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름 (희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름》은 아리스토파네스가 쓴 고대 그리스 희극으로, 빚에 시달리는 시골 신사 스트렙시아데스가 아들 페이디피데스에게 소피스트들의 궤변을 배우게 하려다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스트렙시아데스는 소크라테스의 사색 학교에서 궤변술을 배우려 하지만 실패하고, 아들을 학교에 보낸다. 아들은 궤변술을 익혀 빚 문제를 해결하지만, 전통적인 가치관을 부정하고 타락한 모습을 보이자, 스트렙시아데스는 학교에 불을 지른다. 이 작품은 소크라테스를 희화화하여 묘사하고 있으며, 사상의 싸움을 주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세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아테네의 타이먼
    아테네의 타이먼은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희곡으로, 관대했던 귀족 타이먼이 배신으로 인해 인간 혐오자가 되어 사회를 저주하는 과정을 통해 물질만능주의와 인간관계의 허무함을 비판한다.
  • 고대 그리스의 교육 - 문답법
    문답법은 소크라테스가 고안한 교수법으로,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자극하여 윤리적 개념의 본질을 탐구하고 스스로의 사고를 발전시키도록 돕는 교수법이며,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지만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도 있다.
  • 고대 그리스의 교육 - 서양 고대의 교육
    서양 고대의 교육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를 중심으로 서양 교육 사상의 기틀을 마련한 교육 시스템으로, 그리스의 스파르타식 군사 훈련 중심 교육과 아테네식 개인 발전 및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로마의 실용적인 교육과 교양 및 인문학 중심 교육, 그리고 로마 제국 후기의 기독교적 도덕 훈련 및 교리 학습 교육으로 변화했다.
  • 소크라테스를 소재로 한 작품 - 아테네 학당
    라파엘로의 프레스코화 《아테네 학당》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을 묘사하여 인간 이성과 지식 추구를 찬양하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적 이상을 표현하고 있다.
  • 소크라테스를 소재로 한 작품 - 소크라테스의 죽음
    《소크라테스의 죽음》은 자크루이 다비드가 1787년에 완성한 그림으로,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는 장면을 묘사하며, 소크라테스와 제자들의 감정 표현, 색채 대비 등을 통해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고, 현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름 (희극)
기본 정보
원제Νεφέλαι (네펠라이)
장르희극
작가아리스토파네스
등장인물스트렙시아데스 (늙은 농부)
페이디피데스 (그의 아들)
노예
두 학생 (사색학교)
소크라테스 (철학자)
우월한 논변 (옳음)
열등한 논변 (그름)
첫 번째 채권자
두 번째 채권자
카이레폰 (철학자)
침묵 역할증인 (첫 번째 채권자가 데려옴)
학생들 (사색학교)
스트렙시아데스의 노예들
배경스트렙시아데스의 집
사색학교 (소크라테스의 학교)
코러스구름 (여신)
기타 정보
언어고대 그리스어

2. 등장인물


  • '''소크라테스''': 철학자, '사색 학교' 운영.[9]
  • '''스트렙시아데스''': '사색 학교'에 들어가는 학생
  • '''페이디피데스''': 스트렙시아데스의 아들
  • '''카이레폰''': 소크라테스의 제자
  • '''구름''': 합창단을 구성
  • * 합창단장
  • 노예
  • 학생들
  • * 첫 번째 학생
  • 그릇된 논증
  • 올바른 논증
  • 첫 번째 채권자
  • 두 번째 채권자
  • 증인
  • 크산티아스

3. 줄거리

빚에 시달리는 시골 신사 스트렙시아데스는 경마에 빠져 있는 아들 페이디피데스에게 소피스트들의 도장에서 궤변을 배워오라고 권유한다. 하지만 게으른 아들은 아버지의 말을 듣지 않는다. 어쩔 수 없이 스트렙시아데스 본인이 도장으로 향한다. 그곳에서 그는 소크라테스와 그의 제자들을 만나고, 그들의 기이한 연구와 교육 방식에 휘말린다. 스트렙시아데스는 소크라테스로부터 궤변술을 배우려 하지만, 그의 무능함으로 인해 실패한다. 결국, 그는 아들 페이디피데스를 학교에 보내 궤변술을 배우게 한다. 페이디피데스는 궤변술을 익혀 아버지의 빚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하지만, 동시에 전통적인 가치관을 부정하고 부모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등 타락한 모습을 보인다. 스트렙시아데스는 자신의 어리석음과 소크라테스의 교육이 초래한 부정적인 결과에 분노하여 학교에 불을 지른다.[9]

