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톤은 플라톤의 대화편으로, 소크라테스가 사형 선고를 받고 투옥된 상황에서 친구 크리톤이 탈옥을 권유하지만, 소크라테스가 이를 거절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의 탈옥을 위해 친구로서의 슬픔, 대중의 비난, 자녀 교육의 책임 등을 이유로 설득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이성적 판단과 국가, 법, 덕행에 대한 신념을 굽히지 않는다. 소크라테스는 불의는 어떤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으며, 아테네 법에 복종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며 탈옥을 거부한다. 이 작품은 법과 정의, 시민의 의무, 사회계약론, 악법에 대한 복종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며, 현대 사회에서도 법의 윤리적, 정치적 함의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 작가 둘러보기 상자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고대 그리스 작가 둘러보기 상자 - 국가 (플라톤)
    플라톤의 『국가』는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생산자, 수호자, 철인 통치자로 구성된 삼분된 계급 사회를 제시하며, 철학자 왕의 통치를 통해 정의를 실현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 소크라테스의 대화법 - 국가 (플라톤)
    플라톤의 『국가』는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생산자, 수호자, 철인 통치자로 구성된 삼분된 계급 사회를 제시하며, 철학자 왕의 통치를 통해 정의를 실현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 소크라테스의 대화법 - 법률 (대화편)
    플라톤의 대화편 『법률』은 소크라테스가 등장하지 않는 가운데, 세 노인이 새로운 식민 도시 마그네시아의 법률 제정을 논의하며 이상적인 국가 건설과 법률 체계에 대한 플라톤의 철학을 제시하고, 교육, 형벌 제도, 자연법, 영혼의 본질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플라톤의 대화편 - 국가 (플라톤)
    플라톤의 『국가』는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생산자, 수호자, 철인 통치자로 구성된 삼분된 계급 사회를 제시하며, 철학자 왕의 통치를 통해 정의를 실현하는 방안을 탐구한다.
  • 플라톤의 대화편 - 선분의 비유
    선분의 비유는 플라톤이 제시한 지식의 단계를 설명하는 비유로, 가시계와 가지계로 지식의 수준을 나누어 형이상학적 틀을 보여준다.
크리톤
지도 정보
정보
원제Κρίτων
로마자 표기Kritōn
저자플라톤
종류대화편
시대고대 그리스
언어고대 그리스어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소크라테스
크리톤
주제
주요 주제정의
불의

시민의 의무
국가
도덕
내용
배경소크라테스가 아테네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감옥에 갇혀 있을 때, 그의 친구 크리톤이 찾아와 탈출을 설득하는 내용
주요 논점불의한 법이라도 따라야 하는가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가
개인의 이익과 국가의 이익 중 무엇을 우선해야 하는가
철학적 중요성
영향서양 정치 철학, 윤리학에 큰 영향. 법과 도덕, 시민의 의무에 대한 논의를 촉발
핵심 주장어떤 이유에서든 불의에 가담해서는 안 된다
법은 비록 불의하더라도 존중해야 한다
국가의 시민은 국가의 법에 따라야 한다

2. 등장인물


  • '''소크라테스''' : 기원전 469년 ~ 399년의 인물. 사형 판결을 받고 감옥에서 사형 집행을 기다리고 있었다. 법정에서는 불의에 맞섰지만[90], 이 작품에서는 법률과 공권력에 복종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는 기존 가치관을 바탕으로 어떤 사태에 대해 충분히 고려한 후 가장 정의로운 것을 선택하는 새로운 정의관을 제시한다. 이는 소크라테스가 이전의 원칙만을 고수하는 사람이 아니라, 더 나은 원칙이 나타나면 그것을 받아들이는 합리적인 사람임을 보여준다.
  • '''크리톤''' : 소크라테스와 같은 아테네 알로페케 구역 출신 시민이자 동갑내기 친구이다.[91] 소크라테스와 달리 매우 부유했다. 법정에서 소크라테스의 사형 대신 보석금을 제안했고,[2] 사형이 확정된 후에는 간수에게 부탁하여[92] 소크라테스가 감옥에서 편하게 지내도록 도왔다. 또한 소크라테스의 탈옥을 계획하고 관련 비용을 모두 부담했다. 플라톤의 다른 대화편에서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이해하지 못하는 전형적인 아테네 시민으로 묘사된다.[4]

