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키부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키부네는 에도 시대에 에도 막부에 의해 500석 이상의 대형 군선 건조가 금지된 이후, 평시 해상 단속에 사용된 일본의 군선이다. 안택선보다 기동성이 뛰어나고 속력이 빠른 특징을 가지며, 야구라라고 불리는 갑판 상부 구조물과 40~80척의 노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무사들의 화승총과 활을 이용한 사격, 적선에 접근하여 현측공격을 하는 방식으로 전투를 수행했다. 서국 제후들의 참근교대용 어좌선으로도 사용되었으며, 막부의 정이대장군의 어좌선으로 텐치마루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선 - 아타케부네
    아타케부네는 일본 중세부터 근세에 사용된 대형 군선으로, '바다 위의 성'이라 불릴 정도로 거대했지만 속도와 외양 항해의 제한으로 연안 작전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센고쿠 시대 해상 군사력 경쟁 심화로 등장하여 권력자들이 활용했으나 에도 시대 막부 통제와 평화 도래로 쇠퇴하여 아타케마루 해체를 끝으로 사라졌다.
  • 화선 - 고바야
    고바야는 일본 전국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사용된 소형 선박으로, 전국시대에는 정찰 및 전령 임무, 특히 모리 수군과 무라카미 수군의 주력 함선으로, 에도 시대에는 각 번의 주력 군선 및 상선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지역 축제에서 체험 행사로 남아있다.
  • 임진왜란의 일본군 장비 - 아타케부네
    아타케부네는 일본 중세부터 근세에 사용된 대형 군선으로, '바다 위의 성'이라 불릴 정도로 거대했지만 속도와 외양 항해의 제한으로 연안 작전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센고쿠 시대 해상 군사력 경쟁 심화로 등장하여 권력자들이 활용했으나 에도 시대 막부 통제와 평화 도래로 쇠퇴하여 아타케마루 해체를 끝으로 사라졌다.
  • 임진왜란의 일본군 장비 - 고바야
    고바야는 일본 전국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사용된 소형 선박으로, 전국시대에는 정찰 및 전령 임무, 특히 모리 수군과 무라카미 수군의 주력 함선으로, 에도 시대에는 각 번의 주력 군선 및 상선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지역 축제에서 체험 행사로 남아있다.
  • 임진왜란의 군함 - 아타케부네
    아타케부네는 일본 중세부터 근세에 사용된 대형 군선으로, '바다 위의 성'이라 불릴 정도로 거대했지만 속도와 외양 항해의 제한으로 연안 작전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센고쿠 시대 해상 군사력 경쟁 심화로 등장하여 권력자들이 활용했으나 에도 시대 막부 통제와 평화 도래로 쇠퇴하여 아타케마루 해체를 끝으로 사라졌다.
  • 임진왜란의 군함 - 판옥선
    판옥선은 정걸 장군이 건조한 조선 시대 군함으로, 2층 구조, 빠른 선회, 강력한 화력을 특징으로 하며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 함선이었다.
세키부네
일반 정보
세키부네
에도 시대의 세키부네 모형
유형전함
사용 국가일본
사용 시기센고쿠 시대 ~ 에도 시대
크기
전장15~16m (50~53척)
3.6~4.5m (12~15척)
갑판
1층
추진
동력
노 수20~28개
무장
주요 무기



쇠뇌
기타 정보
관련 함선아타케부네
고바야

2. 역사

세키부네는 안택선보다 공격력과 방어력은 떨어지지만, 기동성과 속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안택선을 전함에 비유한다면, 세키부네는 순양함에 해당한다. 세키부네라는 명칭은 기동성이 뛰어나 다른 선박에 접근하여 통행료를 징수하는 수상 관문 역할에 적합했기 때문에 유래되었다고 여겨진다.

일포사전(日葡辭書)에는 "xeqi(関)"를 "관문", "해적", "xeqibune(関船)"을 "해적선"이라고 기록하고 있어, 수상의 관문과 해적들, 그리고 세키부네가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1]

세키부네는 선체의 거의 전장에 걸쳐 야구라(矢倉)라고 불리는 갑판 상부 구조물(총야구라)을 가지고 있으며, 노의 수가 40~80척 정도이다. 총야구라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안택선과 공통되지만, 안택선의 선수가 각이 져 수중 저항이 큰 구조였던 것과 달리, 세키부네는 뾰족한 선수(일본수오시(一本水押))를 가지고 있다. 선체의 종횡비도 안택선보다 가늘고 길어 고속 항해에 적합하다. 기본적인 구조는 에도 시대의 주력 상선인 벤자이센(弁才船)과 가깝다. 총야구라 주위는 방패라고 불리는 목재 장갑으로 둘러싸여 있어 전투원과 노를 젓는 선원을 화살과 총탄으로부터 보호하지만,[2] 안택선보다 방패가 얇아 방탄 성능은 낮다. 경량화를 위해 대나무 방패를 사용하기도 한다. 돛대는 분리 가능하며, 순항 시에는 범선으로 항해하고, 전투 시에는 돛대를 야구라 위로 넘어뜨리고 노를 이용한다.

