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풍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풍 김씨는 신라 경순왕의 후손인 김대유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말 문하시중을 지낸 김대유가 청성부원군에 봉해진 데서 유래하며, 조선 시대에 103명의 문과 급제자, 8명의 상신, 3명의 대제학, 2명의 왕비를 배출한 명문가이다. 특히 김육은 대동법을 창안하여 백성을 구제했고, 그의 손자 김석주는 대동법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명성왕후와 효의왕후를 배출하여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1985년 82,882명에서 2015년 110,815명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풍 김씨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청풍 김씨 - 김병관 (성우)
김병관은 대한민국 성우로서,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외화 더빙에 참여했으며 특히 모건 프리먼, 토미 리 존스, 로버트 쇼 등의 전담 성우로 알려져 있고, 《정의의 용사 카봇》, 《나루토》, 《쇼생크 탈출》, 《죠스》 등의 작품에 출연했다.
| 청풍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성씨 | 청풍 김씨 |
| 한자 표기 | 淸風金氏 |
| 관향 |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
| 나라 | 한국 |
| 시조 | 김대유(金大猷) |
| 원시조 | 김알지(金閼智) |
| 집성촌 | 충청북도 충주시, 청주시 인천광역시 강화군 황해도 해주시 경기도 포천시, 의왕시 전라북도 익산시 전라남도 장흥군 경상북도 상주시 |
| 웹사이트 | 청풍 김씨 대종회 |
| 년도 | 2015년 |
| 인구 | 110,815명 |
| 인물 | |
2. 역사
신라 제56대 경순왕의 아들인 마의태자는 고려 태조 왕건의 신흥세력에 대항 할 길이 없어 경순왕이 항복을 논의하자 천년사직을 하루아침에 버릴 수 없다고 이를 반대하였으나, 고려에 귀부를 청하는 국서가 전달되자 개골산에 들어가 베옷을 입고 초근목피하였다. 이후 경순왕의 넷째아들 김정구의 17세손 김대유가 경주김씨에서 분파하였다. 김대유(金大猷)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시조 김알지(金閼智)의 후예인 장군(將軍) 김순웅(金順雄)의 12세손으로 고려 말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에 봉해져,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하고 관향(貫鄕)을 청풍(淸風)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1]
후손 문정공 김육(金堉)의 신도비에 의하면 선계는 신라에서부터 나왔다. 통일신라 말 왕자가 청풍(淸風)으로 피하여 살았는데 이로써 그 후손들이 청풍군(淸風郡) 사람이 되었다고 하였다. 족보 서문에는 여러 차례 환란과 병란(兵亂)을 겪어 보첩(譜牒)을 잃어버렸다고 한다.
청풍 김씨는 조선조(朝鮮朝)에서 문과 급제자 103명(장원 급제자 6명), 상신(相臣 : 영의정·좌의정·우의정) 8명, 대제학(大提學) 3명, 왕비(王妃) 2명, 종묘배향공신을 4명을 배출하였다. 부자영상(父子領相) 김육 장남 김좌명(추증)·차남 김우명(추증)과 김재로, 김치인 부자가 있다. 특히 영의정 김육은 대동법을 창안해 잘못된 공납 제도로 신음하던 백성들을 도탄에서 구했다. 그의 손자 우의정 김석주는 대동법을 정착시키고 전국적으로 확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군역의 폐단도 시정했으며 스승 송시열과 함께 노론을 창립했다. 아울러 김우명의 딸 명성왕후는 현종의 정비이며 숙종의 친모이다. 김석주의 사촌이다. 효의왕후는 정조의 정비였다.
2. 1. 시조 및 기원
청풍 김씨(淸風 金氏)는 김대유(金大猷)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김대유는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으로, 고려 말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은 청풍(淸風)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1]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는 고려에 귀부하는 것에 반대하여 개골산에 은거하였다. 이후 경순왕의 넷째 아들 김정구의 17세손 김대유가 경주 김씨에서 분파하였다.[1] 후손 문정공 김육(金堉)의 신도비에 의하면 선계는 신라에서부터 나왔으며, 통일신라 말 왕자가 청풍(淸風)으로 피하여 살았다고 한다. 족보 서문에는 여러 차례 환란과 병란(兵亂)을 겪어 보첩(譜牒)을 잃어버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청풍 김씨는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103명(장원 급제자 6명), 상신(相臣) 8명, 대제학(大提學) 3명, 왕비(王妃) 2명, 종묘배향공신 4명을 배출한 명문가이다. 부자영상(父子領相)으로는 김육과 그의 아들 김좌명(추증)·김우명(추증), 그리고 김재로와 김치인 부자가 있다. 김육은 대동법을 창안하여 백성들을 구휼하였고, 그의 손자 김석주는 대동법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군역의 폐단을 시정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송시열과 함께 노론을 창립했다. 김우명의 딸 명성왕후는 현종의 왕비이자 숙종의 어머니이며, 김석주의 사촌이다. 효의왕후는 정조의 왕비였다.
