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파엘로의 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파엘로의 방은 바티칸 궁전에 있는 여러 방들을 일컫는 말로, 르네상스 시대 화가 라파엘로와 그의 제자들이 프레스코화로 장식했다. 이 방들은 콘스탄티누스의 방, 헬리오도로스의 방, 서명의 방, 보르고 화재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방은 특정 주제와 관련된 여러 그림들로 채워져 있다. 라파엘로가 직접 그린 작품 외에도, 그의 조수들이 그린 작품들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파엘로의 방 - 아테네 학당
    라파엘로의 프레스코화 《아테네 학당》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을 묘사하여 인간 이성과 지식 추구를 찬양하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적 이상을 표현하고 있다.
  • 라파엘로의 방 - 파르나소스 (라파엘로)
    라파엘로의 프레스코화 《파르나소스》는 신화 속 파르나소스산을 배경으로 아폴론과 9명의 무사, 그리고 고대와 동시대 시인들을 묘사하여 시를 의인화한 작품으로, 호메로스는 라오콘 군상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사포는 유일한 여성 시인으로 등장한다.
  • 개별 방 - 시스티나 경당
    시스티나 경당은 바티칸에 위치한 교황 선출 장소이자 미사 집전 성당으로, 르네상스 시대의 프레스코화, 특히 미켈란젤로의 천장화와 벽화, 라파엘로의 태피스트리로 장식되어 있다.
  • 개별 방 - 40호실
    40호실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해군에서 운영한 암호 해독 기관으로, 독일 해군 암호 해독을 통해 주요 해전에서 연합군 승리에 기여하고 치머만 전보 해독으로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이끌었으며, 종전 후 해체되어 정부 암호 및 암호 학교로 통합되어 블레츨리 파크 에니그마 해독 작전의 토대가 되었다.
  • 사도궁 - 시스티나 경당
    시스티나 경당은 바티칸에 위치한 교황 선출 장소이자 미사 집전 성당으로, 르네상스 시대의 프레스코화, 특히 미켈란젤로의 천장화와 벽화, 라파엘로의 태피스트리로 장식되어 있다.
  • 사도궁 - 파올리나 예배당
    파올리나 예배당은 교황 바오로 3세의 명으로 안토니오 다 상갈로 일 베키오가 설계하여 1538년에 착공, 1540년에 완공된 바티칸의 예배당으로, 미켈란젤로의 프레스코화가 있으며, 콘클라베 개최 장소로 사용되다가 1996년 추기경단 콘클라베 시작 장소로 지정되었다.
라파엘로의 방
개요
서명의 방
서명의 방
위치로마, 바티칸 시국
소장바티칸 미술관 내 사도 궁전
상세 정보
화가라파엘로
종류프레스코
방 목록
서명의 방 (Stanza della Segnatura)교황 율리오 2세의 서재 겸 집무실
헬리오도로스의 방 (Stanza di Eliodoro)교황의 개인 알현실
보르고 화재의 방 (Stanza dell'incendio del Borgo)공적인 음악, 연회 등을 위한 방
콘스탄티누스의 방 (Sala di Costantino)공식적인 접견 및 의례를 위한 방

2. 콘스탄티누스의 방 (Sala di Costantino)

콘스탄티누스의 방은 라파엘로의 방에 있는 4개의 방 중 가장 크다. 이 방의 그림은 교황 율리우스 2세와 라파엘로가 사망한 이후에 제작이 시작되었으며, 기독교가 이교를 이긴 것을 기념한다. 줄리오 로마노, 지안프란체스코 페니, 라파엘리노 델 콜레가 로마 제국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생애를 주제로 프레스코화를 그렸다. 라파엘로가 직접 그린 작품이 아니기 때문에, 이 방의 프레스코화는 인접한 방의 작품들보다 덜 유명하다. 라파엘로의 조수들은 오랜 관습에 따라, 그림 속 교황 실베스테르 1세의 얼굴에 당시 교황인 클레멘스 7세의 모습을 담았다.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전체 보기 (I)
centre
centre
centre
centre
전체 보기 (II)
centre
centre
centre
centre
동쪽 벽
centre
centre
centre
centre
남쪽 벽
centre
centre
centre
centre
서쪽 벽
centre
centre
centre
centre
북쪽 벽
centre
centre
centre
centre
천장
centre
centre
centre
centre