주된 공격 수단은 승선한 무사가 장비한 화승총을 이용한 사격과, 적선에 접근하여 현측공격하는 것이다. 사격을 위해 방패에는 좁마(狹間)라고 불리는 총안이 설치되어 있다. 당시 일본식 배는 용골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를 으로 고정하는 조선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세키부네는 경량이면서 견고하지만 충돌에 의한 파손에는 약하고 돌격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서양선이나 중국선보다 사용할 수 있는 전술의 폭이 좁다.

신송원(信松院)에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제작된 1/25 크기의 안택선과 세키부네의 목제 모형이 봉납되어 있으며,[3] 현재 도쿄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2. 1. 에도 시대

에도 시대에 들어서면서 에도 막부에 의해 500석 이상의 대형 군선의 건조가 금지되었고(대선건조금지), 평시 해상 단속에는 안택선보다 빠른 세키부네가 사용하기에 더 편리했기 때문에, 세키부네가 가장 큰 군선이 되었다. 서국 제후들이 참근교대에 사용하는 어좌선에도 호화로운 장식이 된 세키부네가 사용되게 되었다. 막부도 정이대장군의 어좌선으로 세키부네 "텐치마루(天地丸)"를 사용하였다.[3]

3. 구조

세키부네는 선체 전체에 걸쳐 야구라(矢倉)라고 불리는 갑판 상부 구조물(총야구라)을 가지고 있으며, 노의 수는 40~80척 정도이다. 안택선과 달리 선수(船首)는 일본수오시(一本水押)의 뾰족한 형태를 하고 있어, 선체의 종횡비가 안택선보다 가늘고 길어 고속 항해에 적합하다. 기본적인 구조는 에도 시대의 주력 상선인 벤자이센(弁才船)과 가깝다.

에도 막부는 500석 이상의 대형 군선 건조를 금지했는데(대선건조금지), 이 때문에 평시 해상 단속에 유리한 세키부네가 가장 큰 군선이 되었다. 서국 제후들의 참근교대에 사용되는 어좌선에도 호화로운 장식의 세키부네가 사용되었고, 막부도 정이대장군의 어좌선으로 세키부네 "텐치마루(天地丸)"를 사용하였다.

신송원(信松院)에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제작된 1/25 크기의 안택선과 세키부네 목제 모형이 봉납되어 있으며,[3] 이 모형들은 현재 도쿄도의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3. 1. 방어

세키부네는 선체의 거의 전장에 걸쳐 야구라(矢倉)라고 불리는 갑판 상부 구조물(총야구라)을 가지고 있으며, 총야구라 주위는 방패라고 불리는 목재 장갑으로 둘러싸여 있다.[2] 이 방패는 전투원과 노를 젓는 선원을 화살과 총탄으로부터 보호하지만,[2] 안택선보다 얇아 방탄 성능은 떨어진다. 경량화를 위해 대나무로 만든 방패를 사용하기도 한다.

3. 2. 추진력

세키부네는 안택선보다 공격력과 방어력은 떨어지지만, 기동성과 속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안택선을 전함에 비유한다면, 세키부네는 순양함에 해당한다. 선체의 거의 전장에 걸쳐 야구라(矢倉)라고 불리는 갑판 상부 구조물(총야구라)을 가진 형태이며, 노의 수가 40~80척인 것이 세키부네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총야구라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안택선과 공통점이지만, 안택선의 선수가 각이 져 수중 저항이 큰 구조였던 것과 달리, 세키부네는 뾰족한 선수를 가지고 있다. 선체의 종횡비도 안택선보다 가늘고 길어 고속 항해에 적합하다. 기본적인 구조는 에도 시대의 주력 상선인 벤자이센(弁才船)과 가깝다.[1]

총야구라 주위는 방패라고 불리는 목재 장갑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전투원과 노를 젓는 선원을 화살과 총탄으로부터 보호한다.[2] 그러나 안택선보다 방패가 얇아 방탄 성능은 낮다. 경량화를 위해 대나무로 만든 방패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돛대는 분리 가능하며, 순항 시에는 범선으로 항해하고, 전투 시에는 돛대를 야구라 위로 넘어뜨리고 노를 이용하여 항해한다.

