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근대화 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대화 이론은 전통 사회가 현대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려는 이론으로, 1950~60년대에 등장하여 1960년대 후반 비판을 받았다. 이 이론은 고전적 진화론과 베버의 사상을 바탕으로 파슨스에 의해 해석되었으며, 립셋, 로스토, 러너 등 다양한 학자들이 참여했다. 현대화가 민주주의를 가져온다는 립셋의 주장은 학문적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잉글하트와 웰젤은 문화적 가치의 변화를 강조하며 이론을 수정하려 했다.

그러나 현대화 이론은 1970년대 이후 종속 이론, 배링턴 무어의 비교 역사 분석, 기예르모 오도넬의 관료적 권위주의론 등 다양한 비판에 직면했다. 비판론자들은 근대화가 토착 문화의 파괴를 수반하고, 유럽 중심적이며, 경제 발전이 항상 민주주의를 가져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아제모글루와 로빈슨은 현대화 이론이 경제와 정치의 연관성을 제도와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설명한다고 비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발학 - 개발 이론
    개발 이론은 사회의 경제 발전과 변화를 설명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포괄하며, 현대화 이론, 구조주의, 의존 이론, 신고전주의 이론 등 다양한 접근 방식과 지속 가능한 개발, 인간 개발, 개발 후 이론 등 새로운 관점들이 존재한다.
  • 개발학 - 세계 기아 지수
    세계 기아 지수는 국제식량정책연구소 등에서 발표하는 전 세계 기아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영양실조, 저신장아동 등을 포함한 4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0점에서 100점까지 기아의 심각성을 나타낸다.
  • 근대성 - 지그문트 바우만
    폴란드 출신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반유대주의를 피해 폴란드를 떠난 후 영국 리즈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유동하는 근대' 이론을 발전시키고 근대성, 홀로코스트, 포스트모더니티, 소비주의 등 현대 사회의 주요 쟁점들을 다룬 저명한 학자이다.
  • 근대성 - 합리화 (사회학)
    합리화는 막스 베버가 서구 현대 사회의 발전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개념으로, 관료제와 목적 합리성의 확산, 개인 자율성 저하를 초래하며, 유르겐 하버마스와 지그문트 바우만 등의 학자에 의해 비판적으로 계승되어 현대 사회의 여러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사회문화적 진화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문화적 진화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근대화 이론
개요
분야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설명전통 사회에서 현대 사회로의 점진적인 전환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
주요 내용
핵심 개념산업화
도시화
세속화
민주주의
특징사회 발전은 선형적이고 예측 가능하다는 가정
비판
문제점문화적 상대주의 무시
제국주의적 시각
서구 중심적 편향
주요 학자
학자에밀 뒤르켐
막스 베버
탈콧 파슨스
월트 로스토
새뮤얼 헌팅턴
관련 개념
관련 개념근대성
종속 이론
세계체제론
탈근대성

2. 현대화 이론의 등장과 발전

1950년대와 1960년대의 현대화 이론은 고전적 진화론과 베버의 전통 사회에서 현대 사회로의 이행에 대한 아이디어를 파슨스식으로 해석한 것에 기초했다. 파슨스는 1930년대에 베버의 저서를 영어로 번역했으며, 자신의 해석을 덧붙였다.[10][11][12] 이후 파슨스식 해석은 사회학 및 기타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2. 1. 주요 학자

매리언 J. 레비 주니어, 가브리엘 알몬드, 세이무어 마틴 립셋, 월트 로스토, 대니얼 러너, 루시안 파이, 데이비드 압터, 알렉스 잉켈레스, 시릴 에드윈 블랙, 버트 F. 호셀리츠, 마이론 와이너, 칼 도이치 등이 근대화 이론과 관련된 주요 학자들이다.[13]

2. 2. 비판과 재조명

1960년대 후반, 현대화 이론은 너무 일반적이어서 모든 사회에 똑같이 적용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14] 그러나 냉전 종식과 함께 현대화 이론을 부활시키려는 몇몇 시도가 있었다.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현대화 이론을 보편사로 사용하자고 주장했다.[3]

로널드 잉글하트와 크리스티안 벨젤은 ''현대화, 문화 변화, 그리고 민주주의''(2005)에서 현대화 이론을 수정하려는 학문적인 노력을 보여주었다.[15] 잉글하트와 벨젤은 1960년대의 현대화 이론을 상당 부분 수정했다. 산업 성장이 민주화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 세이무어 마틴 립셋과는 달리,[16] 잉글하트와 벨젤은 산업화와 민주화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지 않았다. 대신, 이들은 탈산업 사회로 특징지어지는 경제 현대화 과정의 후기 단계에서 민주화에 유리한 가치관, 즉 "자기 표현 가치"가 나타난다고 주장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화 이론을 부활시키려는 이러한 노력은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이 이론은 논쟁적인 상태로 남아 있다.[17]