소크라테스의 죽음 후 눈을 감겨주는 크리톤

3. 역사적 배경

변론에서 소크라테스는 재판을 받고 4주 동안 투옥된 후 며칠 안에 사형될 예정이었다. 소크라테스의 감옥 위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고학자들은 고대 아테네 감옥이 헬리아이아 법정에서 남서쪽으로 약 100m 떨어진 아고라 유적 바로 외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1] 플라톤이 묘사한 소크라테스는 문학 작품 속 인물이기에, 그 내용의 역사적 타당성과 플라톤의 해석이 실제 소크라테스의 신념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는 불확실하다.[1] 크세노폰에 따르면, 플라톤의 친구들은 탈출 계획을 세웠지만,[11] 이론적 계획이 역사적 계획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는 알 수 없다.[10]

4. 줄거리

크리톤은 소크라테스가 재판 후 사형 집행을 기다리는 동안 감옥에서 나눈 대화를 담고 있다.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에게 자신의 재산을 써서라도 구출하겠다고 설득하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국가, , 덕행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들어 이를 거절한다. 결국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의 뜻을 존중하고 설득을 포기한다.[83]

4. 1. 크리톤의 탈옥 권유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에게 여러 이유를 들어 탈옥을 권유했다. 크리톤이 소크라테스에게 제시한 탈옥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15]

이유내용
친구를 잃는 슬픔크리톤은 소크라테스가 죽으면 다시는 찾을 수 없을 친구를 잃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의 비난많은 사람은 크리톤이 돈을 아끼느라 소크라테스를 구하지 못했다고 생각할 것이고, 이는 친구보다 돈을 더 중시한다는 평판으로 이어져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재정적 문제 없음크리톤은 소크라테스의 탈옥에 필요한 비용을 모두 부담할 것이며, 친구들도 도울 준비가 되어 있으니 재정적인 문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추방 후의 삶소크라테스가 추방되어도 테살리아 등 여러 곳에서 환영받을 것이라고 설득했다.[15]
자식 양육의 책임소크라테스가 탈옥을 거부하는 것은 자식들을 버리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자식을 낳았으면 양육하고 교육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16]
친구들의 명예소크라테스와 관련된 모든 일이 친구들의 용기 부족으로 벌어진 일이라고 사람들이 생각할까 봐 부끄럽다고 말했다.



크리톤은 소크라테스가 처형되면 훌륭한 친구를 잃는다는 개인적인 불행을 겪을 것이며, 그의 아들들은 철학자의 아들이 누릴 자격이 있는 적절한 교육과 생활 조건을 박탈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자녀를 갖는 책임을 질 때 그 의무를 저버리는 것은 비도덕적이라고 지적했다.[16] 게다가 소크라테스가 그들과 함께 가지 않으면 사람들이 그들이 소크라테스를 구할 만큼 너무 인색하다고 믿을 것이기 때문에 크리톤과 그의 친구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15]

크리톤은 소크라테스의 탈옥에 필요한 비용은 얼마 되지 않으며, 외국인 친구들도 도울 준비가 되어 있고, 테살리아 등 소크라테스를 환영할 곳은 얼마든지 있다고 설득했다.[15]

4. 2. 소크라테스의 응답

소크라테스는 이성적인 분별을 통해 최선의 원칙을 따르는 자신의 삶의 방식을 강조하며, 크리톤의 권유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한다.[88][89] 그는 다수의 의견보다 전문가의 의견을 존중해야 하며, 불의는 어떤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88][89]

소크라테스는 크리톤의 열정은 존중하지만, 그것이 옳은 이치에 맞는지 생각해 보아야 하며, 자신은 신중한 결과 최선이라고 생각되는 생각 외에는 따르지 않는다고 말하며 문답을 시작한다. 먼저 대중의 의견이 아니라 일부 지혜로운 사람들의 의견이 존중되어야 한다는 점에 합의를 본다.[88]

운동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은 모든 사람의 칭찬, 비난, 의견이 아니라 의사나 체육 교사 등 전문가의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 반대로 일반인이나 대중의 의견을 중시하면 화를 입으며, 그 화는 신체에 미친다는 점에 합의를 본다. 이는 옳고 그름, 아름다움과 추함, 선과 악과 같은 주제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88]

