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련목은 3개의 과(수련과, 어항마름과, 히다텔라과)와 약 70~90종을 포함하는 속씨식물 분류군이다. 속씨식물 중에서 암보렐라목 다음으로 초기에 분기된 것으로 여겨지며, 지하경을 가진 수생 초본 식물이다.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수련과, 어항마름과, 히다텔라과를 포함하는 수련목으로 분류하며, 화석 기록은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물의 목 - 은행나무목
은행나무목은 겉씨식물문의 강으로, 고생대부터 존재했으며 현재는 은행나무속 식물만 생존해 있고 자웅이주 식물이며 독특한 잎과 생식 방식을 가진다. - 식물의 목 -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은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과, 오미자과, 트리메니아과를 포함하는 속씨식물 목으로, 목본 식물로 이루어져 있고, 꽃은 방사 대칭이며, 열매는 주로 장과 형태를 띠고, 한국에서는 오미자 등이 자생하며 생태계 보존 및 농가 소득 증대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1820년 기재된 식물 - 종려과
종려과는 단일 줄기에 손바닥 모양 또는 깃털 모양의 잎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건축 자재, 식용, 관상용 등으로 이용되며 야자목을 구성한다. - 1820년 기재된 식물 - 고추나무과
고추나무과는 고추나무속, 달림플레아속, 투르피니아속 등을 포함하며 고추나무, 미역줄나무, 누리장나무 등이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과거에는 후에르테아속과 타피스키아속도 속했으나 현재는 타피스키아과로 분류된다.
수련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명 | Nymphaeales |
학명_제정자 | Salisb. ex Bercht. & J.Presl |
목 | 스이렌모쿠 (일본어)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_계급_없음 | 속씨식물군 |
하위 분류 | |
과 | 히다텔라과 하고로모모과 수련과 |
계통진화 | |
APG III | APG III 상호 관련도 |
이명 | |
이명_목록 | 바클리수련목 (Barclayales Doweld) 카봄바목 (Cabombales Richard) 가시연꽃목 (Euryalales H. L. Li) 히다텔라목 (Hydatellales Reveal & Doweld) 순채목 (Hydropeltidales Spenner) 히다텔라나에 (Hydatellanae Reveal) 님파에아나에 (Nymphaeanae Reveal) 히다텔리다에 (Hydatellidae Doweld) 님파에이다에 (Nymphaeidae Takhtajan) 히드로펠톱시다 (Hydropeltopsida Bartling) 님파에옵시다 (Nymphaeopsida Horaninow) |
시간 척도 | |
화석 범위 | 초기 백악기 - 현재 |
2. 하위 분류
APG III 분류 체계(2009년)에 따른 수련목의 분류 및 속씨식물 내 계통은 다음과 같다.
수련목 |
---|
현재 수련목은 3개의 과와 약 70~90종을 포함한다.[49]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수련과, 어항마름과, 히다텔라과를 포함하는 수련목을 속씨식물군 아래에 분류하며,[42]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43] 이는 히다텔라과가 수련목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힌 2007년 연구를 반영한 것이다.[44]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수련상목(Nymphaean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수련과(Nymphaeaceae)와 어항마름과(Cabombaceae)를 두었다.[47]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바클리수련과(Barclayaceae),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수련과(Nymphaeaceae), 어항마름과(Cabombaceae), 연꽃과(Nelumbonaceae)를 두었다.[48]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수련상목(Nymphaean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어항마름과(Cabombaceae), 수련과(Nymphaeaceae)를 두었다.[49]
APG III 시스템[19] 수련목 | 탁타잔 시스템[20] 수련목 | Cronquist 시스템[21] 수련목 | Dahlgren 시스템[22] 수련목 | Thorne system (1992)[23] & (2000)[24] 수련목 |
---|---|---|---|---|
지채과 | 외떡잎식물 중, 지채목으로 | |||
네가래과 | 네가래과 | 네가래과 | 네가래과 | 네가래과 |
수련과 | 수련과 | 바클라야과 | 수련과 | 수련과 |
수련과 | ||||
Ceratophyllaceae | Ceratophyllaceae | Ceratophyllaceae | 미나리아재비아강에 속함 | |