3. 현대화와 민주주의

현대화와 민주주의, 또는 민주화의 관계는 비교 정치학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주제 중 하나이다. 많은 연구에서 현대화가 일부 국가의 민주주의에 기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이무어 마틴 립셋은 현대화가 민주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18] 1959년에 처음 제시된 립셋의 주장은 비교 정치학에서 많은 연구를 낳았다.[19]

앤더슨은 권위주의적 지도력 하에서 소수의 상위 계층에 권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설명하고,[20] 현대화가 이루어질 때 엘리트 계층에서 중산층으로 권력 이동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사회경제적 현대화는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경제적 수준이 평준화되면 민주주의 수준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21]

1960년대에는 일부 비평가들이 현대화와 민주주의 사이의 연관성이 유럽 역사의 예에 너무 많이 기반하고 제3세계를 무시한다고 주장했다.[24]

랜달 피렌붐은 타이완, 대한민국과 같이 경제 성장이 비교적 높은 수준에 도달한 후에야 성공적으로 민주화된 아시아 국가들과 필리핀,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와 같이 경제 수준이 낮을 때 민주화를 시도했지만 잘 해내지 못한 국가들의 예를 비교하며 민주주의, 법치주의, 그리고 이들의 부와의 관계를 탐구한다.[29]

시리안느 달룸과 칼 헨릭 크누트센은 로널드 잉글하트와 크리스티안 웰젤의 수정된 현대화 이론 버전을 테스트했지만,[33] 잉글하트와 웰젤의 주장에 대한 경험적 지지를 찾지 못했고, 자기 표현 가치가 민주주의 수준이나 민주화 기회를 향상시키지 않으며, 기존 민주주의를 안정시키지도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34]

헤라르도 L. 문크의 메타 분석 결과, 대다수의 연구가 높은 수준의 경제 발전이 더 많은 민주주의로 이어진다는 주장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35]

3. 1. 립셋의 주장과 반론

세이무어 마틴 립셋은 경제 발전이 민주주의를 촉진한다는 주장을 펼쳤다.[18] 그는 산업화, 도시화, 부, 교육 등 경제 발전의 다양한 측면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민주주의와 정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았다.[23] 래리 다이아몬드와 후안 린츠는 경제 성과가 사회경제적 발달, 사회 변화, 중산층 조직화 등을 통해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22]

그러나 독일 제국의 사례는 경제적 현대화가 민주화보다 먼저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25] 셰리 버먼은 독일 제국에서 민주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25]

중국의 사례는 현대화가 반드시 시민의 인권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26] 중국 정부는 인권 유린과 시민 억압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화 이론과 모순된다.[27]

애덤 츠워스키 등은 1인당 소득 증가가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보장하지 않으며, 민주적 전환은 무작위로 발생하지만 일단 민주주의가 수립되면 높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민주주의 유지에 기여한다고 주장했다.[30] 다론 아제모글루와 제임스 A. 로빈슨은 소득과 민주주의 사이에 인과 관계가 없음을 보여주며 립셋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약화시켰다.[31]

3. 2. 잉글하트와 웰젤의 문화적 요인 강조

로널드 잉글하트와 크리스티안 웰젤은 민주주의가 특정 사회적, 문화적 요인들의 혼합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대중의 정치 참여를 이끌어내는 현대화와 경제 발전이 민주주의의 기반이 되는 이상적인 사회적, 문화적 조건을 만든다고 주장한다.[28]

3. 3. 비판적 시각

애덤 츠워스키 등은 1인당 소득 증가가 민주주의 전환을 보장하지 않으며, 민주적 전환은 무작위적으로 발생한다고 주장했다.[30] 다론 아제모글루와 제임스 A. 로빈슨은 소득과 민주주의 사이의 상관관계가 국가 고정 효과를 통제하면 사라진다고 주장하며,[31] 현대화 이론이 다양한 정치 발전 경로를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32]

4. 현대화와 경제 발전

근대화 이론가들은 종종 전통을 경제 발전의 장애물로 여겼다. 근대화는 전통 사회에 폭력적이고 급진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37]

새뮤얼 P. 헌팅턴 등은 1960~1970년대에 권위주의 정권이 민주주의보다 더 큰 경제 성장을 가져온다고 주장했다.[38] 그러나 애덤 프제보르스키는 2000년 저서에서 "민주주의는 권위주의 정권만큼 경제적으로 좋은 성과를 낸다"고 반박했다.[39][40] 대런 아제모글루 등의 연구에서도 "민주주의는 1인당 GDP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졌다.[41]

