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요일은 로마 시대에 "달의 날"을 의미하는 라틴어 "diēs Lūnae"에서 유래된 요일로, 많은 언어에서 이 명칭을 따르거나 번역하여 사용한다. 영어의 "Monday"는 고대 영어 "mōnandæg"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어와 일본어는 "달의 날"을 뜻하는 한자를 공유한다. 일부 슬라브어와 터키어에서는 "일요일 이후"를 의미하는 명칭을 사용하며, 국제 항공 업계에서는 월요일을 "1"로 표기한다. 역사적으로는 일요일이 주의 시작이었으나, 현재 ISO 8601 표준에서는 월요일을 주의 첫 번째 날로 정하고 있다. 월요일은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적 관습과 관련되어 있으며, 문화적으로는 우울함, 불안, 불운의 날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요일 - 검은 월요일
검은 월요일은 대규모 인명 피해, 사회적 혼란, 경제적 위기 등 부정적인 사건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1209년 더블린 학살부터 2022년 스리랑카 시위대 공격과 경제적, 사회적 위기, 미국프로풋볼 감독 경질, 겨울방학 후 개학일 등 다양한 사건을 포함하며, 각 사건의 의미는 시대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 월요일 - 검은 월요일 (1987년)
1987년 검은 월요일은 10월 19일 전 세계 주식 시장에서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가 하루 만에 22.6% 폭락한 주가 대폭락 사태로, 세계 경제에 큰 충격을 주어 금융 시장 안정화를 위한 각국의 노력을 촉발했다. - 요일 - 일요일
일요일은 토요일과 월요일 사이의 한 주의 마지막 날로, 많은 국가에서 휴일이며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주일로 지켜지고, 헬레니즘 점성술에서 유래한 "태양의 날"을 의미하며, 콘스탄티누스 1세가 안식일로 선포한 이후 휴일로서의 의미가 확산되어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 요일 - 목요일
목요일은 수요일과 금요일 사이의 요일로, 유럽어권에서는 토르 또는 유피테르의 날에서 유래했으며, 한국과 일본에서는 목성을 상징하고, 인도에서는 브리하스파티를 지칭하며, 여러 종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한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영국의 총선이 치러지는 날이기도 하다. - 달력에 관한 - 9월 22일
9월 22일은 살라미스 해전,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대구 미국문화원 폭발 사건 등 세계 및 한국사의 주요 사건들과 추분, OneWebDay 등의 문화적 기념일, 그리고 마이클 패러데이, 김광섭, 김미화 등 다양한 분야 저명한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일이 있는 날이다. - 달력에 관한 - 11월 15일
11월 15일은 화약 음모 사건, 미국 독립을 위한 연합 조약 채택, 세계 인구 80억 명 돌파와 같은 세계적인 사건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종료, 국가정보원 도청 수사, 포항 지진과 같은 한국 관련 사건을 포함하며 역사적 인물들의 탄생 및 사망과 여러 국가의 기념일이 있는 날이다.
월요일 | |
---|---|
날짜 및 시간 | |
요일 | 월요일 |
순서 | 1번째 요일 |
이전 요일 | 일요일 |
다음 요일 | 화요일 |
어원 | |
영어 | Monday (달의 날) |
게르만어 | Mōnandæg (달의 날) |
라틴어 | Dies lunae (달의 날) |
문화 | |
서양 문화 | 한 주의 시작 |
노동 문화 | 우울함을 느끼는 날 (월요병) |
ISO 8601 | |
표현 | 1 |
2. 명칭
요일 이름은 로마 제국 시대에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만들어졌다. 월요일은 그리스어로 ἡμέρᾱ Σελήνης|헤메라 셀레네스grc, 라틴어로 ''diēs Lūnae''이며, 이는 모두 '달의 날'을 뜻한다.[3] 많은 언어의 월요일 명칭은 여기서 유래하거나 이를 번역한 것이다.
2. 1. 다양한 언어에서의 명칭

요일 이름은 로마 제국 시대에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영향을 받아 정립되었다. 월요일은 그리스어로 ἡμέρᾱ Σελήνης, 라틴어로 ''diēs Lūnae''인데, 이는 모두 "달의 날"을 의미한다.[3] 많은 언어에서 이 명칭을 직접 차용하거나 번역하여 사용한다.