4. 역사적 배경

Νεφέλαι|네펠라이grc''는 기원전 423년에 초연되었는데, 이는 아테네스파르타와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잠시 평화를 기대하던 시기였다. 기원전 425년 스팍테리아 전투에서 스파르타 인질을 잡은 후, 스파르타는 아티카에 대한 연례 침공을 중단했고, 이는 기원전 424년 델리움 전투에서 아테네가 패배한 것과 함께 휴전의 적절한 조건을 제공했다.[10] 당시 아테네는 전쟁에 대한 피로감이 있었고, 평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었다.

당시 아테네 사회는 탈레스와 같은 이오니아 사상가들의 과학적 추측이 흔해지고, 데모크리토스원자론, 히포크라테스의 의학 등 새로운 사상이 등장하면서 전통적인 가치관과 충돌하고 있었다.[11] 이러한 새로운 사상은 신에 대한 전통적인 믿음과 충돌하며, 사회 질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소크라테스아낙사고라스의 영향을 받았으며,[12] 알키비아데스와 같은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있었지만, 동시에 보수적인 세력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14] 아낙사고라스는 페리클레스의 후원을 받았지만, 정치적 반대파에 의해 기원전 437년경 불경죄로 고발되어 아테네에서 추방되었다.[11] 소크라테스는 델리움 전투에서 용맹함을 보여주었지만,[12] 그의 외모와 독특한 행동은 희극 작가들의 풍자 대상이 되기 쉬웠다.[13]

아리스토파네스는 《구름》을 통해 소크라테스소피스트들의 교육이 젊은이들을 타락시키고 사회 질서를 어지럽힌다는 보수적인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사상이 전통적인 가치관을 위협한다고 생각했으며, 소크라테스를 이러한 새로운 사상의 대표적인 인물로 묘사했다.

5. 소크라테스 묘사

《구름》에서 소크라테스는 좀도둑, 사기꾼, 궤변가로 희화화되어 나타난다.[19] 이는 플라톤이 묘사한 소크라테스와는 상반된 모습이다. 플라톤은 《구름》이 소크라테스의 재판과 처형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지만,[17] 현대 학자들은 이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은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대한 무력한 반대(《리스이스트라테》에서 증명됨)나 클레온과 같은 민중주의자들에 대한 반대에서 알 수 있듯이, 중요한 문제에 대한 대중의 태도를 형성하는 데 일반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더욱이 소크라테스의 재판은 아테네가 스파르타에게 충격적인 패배를 당한 후, 희극이 공연된 지 여러 해가 지난 후, 알키비아데스와 같은 불명예스러운 그의 동료들에 대한 대중의 적대감으로 철학자에 대한 의혹이 커진 후에 열렸다.[18]

하지만, 아리스토파네스가 묘사한 소크라테스에게서 플라톤의 대화에 나타나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19] 금욕주의 실천, 절제되고 내성적인 사고, 대화식 변증법은 플라톤이 긍정적으로 묘사한 소크라테스적 행동의 특징을 희화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리스토파네스의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의 소크라테스보다 물리적 추론에 더 관심이 많지만, 실제 소크라테스도 철학자로 성장하는 동안 그러한 추론에 관심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으며,[20] 플라톤의 대화인 《파이돈》과 《티마이오스》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있다.

아리스토파네스가 '소크라테스 이전'의 소크라테스를 풍자했고, 플라톤이 묘사한 철학자는 그러한 비판을 수용한 더 성숙한 사상가였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19] 반대로, 아리스토파네스의 철학자 풍자는 단지 철학에 대한 그의 무지를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21] 또 다른 견해에 따르면, 《구름》은 시적 사고와 철학적 사고 사이의 역사적 경쟁의 증거로서 플라톤의 작품과 관련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22]

6. 《구름》과 고대 희극

파라바시스 본편[23]에서 합창단은 이 극이 처음 상연되었을 때 혹평을 받았다고 밝힌다. 수정된 《구름》은 고대 희극의 불완전한 형태를 보인다.[17] 고대 희극은 배우 수를 3~4명으로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구름》에서는 상급 논리와 하급 논리가 등장할 때 이미 무대에 3명의 배우가 있어, 의상 교체를 위한 노래가 없다. 또한, ''엑소더스''에 축하 노래가 없는 것도 이례적이다. 전형적인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에서 합창단은 처음에는 주인공에게 적대적일지라도 극의 끝에는 응원단이 되지만, 《구름》의 합창단은 처음에는 동정심을 보이다가 결국 적대자로 나타난다.