4. 1. 경제 발전과 사회문화적 가치

세이무어 마틴 립셋에 따르면, 경제 상황은 해당 사회에 존재하는 문화적, 사회적 가치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36]

4. 2. 전통 사회의 변화와 비판

근대화 이론가들은 종종 전통을 경제 발전의 장애물로 여겼다. 세이무어 마틴 립셋에 따르면, 경제 상황은 해당 사회에 존재하는 문화적, 사회적 가치에 의해 크게 결정된다.[36] 또한 근대화는 전통 사회에 폭력적이고 급진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졌다. 비판론자들은 약속된 이점을 얻지도 못한 채 전통 사회가 파괴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한다.[37] 다른 사람들은 생활 수준, 물리적 인프라, 교육 및 경제적 기회의 개선을 지적하며 이러한 비판에 반박한다.

5. 현대화와 세계화

세계화는 경제, 정치, 사회 문화의 통합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국경을 넘어선 근대화의 확산과 관련이 있다.

5. 1. 세계 무역과 통신의 발전

초기 근대 시대에 유럽인들이 새로운 대륙을 발견한 이후 세계 무역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특히 산업 혁명과 20세기 중반의 컨테이너 선박 채택으로 인해 더욱 증가했다.

1990년까지 연간 국경 간 관광객 수는 4억 5,600만 명이었으며, 그 이후 거의 3배로 증가하여 2016년에는 총 12억 명을 넘어섰다.[42][43] 통신은 근대화로 인해 성장한 또 다른 주요 분야이다. 통신 산업은 자본주의가 전 세계로 확산되는 데 기여했으며, 전화, 텔레비전 방송, 뉴스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제공업체는 세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은 근대화 이론의 지지자였으며 텔레비전이 개발에 교육 도구를 제공할 잠재력이 있다고 믿었다.[44]

5. 2. 세계화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세계화는 많은 긍정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지만,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한다. 세계화의 지배적인 신자유주의 모델은 종종 사회 내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격차를 증가시킨다.[45] 개발도상국의 주요 도시에는 컴퓨터, 휴대폰, 위성 텔레비전 등 현대화된 세계의 기술이 극심한 빈곤과 공존하는 곳이 존재한다. 세계주의자들은 세계화 근대화 이론가들로, 세계화가 모든 사람에게 긍정적이며, 그 혜택이 여성과 어린이와 같은 취약 계층을 포함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결국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6. 현대화 이론의 적용 사례

(현대화 이론의 적용 사례 섹션은 원본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1. 1960년대 미국의 대외 원조 정책

존 F. 케네디 대통령(1961~1963)은 당시 "제3세계"로 불리던 지역의 경제 발전을 빠르게 하기 위해 경제학자 W.W. 로스토와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의 아이디어를 활용했다. 이들은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원조를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 근대화 모델을 제시했다.[46] 로스토는 저서 『경제 성장 단계』(1960)에서 발전 단계를 5단계로 제시하고, 개발도상국에서 중요한 단계는 두 번째 단계인 전환과 세 번째 단계인 자립 성장을 위한 도약 단계라고 주장했다. 로스토는 미국의 개입이 개발도상국을 세 번째 단계로 이끌 수 있으며, 성숙기에 도달하면 민주주의와 시민적 자유를 확립하고 인권을 제도화할 수 있는 활기찬 중산층을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마르크스주의에 도전하고 공산주의의 진격을 막을 수 있는 이론이었다.[46] 이 모델은 진보 동맹, 평화 봉사단, 평화를 위한 식량, 미국 국제 개발처(AID)의 기반이 되었다. 케네디는 1960년대를 "개발의 10년"으로 선포하고 대외 원조 예산을 크게 늘렸다. 근대화 이론은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한 설계, 근거, 정당성을 제공했다. 그러나 목표가 너무 컸고, 몇 년 안에 경제학자들은 유럽 중심의 근대화 모델이 적용하려는 문화에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포기했다.[47][48]

케네디와 그의 고문들은 근대화에 대한 이념적 가정을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했다. 그들은 근대성이 대상 국가에 좋을 뿐만 아니라 공산주의와 부유한 지주에 의한 전통적인 농촌 사회의 통제를 피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국가인 미국이 제3세계의 빈곤 국가에 이러한 이상을 전파할 의무가 있다고 믿었다. 그들은 이타적이고 자비로우면서도 강하고, 활기차고, 결단력 있는 프로그램을 원했다. 그것은 외교 정책 목적을 가진 자비였다. 마이클 레이텀은 이러한 이데올로기가 진보 동맹, 평화 봉사단, 그리고 남베트남의 전략 촌락 계획이라는 세 가지 주요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작용했는지 밝혔다. 그러나 레이텀은 이 이데올로기가 19세기에 영국, 프랑스, 그리고 다른 유럽 국가들의 제국주의적인 근대화 목표의 비강제적 버전이라고 주장한다.[49]

