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금융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리금융학은 금융 경제학의 수학적 모델 및 수치 모델 확장을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 1970년대 블랙-숄즈 모형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확률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증권 가격 결정, 파생 상품 가격 결정 이론, 위험 관리 및 포트폴리오 관리 등을 연구한다. 주요 개념으로는 무위험 차익 거래와 복제, 완비 시장과 불완비 시장 등이 있으며, 블랙-숄즈 모형,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수학적 도구와 모델을 활용한다. 2007-2010년 금융 위기로 인해 모델의 신뢰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새로운 이론과 방법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계산 금융, 금융 공학, 경제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이 있으며, 국제 수리 금융 협회 등 관련 기관 및 학회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용통계학 - 추천 시스템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나 상품을 추천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알고리즘과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 정확도와 개인화 수준을 높이고 있으며, 여러 서비스에서 활용되면서 정확도 외 다양성,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다. - 응용통계학 - 계량경제학
계량경제학은 통계 이론과 수리 통계학을 활용해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경제 이론 모형을 통계적으로 추정 및 검증하며, 준실험 방법으로 인과 관계를 추론하고, 내생성 문제 해결 및 최신 방법론을 발전시키는 학문이다. - 수리금융학 - 이자율
이자율은 자금의 시간 가치를 반영하는 금리로서, 대출 또는 차입 시 지불되는 이자의 비율이며, 통화정책, 기준금리, 만기, 신용도, 시장 수요 공급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수리금융학 - 72의 법칙
72의 법칙은 복리 계산 시 투자 원금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수익률로 나누어 어림수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투자 결정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며, 이자율 조건에 따라 다른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수리금융학 | |
---|---|
개요 | |
분야 | 응용 수학, 금융, 계산 금융 |
관련 분야 | 확률론, 통계학, 경제학, 물리학 |
유형 | 학문 분야 |
세부 분야 | |
주요 연구 분야 | 블랙-숄즈 모형 이자율 모형 변동성 스마일 위험 관리 포트폴리오 최적화 파생 상품 가격 결정 |
역사 | |
발전 배경 | 1960년대 후반부터 발전, 특히 블랙-숄즈 모형 발표 이후 급성장 |
응용 | |
주요 응용 분야 | 파생 상품 가격 결정 위험 관리 포트폴리오 관리 알고리즘 트레이딩 |
관련 인물 | |
주요 학자 | 피셔 블랙 마이런 숄즈 로버트 C. 머턴 루이 바슐리에 해리 마코위츠 윌리엄 샤프 |
도구 | |
주요 방법론 | 확률 미적분학 확률 과정 몬테카를로 방법 수치 해석 |
참고 자료 | |
관련 저널 | 수학 금융 |
2. 역사
수리 금융은 금융 시장의 발전과 함께 발전해 왔다. 일반적으로 수리 금융은 금융 경제학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수학 모델 또는 수치 모델로 확장한 것이다. 1970년대 블랙과 쇼울즈 등의 이론에 의해 수리 금융이 급속히 발전했다.[21]
증권 가격은 어떤 확률 미분 방정식을 따른다는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확률론 지식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Harrison, David Kreps|Kreps영어, Pliska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연구 성과에 의해 무재정 조건(시장에 재정 기회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동치인 마팅게일 확률 측도가 존재하는 것이 서로 필요충분조건임이 제시되었다. 이후, 단순하게 증권 가격이 확률 과정에 따른다는 논의에 무재정 가격의 관점도 더해졌다.[21]
수리 금융은 금융 경제학의 기본 정리, 특히 자산 가격 이론과 시장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미시 경제학의 논의에서는, 경쟁 시장에서 가격은 수요 함수와 공급 함수로부터 도출되는 균형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 균형과, 소비자나 생산자가 모든 재화의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행동하는 일반 균형의 논의가 있다. 수리 금융에서는 일반 균형이 증권 시장에서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블랙-숄즈 모형에서는 주가와 채권 가격이 이미 주어진 것으로 하여, 파생 상품의 가격을 도출한다. 그러나 이 주가 수준이 왜 그 값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으며, 무차익 원리의 틀에서는 결정할 수 없다. 거기에는 전통적인 경제학이나 CAPM 등의 이론이 필요하다.