| 연꽃과 | 목련아강에 속함 |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수련과, 어항마름과, 히다텔라과를 포함하는 수련목을 속씨식물군 아래에 분류하며,[42]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43] 이는 히다텔라과가 수련목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힌 Saarela 등의 2007년 연구를 반영한 것이다.[44] 2003년 APG II 분류 체계와 그 이전의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수련목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대신 어항마름과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수련과가 속씨식물군 바로 아래에 분류되었다.[45][46]
수련목에 속하는 식물은 지하경을 가진 수생 초본이다.[26][29]。물 밑의 지하경에서 잎을 내는 것이 많지만, 하고로모모과는 지하경에서 물속으로 뻗는 줄기에 잎이 달린다.[26][29] 관다발 형성층에 의한 이차 생장을 하는 종은 없다.[26][29]。표피는 피층의 외층에서 유래한다.[26]。관다발은 후벽 조직을 동반하지 않는다.[26]。종종 통기 조직을 가진다.[26][29]。유근은 소실되고, 지하경에서 생기는 부정근이 발달한다.[26]。또한 균근을 결여한다.[26]。줄기 속의 관다발은 보통 흩어져 있다.[26][29]。잎은 보통 어긋나기로 나선형을 이룬다.[26] (하고로모모속의 침수엽은 마주나기 또는 돌려나기). 잎은 보통 넓은 잎이지만, 히다텔라과는 선형의 가늘고 긴 잎을 가진다.[29] 기공은 보통 불규칙형이다.[26]。
화석 기록은 특히 씨앗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꽃가루, 줄기, 잎, 꽃도 포함하며,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7] 수련목의 크라운 그룹은 약 1억 1200만 년 전으로 추정되지만,[8] 일부에서는 이 연대가 너무 오래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9]
[1]
논문
Water lily research: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www.maxapres[...]
2023
3. 계통 분류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수련상목(Nymphaean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수련과(Nymphaeaceae)와 어항마름과(Cabombaceae)를 두었다.[47]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바클리수련과(Barclayaceae),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수련과(Nymphaeaceae), 어항마름과(Cabombaceae), 연꽃과(Nelumbonaceae)를 두었다.[48]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는 수련목을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수련상목(Nymphaeanae) 아래에 분류했으며, 하위에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어항마름과(Cabombaceae), 수련과(Nymphaeaceae)를 두었다.[49]
현재 수련목은 3개의 과와 약 70~90종을 포함한다.
20세기 말 이후의 분자 계통학 연구에 의해, 수련목은 현생 속씨식물 중에서 극히 초기에 다른 그룹과 갈라진 그룹임이 밝혀졌다.[26][29][36] 2020년 현재, 현생 속씨식물 중에서 암보렐라목이 처음으로 분기하고, 그 다음으로 수련목이 분기했다는 가설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26][30][31] 한편, 암보렐라목과 수련목이 단 계통군을 형성하고, 이것이 현생 속씨식물 중에서 처음으로 분기했다는 가설이 제시되기도 한다.[32][33]|
20세기 후반에 일반적이었던 식물의 분류 체계인 신 에글러 체계에서는, 수련과는 그 꽃의 특징 등에서 미나리아재비목으로 분류되었다[34](표 1). 그 후에 일반적이 된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수련과는 수련목으로 분류되었다[35](표 1). 신 에글러 체계에서는 연꽃과나 물고사리과의 식물은 수련과에 분류되었지만, 크론키스트 체계에서는 이러한 식물은 각각 독립된 과로 되었지만, 수련과와 마찬가지로 수련목으로 분류되었다(표 1). 또한 같은 수생 식물인 마름과도 수련목에 포함되었다(표 1).과 신 에글러 체계[34]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35] APG 체계 (APG III)[36] 마름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목 마름목 연꽃과 프로테아목 수련과 수련목 물고사리과 히다텔라과 벼목 히다텔라목
20세기 말 무렵부터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의해, 피자식물의 분류 체계는 크게 변동했다. 수련과와 물고사리과는 근연임이 확인되어, 함께 수련목으로 분류되었다.[26][36](표 1). 마름과도 피자식물의 초기 분기군의 하나임이 시사되었지만, 수련과와의 근연성은 지지되지 않아, 수련목에서는 제외되었다.[36]. 또한 연꽃과도 수련과와는 거리가 멀고, 진정쌍떡잎식물에 포함되는 것이 밝혀져, 수련목에서는 제외되었다.[36].