전문가의 의견을 듣지 않고 불건전한 생활로 손상된 몸으로는 삶의 활력이 없다. 부정으로 해를 입은 영혼으로는 더욱 삶의 활력이 없다는 점에도 합의를 본다. 따라서 크리톤의 "대중의 의견에 귀를 기울인다"는 태도는 배척되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단순히 사는 것이 아니라 잘 사는 것이며, 잘 사는 것은 아름답게 사는 것, 옳게 사는 것이기도 하다.[88]

이상의 합의를 바탕으로 탈출할 것인지 아닌지는 현재의 문답에서의 옳고 그름만을 근거로 하며, 다른 사정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 합의를 본다. 소크라테스는 최선의 반론이나 반대 의견이 있다면 말해 달라고 크리톤에게 부탁하며 논의를 진행한다.[88]

부정은 상황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어떠한 조건에서도 고의적으로 해서는 안 되며, 그것은 항상 악이며 수치이다. 부정에 부정으로 갚아서는 안 된다.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는 것, 그리고 그에 대해 피해로 갚는 것은 악이며 부정과 같다. 누구에게도 부정하게 보복하거나 피해를 입혀서는 안 된다. 다른 사람에게 정당한 권리로서 승인을 준 것은 자신도 존중해야 한다는 점에도 합의한다.[88]

4. 3. 아테네 법률의 연설

소크라테스는 국가의 동의 없이 탈출하면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아테네의 법률을 의인화하여 제시한다. 법률은 국가 존립의 근간이며 시민은 법률에 복종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한다.[30][31]

법률은 소크라테스가 아테네에서 태어나 양육되고 교육받는 등 여러 혜택을 받았으므로 아테네 법률에 복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32] 또한 소크라테스는 법률에 불만이 있었다면 다른 나라로 이주할 수 있었음에도, 아테네에 남기로 선택했으므로 법률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시민으로서 법률에 복종할 것을 암묵적으로 동의했다고 말한다. 모든 아테네 시민은 성인이 되면 국가의 실정과 법률을 검토하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재산을 가지고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다. 그러나 아테네에 계속 머무르는 것은 법률에 따르겠다는 암묵적 동의로 간주된다.

소크라테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참전과 이스토모스 방문[84] 외에는 아테네를 떠난 적이 없으며, 이는 아테네와 아테네 법률에 만족했다는 증거라고 말한다. 또한 재판에서 추방형 대신 죽음을 택하겠다고 한 점을 언급하며, 이제 와서 탈옥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한다.

4. 4.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언급

소크라테스는 법률이 하는 말들이 귀에 울려 다른 소리가 들리지 않으니, 크리톤이 항변해도 소용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소크라테스는 크리톤에게 더 할 말이 있느냐고 묻자, 크리톤은 없다고 답한다.[33] 소크라테스는 "좋소, 그럼 우리는 이대로 행동하도록 하세. 신께서 그쪽으로 인도하실 테니까."라며 신의 인도를 따르겠다고 말한다.[33]

5. 핵심 쟁점

산드린 베르제는 국가와 개인 간의 합의가 상호 의무를 의미한다는 자유주의적 법 해석을 제시했다. 법은 시민의 생계와 번영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며, 시민들은 법에 충실해야 한다. 소크라테스적 의미에서 번영은 인격 형성, 즉 선한 삶의 전제 조건으로서 덕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35] 이러한 관점에서 법은 시민의 덕을 증진시키므로 존중받아야 한다.

리처드 크라우트는 법이 존중받기 위해서는 진지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 노력이 실패하면 시민 불복종이 허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34] 그러나 많은 비평가들은 이것이 본문에서 추론될 수 없으며, 오히려 설득 시도가 실패하면 법에 무조건적으로 순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6][37][38]

법의 의인화에 대한 자유주의적 해석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권위주의적 출발점을 자유주의적 결과로 측정하는 방법은 최근 연구에서 호평받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법의 논리에 깊은 인상을 받았지만, 모든 성찰과 결과를 긍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해석도 존재한다.[39]

