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선군 (조선 전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숭선군(嵩善君)은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조의 서자인 덕원군과 창녕군부인 창녕 성씨의 아들이다. 조광조와 도의지교를 나누었으며,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된 후 풀려났다. 사후 승헌대부에 증직되었고, 후손에 의해 문헌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묘사화 관련자 - 김전
김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훈구파의 중진으로 활동하며 기묘사화에 가담하여 사림 세력을 숙청하는 데 협력한 인물이다. - 기묘사화 관련자 - 남곤
남곤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고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중종반정 이후 요직을 역임하고 영의정을 지냈으나, 조광조 등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기묘사화에 가담하기도 한 인물이다. - 조선의 성리학자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의 성리학자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조선의 왕족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왕족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숭선군 (조선 전기)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이감(李堪) |
| 자 | 가중(可重) |
| 시호 | 양평(良平) |
| 본관 | 전주 이씨 |
| 생몰년 | 1429년(세종 11년) ~ 1498년(연산군 4년) 11월 1일 |
| 묘소 |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세종대왕 |
| 어머니 | 신빈 김씨 |
| 부인 | 풍덕 군부인 조씨(豊德郡夫人 趙氏) |
| 아들 | 이심(李諶) |
2. 생애
아버지는 세조의 서자 덕원군이고, 어머니는 창녕군부인 창녕성씨로 성귀성의 딸이다. 정암 조광조와 도의지교(道義之交)로 가까이 지냈다.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울산에 유배된지 15년만에 풀려났다. 그 뒤 사후 승헌대부 숭선군(承憲大夫嵩善君)에 증직되었다. 후일 그의 4대손 이만근(李萬根)이 여덟번 상소하여 왕(王)이 문헌(文憲)이란 시호(諡號)가 추증되었다. 묘는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직천리 산97-17호(京畿道坡州市法院邑直川里山九十七의十七號), 어머님 창녕군부인 창녕성씨(昌寧郡夫人昌寧成氏)墓 계하 건좌(乾坐)에 안장되었다.
3. 가족 관계
장녀 : 전주 이씨(1442 ~ ?)
사위 : 청풍 김씨 참봉(參奉) 김덕순(金德純)
장남 : 연창군 이학수(延昌君 李鶴壽, 1449 ~ ?)
며느리 : 고성 이씨 - 승사랑(承仕郞) 이예손(李禮孫)의 딸
* 손자 : 원성도정 이수(原城都正 李綏, 1467 ~ ?)
* 손녀 : 이숙정(李淑貞, 1471 ~ ?)
* 손자 : 청성도정 이계(淸城都正 李繼, 1474 ~ ?)
* 손자 : 화성령 이적(花城令 李績, 1475 ~ ?)
* 손녀 : 이숙복(李淑福, 1476 ~ ?)
(첩)며느리 : 어분(於粉) - 양민 출신
* 서손녀 : 이숙신(李淑愼, 1483 ~ ?)
* 서손자 : 구성부령 이순(龜城副令 李純, 1485 ~ ?)
* 서손녀 : 이숙정(李淑正, 1494 ~ ?)
* 서손자 : 용성군 이강(龍城君 李絳, 1499 ~ ?)
* 서손자 : 명성군 이작(明城君 李綽, 1462 ~ ?)
차녀 : 이다복(李多福, 1450 ~ ?)
사위 : 남양 홍씨 사직(司直) 홍수기(洪守紀)
* 손자 : 홍간(洪簡, 1472 ~ ?)
* 손자 : 홍책(洪策, 1473 ~ ?)
* 손자 : 홍범(洪範, 1476 ~ ?)
* 손녀 : 홍복개(洪福介, 1482 ~ ?)
* 손자 : 홍잠(洪箴, 1485 ~ ?)
* 손녀 : 홍예종(洪禮從, 1488 ~ ?)
* 손자 : 홍록(洪籙, 1490 ~ ?)
차남 : 연성부수 이미수(延城副守 李眉壽, 1451 ~ ?)
며느리 : 장수 황씨 - 호군(護軍) 황순창(黃順昌)의 딸
* 손녀 : 전주 이씨(1477 ~ ?) - 평산 신씨 감찰(監察) 신경희(申景禧)의 처
* 손자 : 풍원령 이경(豊原令 李經, 1483 ~ ?)
3녀(서녀) : 이학복(李鶴福, 1462 ~ ?)
사위 : 진주 강씨 병절교위(秉節校尉) 강문주(姜文周)
* 손녀 : 강순개(姜順介, 1487 ~ ?)
* 손자 : 강사관(姜士寬, 1494 ~ ?)
* 손자 : 강사직(姜士直, 1496 ~ ?)
3남(서자) : 연광정 이영수(延光正 李永壽, 1471 ~ ?)
며느리 : 순천 박씨 - 충의위(忠義衛) 박운(朴雲)의 딸
* 손녀 : 이예정(李禮貞, 1492 ~ ?)
* 손녀 : 이의정(李義貞, 1493 ~ ?)
