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기아 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기아 지수(GHI)는 전 세계 기아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와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가 처음 발표했으며, 이후 컨서른 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가 공동 발행 기관으로 참여했다. 0점에서 100점까지의 점수로 기아의 심각성을 나타내며, 영양실조, 저신장아동, 저체중아동, 영아 사망률 등 4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매년 기아와 관련된 특정 주제에 대한 논문을 포함하며, 2015년 이후 계산 방법이 개정되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지역의 기아 문제가 심각하며, UN 등 국제기구의 연간 보고서에도 인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고픔 - 굶주림
굶주림은 음식 섭취 부족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변화와 면역 체계 약화 등을 동반하며, 식량 부족, 불평등, 전쟁, 자연재해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고, 국제 기구들이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 개발학 - 개발 이론
개발 이론은 사회의 경제 발전과 변화를 설명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포괄하며, 현대화 이론, 구조주의, 의존 이론, 신고전주의 이론 등 다양한 접근 방식과 지속 가능한 개발, 인간 개발, 개발 후 이론 등 새로운 관점들이 존재한다. - 개발학 - 근대화 이론
근대화 이론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등장하여 전통 사회에서 현대 사회로의 변화를 설명하려는 사회 발전 이론으로, 단선적 진화론과 막스 베버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발전했지만, 비판과 재조명, 수정 및 발전을 거듭하며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 관계, 서구 중심주의적 관점 등 다양한 쟁점을 가진다. - 식료 정책 - 흑해 곡물 협정
흑해 곡물 협정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중단된 곡물 수출을 재개하기 위해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체결한 합의이나, 러시아의 탈퇴로 중단되어 국제 식량 안보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 식료 정책 - 배양육
배양육은 동물의 세포 배양을 통해 생산되는 고기로, 환경 및 윤리적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세계 최초 배양 쇠고기 햄버거 공개와 일부 국가의 판매 승인으로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세계 기아 지수 | |
---|---|
개요 | |
유형 | 기아 측정 도구 |
개발 | 국제 식량 정책 연구소(IFPRI)와 웰트훙거힐페(Welthungerhilfe)와 컨선 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
최초 발표 | 2006년 |
발표 빈도 | 매년 |
측정 대상 | 전 세계 및 국가별 기아 수준 |
주요 목적 | 세계적인 기아 수준을 측정하고 추적하여 기아 퇴치 노력을 촉진 |
측정 지표 | |
영양 부족률 | 인구 중 영양 부족 상태인 사람들의 비율 |
아동 발육 부진률 | 5세 미만 아동 중 키가 나이에 비해 작은 아동의 비율 |
아동 소모증률 | 5세 미만 아동 중 몸무게가 키에 비해 작은 아동의 비율 |
아동 사망률 | 5세 미만 아동의 사망률 |
평가 척도 | |
점수 범위 | 0점 (기아 없음) ~ 100점 (최악의 기아 상태) |
기아 수준 분류 | 낮음 (0~9.9점) 보통 (10~19.9점) 심각 (20~34.9점) 경계 (35~49.9점) 매우 심각 (50점 이상) |
보고서 및 자료 | |
연례 보고서 | Global Hunger Index 웹사이트에서 연간 보고서 제공 |
관련 연구 | IFPRI 및 웰트훙거힐페(Welthungerhilfe)의 연구 자료 |
추가 정보 | |
목적 | 세계적인 기아 수준을 측정하고 추적 |
영향 | 기아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정책 입안자들에게 정보 제공 |
관련 지표 | 인도 주별 기아 지수 (India State Hunger Index) 등 |
2. 발표 배경
세계기아원조와 국제식량정책연구소는 2006년 세계기아지수 창간호에서 기아에 대한 싸움을 보다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정책적으로 제언하기 위해 이 지수를 발표했다.[43] 1996년 세계식량정상회의, 2000년 밀레니엄 개발 목표, 식량 농업 기구의 음식에 대한 권리 선언 등 국제사회의 노력이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기아에 고통받고 있었다.[43]