7. 현대화 이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

앙드레 군더 프랑크(1929–2005)[50], 이매뉴얼 월러스틴(1930–2019)[51] 등 많은 학자들은 1970년대부터 근대화 이론을 비판했다. 이들은 사회 근대화가 토착 문화 파괴와 서구화된 문화로의 대체를 필요로 한다고 보았다. 근대화 이론 지지자들은 서구 사회만 현대적이며, 다른 사회는 원시적이거나 덜 발전되었다고 주장하여, 서구와 동일한 생활 수준을 가졌더라도 근대화되지 않은 사회를 열등하게 여겼다. 반면, 비판론자들은 현대성이 문화와 무관하며 모든 사회에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본은 이러한 논쟁의 대표적인 예시인데, 일부는 일본이 비서구 사회에서도 현대적인 생활 방식이 가능하다는 증거로 보지만, 다른 이들은 일본이 근대화로 서구화되었다고 주장한다.

팁스(Tipps)는 이론가들이 근대화와 다른 과정(민주화, 자유화, 발전)을 혼동하여 용어가 부정확해지고 반증하기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14] 또한, 이 이론은 사회의 외부 변화 요인을 무시한다는 경험적 비판을 받는다. 전통과 현대의 이분법은 둘이 연결되어 있고 상호 의존적이기에 유용하지 않다.

근대화 이론은 유럽 중심주의라는 비판도 받는다. 근대화가 산업 혁명, 프랑스 혁명, 1848년 혁명과 함께 유럽에서 시작되었고[52] 오랫동안 유럽에서 가장 발전된 단계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인류학자들은 이러한 견해가 서구 문화에 특정한 문화 중심적이라고 비판한다.

7. 1. 종속 이론

종속 이론은 1950년대에 등장하여 제3세계 빈곤 국가의 저개발이 원자재에 대한 체계적인 제국주의적, 신식민주의적 착취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53] 종속 이론 지지자들은 자원이 가난하고 개발도상국인 "주변부"에서 선진국인 "핵심부"로 흘러가, 후자를 희생시키면서 전자를 풍요롭게 한다고 주장한다. 앙드레 군더 프랑크와 같은 종속 이론가들은 가난한 국가들이 "세계 체제"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인해 가난해지고 부유한 국가들은 부유해진다고 주장한다.[54]

종속 모델은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출신 민족주의자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연대에서 비롯되었다.[55] 이는 모든 사회가 유사한 발전 단계를 거친다는 근대화 이론에 대한 반발이었다. 근대화 이론은 오늘날의 저개발 지역이 과거의 선진국과 유사한 상황에 있으며, 따라서 저개발 지역을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과제는 투자, 기술 이전, 세계 시장과의 긴밀한 통합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러한 공통된 발전 경로를 가속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종속 이론은 이러한 관점을 거부하며, 저개발 국가가 단순히 선진국의 원시적인 형태가 아니라 고유한 특징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요한 것은 시장 경제에서 더 약한 구성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56]

7. 2. 배링턴 무어의 비교 역사 분석

배링턴 무어 주니어는 1966년 저서 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에서 근대화 이론을 비판했다.[57] 무어는 이 책에서 근대 세계로 가는 길은 자유 민주주의, 파시즘, 공산주의의 최소 세 가지가 있으며, 각 경로는 산업화 시점과 당시 사회 구조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근대화 이론과 달리 경제 발전이 항상 민주주의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58]

7. 3. 기예르모 오도넬의 관료적 권위주의론

정치학자 기예르모 오도넬은 그의 저서 《근대화와 관료적 권위주의》(1973)에서, 산업화가 민주주의를 낳는다는 세이무어 마틴 리프셋[16] 등의 주장에 반박했다. 오도넬은 남아메리카에서 산업화가 민주주의가 아닌 관료적 권위주의를 낳았다고 주장했다.