영어의 ''Monday''는 고대 영어 ''mōnandæg''(달의 날)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라틴어 ''lunae dies''를 게르만어파에서 받아들여 번역한 것이다.[4]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 예를 들어 네덜란드어 ''Maandag'', 독일어 ''Montag'', 스웨덴어 및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måndag'', 아이슬란드어 ''mánudagur'', 덴마크어 및 노르웨이어(부크몰) ''mandag'' 등도 모두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4]
한국어의 '월요일(月曜日)'과 일본어의 '月曜日'(げつようび|게쓰요비일본어)는 동일한 한자 표기를 사용하며, 이는 칠요(七曜) 중 하나인 달에서 유래하여 "달의 날"을 뜻한다. 많은 인도 아리아어족 언어에서도 산스크리트어 ''Somavāra'' 또는 ''Chandravāra''(달의 날)에서 파생된 단어를 사용한다.[5]
일부 언어권에서는 종교적 이유로 행성이나 신의 이름 대신 숫자를 사용하여 요일을 부른다. 이는 성경의 전통을 따라 월요일을 "두 번째 날"로 여기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히브리어 יום שני, 그리스어 Δευτέρα ἡμέρα (''Deutéra hēméra''), 라틴어 ''feria secunda'', 아랍어 الأثنين|알아쓰나인ar 등이 있다. 베트남어의 'ngày thứ haivi' 역시 "두 번째 날"이라는 의미이다.
많은 슬라브어족 언어에서는 월요일을 "일요일/휴일 다음 날"이라는 의미로 부른다. 러시아어 понедельник|포네델니크ru는 문자 그대로 "주(週) 다음 날"을 뜻하며, 크로아티아어 및 보스니아어 ''ponedjeljak'', 세르비아어 понедељак|포네델랴크sr, 우크라이나어 понеділок|포네딜로크uk, 불가리아어 понеделник|포네델니크bg, 폴란드어 ''poniedziałek'', 체코어 ''pondělí'', 슬로바키아어 ''pondelok'', 슬로베니아어 ''ponedeljek'' 등도 유사한 어원을 갖는다. 터키어 pazartesi|파자르테시tr 역시 "일요일 다음"을 의미한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월요일을 '星期一|싱치이중국어' 또는 '礼拜一|리바이이중국어'라고 하며, 이는 "주의 첫 번째 날"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청나라 말까지는 중국의 역서에서도 '月曜(월요)' 또는 '月二(월이)'라고 불렀다.
한편,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표준 시간표 정보 매뉴얼(SSIM) 규격[22][23]에 따라 국제 항공 업계에서는 월요일을 숫자 "1"로 표기한다.[24]
3. 역사
역사적으로 그리스 로마 시대에는 일요일(dies solis)이 주의 시작이었고, 월요일(dies lunae)은 주의 두 번째 날이었다.[3] 이러한 전통은 가톨릭교회의 전례력에서 월요일을 여전히 feria secundala라고 부르는 관습에 남아있다. 퀘이커 교도들 역시 전통적으로 월요일을 "두 번째 날"이라고 불렀다.[6]
포르투갈어(segunda-feira)와 그리스어(동방 정교회)(Δευτέρα|데프테라el, "deutéra" "두 번째")에서도 이러한 전례적 전통을 따라 월요일을 두 번째 날로 여긴다. 베트남어는 포르투갈 예수회 선교사들이 로마자 표기법을 도입하면서 이 관례를 받아들여 월요일을 두 번째 날(thứ Haivi)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현대 히브리어에서도 월요일은 יום שני|욤 셰니he(yom-sheni)로, "두 번째 날"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대에는 다른 관점도 존재한다. 북미에서는 여전히 일요일을 주의 첫 번째 날로 간주하지만, 국제 표준화 기구 (ISO)의 ISO 8601 표준에서는 월요일을 주의 첫 번째 날로 규정하고 있다. 중국어에서도 월요일은 星期一|싱치이중국어(xīngqīyī)라고 하며, 이는 "주의 첫째 날"을 의미한다.