2006년부터 매년 10월 세계 기아 지수는 뉴욕, 베를린, 더블린, 런던, 브뤼셀, 벨파스트 등 세계의 주요 수도들에서 발표되고 있으며, 2015년부터는 컨선월드와이드의 주도로 한국어판을 통해 서울에서도 발표하고 있다.[1]
세계기아지수는 기본적으로 한 국가의 기아 상태를 '0'에서 '100'까지의 수치로 나타낸다. '0'은 기아를 겪는 사람이 없다는 것으로 가장 이상적인 상태이고 반대로 '100'은 인구 전체가 기아를 겪는다는 의미이므로 가장 나쁜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아무리 선진국이라고 해도 굶어 죽는 사람은 있고 아무리 기아가 심각한 상황이라고 해도 인구 전체가 굶어 죽는 나라도 없으니 양 극단의 두 수는 현실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사실상 대부분의 국가들은 GHI 50점 이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15]
세계 기아 지수(GHI)는 0점이 가장 좋은 점수(기아 없음)이고 100점이 가장 나쁜 점수인 100점 척도에서 기아의 심각성을 반영하여 계산된다.[18]
기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지식과 더불어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적인 의지와 행동이 필요했다. 세계 각국의 시민사회는 정부의 빈곤 감축 노력을 감시하고, 효과적인 정책 제언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를 필요로 했다. 세계기아원조와 국제식량정책연구소는 바로 이 점에 주목했다.[43]
이들은 전 세계 개발도상국의 기아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지표를 발표하여, 매년 각국의 기아 상황 변화와 관련 정책의 성공 여부를 평가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시민사회가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부에 효과적으로 제언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 것이다.[43]
3. 한국에서의 발표
4. 지수의 개념
각 나라별로 산출된 기아지수들은 그 심각 정도에 따라 5가지 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단계 점수 범위 설명 낮음 ≤ 9.9 기아 수준이 낮은 국가 보통 10.0-19.9 기아 수준이 중간인 국가 심각 20.0-34.9 기아 수준이 심각한 국가 심각함 35.0-49.9 기아 수준이 심각한 국가 매우 심각함 ≥ 50.0 기아 수준이 매우 심각한 국가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기아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사회와 각국 정부의 많은 노력으로 기아의 상황이 많이 나아져서 현재는 가장 심각한 기아 단계인 '극히 위험' 단계에 속하는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위험'단계에 속하는 국가가 7국, '심각' 이상 단계에 속하는 국가는 49국이나 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5. 지수의 계산
GHI는 다음 4가지 구성 지표를 결합한다.
2024년에는 GHI에 포함될 기준을 충족하는 136개국에 대한 데이터가 평가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들 중 127개국의 GHI 지수가 계산되었다. GHI 지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 데이터는 유엔 식량농업기구, 세계보건기구, 유니세프, 아동 사망률 추정을 위한 기관 간 그룹[19], 세계은행 및 인구 및 건강 조사 등 발표된 유엔 출처에서 나온 것이다.
9개국은 데이터 부족으로 개별 점수를 계산할 수 없었고 순위를 결정할 수 없었다. 세 개국은 다른 발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각도에 따라 잠정적으로 지정되었고, 나머지 6개국은 데이터가 부족하여 GHI 점수를 계산하거나 잠정적인 범주를 할당할 수 없었다.
등급 | 값 |
---|---|
낮음 | ≤ 9.9 |
보통 | 10.0-19.9 |
심각 | 20.0-34.9 |
심각함 | 35.0-49.9 |
매우 심각함 | ≥ 50.0 |
5. 1. 지수 계산 방법: 2006년~2014년
세계기아지수는 정해진 공식에 따라 산출되는데, 2015년을 전후로 그 계산 방법이 달라졌다.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쓰였던 방법은 다음과 같다.세계기아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다음 3개의 지표가 사용된다.
- 첫째, '전체 인구 중 영양결핍 인구의 비율'을 계산한다. 이는 지속가능한 발전목표를 비롯해 국제 기아 목표의 선행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
- 둘째, '5세 미만 저체중 어린이들의 비율'을 조사한다. 어린이들은 영양결핍에 특히 취약하기 때문에,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된다.
- 셋째, '5세 미만 유아 사망률'을 조사한다. 사망은 기아의 가장 심각한 결과이고 그 중 어린이가 가장 취약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위 세 가지 지표의 값을 모두 더해 3으로 나누어 GHI 지수를 구한다.