* 손녀 : 이덕정(李德貞, 1495 ~ ?)
* 손녀 : 이복정(李福貞, 1506 ~ ?)
* 손자 : 이성정 이신(尼城正 李紳, 1511 ~ ?)
4남(서자) : 연풍령 이의수(延豊令 李宜壽, 1468 ~ ?)
며느리 : 류기(柳琦)의 딸
* 손녀 : 이천이(李千伊, 1484 ~ ?)
* 손자 : 연성정 이강(蓮城正 李綱, 1489 ~ ?)
5남(서자) : 연원부수 이억수(延原副守 李億壽, 1475 ~ ?)
며느리 : 수원 최씨 - 승사랑(承仕郞) 최계손(崔戒孫)의 딸
* 손자 : 평성도정 이행(平城都正 李幸, 1494 ~ ?)
* 손녀 : 이예(李禮, 1500 ~ ?)
* 손녀 : 이예양(李禮讓, 1505 ~ ?)
* 손녀 : 이예현(李禮賢, 1509 ~ ?)
* 손자 : 홍성령 이치(洪城令 李緻, 1512 ~ ?)
* 손자 : 월성령 이륜(月城令 李綸, 1514 ~ ?)
6남(서자) : 괴산정 이만수(槐山正 李萬壽, 1482 ~ ?)
며느리 : 충의위(忠義衛) 서득정(徐得禎)의 딸
* 손자 : 익성수 이충록(益城守 李忠祿, 1497 ~ ?)
* 손녀 : 이인복(李仁福, 1501 ~ ?)
* 손녀 : 이예복(李禮福, 1504 ~ ?)
* 손자 : 광성정 이의복(廣城正 李義福, 1506 ~ ?)
* 손녀 : 이성복(李誠福, 1509 ~ ?)
* 손자 : 해성감 이성록(海城監 李誠祿, 1511 ~ ?)
4녀(서녀) : 이숙흥(李夙興, 1482 ~ ?)
사위 : 고성 이씨 충의위(忠義衛) 이잠(李潛)
* 손녀 : 이이례(李二禮, 1510 ~ ?)
* 손자 : 이준(李俊, 1511 ~ ?)
* 손녀 : 이말질녀(李末叱女, 1520 ~ ?)
3. 1. 가계
조선 세조의 서손자이자 덕원군의 서자로, 어머니는 창녕군부인 창녕 성씨이다. 근빈 박씨(謹嬪 朴氏)는 그의 할머니가 된다. 아버지는 덕원군 이서(德原君 李曙)이고, 어머니는 창녕군부인 창녕 성씨(昌寧郡夫人 昌寧 成氏, 1453 ~ 1515)로 성귀성(成貴誠)의 딸이다. 그의 숙부는 창원군 이성(昌原君 李晟)이다.
부인은 진주 강씨로 반성위(班城尉) 강자순(姜子順)의 딸이다. 진주 강씨와의 사이에서 장녀 전주 이씨(1442 ~ ?)와 차녀 이다복(李多福, 1450 ~ ?), 장남 연창군 이학수(延昌君 李鶴壽, 1449 ~ ?), 차남 연성부수 이미수(延城副守 李眉壽, 1451 ~ ?)를 두었다. 장녀 전주 이씨는 청풍 김씨 참봉(參奉) 김덕순(金德純)에게 출가했고, 차녀 이다복은 남양 홍씨 사직(司直) 홍수기(洪守紀)에게 출가했다. 장남 연창군 이학수는 고성 이씨 승사랑(承仕郞) 이예손(李禮孫)의 딸과 혼인하여 원성도정 이수(原城都正 李綏, 1467 ~ ?), 이숙정(李淑貞, 1471 ~ ?), 청성도정 이계(淸城都正 李繼, 1474 ~ ?), 화성령 이적(花城令 李績, 1475 ~ ?), 이숙복(李淑福, 1476 ~ ?)을 두었고, 양민 출신 첩 어분(於粉)에게서 서손녀 이숙신(李淑愼, 1483 ~ ?), 구성부령 이순(龜城副令 李純, 1485 ~ ?), 이숙정(李淑正, 1494 ~ ?), 용성군 이강(龍城君 李絳, 1499 ~ ?), 명성군 이작(明城君 李綽, 1462 ~ ?)을 보았다. 차남 연성부수 이미수는 장수 황씨 호군(護軍) 황순창(黃順昌)의 딸과 혼인하여 전주 이씨(1477 ~ ?, 평산 신씨 감찰(監察) 신경희(申景禧)의 처), 풍원령 이경(豊原令 李經, 1483 ~ ?)을 두었다.