2. 1. 파생 상품 가격 결정 이론의 발전 (Q-세계)
루이 바셸리에는 1900년 "투기 이론"에서 브라운 운동을 도입하여 옵션 가격 결정을 시도했다.[4][5] 1970년대 피셔 블랙, 마이런 숄즈, 로버트 C. 머튼은 기하 브라운 운동을 적용한 블랙-숄즈 모형을 개발하여 옵션 가격 결정 이론을 발전시켰다. 숄즈와 머튼은 이 공로로 199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블랙은 1995년 사망).[8]1980년대 해리슨과 플리스카는 자산 가격 결정의 기본 정리를 통해, 적절히 정규화된 증권의 현재 가격이 미래 변화에 대한 기대값과 같다는 마팅게일 개념을 도입했다.[9] 이는 위험 중립 확률() 하에서 가격 결정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Q-세계에서는 주로 매도 측(Sell-side)에서 파생 상품의 공정 가격을 결정하기 위해 이토 미적분, 편미분 방정식, 몬테카를로 방법 등의 도구를 사용한다.[10]
2. 2. 위험 및 포트폴리오 관리 (P-세계)
199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마코위츠, 샤프, 머튼 밀러는 포트폴리오 선택 연구를 통해 투자 관리에 수학을 도입했다.[11] 이후 로버트 머튼과 폴 새뮤얼슨은 1기간 모델을 연속 시간, 브라운 운동 모델로 대체하였고, 평균-분산 최적화에 내재된 2차 효용 함수는 더 일반적인 증가하고 오목한 효용 함수로 대체하면서 수학은 더욱 정교해졌다.[11]위험 및 포트폴리오 관리는 주어진 미래 투자 기간에 모든 증권의 시장 가격에 대한 통계적으로 파생된 확률 분포를 모델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장 가격의 이 "실제" 확률 분포는 일반적으로 칠판 글자 ""로 표시된다. P 분포를 기반으로, 매수 측은 포트폴리오로 간주되는 포지션의 예상 손익 프로필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증권을 구매할지 결정한다.
최근에는 고급 시계열 분석만으로는 시장 매개변수를 완전히 정확하게 추정할 수 없다는 가정의 위험, 즉 추정 위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2]
목표 | "미래 모델링" |
---|---|
환경 | 실제 확률 |
과정 | 이산 시간 시계열 |
차원 | 대규모 |
도구 | 다변량 통계 |
과제 | 추정 |
업무 | 매수 측면 |
수리금융학의 주요 개념은 크게 파생 상품 가격 결정과 위험 관리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3. 주요 개념
파생 상품 가격 결정파생 상품 가격 결정의 목표는 유동적인 증권의 가격을 기준으로 주어진 증권의 공정한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공정'의 의미는 증권을 사고 파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가격이 결정되는 증권에는 일반 옵션, 이국 옵션, 전환 사채 등이 있다. 공정한 가격이 결정되면, 매도 측 거래자는 해당 증권에 대한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파생 상품 가격 결정은 매도 측에서 사용하는 증권의 현재 시장 가치를 정의하기 위한 복잡한 "외삽" 과정이다.
루이 바셸리에는 1900년에 출판된 ''투기 이론''에서 브라운 운동을 도입하고 이를 옵션 가격 결정에 적용하면서 계량적 파생 상품 가격 결정이 시작되었다.[4][5] 브라운 운동은 랑주뱅 방정식과 이산 랜덤워크를 사용하여 유도된다.[6] 바셸리에는 주가 로그 변화에 대한 시계열을 단기적 변화가 유한한 분산을 갖는 랜덤워크로 모델링했고, 이로 인해 장기적 변화는 정규 분포를 따르게 된다.[7]
이후 피셔 블랙, 마이런 숄즈, 로버트 C. 머튼이 기하 브라운 운동을 옵션 가격 결정에 적용하면서 이 분야는 더욱 발전했다. 이 업적으로 숄즈와 머튼은 199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블랙은 1995년 사망)[8]
해리슨과 플리스카(1981)의 자산 가격 결정의 기본 정리에 따르면, 적절히 정규화된 증권의 현재 가격 ''P0''는 차익 거래가 없는 경우에만 공정한 가격이 된다. 이는 미래 변화를 설명하는 상수 기대값을 가진 확률 과정 ''Pt''가 존재해야 함을 의미한다.[9]
:
위 식을 만족하는 과정을 마팅게일이라고 한다. 마팅게일은 위험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으므로, 정규화된 증권 가격 과정의 확률은 "위험 중립적"이라고 하며, ""로 표시된다. 이 관계는 모든 시간 t에 대해 성립해야 하므로, 파생 상품 가격 결정에 사용되는 프로세스는 연속 시간으로 설정된다.