2. 1. 십자가의 환시 (The Vision of the Cross)

프레스코화 《십자가의 환시》는 막센티우스와 대결하기 위해 진군하던 콘스탄티누스에게 나타난 거대한 십자가에 대한 전설적인 이야기를 묘사한다. 하늘의 환상에는 그리스어로 "Εν τούτω νίκα" ("이것으로 정복하라", 라틴어로는 ''In hoc signo vinces''로 더 잘 알려짐)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십자가의 환시''


《십자가의 출현》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대립하는 막센티우스를 향해 진군할 때, 상공에 십자가가 나타난 장면을 그리고 있다. 십자가 근처에는 라틴어로 ''In hoc signo vinces'' (en) 라는 문자가 나타났다고 전해지며, 그림 속에서는 그것이 그리스어로 Εν τούτω νίκα라고 묘사되어 있다.

2. 2. 밀비우스 다리의 전투 (The Battle of Milvian Bridge)

''밀비우스 다리 전투''는 콘스탄티누스의 환상 이후 312년 10월 28일에 벌어진 전투를 묘사하고 있다.

2. 3. 콘스탄티누스의 세례 (The Baptism of Constantine)

잔프란체스코 페니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콘스탄티누스의 세례''는 라테란 세례당에서 교황 실베스테르 1세에게 세례를 받는 황제를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은 실베스테르의 행적과 ''교황 연대기''에 묘사된 콘스탄티누스의 세례에 대한 설명에 따르고 있으며, 유세비우스의 ''콘스탄티누스 황제전''에 나오는 죽음을 앞둔 세례와는 다르다. ''콘스탄티누스의 세례''에서 교황 실베스테르 1세는 라파엘로의 방 완성을 명령한 교황 클레멘스 7세(1523–1534)의 외모를 하고 있다.[1]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세례''

2. 4.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The Donation of Constantine)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은 콘스탄티누스의 세례 직후에 일어났다고 여겨지는 사건을 기록한 그림으로, 교황청에 로마 영토에 대한 주권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은 위조된 문서인 교령집의 동명의 위서를 토대로 제작되었다.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이 그림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로마 교황에게 영지를 기증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3. 헬리오도로스의 방 (Stanza di Eliodoro)

헬리오도로스의 방(Stanza di Eliodoro)은 라파엘로의 방 중 하나로, 1511년부터 1514년까지 그려졌다. 이 방의 이름은 이 방에 있는 그림 중 하나인 성전에서 헬리오도로스의 추방에서 따왔다. 원래는 알현실로 사용되었으며, 신 또는 그리스도가 교회에 부여한 보호를 주제로 하고 있다.[2]

이 방에는 다음 4개의 프레스코화가 있다.


  • 성전에서 헬리오도로스의 추방
  • 볼세나의 미사
  • 레오 1세와 아틸라의 만남
  • 성 베드로의 해방


처음 두 작품에서 라파엘로는 자신의 후원자인 교황 율리오 2세를 그림 속 인물로 묘사했다. 세 번째 그림은 율리오 2세 사후에 그려졌으며, 그의 후임인 레오 10세의 초상화를 포함하고 있다.[11]

라파엘로는 이 방의 그림에서 서명의 방과는 다른 스타일을 보여준다. 정적인 이미지 대신 극적인 이야기를 묘사하고, 더 적고 큰 인물들을 배치하여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또한 극적인 조명 효과를 사용하여 긴장감을 높였다.

3. 1. 성전에서 추방당하는 헬리오도로스 (The Expulsion of Heliodorus from the Temple)

《헬리오도루스의 성전 추방》에서 라파엘은 마카베오기 (3:21–28)에 나오는 헬리오도루스에 관한 성서적 일화를 묘사했는데, 헬리오도루스는 예루살렘 성전에 보관된 보물을 빼앗으려고 파견되었지만, 성전 사제의 기도에 응답한 천사들이 침입자를 채찍질하고 천사의 기수가 그를 성전에서 쫓아내면서 저지당했다.[3] 이 작품의 구성은 라파엘의 이전 작품인 서명의 방의 프레스코화보다 훨씬 더 극적이다. 초점은 기도하는 사제의 정지된 모습이지만, 헬리오도루스와 천사들은 공간 속으로 돌진하여 그림 밖으로 쏟아져 나올 듯하다. 왼쪽에는 율리오 2세가 스위스 근위병이 들고 있는 의자에 앉아 이 사건을 목격하고 있다. 그의 등장은 세속 지도자들이 교황령을 찬탈하는 것을 막기 위한 그의 전투를 의미한다.[12]