첩 양이(養伊)는 노비 출신으로, 3녀(서녀) 이학복(李鶴福, 1462 ~ ?)을 낳았고, 이학복은 진주 강씨 병절교위(秉節校尉) 강문주(姜文周)에게 출가했다. 첩 옥지(玉只)는 노비 출신으로, 4남(서자) 연풍령 이의수(延豊令 李宜壽, 1468 ~ ?)와 5남(서자) 연원부수 이억수(延原副守 李億壽, 1475 ~ ?)를 낳았다. 연풍령 이의수는 류기(柳琦)의 딸과 혼인하여 이천이(李千伊, 1484 ~ ?), 연성정 이강(蓮城正 李綱, 1489 ~ ?)을 두었고, 연원부수 이억수는 수원 최씨 승사랑(承仕郞) 최계손(崔戒孫)의 딸과 혼인하여 평성도정 이행(平城都正 李幸, 1494 ~ ?), 이예(李禮, 1500 ~ ?), 이예양(李禮讓, 1505 ~ ?), 이예현(李禮賢, 1509 ~ ?), 홍성령 이치(洪城令 李緻, 1512 ~ ?), 월성령 이륜(月城令 李綸, 1514 ~ ?)을 두었다.
3남(서자) 연광정 이영수(延光正 李永壽, 1471 ~ ?)는 첩 영덕(永德)에게서 보았으며, 순천 박씨 충의위(忠義衛) 박운(朴雲)의 딸과 혼인하여 이예정(李禮貞, 1492 ~ ?), 이의정(李義貞, 1493 ~ ?), 이덕정(李德貞, 1495 ~ ?), 이복정(李福貞, 1506 ~ ?), 이성정 이신(尼城正 李紳, 1511 ~ ?)을 두었다.
6남(서자) 괴산정 이만수(槐山正 李萬壽, 1482 ~ ?)는 노비 출신 첩 영덕(永德)에게서 보았으며, 충의위(忠義衛) 서득정(徐得禎)의 딸과 혼인하여 익성수 이충록(益城守 李忠祿, 1497 ~ ?), 이인복(李仁福, 1501 ~ ?), 이예복(李禮福, 1504 ~ ?), 광성정 이의복(廣城正 李義福, 1506 ~ ?), 이성복(李誠福, 1509 ~ ?), 해성감 이성록(海城監 李誠祿, 1511 ~ ?)을 두었다.
4녀(서녀) 이숙흥(李夙興, 1482 ~ ?)은 노비 출신 첩 윤월(論月)에게서 보았으며, 고성 이씨 충의위(忠義衛) 이잠(李潛)과 혼인하였다.
3. 2. 자녀
조선 세조의 손자이자 덕원군과 창녕군부인 창녕 성씨의 아들이다. 부인은 진주 강씨로 반성위(班城尉) 강자순(姜子順)의 딸이다.
장녀는 전주 이씨(1442 ~ ?)이며, 청풍 김씨 참봉(參奉) 김덕순(金德純)과 혼인하였다. 장남은 연창군 이학수(延昌君 李鶴壽, 1449 ~ ?)이고 며느리는 고성 이씨로 승사랑(承仕郞) 이예손(李禮孫)의 딸이다. 연창군 이학수는 양민 출신 어분(於粉)을 첩으로 두었다. 차녀는 이다복(李多福, 1450 ~ ?)이며, 남양 홍씨 사직(司直) 홍수기(洪守紀)와 혼인하였다. 차남은 연성부수 이미수(延城副守 李眉壽, 1451 ~ ?)이며, 며느리는 장수 황씨로 호군(護軍) 황순창(黃順昌)의 딸이다.
첩 양이(養伊)에게서 3녀 이학복(李鶴福, 1462 ~ ?)을 얻었으며, 진주 강씨 병절교위(秉節校尉) 강문주(姜文周)와 혼인하였다. 첩 양이에게서 얻은 3남은 연광정 이영수(延光正 李永壽, 1471 ~ ?)이며, 순천 박씨 충의위(忠義衛) 박운(朴雲)의 딸을 며느리로 두었다.
첩 옥지(玉只)에게서 4남 연풍령 이의수(延豊令 李宜壽, 1468 ~ ?)를 얻었고, 류기의 딸과 혼인하였다. 옥지에게서 얻은 5남은 연원부수 이억수(延原副守 李億壽, 1475 ~ ?)이며, 수원 최씨 승사랑(承仕郞) 최계손(崔戒孫)의 딸을 며느리로 두었다.
첩 영덕(永德)에게서 6남 괴산정 이만수(槐山正 李萬壽, 1482 ~ ?)를 얻었으며, 며느리는 충의위(忠義衛) 서득정(徐得禎)의 딸이다. 첩 윤월(論月)에게서 4녀 이숙흥(李夙興, 1482 ~ ?)을 얻었으며, 고성 이씨 충의위(忠義衛) 이잠(李潛)과 혼인하였다. 양이, 옥지, 영덕, 윤월은 모두 노비 출신이다.
4. 기타
연창군(延昌君)은 세칭 이학군자(世稱理學君子)라 불렸다. 연창군의 여섯째 아들 명성군(明城君)은 충성심이 강하여 임진왜란 때 재종호성군(再從湖城君), 흥원군 춘원정(春原正)과 동맹하여 종묘사직을 지키고자 의병을 일으켜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1593년 선조가 환궁할 때 호종하는 등 공을 세워 1605년 선무원종공신일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책훈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