파생 상품 가격 결정의 Q 세계에서 활동하는 계량 분석가는 모델링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진 전문가이다. 증권은 개별적으로 가격이 책정되므로 Q 세계의 문제는 저차원적이다. 보정은 Q 세계의 주요 과제 중 하나이며, 연속 시간 매개변수 프로세스가 위 식과 같은 관계를 통해 거래된 증권 집합에 대해 보정되면, 유사한 관계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생 상품의 가격을 정의한다. 연속 시간 Q-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주요 계량적 도구는 이토의 확률 미적분, 시뮬레이션, 편미분 방정식(PDEs)이다.[10]목표 "현재를 외삽(extrapolate)하는 것" 환경 위험 중립 확률 프로세스 연속 시간 마팅게일 차원 낮음 도구 이토 미적분, 편미분 방정식(PDEs) 과제 보정(calibration) 비즈니스 매도 측
위험 및 포트폴리오 관리위험 및 포트폴리오 관리는 주어진 미래 투자 기간에 모든 증권의 시장 가격에 대한 통계적으로 파생된 확률 분포를 모델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실제" 확률 분포는 ""로 표시된다. P 분포를 기반으로, 매수 측은 포트폴리오의 예상 손익 프로필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증권을 구매할지 결정한다.
마코위츠와 샤프는 머튼 밀러와 함께 199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마코위츠와 샤프의 포트폴리오 선택 연구는 투자 관리에 수학을 도입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정교해졌다. 로버트 머튼과 폴 새뮤얼슨 덕분에 1기간 모델은 연속 시간, 브라운 운동 모델로 대체되었고, 평균-분산 최적화에 내재된 2차 효용 함수는 더 일반적인 증가하고 오목한 효용 함수로 대체되었다.[11] 최근에는 추정 위험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12]목표 "미래 모델링" 환경 실제 확률 과정 이산 시간 시계열 차원 대규모 도구 다변량 통계 과제 추정 업무 매수 측면
찰스 도는 다우 존스 & 컴퍼니(Dow Jones & Company)와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의 창립자 중 한 명으로, 다우 이론(Dow Theory)을 제시했다. 이는 미래 변화를 예측하려는 기술적 분석 방법의 기초가 된다.
금융 경제학의 기본 정리는 자산 가격 이론과 시장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수리 금융에서는 일반 균형이 증권 시장에서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일반 균형이 전제이므로 증권 가격의 상대 가격은 도출되지만, 절대 가격은 논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블랙-숄즈 모형에서는 주가와 채권 가격이 이미 주어진 것으로 보고 파생 상품의 가격을 도출하지만, 주가 수준 자체는 무차익 원리의 틀에서는 결정할 수 없다.
3. 1. 무위험 차익 거래와 복제의 개념
무위험 차익 거래(Arbitrage)는 위험 없이 확정된 이익을 얻는 거래를 의미한다. 복제(Replication영어)는 가격이 알려진 여러 금융 상품의 조합(포트폴리오)을 이용하여 가격이 알려지지 않은 다른 금융 상품의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수리 금융에서는 무차익 원리에 기반하여, 복제를 통해 금융 상품의 적정 가격을 도출한다.
가격이 알려지지 않은 금융 상품을, 가격이 이미 알려진 복수의 금융 상품 조합(포트폴리오)으로 복제하여, 원래 금융 상품의 가격이 무차익 원리에 기초하여 도출된다는 것이 수리 금융의 기본적인 생각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수리 금융에서의 "가격"이라는 개념은 매우 명확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수리 금융학에서의 가격 이론 중 단순한 구조를 가진 블랙-숄즈 모형은 주식과 채권이라는 두 가지 가격이 알려진 증권을 이용하여 임의의 파생 상품(주식에 관한 것에 한함)의 복제를 수행한다. 이처럼 모든 파생 상품이 복제 가능할 때, 시장은 완비적이라고 한다. 반면에 복제할 수 없는 상품이 존재하는 시장을 비완비 시장이라고 부른다. 완비적인 모형에서는 무재정 원리로부터 모든 파생 상품의 적정 가격을 구할 수 있지만, 비완비적인 모형의 경우에는 복제할 수 없는 상품에 관해서는 무재정 원리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 가격을 정의해야 한다.