3. 2. 볼세나의 미사 (The Mass at Bolsena)

라파엘, ''볼세나의 미사'', 1512


''볼세나의 미사''는 1263년 보헤미아의 한 사제가 성변화 교리에 대한 의심을 멈추고 미사 중 축성된 빵에서 피가 흐르는 것을 보았다는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4] 피로 얼룩진 천은 인근 도시인 오르비에토에 유물로 보관되어 있었는데, 율리우스 2세는 1506년에 오르비에토를 방문하여 그 유물을 앞에 두고 기도했다.[4] 교황은 미사에 참여하여 기적을 목격하는 인물로 묘사되어 있으며, 제단 오른쪽에 무릎을 꿇고 있으며, 뒤에는 추기경단(초상화 포함)이 서 있다. 라파엘은 13세기의 "진짜" 목격자들을 사건에 대한 참여 정도에 따라 교황의 동시대인들과 구별했다. 후자들은 기적에 반응하기보다는 경건하게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율리우스 2세에게 조용히 집중한다.

3. 3. 레오 1세와 아틸라의 만남 (The Meeting of Leo the Great and Attila)

''레오 1세와 아틸라의 만남''


''레오 1세와 아틸라의 만남''은 교황 레오 1세훈족의 왕 아틸라의 휴전 협상을 묘사하며,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가 상공에 검을 든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라파엘로의 원안에서는 율리우스 2세의 모습으로 레오 1세를 배경 속에 그리려고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율리우스 2세가 사망한 후, 뒤를 이은 교황이 이름을 레오로 선택했고, 라파엘로에게 레오 1세를 중앙에, 자신의 모습을 사용하여 그리도록 지시한 것으로 추정된다.[5]

3. 4. 성 베드로의 해방 (Deliverance of Saint Peter)

라파엘로, ''성 베드로의 해방'', 1514년


성 베드로의 해방은 사도행전 12장에 묘사된 것처럼, 성 베드로가 천사에 의해 감옥에서 해방되는 과정을 세 장면으로 보여준다.[6] 이는 그리스도의 대리자가 인간적인 제약에서 벗어나는 권능을 상징한다. 교황으로 즉위하기 전 율리우스 2세가 추기경 시절에 봉헌했던 교회가 S. 피에트로 인 빈콜리(쇠사슬의 성 베드로)였기 때문에, 이 그림은 교황직에 대한 일반적인 언급이자 율리우스 2세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기도 하다.[6] 이 프레스코화는 빛에 대한 연구인데, 자연적인 달빛, 사람이 만든 횃불 빛, 그리고 신이 제공하는 천사의 빛을 보여준다. 물론, 다른 빛보다 더 밝게 빛나는 것은 마지막 천사의 빛이다.[6]

「성 베드로의 해방」에는 사도행전 제12장에 묘사된, 베드로의 해방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세 가지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다. 이 그림은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인간적인 제약에서 벗어난 로마 교황의 힘을 나타낸다. 율리우스 2세는 한때 추기경으로서 로마의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교회(San Pietro in Vincoli)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그 후 교황이 되었다. 따라서 그림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제도적 로마 교황을 나타내며, 동시에 좁은 의미로는 율리우스 2세를 나타낸다[15]。이 프레스코화에서는 달빛, 횃불 빛, 천사의 후광 등 빛의 표현이 특징적이다. 특히 천사의 후광이 인상적으로 그려져 있다.

