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죽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크라테스의 죽음》은 자크루이 다비드가 1787년에 완성한 그림으로,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은 소크라테스와 제자들의 다양한 감정 표현, 색채 대비, 다비드의 서명 배치 등을 통해 도덕적 가치를 강조한다. 다비드는 플라톤의 저술을 참고하고 역사적 자문을 받아 그림을 제작했으며, 동시대 화가들의 유사한 작품과 함께 전시되어 호평을 받았다. 현재 이 작품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크라테스를 소재로 한 작품 - 아테네 학당
라파엘로의 프레스코화 《아테네 학당》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을 묘사하여 인간 이성과 지식 추구를 찬양하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적 이상을 표현하고 있다. - 소크라테스를 소재로 한 작품 - 구름 (희극)
아리스토파네스가 기원전 423년에 발표한 희극 《구름》은 빚에 시달리는 노인이 아들을 궤변가로 만들어 빚을 갚으려다 실패하는 이야기로, 당시 아테네 사회의 새로운 사상과 소피스트, 소크라테스를 풍자하며 세대 갈등, 교육의 역할, 궤변과 지혜의 대립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소크라테스의 죽음 | |
---|---|
작품 정보 | |
![]() | |
제목 | 소크라테스의 죽음 |
원어 제목 (프랑스어) | La Mort de Socrate |
영어 제목 | The Death of Socrates |
화가 | 자크=루이 다비드 |
제작 연도 | 1787년 |
종류 | 유화 |
재료 | 캔버스 |
사조 | 신고전주의 |
크기 (cm) | 높이 129.5, 폭 196.2 |
소장 정보 | |
소장 기관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소장 도시 | 뉴욕 |
2. 설명
이 그림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고 죽는 장면을 묘사한 자크 루이 다비드의 1787년 작품이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청년들을 타락시켰다는 죄목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지만, 탈출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택했다.
그림에서 소크라테스는 흰색 가운을 입고 침대에 앉아 한 손으로는 독배를, 다른 한 손으로는 하늘을 가리키며 가르침을 이어가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소크라테스의 주변에는 다양한 연령대의 제자들이 슬픔에 잠겨 있지만, 그는 침착함을 유지한다.
다비드는 이 그림을 통해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신념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보여주고자 했다.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수단으로 여겼다.
다비드는 이 그림에서 역사적으로 부정확한 점을 몇 가지 포함시켰다. 본래 플라톤의 문답에 등장하는 많은 인물을 생략했고, 아폴로도로스를 묘사했는데, 그는 격정적인 성격으로 슬픔을 너무 드러내 소크라테스에게 쫓겨났다고 한다. 또한 플라톤을 비롯한 소크라테스의 제자들의 나이를 실제와 다르게 표현했다.
다비드는 이 그림을 구상하기 위해 로마를 여행하며 장례식 장면 묘사를 위한 데생을 많이 그렸고, 철학자의 죽음에 대한 고찰을 담았다. 소크라테스가 침착한 것은 죽음을 존재의 끝이 아닌 다른 상태로의 이동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작품 속 소크라테스의 몸짓은 죽기 직전까지 제자를 이끄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는 시인 앙드레 셰니에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16]
같은 장면을 그린 그림으로는 이탈리아 화가 잠베티노 치냐롤리의 작품(소크라테스가 이미 죽은 후 슬퍼하는 모습을 그림)[21]과 프랑스 화가 자크-필리프-조제프 드 생-캉탱의 작품(파리 국립 고등 미술 학교 소장)[22]이 있다.
2. 1. 등장인물
이 그림에서 소크라테스는 흰 가운을 입고 침대에 앉아 한 손은 독이 든 잔 위로 뻗고 다른 손은 허공에 손짓을 하며 가르치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다양한 연령대의 친구들에게 둘러싸여 있는데, 대부분 감정적으로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소크라테스는 침착한 태도를 유지한다.[24][25] 그에게 잔을 건네는 청년은 한 손으로 얼굴을 가린 채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다. 크리톤은 스승의 무릎을 움켜쥐고 그의 말을 열심히 듣고 있다. 플라톤은 침대 끝에 앉아 고개를 숙여 자신의 무릎을 들여다보고 있다.[24][25]왼쪽 배경 벽에 설치된 아치 사이로 다른 남자들이 보이며, 배경 계단에는 소크라테스의 아내 크산티페가 뒤돌아보며 안타까운 표정을 짓고 있다.[24][25] 벽에 기대고 있는 아폴로도로스는 슬픔을 너무 드러내 소크라테스에게 쫓겨났다는 기록과는 다르게 묘사되어 있다.[15]
다비드는 플라톤을 비롯한 소크라테스의 제자들의 나이를 실제와 다르게 표현했다. 소크라테스는 노인이지만, 당시 70세 노인의 사실적 묘사보다 훨씬 더 잘생기고 건장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그의 얼굴도 소크라테스의 초상화로 사용되는 고전적인 흉상보다 훨씬 더 이상적으로 묘사되어 있다.[24]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죽었을 당시 청년이었지만, 이 그림에서는 침대 발치에 앉아 있는 노인으로 묘사되어 있다. 다비드는 이 그림을 플라톤이 글을 쓰면서 상상 속에서 그 장면을 떠올리고 있는 노년의 플라톤의 상상으로 설정했을 수도 있다.[27]
