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의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의문은 조선 시대에 건립된 한성부의 서소문으로, 1396년(태조 5년)에 다른 성문들과 함께 세워졌다. 처음에는 소덕문으로 불렸으나, 영조 때 소의문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08년에는 성벽 일부가 헐렸고, 1914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철거되었다. 현재는 중앙일보사 철탑주차장 자리에 표석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성문 - 돈의문
돈의문은 한양도성의 서쪽 문으로, 여러 차례 폐쇄와 재건을 거쳐 1915년 일제강점기에 강제 철거되었으며, 현재는 증강현실(AR)로 복원되어 문화유산 보존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 1396년 완공된 건축물 - 숙정문
숙정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북쪽에 위치한 사대문 중 하나로, 풍수지리적 이유로 폐쇄되기도 했으며 현재의 문루는 1976년에 복원된 것이다. - 1396년 완공된 건축물 - 사대문
사대문은 조선 시대 한양도성의 주요 출입문 네 곳인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을 일컫는 말로, 숭례문은 국보 제1호이며 흥인지문은 옹성을 갖춘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돈의문은 철거 후 복원 논의 중이며 숙정문은 복원되어 북악산 탐방로와 연결되어 있다. - 한양도성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 한양도성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소의문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서소문 (西小門, Seosomun) |
종류 | 문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좌표 | 37°33′44.3″N 126°58′18.3″E |
상세 정보 | |
한자 표기 | 昭義門 (Souimun) |
로마자 표기 | Souimun |
의미 | 정의를 밝히는 문 |
다른 이름 (한자) | 西小門 (Seosomun)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 | Seosomun |
위치 | 현재의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동 부근 |
용도 | 도성 출입 |
폐쇄 시기 | 일제강점기 |
철거 시기 | 1914년 |
현재 상태 | 소실, 표지석만 존재 |
관련 정보 | 서울 성곽 사소문 |
역사 | |
건설 | 조선 시대 |
소실 | 일제강점기 시기, 1914년 |
특징 | 서울 사소문 중 하나 서소문 밖 네거리 와 연결 정의 를 숭상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음 |
현재 | |
표지석 위치 | 37.5623° N, 126.971745° E |
설명 | 현재는 표지석만 남아 있음 |
2. 역사
1396년 태조 5년에 다른 성문과 함께 건립되었다.[3] 처음 이름은 '''소덕문'''(昭德門)이었는데, 문루는 없었고 인근의 돈의문과 숭례문이 더 큰 관문 역할을 했다. 1738년(영조 14년) 영조는 소덕문의 이름을 고치라고 명하였고,[4] 1744년(영조 20년) 8월 문루가 완성되자 '''소의문'''으로 개칭하였다.[5] 1908년 9월, 소의문과 숭례문 좌우 성벽 총 77칸이 헐렸다.[6] 1914년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는 도로 정비를 이유로 소의문을 철거할 계획을 세웠고, 같은 해 12월 2일 경매를 거쳐 철거했다.[7] 현재 소의문이 있던 자리에는 중앙일보사 철탑주차장이 들어섰고, 주차장 화단에 표석이 있다.
2. 1. 조선 시대
1396년(태조 5년) 9월 다른 성문과 함께 소의문이 건립되었다.[3] 당시 이름은 '''소덕문'''(昭德門)이었는데, 이때의 문에는 문루가 없었다. 인근의 돈의문과 숭례문이 더 큰 관문 역할을 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1738년(영조 14년) 영조는 소덕문의 이름을 고치라고 명하였다.[4] 1744년(영조 20년) 8월 문루가 완성되자 소의문으로 개칭하였다.[5]2. 2. 일제강점기와 그 이후
1908년 9월에 소의문과 숭례문 좌우의 성벽 총 77칸이 헐렸다.[6]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도로 정비를 이유로 소의문을 철거할 계획을 세웠고, 같은 해 12월 2일 경매를 거쳐 철거했다.[7] 현재 소의문이 있던 자리에는 중앙일보사 철탑주차장이 들어섰고, 주차장 화단에 표석이 있다.3. 기념
소의문이 한때 서 있던 곳 근처에 기념 표석이 세워졌다. 이 표석은 서울 중구 서소문로에 있는 중앙일보 건물 옆 다층 주차장 구조물 옆에 위치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Gates and Walls of Seoul
http://www.koreaawar[...]
Korean News Today
[2]
문서
《태조실록》에는 홍화문은 속칭 동소문(東小門), 흥인문은 속칭 동대문(東大門), 광희문은 속칭 수구문(水口門), 숭례문은 속칭 남대문(南大門), 소덕문은 속칭 서소문(西小門)이라 하였다고 적혀 있다.
[3]
문서
《태조실록》 10권 5년 9월 24일, 성 쌓는 일이 끝나자 인부들을 돌려 보내다. 각 문의 이름.
http://sillok.histor[...]
[4]
문서
《영조실록》 영조 47권 14년 10월 22일, 소덕문을 세우는 역사가 준공되자 그 편호 수정을 명하다.
http://sillok.histor[...]
[5]
문서
《영조실록》 영조 60권 20년 8월 4일, 속칭 서소문인 소덕문에 성루가 완성되자 소의문이라고 이름을 고치다.
http://sillok.histor[...]
[6]
서적
순성의 즐거움
효형출판
2010
[7]
뉴스
경매훼철에부ᄒᆞᆫ서소문
https://web.archive.[...]
1914-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