4. 서명의 방 (Stanza della Segnatura)

《서명의 방》(이탈리아어: ''Stanza della Segnatura'')은 라파엘로가 프레스코화로 장식한 최초의 방이다. 율리우스 2세의 서재였으며, 원래 은전 서명원 재판소가 있던 곳이다. 라파엘로는 고대와 기독교의 정신을 조화롭게 묘사하고, 교황 서재의 주제인 신학, 철학, 법학, 시를 벽면의 톤도 위에 표현했다. 이 방의 주제는 세속적, 영적 지혜와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이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 사이에서 찾은 조화이다. 중요한 교황 문서가 서명되고 봉인되는 사도 서명원 회의실이었기에 지혜라는 주제는 적절했다.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은 종교와 철학, 고대와 기독교, 교회와 국가 간의 화해를 보여준다. 교회는 삼위일체, 사도, 교황으로, 철학은 철학자들과 청중으로 대표된다. 등장인물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이 여겨진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주의자로서 땅을, 플라톤은 이상주의자로서 하늘을 가리킨다. 소크라테스는 손가락으로 주장을 헤아리고, 알키비아데스(혹은 알렉산드로스 대왕)는 경청한다. 지구의를 든 뒷모습은 프톨레마이오스, 별자리본을 든 턱수염 인물은 자라투스트라이다. 파란 옷을 입고 딴짓하는 인물은 Aeschines, 책을 보는 왼쪽 아래 인물은 피타고라스, 컴퍼스로 기하학을 가르치는 인물은 유클리드이다. 책상에 불편하게 앉아 글을 쓰는 인물은 헤라클레이토스, 가운데 누워있는 인물은 디오게네스이다. 프톨레마이오스와 자라투스트라 오른쪽에 얼굴만 보이는 라파엘로는 이 위대한 인물들과 함께한다는 자부심을 표현한 것이다.

'''서명의 방 구성'''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전체 보기 (I)
전체 보기 (II)
동쪽 벽
남쪽 벽
서쪽 벽
북쪽 벽
천장


4. 1. 성사 논의 (Disputation of the Holy Sacrament)

라파엘이 1509년과 1510년 사이에 제작한 첫 번째 작품은[7] 실제로는 '성사 경배'라고 불리는 ''성사 논의''이다. 이 그림에서 라파엘은 하늘과 땅을 모두 아우르는 교회의 이미지를 창조했다.

라파엘로가 1508년 또는 1509년에 처음 그린 작품은 「성체 논의」이다. 이 이름은 성사에 대한 기도를 나타내는 오래된 명칭이다. 그림에서는 지상과 천상의 양쪽에 걸쳐 있는 존재로서 교회가 표현되어 있다.

라파엘로 『성체 논의』

4. 2. 아테네 학당 (The School of Athens)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은 종교와 철학, 고대와 기독교, 교회와 국가 간의 화해를 묘사한다. 교회는 삼위일체, 사도, 교황으로, 철학은 세 명의 철학자와 청중으로 대표된다. 등장인물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이 여겨진다[9]: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주의자로서 땅을, 플라톤은 이상주의자로서 하늘을 가리킨다. 소크라테스는 손가락으로 주장을 헤아리고, 알키비아데스(혹은 알렉산드로스 대왕)는 경청한다. 지구의를 든 뒷모습은 프톨레마이오스, 별자리본을 든 턱수염 인물은 자라투스트라이다. 파란 옷을 입고 딴짓하는 인물은 Aeschines, 책을 보는 왼쪽 아래 인물은 피타고라스, 컴퍼스로 기하학을 가르치는 인물은 유클리드이다. 책상에 불편하게 앉아 글을 쓰는 인물은 헤라클레이토스, 가운데 누워있는 인물은 디오게네스이다. 프톨레마이오스와 자라투스트라 오른쪽에 얼굴만 보이는 라파엘로는 이 위대한 인물들과 함께한다는 자부심을 표현한 것이다.

1509년부터 1511년까지 라파엘로는 ''성체 논의'' 맞은편 벽에 ''아테네 학당''을 그렸다. 이 작품은 이성을 통한 지식, 즉 진리의 정도를 나타낸다.[9] 프레스코의 위치와 맞은편 벽의 성체성사에 대한 철학자들의 움직임은 고대 철학에서 참된 종교로, 즉 기독교 이전 세계에서 기독교로의 이동이라는 방 전체의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10] 이 작품은 교황 율리우스 2세의 서재 철학 부분 위에 배치되었으며, 라파엘로의 가장 유명한 프레스코화로 여겨진다.

