고, 가뭄 동안 풍부한 비가 내렸으며, 병자와 악령 들린 자들이 치유되기도 했다.
예루살렘의 살루스티우스 대주교는 491년에 그를 서품했고, 494년에 팔레스티나 프리마의 모든 수도원의 대수도원장으로 임명했다. 사바스는 모든 비잔틴 수도원을 지도하기 위해 소위 ''예루살렘 티피콘''이라고 불리는 최초의 수도원 교회 예배 규칙을 작성했다. 그는 532년에 사망했다. 그의 축일은 12월 5일이다.
2. 4. 사망과 유산
성 사바스의 대 라브라는 오랫동안 이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수도원으로 지속되었으며, 성 요한 다마스쿠스를 포함한 여러 저명한 수도승들을 배출했다. 현재는 마르 사바 수도원으로 알려져 있다. 로마의 산 사바 성당은 그를 기리기 위해 봉헌되었다.텍사스의 산 사바 강과 그 지역의 다른 지형들은 사바스를 따서 명명되었다. 이는 후안 안토니오 부스티요 이 세바요스가 1732년 12월 5일, 성 사바스의 날에 이 강을 발견하고 "Río de San Sabá de las Nueces" (호두 성 사바스의 강)라고 명명했기 때문이다.[9]
3. 유물
성 사바스의 유물은 12세기 십자군에 의해 성 사바스 전쟁의 결과로 탈취되어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산 안토닌 교회에 보관되었다.[8] 1965년 교황 바오로 6세는 동방 정교회에 대한 선의의 표시로 이 유물을 수도원에 반환하였다.
4. 평가
성 사바스의 생애는 그의 제자인 스키토폴리스의 키릴에 의해 쓰여졌다. 주요 현대 권위자는 A. 에르하르트가 베처와 벨테의 ''교회 백과사전''(2판) 및 ''Römische Quartalschaft'', vii에 있으며, 또한 피에르 엘리오의 ''종교 질서의 역사'' (1714), i.C.16 및 막스 하임부허|Max Heimbucherde의 ''오르덴 우. 콩그레가치오넨'' (1907), i, §10을 참조하라.[1]
5. 기타
성 사바스는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에서 중요한 성인으로 여겨지며, 그의 이름을 딴 여러 장소와 시설이 존재한다. 1732년 후안 안토니오 부스티요 이 세바요스는 텍사스의 산 사바 강을 발견하고 "호두 성 사바스의 강"이라고 명명했다.[9] 로마에는 성 사바스를 기리는 산 사바 성당이 있다.[9]
5. 1. 텍사스의 산 사바
후안 안토니오 부스티요 이 세바요스가 1732년 12월 5일, 성 사바스의 날에 텍사스의 산 사바 강을 발견하고 "Río de San Sabá de las Nueces" (호두 성 사바스의 강)라고 명명했다.[9] 이 강 이름에서 텍사스 지역의 다른 지형들의 이름이 유래되었다.5. 2. 로마의 산 사바 성당
로마의 산 사바 성당은 성 사바스를 기리기 위해 봉헌되었다.[9]참조
[1]
서적
Emblems of Saints: By which They are Distinguished in Works of Art
https://books.google[...]
Longman, Green, Longman, and Roberts
1860
[2]
논문
Patrich
1995
[3]
웹사이트
Saint Sabas: Saint of the Day for December 5
https://www.francisc[...]
Franciscan Media
2022-02-08
[4]
서적
A hermit's cookbook: monks, food and fasting in the Middle Ages
Continuum
2011
[5]
논문
Speake
2021
[6]
웹사이트
Sabas
http://www.behindthe[...]
[7]
백과사전
St. Sabbas
http://www.newadvent[...]
[8]
문서
Speake
2021
[9]
간행물
San Saba River
[10]
웹인용
Sabas
http://www.behindthe[...]
[11]
웹인용
St. Sabbas
http://www.newadv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