한편, 히다텔라류는 그 형태로부터 단자엽식물에 분류되었다. 그러나 그 분류학적 위치는 일정하지 않고, 신 에글러 체계에서는 벼목의 카츠마다소우과(현 새삼과)에 분류되었지만[34],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에서는 독립된 히다텔라목, 히다텔라과로 되었다.[35](표 1).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선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의해, 히다텔라과는 수련과와 물고사리과에 근연임이 시사되어, 수련목으로 분류되게 되었다.[26][36](표 1).
이상의 경위를 거쳐, 수련목에는 히다텔라과, 물고사리과, 수련과의 3과가 포함되게 되었고, 8속 8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표 2). 수련목 안에서는 히다텔라과가 처음에 분기하고, 물고사리과와 수련과가 자매군임이 시사되었다.[26]과 특징 속, 종 수 히다텔라과 벼과처럼 가늘고 긴 잎이 총생하고 있다.[26][27] 꽃은 꽃덮이를 결여하고, 1개의 수술 또는 1개의 암술만으로 이루어진다. 1속 약 14종 물고사리과 지하경에서 수중에 줄기가 뻗어, 여기에서 잎이 생긴다.[26][29] 꽃은 동화피화(꽃받침과 꽃잎이 분화되지 않음)이며, 3수성, 분리심피 (복수의 암술)을 가진다. 2속 약 6종 (어리연꽃속, 물고사리속) 수련과 지하경에서 잎이 생기고 있다.[26][29] 4–6장의 꽃받침과 다수의 꽃잎, 수술을 갖고, 다수의 심피가 합착하여 1개의 암술을 구성하고 있다. 5속 약 60종 (어름속, 발클라야속, 수련속, 가시연꽃속, 빅토리아수련속)
4. 특징
꽃의 형태는 그룹에 따라 크게 다르다. 히다텔라과의 꽃은 화피를 결여하고, 수꽃은 1개의 수술, 암꽃은 1개의 암술만으로 이루어진다.[26][27] 하고로모모과의 꽃은 기본적으로 3수성(三數性)이며, 이생심피(여러 개의 암술)를 가진다.[26][29] 한편, 수련속(수련과)의 꽃은 크고, 다수의 꽃잎과 수술이 종종 나선형으로 달려 있으며, 합생심피를 가진다.[26][29] 꽃가루는 기본적으로 단구립(單溝粒)이다.[26]。배낭은 4핵 4세포성(1개의 난세포, 2개의 조세포, 1개의 1핵 중앙세포)이다.[26][29]。배유 (내유) 형성은 최초의 분열은 가로 분열이다.[26]。종자는 뚜껑을 가진다.[26][29]。성숙한 종자에서는 내유는 퇴화하고, 전분을 포함한 주유 (배주에서 배낭 내가 아니고 그것을 둘러싸는 주심에 영양분이 저장된 구조)가 발달한다.[29]。종자 속의 배는 합착된 자엽을 가진다.[26][29]。자엽은 지하성이다.[26]。
수련목에 속하는 종은, 기본적으로 모두 담수산 수생 식물이며, 많은 종류가 여러해살이풀이고, 일부는 한해살이의 침수 식물, 부엽 식물, 또는 출수 식물이지만, 물에 잠기지 않은 습지에 생육하는 경우도 있다.[26][29][27][28]。
5. 화석 기록
수련목의 기저 구성원인 ''Monetianthus''는 초기 백악기 포르투갈에서 발견되었다.[10] 수련과 화석으로는 브라질의 초기 백악기에서 발견된 ''Jaguariba''가 있다. 여러 백악기 시대의 가래나무과 속도 알려져 있는데, 요르단의 ''Scutifolium'', 브라질의 ''Pluricarpellatia'', 캔자스의 ''Brasenites''가 이에 해당한다.[11] 현존하는 ''Nuphar''의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지는 화석 속인 ''Notonuphar''는 남극 세이모어 섬의 에오세 시대 퇴적물에서 발견되었다.[12] ''Brasipelta'' Krassilov 속은 이스라엘 후기 백악기에서 기술되었다.[13][14][15] 중국 랴오닝성의 초기 백악기에서 발견된 수생 식물 화석 ''Archaefructus''도 이 그룹에 속할 수 있다.[16]
6. 각주
참조
[2]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3]
웹사이트
Water lily ( Nymphaea thermarum) genome reveals variable genomic signatures of ancient vascular cambium losses | bioRxiv
https://www.biorxiv.[...]