2. 2. 조선시대
청풍 김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03명(장원 급제자 6명), 상신(相臣 : 영의정·좌의정·우의정) 8명, 대제학 3명, 왕비 2명, 종묘배향공신 4명을 배출하였다.[1] 부자영상(父子領相)으로는 김육의 장남 김좌명(추증)·차남 김우명(추증)과 김재로, 김치인 부자가 있다.[1] 특히 영의정 김육은 대동법을 창안해 잘못된 공납 제도로 신음하던 백성들을 도탄에서 구했다.[1] 그의 손자 우의정 김석주는 대동법을 정착시키고 전국적으로 확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군역의 폐단도 시정했으며 스승 송시열과 함께 노론을 창립했다.[1] 김우명의 딸 명성왕후는 현종의 정비이며 숙종의 친모이다.[1] 김석주의 사촌이며, 효의왕후는 정조의 정비였다.[1]2. 3. 일제강점기와 현대
청풍 김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03명(장원 급제자 6명), 상신(相臣 : 영의정·좌의정·우의정) 8명, 대제학 3명, 왕비 2명, 종묘배향공신 4명을 배출하였다.[1] 부자영상(父子領相)으로는 김육의 장남 김좌명(추증)·차남 김우명(추증)과 김재로, 김치인 부자가 있다.[1] 특히 영의정 김육은 대동법을 창안해 잘못된 공납 제도로 고통받던 백성들을 구했다.[1] 그의 손자 우의정 김석주는 대동법을 정착시키고 전국적으로 확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군역의 폐단도 시정했으며 스승 송시열과 함께 노론을 창립했다.[1] 김우명의 딸 명성왕후는 현종의 정비이며 숙종의 친모이고, 김석주의 사촌이다.[1] 효의왕후는 정조의 정비였다.[1]3. 본관
충청북도 제천시(堤川市) 청풍면 일대의 지명인 청풍(淸風)은 고구려 때 사열이현(沙熱伊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청풍(淸風)으로 개칭하여 내제군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충주에 속하였다가, 1660년(현종 1년) 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지방제도 개정으로 청풍군이 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제천군에 병합시켜 읍내면이라 하였다가, 1917년 청풍면이 되었다.
4. 계파
청풍 김씨는 판봉상시사공파(判奉常寺事公派), 청로상장군공파(淸虜上將軍公派), 영동정공파(令同正公派) 등의 상위 계파와 청평군파, 사재공파, 부사공파, 부위공파, 봉사공파, 지평공파, 현령공파, 목사공파, 평양파, 토산파, 고성파, 판서공파, 집의공파, 동정공파, 포천파, 이천파, 의주파, 영흥파, 만휴공파 등으로 분파되었다.
5. 항렬자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 口노(魯) | 치(致) | 종(鍾) | 口연(淵) | 동(東) | 口성(性) | 규(奎) | 진(鎭) | 口영(永) | 상(相) | 口용(容) | 희(喜) | 일(鎰) | 口한(漢) | 직(稷) | 口형(炯) | 기(基) | 선(善) | 口순(淳) | 병(秉) | 口환(煥) | 재(載) | 석(錫) | 口홍(泓) |
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7. 족보
청풍 김씨 족보는 1637년(인조 15년)에 처음 간행된 정축보(丁丑譜)를 시작으로, 1715년(숙종 15년) 을미보(乙未譜), 1750년(영조 26년) 경오보(庚午譜), 1857년(철종 8년) 정사보(丁巳譜), 1919년 기미보(己未譜), 1958년 무술보(戊戌譜), 1989년 기사보(己巳譜), 2010년 경인보(庚寅譜)가 간행되었다.
8. 집성촌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금곡리, 청주시 강외면 쌍청리, 청주시 강외면 봉산리,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귀여리, 포천시 영중면 성동리, 의왕시 왕곡동,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신봉리,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 김제시 진봉면 신부리,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내안리,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가장리, 황해도 해주시, 인천광역시 부평구 등에 청풍 김씨 집성촌이 있다.
9. 인구
청풍 김씨는 1985년에는 82,882명, 2000년에는 94,468명, 2015년에는 110,815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