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셰르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 티베트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성조 언어이며, 솔루, 쿰부, 파락, 드람, 시킴 셰르파어 등 5개의 방언이 존재한다. 셰르파어는 SOV 어순을 따르며, 동사, 명사, 대명사, 형용사 등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의 언어 - 중앙 티베트어
    중앙 티베트어는 티베트어군의 방언으로, 라싸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암도 티베트어와 70%, 캄 티베트어와 8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이고, 자음 및 모음 체계는 다양한 표기법으로 표기된다.
  • 티베트의 언어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네팔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티베트버마어파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구룽어
    구룽어는 티베트-부르마어족의 구룽어파에 속하며 네팔과 인도에서 사용되는 성조 언어이다.
셰르파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셰르파어
고유 이름"셰르위 탐녜", śērwī tamṅē, "ཤར་པའི་སྐད་ཡིག", shar pa'i skad yig
사용 지역네팔, 인도
사용자 민족셰르파족
사용자 수135,000명
사용 시기2011년 & 2021년 인구 조사
언어 계통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
티베트-카나우리어군(?)
보드어군
티베트어군
남부 티베트어
문자티베트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사용 국가네팔
인도 시킴주 (추가)
ISO 639-3xsr
Glottologsher1255
Glottolog 이름솔루-쿰부 셰르파어
지역네팔, 시킴주
위험도취약 (UNESCO)
추가 정보
다른 이름셰르와
언어 분류티베트어군
문화
역사와 문화셰르파족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언어

2. 분류

셰르파어는 티베트-버마어족의 티베트어파에 속한다. 셰르파어는 중앙 티베트어, 지렐어, 훔라어, 무곰 방언, 돌포어(중앙 티베트어), 로케어, 누브리어, 츠움어, 랑탕어(키롱-카가테어), 키롱어, 욜모어, 걀숨도어, 카가테어, 로미어, 발룽어(반타와어), 토크페 골라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문어 티베트어의 'LT'는 /lh/로, 'SR-'는 /ʈ/로 변한다.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5개의 방언이 있는데, 솔루, 쿰부, 파락, 드람, 시킴 셰르파어이다.[3]

3. 음운

셰르파어는 성조 언어이다.[6][4] 셰르파어에는 높은 성조, 높이 떨어지는 성조, 낮은 성조, 낮게 올라가는 성조의 네 가지 성조가 있다.[6][4][9] 의문문의 마지막 음절은 단어의 일반적인 성조와 관계없이 상승하는 성조로 발음된다.

3. 1. 자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설후음치경구개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 | | | |
파열음/
마찰파열음
무성음| | | | | |
유기음| | | | | |
유성음| | | | | |
마찰음| | | | | |
유음무성음| | | | | |
유성음| | | | | |
반모음| | | | | |


  • 파열음 는 어말 위치에서 무방출음 이 될 수 있다.
  • 구개음 은 앞에서 연구개음 으로 중화될 수 있다.
  • 은 설후음 파열음 앞에서 설후음 비음 이 될 수 있다.
  • 는 빠른 말씨에서 의 이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 /l/과 /r/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무성음화된다.

3. 2. 모음

rowspan="2" |전설 모음후설 모음
구강 모음비강 모음구강 모음비강 모음
고모음iĩuũ
중고모음eoõ
중저모음ɛɛ̃ɔɔ̃
저모음aãʌʌ̃


  • 모음 /i, u/는 자음 사이와 폐쇄음절에서 [ɪ, ʊ]의 이음으로 나타난다.[6]

3. 3. 성조

셰르파어는 성조 언어이다.[6][4][9] 네 가지의 독립된 성조가 있는데, 높은 성조, 높이 떨어지는 성조, 낮은 성조, 그리고 낮게 올라가는 성조이다. 단어의 일반적인 성조와 관계없이 의문문의 마지막 음절은 상승하는 성조로 발음된다.

4. 문법

셰르파어는 음성학적으로 성조 언어이다.[9] SOV 언어의 일종으로, 동사가 문장 끝에 온다.[9]

동사 어간은 시상과 법에 따라 변화한다. 완료 시상과 미완료 시상은 종종 각각 과거 시제와 비과거 시제로 취급된다.[9] 시상-법 접미사는 아래 표와 같다.