다비드는 소크라테스의 허벅지를 움켜쥐고 있는 청년 크리톤 아래에 자신의 전체 서명을, 플라톤 아래에 자신의 이니셜을 넣어 두 곳에 서명을 했다. 다비드의 서명 배치는 종종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는데, 크리톤 아래의 완전한 서명은 이 사람이 작가가 가장 동일시하는 인물이라는 것을 의미한다.[23]
2. 2. 색채와 상징
다비드는 이 그림에서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 색채를 사용했다. 붉은 색조는 그림 가장자리에서 더 부드럽고 중앙으로 갈수록 더욱 생생해지며, 독약이 담긴 잔을 들고 있는 남자의 짙은 붉은색 로브에서 절정에 달한다. 이 남자는 일반적으로 소크라테스가 독약을 마신 후 잔을 받는 것이 아니라 소크라테스에게 잔을 건네는 것으로 여겨진다.[26]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두 명의 평온한 남자들은 대조적인 푸른빛이 도는 흰색 옷을 입고 있다. 이 그림의 차분한 색채는 다비드의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에 대한 비평가들의 반응일 수 있는데, 그들은 그의 색을 "화려하다"고 불렀다.[26]다비드는 이 그림에 두 군데에 서명했다. 소크라테스의 다리를 잡고 있는 크리톤 아래에는 전체 이름을, 플라톤 아래에는 이니셜을 서명했다. 다비드의 서명 배치는 종종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예를 들어, 스타니스와프 코스트카 포토츠키의 그림에서 다비드는 모델을 향해 짖는 개의 목에 서명했다. 《소크라테스의 죽음》에서 그의 서명 역시 의미를 지닌다. 플라톤 아래의 이니셜은 이 이야기가 플라톤에게서 유래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내며, 영감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크리톤 아래의 전체 이름 서명은 화가가 그에게 가장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소크라테스의 다리를 잡는 크리톤의 배치 구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다비드는 소크라테스가 대표하는 도덕과 가치를 잡는 인간이라는 의미가 된다.[23]
3. 제작 배경 및 역사
1786년, 자크 루이 다비드는 샤를 미셸 트뤼덴 드 라 사블리에르에게서 개인적인 의뢰를 받아 이 작품을 제작했다.[34][28] 드니 디드로가 쓴 미완성 희곡에 소크라테스의 죽음이 묘사되어 있었는데, 트뤼덴 드 라 사블리에르는 이 장면에 흥미를 느껴 다비드에게 그림을 의뢰했다.[29]
당시 프랑스는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소크라테스처럼 합리성과 자제력을 가지고 진리에 충실했던 인물들이 존경받는 사회였다.[24] 이러한 시대적 배경이 이 그림의 주제 선정에 영향을 미쳤다.
다비드는 그림의 크리톤 아래에는 온전한 서명을, 플라톤 아래에는 머리글자를 새겨 넣어 서명 위치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크리톤 아래의 서명은 다비드가 크리톤에게 감정적으로 공감하고 있음을, 플라톤 아래의 머리글자는 소크라테스 이야기가 플라톤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감사를 나타낸다.[14]
3. 1. 초기 구상
자크 루이 다비드는 1782년에 이미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대한 초기 구상을 했다.[7] 의뢰를 받은 후, 이 초기 구상을 발전시켰다. 그는 헬레니즘 학자인 장 아드리 신부에게 자문하여 소크라테스의 죽음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고증을 거쳤다.[25] 아드리 신부는 플라톤을 움직이지 않는 모습으로, 크리톤은 더 감정적인 모습으로, 팔레론의 아폴로도로스는 눈에 띄게 감정에 휩싸인 모습으로 묘사할 것을 권고했다.[8]다비드는 로마를 처음 여행했을 때 장례식 장면 묘사를 연구하고 많은 그림을 그렸으며, 이는 《소크라테스의 죽음》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31] 그는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별개의 실제 영역으로, 삶과 다른 존재의 상태로 보았기 때문에 금욕적이고 차분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철학자의 접근 방식을 묘사하고자 했다.[32] 그림 속 소크라테스의 제스처는 그가 죽음을 앞둔 순간에도 여전히 가르치고 있음을 보여준다.[28]
3. 2. 앙드레 셰니에의 영향
자크 루이 다비드의 친구이자 시인이었던 앙드레 셰니에는 소크라테스가 잔을 뻗는 자세 등 그림의 세부 묘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29][5]4. 유사한 작품
자크 루이 다비드와 동시대 화가였던 피에르 페이롱 역시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주제로 한 그림을 그렸으며, 두 작품은 1787년 살롱에 함께 전시되어 경쟁했다.[30][24] 로마 주재 프랑스 아카데미 원장 자리를 두고 경쟁하던 두 화가의 작품에 대해, 비평가들은 다비드의 작품이 더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얀 포토츠키 백작은 페이롱의 작품에 대해 "그가 얼마나 다비드보다 못한지를 대중에게 보여줌으로써 다비드 그림의 수준을 드러냈다"라고 조롱했다.[8][6]
잠베티노 치냐롤리와 자크 필립조셉 드 생캉탱도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묘사한 작품을 남겼다. 치냐롤리의 작품은 이미 죽은 소크라테스가 고뇌에 찬 추종자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생캉탱의 작품은 1738년경에 그려졌으며, 현재 프랑스 파리의 국립 고등 미술 학교에 소장되어 있다.[22]
5. 공개와 반응