로슬린 와이스는 크리톤이 소크라테스의 오랜 친구임에도 철학적인 사람이 아니었기에, 소크라테스가 법을 등장시켜 권위주의적인 방식으로 크리톤을 설득하려 했다고 주장한다.[41] 토마스 알렉산더 슐레작 또한 소크라테스가 크리톤의 반성 수준에 기반하여 감정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태도를 정당화했다고 보았다.[43]

5. 1. 악법도 법인가?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을 직접 한 적은 없지만, 그의 논리는 악법에도 복종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해석될 수 있다.[86] 소크라테스는 국가와 법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고 보았지만, 동시에 법의 정당성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강조했다.[88][89] 그는 《변론》에서 악법에는 불복종할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지만, 《크리톤》에서는 탈옥을 거부하며 법에 복종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소크라테스의 모순적인 태도는 철학계에서 논쟁거리였다.[88][89]변론』과 『크리톤』의 상황이 다르다는 주장,[49][50] 두 책이 쓰인 시기가 다르다는 주장[8][9]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소크라테스는 부당한 판결을 받았음에도 탈옥하지 않은 이유는 "영혼이 부정으로 인해 해를 입"지 않고, "착하고/바르고/아름답게 살기" 위해서였다.[86] 즉, 국가의 법보다는 자연법과 윤리를 우선시한 결과였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법에 대한 복종과 함께, 그것이 올바른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는 과제를 남겼다.

5. 2. 사회계약론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시민으로서 국가와 묵시적 계약을 맺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70세가 되도록 아테네에 머물며 가정을 꾸리고 자녀를 낳는 등 시민으로서 만족스러운 삶을 살았고, 이는 곧 아테네의 법률을 따르겠다는 자발적인 동의로 간주된다.[30][31][32] 이러한 묵시적 계약에 따라, 소크라테스는 법률에 복종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

이는 국가와 개인 간의 관계를 계약 관계로 설명하는 사회계약 이론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다. 시민들은 도키마시아라는 시험을 거쳐 시민이 되었으며, 시민권은 출생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었다.[30][31]

소크라테스는 국가의 법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이 있다면 "참된 법" (자연법, 윤리)에 근거하여 설득을 통해 바로잡아야 하며, 이것 또한 시민의 의무라고 말한다. 그는 평생 "참된 법"을 탐구하고, "국민의 정신을 선하게 하며, 더 좋은 국가 운영자를 양성하는 것"에 힘썼지만, 사람들을 설득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언급한다.

5. 3. 법과 정의

소크라테스는 법에 대한 복종을 강조하면서도, 법이 정의에 부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법의 정당성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통해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다.[88][89]

소크라테스는 크리톤의 탈옥 권유를 거절하는 과정에서 국가와 법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러나 《변론》에서는 악법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저항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모순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오늘날까지 철학계에서 논쟁거리이다.[88][89]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을 직접 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논리는 이와 같은 주장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그러나 그는 그릇된 의견(doxa)으로 만들어진 법에 대해서는 정의에 부합하는지 끊임없이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법에 복종하면서도 동시에 법의 정당성을 끊임없이 검토해야 한다는 과제를 남긴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정의를 “숙고의 결과, 최선이라고 생각되는 판단”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다수의 의견이나 평판에 휘둘리지 않고, 철저한 숙고를 통해 옳다고 생각되는 결론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정을 저지르는 것은 악”이며, “부정에 대해 부정으로 보복하는 것 또한 악”이라고 생각했다.

소크라테스는 국가를 아버지 이상으로 복종해야 할 대상이지만, 동시에 "달래야" 할 대상이라고 보았다. 시민은 기존의 국법에 복종해야 하지만, 잘못이 있다면 "참된 법"에 근거하여 설득을 통해 바로잡아야 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소크라테스는 평생 “참된 법(자연법, 윤리)”을 탐구하고, “국민의 정신을 선하게 하는 것, 더욱더 좋은 국가 운영자를 양성하는 것”에 힘썼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아직 "도중"이며, 사람들과 국가를 설득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 과제를 후세 사람들에게 맡겼다.