4. 종교적 관습
월요일은 여러 종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날로, 다양한 종교적 관습과 연결되어 있다. 기독교의 일부 교파에서는 월요일을 천사를 기념하거나 금식을 실천하는 날로 여기며,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는 가족이 함께 모이는 가족의 밤을 주로 월요일에 갖는다. 이슬람교에서는 무함마드의 탄생 및 첫 계시와 관련된 날로 여겨지며, 선택적인 금식이 권장되기도 한다. 유대교에서는 월요일을 금식하기 좋은 날로 보고 토라의 일부를 읽는 등 종교적 의미를 부여한다. 힌두교에서는 월요일을 달의 신과 연관시키며, 시바 신에게 헌신하는 금식 등의 의례를 행한다. 각 종교별 구체적인 관습과 의미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기독교
초기 기독교의 디다케에서는 신자들이 유대교의 영향을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월요일에 금식하지 말라고 경고하며, 대신 수요일에 금식할 것을 제안했다.[7]동방 정교회에서 월요일은 천사를 기념하는 날이다. 옥토에코스에는 이 주제에 대한 찬송가가 있으며, 8주 주기로 배열되어 있어 1년 내내 월요일에 불린다. 월요일 신성한 예배가 끝나면 예배의 끝을 알리는 의식(해산)은 "우리의 참된 하나님이신 그리스도께서 그의 가장 순결한 어머니, 존경할 만한, 무형의 권능(즉, 천사)의 천국의 중재를 통해…"라는 말로 시작된다. 많은 동방 수도원에서는 월요일을 금식일로 지킨다. 이는 월요일이 천사에게 헌정된 날이고, 수도사들은 천사와 같은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도원에서는 수도사들이 고기, 가금류, 유제품, 생선, 포도주, 기름을 먹지 않는다(축제일이 월요일에 있을 경우, 특정 축제에 따라 생선, 포도주, 기름이 허용될 수도 있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신자들은 일주일에 한 번 저녁 시간을 가족과 함께 보내는데, 이를 가족의 밤(FHE)이라고 한다.[8] 이 모임은 주로 월요일에 이루어지며, 가족들은 함께 공부하고 기도하며 다른 가족 활동을 하도록 권장된다.
4. 2. 이슬람교
이슬람에서 월요일은 목요일과 더불어 선택적 금식이 권장되는 요일 중 하나이다.[11]많은 하디스에는 무함마드가 월요일에 금식했다는 기록이 있다. 동일한 하디스에 따르면, 무함마드는 월요일에 태어났으며, 월요일에 꾸란의 기초가 되는 첫 번째 계시를 받았다고 전해진다.[12]
4. 3. 유대교
유대교에서 월요일은 금식에 좋은 날로 여겨진다.유대교에서는 주간 파라샤의 작은 부분이 토라에서 월요일과 목요일 아침에 공개적으로 읽히며, 이는 안식일 읽기의 보충으로 사용된다. 월요일에는 특별한 기쁨의 행사가 있어 이를 취소하지 않는 한 특별한 참회 기도를 드린다. 미쉬나와 탈무드에 따르면, 이러한 전통은 월요일과 목요일이 사람들이 마을에서 도시로 모이는 "장날"이었기 때문이다.
아슈케나짐 유대인들은 히브리 달력의 첫 번째 월요일, 목요일, 월요일에 자발적으로 금식하는 전통이 초정통파 유대인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다.