7. 4. 아제모글루와 로빈슨의 제도 경제학

다론 아제모글루와 제임스 A. 로빈슨 (2022)은 근대화 이론이 다양한 정치 발전 경로를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근대화 이론이 경제와 정치 사이의 연관성을 제도와 문화에 따라 조건부로 두지 않고, '역사의 종말'과 같은 확정된 종착점을 가정한다고 주장한다.[32]

참조

[1] 간행물 Non-Modernization: Power–Culture Trajectories and the Dynamics of Political Institutions 2022
[2] 서적 Politics and Paradigms: Changing Theories of Change in Social Science https://www.studocu.[...]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6
[3] 서적 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The Free Press 1992
[4] 간행물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Predispositions and Triggers 2020
[5] 서적 Handbook of Historical Sociology
[6] 간행물 Institutions, Human Capital, and Development https://www.annualre[...] 2014
[7] 간행물 Modernization: Theories and Facts https://www.jstor.or[...] 1997
[8] 간행물 Endogenous Democratization http://dx.doi.org/10[...] 2003
[9] 간행물 Democracy, Development,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http://dx.doi.org/10[...] 2011
[10] 문서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 Theories of Social Chan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11] 서적 Modernization and the Crisis of Development in Africa: The Nigeri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Ashgate
[12] 서적 Talcott Parsons on institutions and social evolution: selected writing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서적 Politics and Paradigms: Changing Theories of Change in Social Scienc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6
[14] 간행물 Modernization theory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national societies: A critical perspective
[15] 서적 Modernization, Cultural Change,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6] 간행물 Some Social Requisites of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Legitimacy 1959
[17] 간행물 Handbook of Historical Sociology https://connect.apsa[...]
[18] 간행물 Some Social Requisites of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Legitimacy 1959-03
[19] 문서 1997
[20] 간행물 The Odd Couple: Modernization and Democratization in Southeast Asia http://www.inquiries[...]
[21] 서적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22] 서적 Democracy in Developing Countries: Latin America
[23] 서적 Political Man
[24] 서적 Latin America: Underdevelopment or Revolution https://archive.org/[...]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25] 간행물 Modernization in Historical Perspective: The Case of Imperial Germany
[26] 간행물 The Alliance for Progress, modernization theory, and the history of management education: The case of CEPAL in Brazil 2020-02
[27] 간행물 Does China's Case Falsify Modernization Theory? Interim Assessment https://doi.org/10.1[...] 2023-01-04
[28] 간행물 How Development Leads to Democracy
[29] 서적 China Modernizes: Threat to the West or Model for the Rest?
[30] 간행물 Democratic Transitions http://nrs.harvard.e[...]
[31] 문서 Income and Democracy 2008
[32] 간행물 Non-Modernization: Power–Culture Trajectories and the Dynamics of Political Institutions https://www.annualre[...] 2022
[33] 서적 Modernization, Cultural Change,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4] 서적 Modernization, Cultural Change,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5] 간행물 Modernization Theory as a Case of Failed Knowledge Production https://mk0apsaconne[...] 2018
[36] 서적 Elites in Lat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Quand la misère chasse la pauvreté Actes Sud
[38] 서적 No Easy Choice: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Harva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Democracy and Development: Political Institutions and Well-Being in the World, 1950–1990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Passion, Craft, and Method in Comparative Politic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1] 논문 Democracy Does Cause Growth https://economics.mi[...]
[42] 문서 Knowles, 1994: FT, 7 January 1997: V11
[43] 웹사이트 Sustained growth in international tourism despite challenges {{!}} World Tourism Organization UNWTO http://www2.unwto.or[...] 2017-09-30
[44] 저널 Educational Television in El Salvador and Modernisation Theory 2009
[45] 서적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4
[46] 서적 Butter and guns: America's Cold War economic diplomacy
[4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F. Kennedy https://www.cambridg[...]
[48] 서적 Modernization as Ideology: American Social Science and "Nation Building" in the Kennedy Era
[49] 서적 Modernization as Ideology. American Social Science and "Nation Building" in the Kennedy Era
[50] 서적 Theory and methodology of world development: The writings of Andre Gunder Frank Springer
[51] 저널 Wallerstein's world capitalist system: a theoretical and historical critique
[52] 서적 Sociology: a global introduction Pearson Prentice Hall 2008
[53] 서적 The Encyclopedia of Empire
[54] 서적 Andre Gunder Frank and global development: visions, remembrances, and explorations Routledge
[55] 저널 The underdevelopment of development literature: the case of dependency theory
[56] 웹사이트 Economic Development http://homepage.news[...] Newschool
[57] 서적 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Lord and Peasant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Beacon Press
[58] 서적 State Formation, Regime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Routledge Press
[59] 서적 발전론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09
[60] 서적 제3세계정치론 법문사 1987
[61] 저널 Theories That Won’t Pass Away: The Never-ending Story http://193.231.20.29[...] SAGE Publications 2017-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