6. 해석 및 수용

키케로는 《크리톤》을 시민들이 은혜에 보답하는 의미로 국가에 봉사할 의무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했다.[57]

데이비드 흄(1711~1776)은 《크리톤》을 시민의 암묵적인 충성 서약이라는 개념을 담고 있는 유일한 고대 텍스트로 언급하였다.[66] 그는 플라톤의 소크라테스가 휘그당 방식으로 사회 계약을 창설하고, 토리당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동적 복종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67]

현대에는 법과 질서에 대한 논의에서 시민의 무조건적인 규칙 준수 의무에 대한 논쟁이 《크리톤》의 해석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다.

7.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대한민국에서는 군사독재 시절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이 통치 정당화에 악용되면서, 소크라테스와 《크리톤》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법치주의가 확립된 현대 사회에서도 법의 정당성과 시민의 의무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있다. 특히, 권위주의적 국가 운영 방식에 대한 비판과 함께,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바탕으로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민주주의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법의 지배를 강조하면서도, 법이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거나 불의한 경우에는 저항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13] [14] [15] [16] [17]

참조

[1] 서적 Rethinking Plato: a Cartesian quest for the real Plato Editions Rodopi 2012
[2] 웹사이트 Plato, Apology, section 38b https://www.perseus.[...] 2019-07-21
[3] 웹사이트 Plato, Phaedo, section 114d https://www.perseus.[...] 2019-07-21
[4] 학술지 The People of Plato: A Prosopography of Plato and Other Socratics 2004
[5] 서적 Platonic Patterns: A Collection of Studies Unspecified 2009
[6] 학술지 Schellings Interpretation von Platon, Nomoi 716 1970-01-01
[7] 웹사이트 Plato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iep.utm.[...] 2020-03-18
[8] 서적 Per una nuova interpretazione del "Critone" di Platone Vita e Pensiero 1998
[9] 서적 Critone: Plato Bompiani
[10] 서적 Gorgias -- Meno : Selected Papers from the Seventh Symposium Platonicum. Academia Verlag 2010
[11] 학술지 Apology 2013
[12] 서적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Cambridge Univ. Press 1993
[13] 서적 Dialectic in action: an examination of Plato's Crito Classical Press of Wales 2005
[14] 서적 Plato: Euthyphr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Oxford University Press 1924-01-01
[15] 서적 Crito Wildside Press LLC 2018-06-23
[16] 서적 "Crito" Oxford University Press 1924-01-01
[17] 서적 Crito 2018-06-23
[18] 서적 Crito Wildside Press LLC 2018-06-23
[19] 서적 Plato: Euthyphr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Oxford University Press 1924-01-01
[20] 서적 Crito Wildside Press LLC 2018-06-23
[21] 서적 Crito. Wildside Press LLC 2018-06-23
[22] 서적 Crito Wildside Press LLC 2018
[23] 서적 Crito Wildside Press LLC 2018-06-23
[24] 서적 Plato: Euthyphr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Oxford University Press 1924-01-01
[25] 서적 Crito 2018-06-23
[26] 서적 Plato: Euthyphr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Oxford University Press 1924-01-01
[27] 서적 Plato: Euthyphr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Oxford University Press 1924-01-01
[28] 서적 Plato: Euthyphr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Oxford University Press 1924-01-01
[29] 서적 Platon Beck 2006
[30] 서적 Sokrates und die Pflicht zum Rechtsgehorsam : eine Analyse von Platons "Kriton" Nomos 2000
[31] 서적 Plato's Euthyphro, Apology, and Crito Rowman & Littlefield 2005
[32] 서적 Crito. Wildside Press LLC 2018-06-23
[33] 서적 Plato's "Euthyphro", "Apology", and "Crito" : critical essays Rowman and Littlefield 2005
[34] 서적 Socrates and the St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35] 서적 Plato on virtue and the law. Continuum 2011
[36] 논문 Two notes on the Crito: the impotence of the many, and 'persuade or obey' 1997-05
[37] 서적 Law and obedience: the arguments of Plato's 'Crito' Gerald Duckworth 1979
[38] 서적 Nature, knowledge and virtue : essays in memory of Joan Kung Academic Printing and Publishing 1989