시상-법 접미사
형태접미사
원형-u/-p
분리 동사/권유-(k)i
과거 관찰-suŋ
놀람-nɔk
의지
증강-(s)a
분사-CṼ(C),-n
지속-i
서술-si
여격-ne
처소격-la



연결 동사(미완료 ''hín'', 완료 ''hot̪u'')는 존재, 위치, 동일성 및 형용사 술어에 사용된다.[9] 부정 입자 ''má''는 완료 동사와 함께 사용된다.[9]

셰르파어에는 주격, 소유격, 여격, 탈격의 네 가지 격어미가 있다. 이 어미는 동사의 목적어를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종횡비에 따라 분열적격 체계가 사용되는데, 미완료 시제에서는 주격-목적격 일치를, 완료 시제에서는 능격-절대격 일치를 따른다.[7]

셰르파어의 인칭 대명사는 수와 격에 따라 어형이 변화하며, 아래 표와 같다.

셰르파어의 인칭 대명사
인칭단수복수
주격소유격조격
1인칭(포함)------d̪ʌkpud̪ʌkpid̪ʌkpula
1인칭(배제)ŋʌɲɛŋʌlaɲirʌŋɲireɲirʌŋla
2인칭cʰuruŋcʰorecʰuruŋlacʰírʌŋcʰírecʰírʌŋla
3인칭t̪ít̪íkit̪ílat̪iwɔ́t̪íwit̪iwɔ́la



명사구의 일반적인 어순은 '명사-형용사'이다. 수량사와 수사도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온다. 셰르파어의 숫자는 아래 표와 같다.

셰르파어 숫자
의미의미
하나čìk열하나čučik
ɲì열두čìŋɲi
sùm열셋čùpsum
ǰi스무kʰʌlǰik
다섯ŋà스무 하나kʰʌlǰik
여섯t̪úk서른kʰʌlsum
일곱d̪inkʰʌlŋa
여덟jɛ́일흔kʰʌld̪in
아홉gu아흔kʰʌlgu
čìt̪ʰʌmbakʰʌl čìt̪ʰʌmba


4. 1. 동사

동사 어간은 시상과 법에 따라 변화한다. 미완료 시상과 완료 시상, 의지(행위가 의도적이었는지 여부), 원형, 분리 동사, 명령법(명령) 법이 구분된다. 동사 접미사에서는 원형, 분리 동사(의도되지 않았거나 의도된 것으로 알려지지 않은 행위), 과거 관찰, 놀람(화자의 놀라움), 의지, 증강(강도 증가), 분사, 지속(행위가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됨), 권유(복수 명령), 서술(이야기 서술), 하강, 여격, 처소격이 구분된다. 동사 어간에는 최대 세 개의 접미사가 붙을 수 있다. 완료 시상과 미완료 시상은 종종 각각 과거 시제와 비과거 시제로 취급된다.[9] "처소격"과 "여격"이라는 용어는 시상의 기능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같은 이름의 동형의 격과 유사한 클리틱을 가리킨다.[9] 셰르파어는 엄격하게 동사가 문장 끝에 온다.[9]

시상-법 접미사
형태접미사
원형-u/-p
분리 동사/권유-(k)i
과거 관찰-suŋ
놀람-nɔk
의지
증강-(s)a
분사-CṼ(C),-n
지속-i
서술-si
여격-ne
처소격-la



원형은 관계절의 동사와 특정 주어가 없는 일반적인 행위를 나타낸다.[9] 여격 표시는 어떤 인과 관계가 있는 연속적인 행위를 나타낸다.[9] 처소격 표시는 주절의 행위가 처소절의 행위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될 때를 나타낸다.[9]

연결 동사(미완료 ''hín'', 완료 ''hot̪u'')는 존재, 위치, 동일성 및 형용사 술어에 사용된다.[9] 증거 입자 ''wɛ́''는 화자가 목격한 행위를 나타내기 위해 구절 끝에 나타난다.[9] 부정 입자 ''má''는 완료 동사와 함께 사용된다.[9]


  • SOV 언어

4. 2. 명사

셰르파어에는 명사에 붙는 어미가 네 가지 있다. 주격, 소유격, 여격, 탈격이다. 이러한 어미는 동사의 목적어를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종횡비에 따라 분열적격 체계가 사용되는데, 미완료 시제에서는 주격-목적격 일치를, 완료 시제에서는 능격-절대격 일치를 따른다.[7]

4. 3. 대명사

셰르파어의 인칭 대명사는 수와 격에 따라 어형이 변화한다. 3인칭 대명사는 지시 대명사로 사용될 수 있으며, 3인칭 단수 주격은 명사 뒤에 오는 정관사 역할도 한다.[9]