3. 2. 완비 시장과 불완비 시장
완비 시장(Complete Market영어)은 모든 파생 상품을 복제할 수 있는 시장을 의미한다. 불완비 시장(Incomplete Market영어)은 복제할 수 없는 상품이 존재하는 시장이다. 완비 시장에서는 무차익 원리를 통해 모든 파생 상품의 가격을 구할 수 있지만, 불완비 시장에서는 다른 방법을 통해 가격을 결정해야 한다.
블랙-숄즈 모형은 주식과 채권이라는 두 가지 가격이 알려진 증권을 이용하여 임의의 파생 상품(주식에 관한 것에 한함)의 복제를 수행한다. 이처럼 모든 파생 상품이 복제 가능할 때, 시장은 완비적이라고 한다. 반면에 복제할 수 없는 상품이 존재하는 시장을 불완비 시장이라고 부른다. 완비적인 모형에서는 무재정 원리로부터 모든 파생 상품의 적정 가격을 구할 수 있지만, 불완비적인 모형의 경우에는 복제할 수 없는 상품에 관해서는 무재정 원리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 가격을 정의해야 한다.[1]
4. 비판
2007-2010년 금융 위기로 인해 수리금융학의 신뢰성이 훼손되면서, 현대 수학 금융 실무는 폴 윌모트와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의 저서 ''블랙 스완''에 의해 비판받았다.[13] 탈레브는 현재 사용되는 단순한 모델로는 금융 자산의 가격을 특성화할 수 없으며, 현재의 많은 실무가 기껏해야 무관하고, 최악의 경우 위험할 정도로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한다. 윌모트와 에마누엘 더먼은 2009년 1월에 가장 심각한 우려 사항들을 다룬 ''금융 모델러 선언''을 발표했다.[14]
일반적으로, 유한한 분산을 가진 분포로 변화를 모델링하는 것은 점점 더 부적절하다고 여겨지고 있다.[16] 1960년대에 브누아 만델브로트는 가격 변화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고, 오히려 레비 알파-안정 분포에 의해 더 잘 모델링된다는 것을 발견했다.[17] 위 또는 아래로의 큰 변화는 추정된 표준 편차를 가진 정규 분포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것보다 더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문제는 매개변수화를 훨씬 더 어렵게 만들고 위험 관리를 덜 신뢰할 수 있게 하므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이다.[13]
루카스 비판은 관찰된 관계가 본질적으로 구조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인과 분석과 계량 경제학을 사용하여 관계를 식별하지 않는 한 공공 정책이나 이익을 위해 활용할 수 없다고 명시한다.[18] 따라서 수학적 금융 모델은 자기 실현적 예언과 같은 현대 거시 경제적 움직임을 모델링하는 데 중요한 인간 심리의 복잡한 요소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는 뱅크런을 유발한다.
5. 수학적 도구
수리 금융에서는 여러 수학적 도구가 사용된다. 확률론, 확률 미적분학, 미분 방정식, 수치 해석, 최적화 이론 등이 활용된다.[10] 블랙-숄즈 모형, 이항 옵션 가격 결정 모형,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유한 차분법 등 다양한 금융 모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파생 상품 가격 결정의 Q 세계에서 활동하는 계량 분석가는 모델링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진 전문가이다. 연속 시간 Q-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주요 계량적 도구는 이토의 확률 미적분, 시뮬레이션 및 편미분 방정식(PDEs)이다.[10]
다음은 수리금융학에서 사용되는 수학적 도구 및 관련 모델의 예시이다.