[39] 논문 Socrates, Injustice, and the Law 1998
[40] 논문 Conflicting Values in Plato's Crito 1999
[41] 서적 Socrates Dissatisfie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03-19
[42] 서적 Socrates Dissatisfie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03-19
[43] 서적 Platon und die Schriftlichkeit der Philosophie DE GRUYTER 1985-01-31
[44] 서적 Platon und die Schriftlichkeit der Philosophie DE GRUYTER 1985-01-31
[45] 논문 The Interpretation of Plato's Crito 1990
[46] 논문 Plato's Crito and the Common Good 1995
[47] 논문 Socrates and Obedience 1974
[48] 서적 Crito Wildside Press LLC 2018-06-23
[49] 논문 Gerasimos X. Santas, Socrates: Philosophy in Plato's Early Dialogues 1982
[50] 논문 Socrates and Obedience to the Law 2011
[51] 서적 Rethinking Plato Brill Rodopi 2012-01-01
[52] 논문 Socrates on the Rule of Law https://philpapers.o[...] 1985
[53] 서적 The Republic of Plato Oxford University Press 1941
[54] 서적 Psyche: Seelencult und Unsterblichkeitsglaube der Griechen Mohr 1921
[55] 서적 Toward the Soul: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Psyche Before Plato Yale University Press 1981
[56] 논문 Self‐Motion and Cognition: Plato's Theory of the Soul 2021
[57] 서적 On the commonwealth ; and, On the law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6-08
[58] 서적 Buch XIV und XV : mit einem Register der von Athenaios zitierten Autoren und Werke sowie Zusammenfassungen der Bücher I - XV. Hiersemann 2001
[59] 서적 Der Platonismus in der Antike Frommann-Holzboog 1997
[60] 간행물 Repertorium Bibliographic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61] 서적 The continuity of the Platonic tradition during the Middle Ages ; together with, Plato's Parmenides in the Middle Ages and the Renaissance Kraus International 1984
[62] 논문 L'Isagogicon moralis disciplinae di Leonardo Bruni Aretino 1893
[63] 서적 Plato in the Italian renaissance J. Brill 1994
[64] 서적 Plato's Apology of Socrates, Crito, and Phaedo :from the text of Bekker / Dublin 1834
[65] 웹사이트 Plato's Encyclopedia - Foundation of Hellenic World https://web.archive.[...] 2020-03-14
[66] 논문 The Works of David Hume 1986-10
[67] 논문 Founding Morality: 'Hume v. Plato' or 'Hume & Plato'? 1978
[68] 서적 What Plato sai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2
[69] 간행물 Aufsätze zur griechischen Literatur und Philosophie Academia Verlag 2019
[70] 서적 Über die philosophie Platons : geschichte der philosophie : vorlesungen über Solerates und Platon (zwischen 1819 und 1823) : die einleitungen zur übersetzung des Platon (1804-1828) Felix Meiner Verlag 1996-01
[71] 서적 Platon : Beilagen und Textkritik Weidmann 1992
[72] 서적 Platon : sein Leben und seine Werke Weidmann 1959
[73] 학술지 Crito and the Socratic Controversy 2006
[74] 서적 Poetik. : Übersetzung, Einleitung und Anmerkungen von Olof Gigon. P. Reclam 1961
[75] 서적 Socrates and legal obligation UMI Books on Demand 2005
[76] 서적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BRILL 2010-01-01
[77] 서적 Essays in Ancient Greek Philosophy. Plat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8] 학술지 Der Tod des Sokrates 1947
[79] 서적 Die offene Gesellschaft und ihre Feinde Mohr Siebeck 2003
[80] 서적 Weltfremdheit Suhrkamp 1999
[81] 서적 プラトン全集1 岩波書店
[82] 웹사이트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고 크레타섬에서 무사히 귀환했다는 이야기
[83] 서적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 岩波文庫
[84] 웹사이트 이스트모스에서의 포세이돈 신 축제 경기
[85] 서적 소크라테스의 변명
[86] 서적 プラトン全集1 岩波書店
[87] 서적 哲学者列伝
[88] 서적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다라고 말하지 않았다.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89] 서적 소크라테스의 비밀 간디서원 1996
[90] 웹사이트 소크라테스의 항거와 아테네 재판 방식
[91] 웹사이트 크리톤과 소크라테스의 관계
[92] 웹사이트 euergetētai의 다의적 해석
[93] 웹사이트 스테파누스판 페이지 인용 기준
[94] 웹사이트 'orthos bathys'의 의미
[95] 웹사이트 소크라테스의 사형 집행 시기
[96] 서적 크리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