{| class="wikitable"
|-
! 2006년~2014년(2015년 이전)
|-
|
|-
| '''세계기아지수(GHI)''' = (영양결핍 인구의 비율 + 5세 미만 저체중 어린이들의 비율 + 5세 미만 유아 사망률) / 3
|}
5. 2. 지수 계산 방법의 변화: 2015년 이후
2015년, 세계기아지수(GHI) 계산 방식이 개정되어 기존 방식과 두 가지 큰 차이점을 보인다.첫째, 고려하는 지표가 달라졌다. 이전에는 '5세 미만 저체중 어린이 비율'만 고려했으나, 개정 후에는 '키에 비해 체중이 적은 5세 미만 어린이 비율(소아 쇠약)'과 '나이에 비해 키가 작은 5세 미만 어린이 비율(발육 부진)'로 나누어 조사한다. 이는 저체중 지표만으로는 어린이의 영양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 제기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기아에 시달리는 어린이가 정상 체중이거나 과체중인 경우도 있어, 치료 대상에서 제외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저체중 지표만으로는 어린이에게 필요한 영양소 섭취 여부나 질병 여부를 알 수 없었다.
영양결핍 & 성장부진 | 소아쇠약 & 유아사망률 | |
---|---|---|
특징 | 보편적으로 높은 수치, 심한 등락, 국가 간 큰 편차 |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 비교적 고른 등락, 상대적으로 작은 편차 |
예시 | 5% 감소율 | 5% 감소율 |
둘째, 표준화 단계가 추가되었다. 이는 각 조사 영역에서의 개선 상태를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한 국가에서 영양 결핍과 유아 사망률이 각각 5% 감소했을 때, 이전 방식에서는 두 변화가 동일하게 취급되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에서 영양 결핍은 흔하고 그 수치가 자주 변동하므로, 유아 사망률 5% 감소가 더 의미 있는 변화일 수 있다. 개정된 방식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다르게 반영하여, 지수 자체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이후 GHI는 다음 4가지 지표를 결합하여 계산한다.[18]
- '''영양실조:''' 충분한 칼로리 섭취가 부족한 인구 비율.
- '''저신장아동:''' 만 5세 미만 아동 중 만성 영양실조를 반영하여 연령에 비해 키가 작은 아동의 비율.
- '''저체중아동:''' 만 5세 미만 아동 중 급성 영양실조를 반영하여 키에 비해 체중이 적게 나가는 아동의 비율.
- '''영아 사망률:''' 다섯 번째 생일 전에 사망하는 아동의 비율로, 부적절한 영양과 건강하지 못한 환경의 치명적인 혼합을 부분적으로 반영.
GHI는 0점(기아 없음)부터 100점(최악) 사이의 점수로, 점수가 높을수록 기아 상태가 심각함을 의미한다.
등급 | 값 |
---|---|
낮음 | ≤ 9.9 |
보통 | 10.0-19.9 |
심각 | 20.0-34.9 |
심각함 | 35.0-49.9 |
매우 심각함 | ≥ 50.0 |
2024년에는 136개국을 대상으로 데이터가 평가되었고, 그중 127개국의 GHI 지수가 계산되었다. GHI 계산에는 유엔 식량농업기구, 세계보건기구, 유니세프, 아동 사망률 추정을 위한 기관 간 그룹[19], 세계은행, 인구 및 건강 조사 등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5. 3. 참고자료들의 출처
세계기아지수(GHI)는 여러 수치를 종합하여 만들어진다. 영양결핍지표는 유엔 세계식량정책기구(FAO)의 수치를, 소아쇠약과 발육부진 지표는 유니세프(UNICEF) 보고서와 세계보건기구(WHO)의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 유아사망률은 유엔아동기금(UNICEF) 보고서와 유엔영유아사망률추정합동기구(UNIGME)의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지수 산출에는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의 자체 연구 결과도 사용된다.[18]2024년 GHI 계산에는 136개국의 데이터가 평가되었으며, 이 중 127개국의 GHI 지수가 2000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되었다. 사용된 데이터는 유엔 식량농업기구, 세계보건기구, 유니세프, 아동 사망률 추정을 위한 기관 간 그룹[19], 세계은행, 인구 및 건강 조사 등 발표된 유엔 출처에서 나온 것이다.