이 극은 다음과 같이 고대 희극의 요소를 새롭게 적용한다.


  • '''파로도스''': 합창단의 등장은 합창이 시작되기 한참 전 무대 밖에서 시작된다는 점에서 특이하다.[24] 숨겨진 합창단은 청중에게 잘 들리지 않았을 수 있으며, 이것이 원래 극의 실패 요인일 수 있다.[25]
  • '''파라바시스''': ''파라바시스 본편''(518–62행)은 일반적인 무율격 4보격이 아닌 에우폴리데아 4보격으로 구성된다.[26] 첫 번째 파라바시스(510–626)는 대체로 관습적이지만, 두 번째 파라바시스(1113–30)는 축약된 형태로, 노래와 안티에피레마 없이 에피레마를 포함하는 트로케 4보격으로 구성된다.
  • '''아곤''': 이 극에는 두 개의 아곤이 있다.
  • 첫 번째는 상급 논리와 하급 논리 간의 대결(949–1104)이다. 상급 논리의 주장은 관습적인 무율격 4보격으로, 하급 논리의 주장은 이암보스 4보격으로 제시되는데, 이는 아리스토파네스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주장에만 사용하는 변형이다.[27]
  • 두 번째 아곤은 스트렙시아데스와 그의 아들 간의 대결(1345–1451)이며, 두 화자 모두 이암보스 4보격으로 진행된다.
  • '''에피소드''': 등장인물 간의 비공식적인 대화는 관례적으로 이암보스 3보격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상급 논리와 하급 논리를 소개하는 장면은 짧은 무율격 리듬의 줄(889–948)로 진행된다. 스트렙시아데스와 그의 아들 간의 아곤에서는 에우리피데스의 《알케스티스》에서 각색된 이암보스 3보격의 대사 한 줄(1415)이 이암보스 4보격의 대사로 삽입되어 어색한 전환을 보인다.[30]

7. 한국 관련 내용

미야모토 유리코의 『인간성·정치·문학(1) -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의 문제 -』에 따르면, 키시다 쿠니오, 미시마 유키오, 후쿠다 츠네아리, 키노시타 준지 등에 의해 결성된 ‘구름의 모임’의 이름은 이 희극에서 유래했다.

8. 번역


  • 벤자민 댄 월시, 1837년,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1권, 3권. 영어 운율.
  • 윌리엄 제임스 히키, 1853년 – 산문: [https://books.google.com/books?id=Cm4NAAAAYAAJ&pg=PP25 전문], [https://en.wikisource.org/wiki/The_Comedies_of_Aristophanes_(Hickie_1853)/Clouds 전문 (위키소스)]
  • 벤자민 B. 로저스, 1924년 – 운문: [https://archive.org/details/ComediesOfAristophanesV.2 전문]
  • 아서 S. 웨이, 1934년 – 운문
  • F. L. 루카스, 1954년 – 운문
  • 로버트 헤닝 웹, 1960년 – 운문
  • 윌리엄 애로우 스미스, 1962년 – 산문 및 운문
  • 앨런 H. 솜머스타인, 1973년 – 산문 및 운문: [https://archive.org/details/acharniansclouds00aris 디지털 대출 가능]
  • 토마스 G. 웨스트와 그레이스 스타리 웨스트, 1984년 – 산문
  • 피터 마이넥, 1998년 – 산문
  • 찰스 코나한(산문), 존 커티스 프랭클린(합창 가사의 운율 번역), 2000년 [https://web.archive.org/web/20080331193653/http://www.kingmixers.com/Clouds.html][http://www.rometheatre.com/productions07summer01.html]
  • 에드워드 톰린슨, 사이먼 R. B. 앤드루스, 알렉산드라 오스웨이트, 2007년 – 산문 및 운문 (칼로이 카가토이용)
  • 조지 테오도리디스, 2007년 – 산문: [http://bacchicstage.wordpress.com/aristophanes/clouds/ 전문]
  • 이안 C. 존스턴, 2008년 – 운문: [http://johnstoniatexts.x10host.com/aristophanes/cloudshtml.html 전문]
  • 마이클 A. 튜엘러, 2011년 – 산문
  • 모세 하다스: [https://archive.org/details/completeplaysofa1971aris 디지털 대출 가능]
  • The Atticist, 2021년 – 산문 및 운문, 주석 포함: [https://aristophanes-clouds.gr/ 전문]
  • 아론 푸치간, 2021년