[4]
웹사이트
The Plant List (website)
[5]
간행물
Towards a complete species tree of Nymphaea: shedding further light on subg. Brachyceras and its relationships to the Australian water-lilies
[6]
웹사이트
Nymphaeales: Fossil Record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7]
간행물
Fossil evidence of water lilies (Nymphaeales) in the Early Cretaceous
2001-03-15
[8]
간행물
Angiosperm diversification through time
[9]
간행물
The age and diver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re-revisited
[10]
간행물
Monetianthus mirus gen. et sp. nov., a Nymphaealean Flower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Portugal
https://www.journals[...]
2009-05
[11]
간행물
Phylogenetic Analysis of Fossil Water Lilies Based on Leaf Architecture and Vegetative Characters: Testing Phylogenetic Hypotheses from Molecular Studies
https://bioone.org/j[...]
2014-10-01
[12]
간행물
Notonuphar antarctica, an extinct water lily (Nymphaeales) from the Eocene of Antarctica
2017-08-01
[13]
웹사이트
Brasipelta gregaria Krassilov
https://ifpni.org/sp[...]
The International Fossil Plant Names Index (IFPNI)
2024-11-14
[14]
웹사이트
Brasipelta Krassilov
https://ifpni.org/ge[...]
The International Fossil Plant Names Index (IFPNI)
2024-11-14
[15]
문서
Late Cretaceous (Turonian) flora of southern Negev, Israel
2005
[16]
간행물
The Year in Evolutionary Biology 2008
http://www.annalsnya[...]
2008-06
[17]
간행물
Hydatellaceae identified as a new branch near the base of the angiosperm phylogenetic tree
https://digitalcommo[...]
[18]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19]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0]
간행물
Outline of the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Magnoliophyta)
[21]
서적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2]
간행물
A revis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angiosperms
[23]
간행물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24]
간행물
The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Dicotyledons of the class Angiospermae
[25]
웹사이트
Nymphaeales Salisb. ex Bercht. & J.Presl.
http://www.worldflor[...]
2021-06-13
[26]
웹사이트
Nymphaeaceae
http://www.mobot.org[...]
2021-06-12
[27]
서적
Flowering Plants · Monocotyledons.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4.
Springer
[28]
서적
Plant Systematics
Academic Press
[29]
서적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Academic Press
[30]
간행물
Mutually exclusive phylogenomic inferences at the root of the angiosperms: Amborella is supported as sister and Observed Variability is biased
[31]
간행물
One thousand plant transcriptomes and the phylogenomics of green plants
[32]
간행물
The age and diver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re‐revisited
[33]
간행물
Coalescent versus concatenation methods and the placement of Amborella as sister to water lilies
[34]
서적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35]
서적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36]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37]
웹사이트
Hydatellaceae
https://www.gbif.org[...]
2021
[38]
웹사이트
Cabombaceae
https://www.gbif.org[...]
2021
[39]
웹사이트
Nymphaeaceae
https://www.gbif.org[...]
2021
[40]
문서
ex: Berchtold, Bedřich Všemír von & Presl, Jan Svatopluk. O Prirozenosti Rostlin 244
1820
[41]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16-04-01
[42]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s://academic.oup[...]
[43]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academic.oup[...]
[44]
저널
Hydatellaceae identified as a new branch near the base of the angiosperm phylogenetic tree
https://www.research[...]
[45]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s://academic.oup[...]
[46]
저널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http://www.bergiansk[...]
[47]
저널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48]
서적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https://archive.org/[...]
[49]
저널
A revis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