2009년 지수 계산에는 2002년부터 2007년까지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영양실조 관련 데이터는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의 2003년부터 2005년까지의 데이터였다.[35] 5세 미만 어린이의 체중 관련 데이터는 세계보건기구(WHO)[36], 국제연합아동기금(UNICEF)[37][38], MEASURE DHS[39]가 제공하는 2002년부터 2007년까지의 데이터이다. 영아 사망률 데이터는 국제연합아동기금(UNICEF)의 2007년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6. 연도별 주제 및 최악의 기아 국가
세계기아지수는 출판물의 형태로 발표되며, 해당 연도에 기아가 발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던 이슈들을 별도 주제로 설정해 분석하고 있다. 주제는 2009년부터 부여되기 시작했으며, 해당 주제에 대한 분석과 관점은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고 있다.[1]
연도 | 주제 | 기아 위험이 가장 높은 국가 | 심각도 |
---|---|---|---|
2021 | 분쟁 상황 속 기아와 식량 시스템 | 소말리아 | 극히 위험 단계 |
2020 | 제로 헝거를 향한 10년. 보건과 지속가능한 식량시스템의 연결 | 차드 | 위험 단계 |
2019 | 기후변화와 기아의 위험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극히 위험 단계 |
2018 | 강제이주와 기아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극히 위험 단계 |
2017 | 기아의 불평등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극히 위험 단계 |
2016 | 기아가 없는 세상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위험 단계 |
2015 | 무력 충돌과 기아의 위협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위험 단계 |
2014 | 숨은 기아의 도전 | 부룬디 | 극히 위험 단계 |
2013 | 식량-영양안보 달성을 위한 회복탄력성 구축 | 부룬디 | 극히 위험 단계 |
2012 | 땅, 물, 에너지 부족과 지속가능한 식량 안보 달성 | 부룬디 | 극히 위험 단계 |
2011 | 급격한 식량가격 상승과 변동성에의 대응 | 콩고민주공화국 | 극히 위험 단계 |
2010 | 아동 영양실조의 위기 | 콩고민주공화국 | 극히 위험 단계 |
2009 | 금융 위기와 젠더 불평등 | 콩고민주공화국 | 극히 위험 단계 |
7. 지역별 기아 추세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의 기아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20] 2009년 보고서에서도 두 지역은 기아 지수가 각각 22.1점, 23.0점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남아시아는 5세 미만 아동의 저체중 문제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높은 영아 사망률과 열량 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20]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는 중간 수준의 기아를 보이며, 특히 가자 지구와 예멘에서 식량 위기가 발생하고 있다.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유럽 및 중앙아시아는 낮은 수준의 기아를 나타내고 있다.[20]
2009년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 이후 근동과 북아프리카는 32%, 남아시아는 25%,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13% 감소했다. 동남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는 40% 감소하여 좋은 성과를 보였다.[20]
8. 국가별 순위 (2023년)
순위 | 국가 | 2023년 GHI 점수 |
---|---|---|
1–20 | 벨라루스 | <5 |
1–2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5 |
1–20 | 칠레 | <5 |
1–20 | 중국 | <5 |
1–20 | 크로아티아 | <5 |
2023년 세계 기아 지수(GHI)에서 5점 미만의 점수를 받은 20개국은 위와 같이 공동 1~20위로 집단 순위가 매겨진다.[44][45] 대한민국은 이 순위표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북한은 자료 부족으로 순위가 매겨지지 않았다. 다만, 세계기아지수는 북한의 기아 상황을 지속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9. 세계기아지수와 관련된 다른 지수들
세계 기아 원조와 국제식량정책연구소는 2006년 세계 기아 지수 창간호에서 기아에 대한 대응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정책 제언을 하기 위해 이 지수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1996년 세계식량정상회의, 2000년 밀레니엄 개발 목표, 식량농업기구(FAO)의 음식에 대한 권리선언 등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기아에 고통받고 있었다. 기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지식과 함께 이를 해결하려는 정치적 의지와 행동이 필요했다. 각국 시민사회는 정부의 빈곤 감소 노력을 감시하고, 효과적인 제언을 위해 과학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했다. 세계기아원조와 국제식량정책연구소는 개발도상국들의 기아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지표를 발표하여 각국의 기아 상황 변화와 기아 대응 정책의 성공 여부를 평가할 수 있게 했다. 이는 시민사회가 정부에 효과적으로 제언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 것이다.[43]
9. 1. 유엔식량농업기구와 유엔세계식량계획의 기아지도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는 유엔 세계 식량 계획(WFP)와 협력하여 1999년부터 매년 ‘세계식량불안정보고서(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를 발간하고 있다.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아지도'(Hunger map)를 제작하여 세계 각국의 식량 안보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한다. 세계의 기아문제에 대한 인식을 더 높이고 기아와 영양실조의 원인에 대한 논의를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한다.세계기아지수(GHI)와 FAO 및 WFP 기아지도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고려하는 지표의 범위이다. FAO와 WFP는 식이에너지 접근성만을 고려하여 영양결핍인구에 주목하는 반면, 세계기아지수(GHI)는 영양결핍인구뿐만 아니라 소아쇠약, 발육부진 그리고 영유아사망률까지 고려하여 산출된다.