분야 | 내용 |
---|---|
확률론 | 확률 분포 (이항 분포, 존슨 SU 분포, 로그 정규 분포, 스튜던트 t-분포), 기댓값, 분위 함수, 라돈-니코딤 도함수, 위험 중립 측도, 코퓰라 |
확률 미적분학 | 브라운 운동, 레비 과정, 확률 미분 방정식, 마팅게일 표현 정리, 기르사노프 정리, 이토의 보조정리 |
미분 방정식 | 편미분 방정식 (열 방정식), 수치적 편미분 방정식 (크랭크-니콜슨 방법, 유한 차분법), 역방향 확률 미분 방정식 |
수치 해석 | 가우스 구적법, 몬테카를로 방법 |
최적화 이론 | 수학적 최적화 (선형 계획법, 비선형 계획법, 이차 계획법), 확률적 최적화, 시나리오 최적화 |
기타 | 미적분학, 실해석학, 점근적 분석, 에르고딕 이론, 파인만-카츠 공식, 푸리에 변환, 생존 분석 |
6. 관련 분야
- 계산 금융
- 금융공학
- 계량경제학
- 통계금융
- 행동재무학
- Quantitative behavioral finance영어
- 경제모형
- 경제물리학
- 금융경제학
- 국제수리금융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Quantitative Finance)
- 국제 스왑 파생 상품 협회(International Swaps and Derivatives Association)
- 파생 상품 (금융), 파생 상품 주제 목록
- 회계 관련 문서 목록
- 경제학자 목록
- 수리 금융 석사(Master of Quantitative Finance)
- 경제학 개요
- 금융 개요
- 금융 시장의 물리학
- 기술적 분석
- XVA
- 양자 금융
금융 경제학의 기본 정리, 특히 자산 가격 이론과 시장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미시 경제학의 논의에서는, 경쟁 시장에서 가격은 수요 함수와 공급 함수로부터 도출되는 균형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부분균형과, 소비자나 생산자가 모든 재화의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행동하는 일반균형의 논의가 있다. 수리 금융에서는 일반균형이 증권 시장에서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일반균형이 논의의 전제이기 때문에, 증권 가격의 상대 가격은 도출되지만, 절대 가격의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블랙-숄즈 모형에서는, 주가와 채권 가격이 이미 주어진 것으로 하여, 파생 상품의 가격을 도출한다. 그러나 이 주가 수준이 왜 그 값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으며, 무차익 원리의 틀에서는 결정할 수 없다. 거기에는 전통적인 경제학이나 CAPM 등의 이론이 필요하다.
7. 관련 인물
1970년대 블랙과 쇼울즈 등의 이론에 의해 수리금융학이 급속히 발전했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Harrison, David Kreps|Kreps영어, Pliska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연구 성과에 의해 무재정 조건(시장에 재정 기회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동치인 마팅게일 확률 측도가 존재하는 것이 서로 필요 충분 조건임이 제시되었다.[21]
8. 관련 기관 및 학회
참조
[1]
웹사이트
Quantitative Finance
http://finance.laws.[...]
About.com
2014-03-28
[2]
웹사이트
Why Edward Thorp Owns Only Berkshire Hathaway
https://www.barrons.[...]
2021-06-06
[3]
웹사이트
What is financial mathematics?
https://plus.maths.o[...]
Johnson
2021-03-01
[4]
서적
Stochastic calculus for finance
Springer
2004
[5]
서적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Fi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3
[6]
서적
Quantitative finance for physicists : an introduction
Elsevier Academic Press
2005
[7]
웹사이트
The Theory of Speculation
https://docs.google.[...]
2014-03-28
[8]
웹사이트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1969-2007
https://www.nobelpri[...]
Nobel Prize
2014-03-28
[9]
뉴스
A risky business: How to price derivatives
http://plus.maths.or[...]
Price+ Magazine
2008-12-01
[10]
간행물
Financial Models
https://catalogimage[...]
Michael Mastro
2013
[11]
서적
Methods of Mathematical Finance
Springer-Verlag New York, Incorporated
[12]
서적
Risk and Asset Allocation
Springer
[13]
서적
The Black Swan: The Impact of the Highly Improbable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Trade
[14]
웹사이트
Financial Modelers' Manifesto
http://www.wilmott.c[...]
Paul Wilmott's Blog
2009-01-08
[15]
뉴스
Mathematicians must get out of their ivory towers
http://www.ft.com/cm[...]
2010-04-15
[16]
서적
Fat-Tailed and Skewed Asset Return Distributions: Implications for Risk Management, Portfolio Selection, and Option Pricing
"[[John Wiley and Sons]]"
[17]
간행물
The variation of certain Speculative Prices
http://web.williams.[...]
B. Mandelbrot
1963
[18]
웹사이트
ECONOMETRIC POEICY EVALUATION: A CRITIQUE
https://web.sgh.waw.[...]
2022-08-05
[19]
서적
数理ファイナンス
東京大学出版会
2015-02-20
[20]
서적
ファイナンスの数理―デリバティブ価格の決定について
東京電機大学出版局
2005-03
[21]
서적
Dynamic Asset Pricing The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Incorporated
[22]
서적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3]
저널
Mathematical finance
https://en.wikipedia[...]
2022-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