다른 언어로 된 이전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 이탈리아어: 바르톨로미오 & 피에트로 로시티니 데 프라트알보이노. 'Le Nebule', in ''Le Commedie del Facetissimo Aristofane''. 베네치아 ("Vinegia"), 1545.
  • 독일어: 아이작 프뢰라이젠. ''Nubes. Ein Schön und Kunstreich Spiel, darin klärlich zusehen, was betrug und hinderlist offtmahlen für ein End nimmet''. 스트라스부르 ("Straßburg"), 1613.
  • 라틴어: 슈테파누스 베르글레루스 및 카를 안드레아스 뒤케르. [https://books.google.com/books?id=e7uj19CjlQAC&pg=PA99 "Nubes"]. In ''Aristophanis comoediis undecim, Graece et Latine''. 사무엘과 요하네스 뤼흐트만스(브릴 출판사의 전신). 레이덴 ("Lugduni Batavorum"), 1760.

8. 1. 일본어 번역

번역자출판사출판년도비고
다카츠 하루시게이와나미 문고1957년 (개정판 1977년)가와데쇼보신샤 "세계 문학 전집" 수록
다나카 미치타로진분샤1961년『그리스 희극 전집 제1권』 수록
신초샤1963년『그리스 극집』 수록
치쿠마쇼보1964년『세계 고전 문학 전집 12 아리스토파네스』 수록
치쿠마 문고1986년『그리스 희극 1 아리스토파네스 상』 수록
치쿠마쇼보1977년『다나카 미치타로 전집 제13권』 수록 (전집 신판은 『제22권』)
하시모토 타카오이와나미 서점2008년『그리스 희극 전집 제1권』 수록
토베 쥰이치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2024년『희극 전집 1』(서양 고전 총서) 수록


참조

[1] 서적 Aristophanes:Lysistrata, The Acharnians, The Clouds Penguin Classics 1973
[2] 문서 ibidem
[3] 문서 Clouds (1970)
[4] 서적 Aristophanes: Lysistrata, The Acharnians, The Clouds Penguin Classics 1973
[5] 서적 Rhetoric, Comedy and the Violence of Language in Aristophanes' Clouds Oxford University Press US 1992
[6] 서적 Aristophanes:Old-and-new Comedy – Six essays in perspective UNC Press 1987
[7] 위키문헌 The Apology translated by Benjamin Jowett, section4
[8] 위키문헌 Apology, Greek text, edited J Burnet, section 19c
[9] 문서 This list of characters follows Aaron Poochigan's recent 2021 translation.
[10] 서적 Aristophanes:Lysistrata, The Acharnians, The Clouds Penguin Classics 1973
[11] 서적 Early Greek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2] 서적 Aristophanes:Lysistrata, The Acharnians, The Clouds Penguin Classics 1973
[13] 문서 Clouds (1970)
[14] 서적 Aristophanes: Lysistrata, The Acharnians, Clouds Penguin Classics 1975
[15] 서적 Aristophanes: Lysistrata, The Acharnians, Clouds Penguin Classics 1975
[16] 문서 Clouds (1970)
[17] 서적 Aristophanes:Lysistrata, The Acharnians, The Clouds Penguin Classics 1973
[18] 문서 Clouds (1970)
[19] 서적 Postmodern Plato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20] 서적 The Socratic Movement Cornell University Press 1994
[21] 문서 Clouds (1970)
[22] 서적 Postmodern Plato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23] 문서 Clouds (1970)
[24] 문서 Clouds (1970)
[25] 문서 Clouds (1970)
[26] 문서 Clouds (1970)
[27] 서적 Aristophanes:Wasps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28] 문서 Knights
[29] 문서 Frogs
[30] 서적 Aristophanes:Wasps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31] 웹사이트 Aristofane. Le Commedie del Facetissimo Aristofane https://www.vialibri[...] viaLibri 2020-12-07
[32] 서적 全集1 岩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