9. 2. 세계은행의 세계영양실조지도
세계은행(World Bank)은 유니세프(UNICEF), 세계 보건 기구(WHO)와 협력하여 아동 성장과 영양실조에 관한 연구를 매년 진행하고 있다.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SH.STA.MALN.ZS?view=map 세계영양실조지도]는 그러한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세계의 아동 영양실조 실태를 한눈에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세계기아지수(GHI)와는 ‘조사 대상의 연령층’에서 큰 차이가 있다. 세계영양실조지도가 아동의 영양실조 실태를 중심으로 제작된 지도라면, 세계기아지수(GHI)는 아동의 영양 상태는 물론 전체 인구의 영양 결핍 상태를 고려하여 산출된다.
9. 3. 세계영양불균형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기구와 암웨이의 세계영양불균형지도
세계영양불균형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기구(GAIN)는 글로벌 웰니스 전문기업 암웨이의 지원을 받아 [http://globalalliance.s3-website-us-east-1.amazonaws.com/#v=map&b=topo&x=54.358749999989605&y=8.35536745323893&l=3&m=1&a=0 세계의 영양상태에 관한 인터랙티브 지도]를 만들었다. 이 지도는 매년 추가된 연구결과에 따라 개정되며 세계영양보고서, 세계보건기구, [https://www.idf.org/ 국제당뇨연맹] 등 다양한 단체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세계 기아 지수와 유사한 점은 단순히 영양결핍만이 아닌 영양균형까지 고려한다는 점과 전체 인구의 영양 상태를 조사한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세계영양불균형지도가 인구, 영양결핍, 질병, 비만 등 각각의 지표에 따른 조사 결과를 제시하는 반면, 세계 기아 지수는 4가지 지표를 합쳐 하나의 지수로 제시한다는 것이다.[49]
10. 참여 단체들
1996년 세계식량정상회의, 2000년 밀레니엄 개발 목표, 식량 농업 기구의 음식에 대한 권리선언 등 기아에 맞서 싸우기 위한 국제사회의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구 상에는 많은 사람들이 기아에 고통받고 있었다. 효과적으로 기아에 맞서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보다 깊은 지식과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치적인 의지 및 행동이 같이 동반될 필요가 있었다. 세계 각국의 시민사회들은 그들 정부가 얼마나 빈곤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역할을 했으며 효과적으로 정부에 제언을 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믿을 수 있는 자료가 필요했다. 세계기아원조와 국제식량정책연구소가 주목했던 점은 바로 이 부분이었다. 전 세계의 개발도상국들의 기아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지표를 발표함으로써 매해 각 나라들의 기아 상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기아에 저항하기 위한 정책들이 성공했는지를 평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같은 과학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시민사회가 정부에 효과적으로 제언을 할 수 있도록 일종의 도구를 제공한 셈이다.[43]
10. 1. 컨선월드와이드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는 세계 최극빈 지역의 사람들이 기아와 맞서 싸우며 스스로 삶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 국제 인도주의 단체이다.[46] 1968년 나이지리아 비아프라 지역의 기근을 해결하고자 했던 존과 케이(John&Kay O’Loughlin-Kennedy)의 노력에서부터 시작되어 약 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46] 현재는 아시아, 중동, 카리브해 지역 등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27개 나라의 사람들을 위해 긴급 구호, 교육, 건강(깨끗한 물 및 영양 공급, HIV/AIDS 및 모자보건), 생계지원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46] 또한 아일랜드, 영국, 미국에 본부를 두고 세계적인 모금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2015년 한국 본부가 설립되었다.[46]10. 2. 국제식량정책연구소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는 전문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식량 정책을 제공하는 미국의 연구기관이며, 개발도상국의 빈곤 해결과 기아 및 영양실조 종식을 목표로 한다.[47] 1975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 50개국에 사무소를 두고 600명이 넘는 직원과 연구자들이 활동하고 있다.[47] 또한 식량안보의 미래를 연구하는 CGIAR와 협력 관계를 맺고 농업 연구 개발에 힘쓰고 있다.[47]10. 3. 세계기아원조
세계기아원조는 독일 최대의 비정부 구호 단체이다. 1962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산하에서 설립되었으며, 당시에는 기아에 대항하는 첫 글로벌 이니셔티브 중 하나인 기아탈출 캠페인(Freedom from Hunger Campain)의 독일지부였다.[48] 긴급 재난 구호에서 장기적인 개발 협력 사업까지 통합적인 구호 활동을 제공하며, 2015년에는 387개의 해외 사업을 통해 40개국에서 사람들을 지원하기도 했다.[48]11. 기타