4. 3. 파르나소스 (The Parnassus)

라파엘로는 1509년에서 1511년 사이에 파르나소스를 완성했다.[8] 이 작품은 고전 신화에 따르면, 신 아폴론무사의 거처이자 시의 고향인 파르나소스를 묘사하고 있다. 프레스코화에는 아폴론과 무사들이 고대와 라파엘 시대의 시인들에게 둘러싸여 있다.

라파엘로는 1509년 말에서 1510년 초에 파르나소스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뮤즈들이 살며 시가 제사되는 장소라고 여겨지는 파르나소스를 배경으로, 아폴론과 뮤즈 주변에 당시의 시인들이 많이 그려져 있다.

4. 4. 추기경의 덕과 신학적 덕 (The Cardinal Virtues)

라파엘, ''추기덕''


네 번째 벽의 두 장면은 라파엘로의 작업실에서 제작되었으며, 그 위 반원형 벽감에는 1511년에 그려진 ''추기경 덕목''이 있다. ''추기경 덕목''은 용기(용맹), 신중, 절제와 자선, 신앙, 희망의 덕목을 우화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방의 네 번째 벽에는 라파엘로의 공방 제자들이 그린 두 점의 그림이 있고, 그 위에 루넷에 "추기덕"이라는 제목으로 1511년에 라파엘로가 제작한 그림이 있다. "추기덕"은 (가장 중요한 덕목인) 인내(혹은 용기), 신중함, 자제를 나타내며, 각각 세 명의 여성에 의해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5. 보르고 화재의 방 (Stanza dell'incendio del Borgo)

보르고의 화재의 방(Stanza dell'incendio del Borgo)은 교황 레오 4세바티칸 시국 근처 로마의 보르고 지구에서 맹렬하게 타오르는 불을 십자가를 그어 진화시키는 모습을 묘사한 프레스코화인 ''보르고의 화재''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 방은 레오 10세를 위한 음악실로 준비되었다. 프레스코화는 교황 레오 3세와 레오 4세의 생애의 사건들을 묘사하고 있다.

이 방의 다른 그림들로는 ''레오 3세의 맹세'', ''샤를마뉴의 대관식'', 그리고 ''오스티아 전투''가 있다. 비록 ''보르고의 화재''는 라파엘로의 성숙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했지만, 그의 조수들이 그의 지도 없이 나머지 세 그림을 그렸다.

5. 1. 레오 3세의 서약 (The Oath of Leo III)

800년 12월 23일, 교황 레오 3세는 전임 교황인 하드리아노 1세의 조카들이 제기한 혐의에 대해 정화의 서약을 했다. 이 사건은 ''레오 3세의 서약''에 묘사되어 있다.

5. 2. 샤를마뉴 대관식 (The Coronation of Charlemagne)

''샤를마뉴의 대관식''은 샤를마뉴가 800년 크리스마스에 로마 황제로 대관하는 장면을 묘사한다.[1] 교황 레오 3세카롤루스 대제에게 대관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1]

5. 3. 보르고의 화재 (Fire in the Borgo)

'''보르고의 화재'''는 교황 레오 4세바티칸 시국 근처 로마의 보르고 지역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한 사건을 묘사한 프레스코화이다. 847년 로마의 보르고에서 큰 화재가 발생했는데, 로마 가톨릭교회에 따르면 교황 레오 4세가 축복을 내려 불길을 잡았다고 한다.[1]

''보르고의 화재''

5. 4. 오스티아 전투 (The Battle of Ostia)

''오스티아 해전''은 849년 오스티아 해전에서 교황 레오 4세사라센을 격퇴한 사건을 그린 그림이다. 레오 4세가 사라센을 상대로 오스티아에서 거둔 해상 승리에서 영감을 받았다.

''오스티아 해전''

참조

[1] 웹사이트 Raphael | Stanze in the Palazzi Pontifici, Vatican | Podere Santa Pia, Holiday house in the south of Tuscany http://www.traveling[...] 2021-04-17
[2] 서적 Raphael New Haven 1983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Raphael Phaidon Publishers 1948
[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Rapha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9] 서적
[10] 간행물 Rafael y el Amor. La Escuela de Atenas como protréptico a la filosofia Barcelona 2007
[11] 서적 Raphael New Haven 1983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