공격 수단으로는 주로 승선한 무사가 장비한 화승총을 이용한 사격과, 적선에 접근하여 현측공격하는 방식이다. 사격을 위해 방패에는 좁마(狹間)라고 불리는 총안이 설치되어 있다. 당시의 일본식 배에 공통적인 특징으로, 세키부네도 용골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를 으로 고정하는 조선법을 사용하고 있어, 경량이면서 견고하지만, 충돌에 의한 파손에는 약하고 돌격에는 적합하지 않다.

3. 3. 공격

안택선보다 공격력과 방어력은 떨어지지만, 기동성이 뛰어나고 속력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주요 공격 방식은 무사가 장비한 화승총을 이용한 사격, 그리고 적선에 접근하여 현측공격을 하는 것이다. 사격을 위해 방패에는 좁마(狹間)라고 불리는 총안이 설치되어 있다.[1] 일본식 배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세키부네도 용골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를 과 꺾쇠로 고정하는 조선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볍고 견고하지만 충돌에 의한 파손에는 약하여 돌격에는 적합하지 않다.[2] 따라서 서양선이나 중국선보다 사용할 수 있는 전술의 폭이 좁다.

3. 4. 한계

세키부네는 안택선보다 공격력과 방어력은 떨어지지만, 기동성과 속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안택선을 전함에 비유한다면, 세키부네는 순양함에 해당하는 함종이다.

구조적으로 보면, 선체의 거의 전장에 걸쳐 야구라(矢倉)라고 불리는 갑판 상부 구조물(총야구라)을 가지고 있으며, 노의 수가 40~80척인 것이 세키부네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총야구라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안택선과 공통점이지만, 안택선이 수중 저항이 큰 구조였던 것과 달리, 세키부네는 뾰족한 선수를 가지고 있어 고속 항해에 적합하다.

총야구라 주위는 방패라고 불리는 목재 장갑으로 둘러싸여 전투원과 노를 젓는 선원을 화살과 총탄으로부터 보호하지만,[2] 안택선보다 방패가 얇아 방탄 성능은 낮다. 경량화를 위해 대나무로 만든 방패를 사용하기도 한다.

공격 수단은 주로 승선한 무사가 장비한 화승총을 이용한 사격과, 적선에 접근하여 현측공격하는 것이다. 당시 일본식 배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세키부네도 용골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를 과 꺾쇠로 고정하는 조선법을 사용하고 있어, 경량이면서 견고하지만, 충돌에 의한 파손에는 약하고 돌격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서양선이나 중국선보다 사용할 수 있는 전술의 폭이 좁다.

4. 의의 및 평가

세키부네는 안택선보다 공격력과 방어력은 떨어지지만, 기동성과 속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안택선을 전함에 비유한다면, 세키부네는 순양함에 해당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세키부네는 다른 선박에 접근하여 통행료를 징수하는 수상의 관문 역할에 적합했으며, 명칭도 여기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1]

일포사전(日葡辭書)에는 "xeqi(関)"를 "관문", "해적", "xeqibune(関船)"을 "해적선"이라고 기록하고 있어, 수상의 관문과 해적, 그리고 세키부네가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1]

에도 시대에는 대선건조금지로 인해 500석 이상 대형 군선 건조가 금지되었다. 평시 해상 단속에는 안택선보다 빠른 세키부네가 더 편리했기 때문에 가장 큰 군선이 되었다. 서국 제후들의 참근교대에 사용되는 어좌선에도 호화로운 장식이 된 세키부네가 사용되었으며, 막부도 정이대장군의 어좌선으로 세키부네 "텐치마루(天地丸)"를 사용하였다.

참조

[1] 논문 河野氏の守護支配と伊予海賊衆 / 河野氏の守護支配と瀬戸内の海上勢力 戎光祥出版 1996
[2] 서적 小田原北条記
[3] 웹사이트 木製軍船ひな形 https://bunkazai.met[...]
[4] 서적 기술, 배, 정치-기술배정치는 세계패권을 어떻게 바꿨는가? http://book.naver.co[...] # 출판사 정보 부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