세계기아지수는 기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기아 퇴치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이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파악하는데 주로 활용된다. UN 등 국제기구의 연간 보고서에도 인용되어[44] 개발도상국의 심각한 기아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 자료로 제시되며, 한국에서도 2008년 이후부터 북한의 기아 상황을 알리는 기사에 꾸준히 인용되고 있다.[45]
2009년 세계 기아 지수를 2008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성 격차 지수[40]와 비교하면 두 지수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이는 남녀 성 불평등이 어머니의 교육 부족과 건강 악화의 원인이 되기 때문으로 보인다.[41]
2009년 보고서에 따르면, 분쟁, 정치적 불안정, 경제 붕괴는 기근의 주요 원인이며, 이로 인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와 북한에서는 기근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 ''The Power of Youth in Shaping Food Systems''
https://www.globalhu[...]
2024-09-14
[2]
웹사이트
2010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unger: Focus on the Crisis of Child Undernutrition''
https://www.globalhu[...]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3]
웹사이트
2011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unger: Taming Price Spikes and Excessive Food Price Volatility''
https://www.globalhu[...]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4]
웹사이트
2012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unger: Ensuring Sustainable Food Security Under Land, Water, and Energy Stresses''
https://www.globalhu[...]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5]
웹사이트
2013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unger: Building Resilience to achieve Food and Nutrition Security''
https://www.globalhu[...]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6]
웹사이트
2014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idden Hunger''
https://www.globalhu[...]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7]
웹사이트
2015 Global Hunger Index – ''Armed Conflict and the Challenge of Hunger''
https://www.globalhu[...]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8]
웹사이트
2016 Global Hunger Index – ''Getting to Zero Hunge''
https://www.globalhu[...]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9]
웹사이트
2017 Global Hunger Index – ''The Inequalities of Hunger''
https://www.globalhu[...]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10]
웹사이트
2018 Global Hunger Index – ''Forced Migration and Hunger''
https://www.globalhu[...]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11]
웹사이트
2019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unger and Climate Change''
https://www.globalhu[...]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12]
웹사이트
2020 Global Hunger Index – ''One Decade to Zero Hunger - Linking Health and Sustainable Food Systems''
https://www.globalhu[...]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13]
웹사이트
2021 Global Hunger Index – ''Hunger and Food Systems in Conflict Settings''
https://www.globalhu[...]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14]
웹사이트
2022 Global Hunger Index – ''Food Systems Transformation and Local Governance''
https://www.globalhu[...]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15]
웹사이트
2023 Global Hunger Index - ''The Power of Youth in Shaping Food Systems''
https://www.research[...]
Welthungerhilfe & Concern Worldwide
2024-09-14
[16]
웹사이트
India State Hunger Index: Comparisons of Hunger across States
https://ebrary.ifpri[...]