자크 루이 다비드는 1787년 공식 미술 전시회인 파리 살롱에서 이 그림을 처음 선보였다. 이 그림은 다비드의 동시대 사람들 사이에서 즉각적인 호평을 받았다. 영국의 화가 조슈아 레이놀즈는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바티칸의 시스티나 성당과 라파엘로의 방 이후 가장 위대한 예술 작품"이라고 평하였다.[30] 프랑스 주재 미국 장관인 토머스 제퍼슨은 이 그림이 1787년 살롱 최고의 작품이며 "훌륭하다"고 평하였다.[24] 이 그림은 충분히 성공적이어서 다비드는 1791년 살롱에 다시 출품하였고, 변화된 정치 환경으로 인하여 초기 프랑스 혁명의 분위기에 잘 맞는 영웅적 이야기로 여전히 관심을 끌었다.[24]
1826년 그리스 독립 전쟁 기금 마련을 위한 전시회에서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비롯한 다비드의 작품 대부분이 르브룅 화랑에 전시되었다. 이 전시회는 다비드를 싫어하고 그의 시신을 프랑스에 매장하는 것을 거부하였던 부르봉 왕정복고 이후 왕당파 정부의 반발로 많은 관심을 끌었으며, 《소크라테스》보다 그의 혁명 시대 그림이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33]
6. 소장
1794년 공포 정치 기간에 샤를 미셸 트뤼덴 드 라 사블리에르와 그의 형이 처형된 후, 이 그림은 형의 아내 루이즈 미콜 드 쿠르베통, 마담 트뤼덴 드 몽티니에게 전달되었다.[34] 이 그림은 상속과 개인 매매를 거쳐 여러 사람에게 넘어갔으며, 특히 1809년부터 1870년까지 올리비에 드 생 조르주 드 베락과 그의 아내가 소유했다.[34] 1931년, 이 그림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판매되었고, 그 이후로 그곳에 소장되어 있다.[34]
참조
[1]
서적
Necklines: The Art of Jacques-Louis David after the Terror
Yale
1999
[2]
서적
Jacques-Louis David
Harry N. Abrams, Inc.
1990
[3]
서적
Jacques-Louis David: Art in Metamorpho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4]
논문
David among the Moderns: Art, Science, and the Lavoisiers
[5]
서적
Jacques-Louis David: Revolutionary Artis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9
[6]
서적
David
Phaidon
1999
[7]
서적
Europ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Revolution
http://libmma.conten[...]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7
[8]
서적
David
Alpine Fine Arts
1982
[9]
잡지
Jacques-Louis David and the Style 'All' antica'
https://www.burlingt[...]
1972-10
[10]
간행물
David Painting Death
200
[11]
서적
Jacques-Louis David: New Perspectives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2006
[12]
웹사이트
The Death of Socrates
https://www.metmuseu[...]
2022-07-05
[13]
문서
De Nanteuil.''Jacques-Louis David'',64
[14]
문서
Lajer-Burcharth, ''Necklines'',57
[15]
문서
De Nanteuil, ''Jacques-Louis David'',64
[16]
문서
Vidal, "David among the Moderns", 598
[17]
문서
Bordes, "David", 154
[18]
문서
De Caso, "Jacques-Louis David and the Style 'All' antica#転送 , 686
[19]
문서
Maleuvre, "David Painting Death", 25
[20]
문서
Plato, ''Phaedo'', 127
[21]
웹사이트
The Death of Socrates - Giambettino Cignaroli Gallery
http://www.lib-art.c[...]
Lib-Art.com
2011-08-03
[22]
웹사이트
The Death of Socrates by Jacques-Philip-Joseph de Saint-Quentin
http://www.friendsof[...]
friends-of-art.net
2011-08-03
[23]
서적
Necklines: The Art of Jacques-Louis David after the Terror
Yale
1999
[24]
서적
David
https://archive.org/[...]
Phaidon
1999
[25]
서적
Europ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Revolution
http://libmma.conten[...]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7
[26]
서적
Jacques-Louis David
Harry N. Abrams, Inc.
1990
[27]
서적
Jacques-Louis David: Art in Metamorpho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28]
저널
David among the Moderns: Art, Science, and the Lavoisiers
[29]
서적
Jacques-Louis David: Revolutionary Artis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9
[30]
서적
David
Alpine Fine Arts
1982
[31]
잡지
Jacques de Caso
[32]
간행물
David Painting Death
200
[33]
서적
Jacques-Louis David: New Perspectives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2006
[34]
웹인용
The Death of Socrates
https://www.metmuseu[...]
2022-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