셰르파어의 인칭 대명사
인칭단수복수
주격소유격조격
1인칭(포함)------d̪ʌkpud̪ʌkpid̪ʌkpula
1인칭(배제)ŋʌɲɛŋʌlaɲirʌŋɲireɲirʌŋla
2인칭cʰuruŋcʰorecʰuruŋlacʰírʌŋcʰírecʰírʌŋla
3인칭t̪ít̪íkit̪ílat̪iwɔ́t̪íwit̪iwɔ́la


4. 4. 형용사

셰르파어에서 명사구의 일반적인 어순은 명사-형용사이다. 수량사와 수사도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온다. 수사는 서수를 나타내는 접미사 '-pa' 또는 집합을 나타내는 접미사 '-kʌr'을 취할 수 있다.[9]

셰르파어 숫자
의미의미
하나čìk열하나čučik
ɲì열두čìŋɲi
sùm열셋čùpsum
ǰi스무kʰʌlǰik
다섯ŋà스무 하나kʰʌlǰik
여섯t̪úk서른kʰʌlsum
일곱d̪inkʰʌlŋa
여덟jɛ́일흔kʰʌld̪in
아홉gu아흔kʰʌlgu
čìt̪ʰʌmbakʰʌl čìt̪ʰʌmba


5. 어휘

셰르파어의 요일
요일셰르파어
일요일ŋi`ma (Ng'는 /ŋ/.)
월요일Dawa
화요일Miŋma
수요일Lakpa
목요일Phurba
금요일Pasaŋ
토요일Pemba


6. 예시 문구

'''세계인권선언 제1조 셰르파어 예시 문구'''

문자원문한국어 발음
데바나가리 문자मि रिग ते रि रङ्वाङ् दङ् चिथोङ गि थोप्थङ डडइ थोग् क्येउ यिन्। गङ् ग नम्ज्योद दङ् शेस्रब् ल्हन्क्ये सु ओद्दुब् यिन् चङ् । फर्छुर च्यिग्गि-च्यिग्ल पुन्ग्यि दुशेस् ज्योग्गोग्यि।sa미 릭 떼 리 랑왕 당 치통 기 톱탕 다다이 톡 쀼 인. 강 가 남줃 당 셑랍 란켸 수 옷둡 인 창. 파르추르 찟기-찟글라 뿡기 두셰 조꾜기.
티베트 문자མི་རིགས་ཏེ་རི་རང་དབང་དང་རྩི་མཐོང་གི་ཐོབ་ཐང་འདྲ་འདྲའི་ཐོག་སྐྱེའུ་ཡིན། གང་ག་རྣམ་དཔྱོད་དང་ཤེས་རབ་ལྷན་སྐྱེས་སུ་འོད་དུབ་ཡིན་ཙང་། ཕར་ཚུར་གཅིག་གིས་གཅིག་ལ་སྤུན་གྱི་འདུ་ཤེས་འཇོག་དགོས་ཀྱི།bo미 릭떼 리 랑왕 당 찌 통 기 톱탕 다다이 톡 쀼 인. 강 가 남줃 당 셰랍 란켸 수 옷둡 인 짱. 파르추르 찟기 찟글라 뿡기 두셰 죢꾜 끼.
IAST 표기미 릭 떼 리 랑왕 당 치통 기 톱탕 다다이 톡 쀼 인. 강 가 남줃 당 셑랍 란켸 수 옷둡 인 창. 파르추르 찟기-찟글라 뿡기 두셰 조꾜기.
와일리 표기미 릭떼 리 랑왕 당 찌 통 기 톱탕 다다이 톡 쀼 인. 강 가 남줃 당 셰랍 란켸 수 옷둡 인 짱. 파르추르 찟기 찟글라 뿡기 두셰 죢꾜 끼.
한국어 번역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타고났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50th Report of the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in India http://nclm.nic.in/s[...] 2014-07-16
[2] 웹사이트 Sherpa {{!}} History & Culture https://www.britanni[...] 2021-02-28
[3] 논문 The Tibetic languages and their classification
[4] 웹사이트 Sherp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19-08-30
[5] 간행물 Nepalese Linguistics http://himalaya.soca[...] 2008-11
[6] 서적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the Sherpa Language
[7] 논문 A grammar of Hile Sherpa https://theswissbay.[...]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7-04
[8] 웹사이트 Sherpa Ethnologue
[9] 웹사이트 https://www.ethnol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