IFPRI, Welthungerhilfe and University of Riverside
2024-09-14
[17]
웹사이트
A Sub-National Hunger Index for Ethiopia: Assessing Progress in Region-Level Outcomes
https://ebrary.ifpri[...]
IFPRI and Concern Worldwide
2024-09-14
[18]
웹사이트
Methodology
https://www.globalhu[...]
2024-09-14
[19]
웹사이트
Under-five Mortality Estimates
http://www.childmort[...]
2024-09-14
[20]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 ''Food Systems Transformation And Local Governance''
https://www.globalhu[...]
2024-09-14
[21]
서적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Food Systems for Better Nutrition
http://www.fao.org/d[...]
2024-09-14
[22]
웹사이트
2012 Global Hunger Index — ''Ensuring Sustainable Food Security under Land, Water, and Energy Stresses''
http://www.ifpri.org[...]
IFPRI, Welthungerhilfe and Concern Worldwide
[23]
논문
Maternal and child undernutrition: Consequences for adult health and human capital
https://www.research[...]
2024-09-14
[24]
논문
Worldwide timing of growth faltering: Revisiting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https://www.research[...]
2024-09-14
[25]
웹사이트
2016 Global Hunger Index chapter2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trends
http://www.ifpri.org[...]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2016-10
[26]
뉴스
Global hunger worsening, warns UN
http://news.bbc.co.u[...]
BBC (Europe)
2009-10-14
[27]
웹사이트
The Challenge of Hunger − Global Hunger Index: Facts, determinants, and trends. Case studies of post conflict countries of Afghanistan and Sierra Leone
http://www.ifpri.org[...]
IFPRI/ Welthungerhilfe
2006-10
[28]
웹사이트
The Challenge of Hunger 2007 − Global Hunger Index: Facts, determinants, and trends 2007
http://www.ifpri.org[...]
IFPRI/ Concern/ Welthungerhilfe
2007-10
[29]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unger 2008
http://www.ifpri.org[...]
IFPRI/ Concern/ Welthungerhilfe
2008-10
[30]
웹사이트
2009 Global Hunger Index − The Challenge of Hunger: Focus on Financial Crisis and Gender Inequality
http://www.ifpri.org[...]
IFPRI/ Concern/ Welthungerhilfe
2009-10
[31]
웹사이트
2009 Global Hunger Index - Summary
http://www.ifpri.org[...]
IFPRI, Washington, DC
[32]
웹사이트
2009 Global Hunger Index
http://knowledge.cta[...]
Technical Center for Agriculture and Rural Cooperation (CTA)
[33]
웹사이트
India State Hunger Index (2009): Comparison of Hunger Across States
http://www.ifpri.org[...]
[34]
웹사이트
A Sub-National Index for Ethiopia: Assessing Progress in Region-Level Outcomes
http://www.ifpri.org[...]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IFPRI) and Ethiopian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EDRI)
2009-10
[35]
웹사이트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8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08
[36]
웹사이트
Global database on child growth and malnutrition
http://www.who.int/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37]
간행물
The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09: maternal and newborn health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2009
[38]
웹사이트
Childinfo statistics on child nutrition
http://www.childinfo[...]
UNICEF
2009
[39]
웹사이트
Demographic health surveys
http://www.measuredh[...]
MEASURE DHS
2009
[40]
웹사이트
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09
https://web.archive.[...]
World Economic Forum
2010-12-03
[41]
웹사이트
What does gender have to do with hunger?
https://web.archive.[...]
Women’s UN Report Network (WUNRN)
2015-06-08
[42]
저널
2016 세계기아지수(GHI) 리포트
http://concern.or.kr[...]
2016-10-13
[43]
저널
2006 세계기아지수 리포트
http://concern.or.kr[...]
[44]
저널
DPRK Needs and Priorities 2017
http://reliefweb.int[...]
UN
2017-03-21
[45]
뉴스
"북한 기아, 전세계 21번째로 심각...1990년대 비교 개선 안돼"
https://www.voakorea[...]
VOA
2016-10-07
[46]
웹사이트
컨서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공식홈페이지
http://www.concern.o[...]
[47]
웹사이트
국제식량정책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http://www.ifpri.org[...]
[48]
웹사이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공식 홈페이지
http://www.welthunge[...]
[49]
웹사이트
세계영양불균형지도
http://globalallianc[...]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