히브리어로 월요일은 יום שני|욤 쉐니he라고 불리며, 문자 그대로 "두 번째 날"을 의미한다. 이는 안식일을 "일곱 번째 날"로 지칭하는 성경적 언급과 그날이 토요일이라는 전통을 따른 것이다. 토성, 토요일, 그리고 안식일 사이의 음성적이고 문화적인 연관성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13]
4. 4. 힌두교
힌두교에서 월요일은 달의 힌두교 신인 찬드라 또는 소마와 관련이 있다. 여러 남아시아 언어에서는 월요일을 '소마바라' 또는 '소마바람'으로 부른다. 월요일에 금식하는 힌두교 신자들은 시바 신에게 헌신하기 위해 그렇게 한다. 일부 신자들은 결혼하고 좋은 배우자를 찾기 위해 시바에게 바치는 16번의 월요일 금식인 '솔라 소마바르 브라트'를 지키기도 한다. 힌두교 달력의 슈라바나 달에 월요일 금식을 하는 것도 상서로운 일로 여겨지는데, 이 달은 힌두교 신자들에게 가장 신성한 달 중 하나이며 시바와 그의 배우자 파르바티에게 헌신하는 달이기 때문이다.5. 나라별 문화
서구 문화권에서는 종종 월요일을 한 주가 시작되는 날이라는 점에서 우울하거나 힘든 날로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대중문화에서도 반영되곤 한다.
영국에서는 다른 요일에 비해 월요일에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자살하는 사람이 더 많고,[15] 일반적으로 병가를 내는 사람도 많으며,[16] 전 세계적으로 웹 서핑을 하는 사람이 더 많다는 통계가 있다.[17] 맨체스터 출신의 밴드 해피 먼데이즈는 이름에 월요일을 사용하기도 했다.
2022년 10월, 기네스 세계 기록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월요일을 '가장 싫은 요일'로 발표하기도 했다.[19][20][21]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많은 학교에서는 한 주가 시작된다는 의미로 월요일 아침에 학생 조회를 실시한다. 조례는 보통 정규 수업 시작 전에 이루어진다.일요일에 문을 여는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극장 등은 월요일에 휴관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화요일이나 수요일로 휴관일을 옮기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프로 축구, 프로 농구, 프로 배구 경기가 월요일에 열린다. 반면, 프로 야구 경기는 대부분 월요일에 열리지 않는다. 이는 다른 주요 프로 스포츠 리그 경기가 월요일에 열리는 점을 고려하여, 프로 야구팀들은 이날 주로 훈련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5. 2. 일본
일본에서는 대체휴일제도가 있어 일본의 공휴일 중 일부 법정공휴일이 일요일과 겹치면 월요일로 이월된다.[43][25] 여러 기념일이 연속으로 겹치면 화요일이 공휴일로 지정되는 경우도 있다.[43]또한, 특정 달의 특정 주 월요일로 지정된 국경일도 있다. 2021년 기준으로 성인의 날, 바다의 날, 경로의 날, 스포츠의 날이 해당된다. 이는 토요일과 일요일을 포함하여 3일 연휴를 만들기 위해 날짜를 조정한 것으로, 해피 먼데이라고 불린다.
5. 3. 미국
미국에는 일본의 해피 먼데이 제도처럼 월요일 공휴일 법이 있어서 몇몇 공휴일을 월요일로 옮겼다.
미국을 포함한 서구 문화의 많은 대중가요는 월요일을 우울, 불안, 무력감, 히스테리 또는 우울함의 날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주로 주간 업무의 첫날이라는 점과 연관된다. 월요일은 또한 지루함과 불운의 날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특히 주말 동안 학교에 가지 않다가 월요일마다 등교해야 하는 많은 학생들에게는 혐오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마스 앤 파파스의 "월요일, 월요일"(1966), 카펜터스의 "비 오는 날과 월요일"(1971), 뱅글스의 "매닉 먼데이"(1986, 프린스 작사) 등이 있다. 미국의 팝 펑크 밴드 헤이 먼데이도 월요일을 이름에 사용했다.
짐 데이비스의 인기 만화 캐릭터 가필드는 "나는 월요일이 싫어"라는 유행어를 사용하며 월요일을 싫어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4]
2002년 7월, 컨설팅 회사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는 컨설팅 사업부를 "Monday"로 개명하고,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 향후 1년 동안 1.1억달러를 지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IBM이 3개월 후 이 컨설팅 회사를 인수했을 때, 새로운 이름을 유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8]
5. 4. 중국
중국에서는 월요일을 한 주의 첫째 날이라는 의미로 星期一|싱치이zho라고 부른다. 또한 '월'을 月|위에zho라고 표기하기도 한다.6. 문화적 언급
PARENTHESIZED IDEOGRAPH MOON
CIRCLED IDEOGRAPH M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