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콰이어 (기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콰이어(Squier)는 1965년 펜더가 인수한 현 제조업체 V.C. Squier Company에서 유래한 기타 브랜드이다. 1982년 펜더는 일본의 저가형 카피 모델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의 간다 상회 및 후지겐과 제휴하여 스콰이어 브랜드를 설립했으며, 이후 펜더의 저가 브랜드로 전 세계에 공급되었다. 스콰이어는 일본, 미국,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중국, 멕시코, 인도 등에서 제조되며, Bullet, Affinity, Standard, Deluxe, Classic Vibe, Artist 등 다양한 라인업의 기타를 생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기 제조사 - HDC영창
    HDC영창은 1956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악기 제조 회사로, 피아노 제조 및 판매를 주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HDC그룹 계열사로서 악기 제조, 판매와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
  • 악기 제조사 - 클라비아
    클라비아는 1983년 디지털 드럼 ddrum 개발로 시작하여 Nord Lead 시리즈로 가상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를 대중화하고 Nord Electro, Nord Stage 등 다양한 전자 키보드 악기를 출시하며 명성을 얻은 스웨덴 악기 제조 회사이다.
  • 기타 제조 회사 - 리켄배커
    리켄배커는 193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설립되어 전기 하와이안 기타 "프라잉 팬"으로 시작해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 어쿠스틱 기타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며 1960년대 비틀즈의 사용으로 큰 인기를 얻은 악기 제조 회사이다.
  • 기타 제조 회사 - 아이바네즈
    아이바네즈는 1908년 호시노 쇼텐에서 시작되어 "아이바네즈 살바도르"라는 이름으로 어쿠스틱 기타를 제작한 일본의 악기 제조 회사로, 이후 다양한 악기를 생산하며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고 유명 기타리스트들의 시그니처 모델로 인기를 얻고 있다.
  • 미국의 기업 - IBM
    IBM은 1911년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기술 기업으로, 컴퓨팅 기술 발전을 선도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미국의 기업 - 엔비디아
    엔비디아는 1993년 설립된 미국의 반도체 회사로, GeForce 256을 통해 GPU라는 용어를 대중화하고 딥러닝 기술 발전에 힘입어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며 성장하여 2024년 6월에는 시가총액 세계 1위 기업에 올랐다.
스콰이어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명칭 (과거)V. C. 스콰이어 컴퍼니 (1890–1975)
유형개인 소유 (1890–1975)
자회사 (1965–75)
상표 (1982–현재)
설립1890년, 배틀크리크, 미시간주, 미국
설립자빅터 캐럴 스콰이어
소재지로스앤젤레스
산업 분야악기
제품현재: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기타 앰프
과거: 바이올린 줄, 밴조 줄, 기타 줄
모기업펜더 (1965–1975)
소유주펜더 (1975–현재)
공식 웹사이트fender.com/squier-series

2. 역사

스콰이어/스콰이어(Squier) 브랜드명은 펜더사가 1965년에 인수한 제조사인 "V.C. Squier Company"에서 유래했다.[9] 펜더사는 1970년대 말부터 일본산 고품질의 저가형 카피 모델과의 경쟁에 어려움을 겪었고, 1982년일본의 간다 상회 및 후지겐(후지 겐 악기 제조)과 제휴하여 "펜더 재팬"과 "스콰이어/스콰이어"라는 두 개의 브랜드를 창설했다.

스콰이어/스콰이어는 당초 일본 내수 브랜드였지만, 펜더사는 이를 유럽 시장을 위한 저가 브랜드로 활용하는 것을 고려했고, 최종적으로 펜더사의 저가 브랜드로 전 세계에 공급되게 되었다. 제조 국가도 일본 외로 확대되어, 지금까지 미국,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중국, 멕시코, 인도에서 스콰이어/스콰이어가 제조되고 있다.

처음에 유럽에 공급된 것은 일본 내에서는 "펜더 재팬" 브랜드로 판매되던 제품으로, "JV"(Japan Vintage의 약자) 시리얼의 펜더 재팬, 즉 "재팬 빈티지"에 해당한다. 이것은 1984년까지 공급되었으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시기의 라인업은 1957년 생산 및 1962년 생산 스트라토캐스터, 1952년 생산 텔레캐스터, 1957년 생산 및 1962년 생산 프리시전 베이스, 1962년 생산 재즈 베이스의 공식 카피 모델이다. 이후, 로고가 현재의 "Squier by Fender"로 변경되었다.

스콰이어/스콰이어의 제품이 미국에 공급되기 시작한 것은 1983년이다. 이 역시 자사의 미국 공장 제품으로는 일본산 카피 상품의 품질과 가격에 경쟁할 수 없었던 펜더사의 고육지책이었다. 이때 1970년대 모델의 제품이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또한 "블렛"(스트라토 바디에 텔레캐스터 을 장착한 기타) 등의 저가 모델도 추가되었다.

1985년 이후에는 과거 시대의 모델 공식 카피 외에, 현대적인 스펙의 제품을 판매했다. 2002년에는 7현 기타, 2006년에는 "헬로 키티" 스트라토(핑크와 블랙의 2가지 색상 바디에 흰색 픽가드가 키티의 얼굴 모양으로 잘려진 모델. 픽업은 리어에 깁슨형 험버커만, 컨트롤은 1볼륨)도 출시했다.

스콰이어 재즈 베이스


2. 1. V.C. 스콰이어 컴퍼니 (1890-1981)

19세기 후반, 영국 이민자이자 농부 겸 바이올린 제작자인 '''제롬 보나파르트 스콰이어(J.B. Squier)'''는 미국 미시간주 배틀 크릭에 정착했다.[9][2] 그는 아들 '''빅터 캐롤 스콰이어(V.C. Squier)'''와 함께 보스턴으로 이주하여 바이올린을 제작, 수리했다.[9][2] 이들의 바이올린은 뛰어난 바니시로 유명하며, "미국의 스트라디바리우스"로 불릴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2]

1890년, V.C. 스콰이어는 배틀 크릭으로 돌아와 자신의 상점을 열었다. 사업은 번창하여 레이크 애비뉴 429번지, 캐피톨 애비뉴 427번지 등으로 이전했다.[9][2] 당시 최고의 바이올린 현은 유럽산이었으나, V.C. 스콰이어는 직접 수제 현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는 실 꿰매는 기계를 개조하여 하루 1,000개의 고품질 현을 생산하는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9][2] 스콰이어의 바이올린 현, 반조 현, 기타 현은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학생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끌었다.[9][2]

1930년대, 스콰이어는 전자기타용 현을 생산하기 시작했다.[9][2] 1950년대 남부 캘리포니아의 레오 펜더에게 현을 공급하면서 펜더 악기 공사(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와의 관계가 시작되었고,[2] 1963년 펜더의 공식 주요 부품 제조업체가 되었다.[2] 1965년, 펜더는 V.C. 스콰이어 컴퍼니를 인수했다.[9][2] 이후 1970년대 중반까지 스콰이어 브랜드는 사라지고 펜더 브랜드로 현이 생산되었으며,[2] 회사는 1981년 배틀 크릭 공장과 함께 문을 닫았다.[3]

2. 2. 펜더 인수와 스콰이어 브랜드의 탄생 (1965-1982)

1965년, 펜더는 현(絃) 제조사인 "V.C. 스콰이어 컴퍼니"를 인수했다.[9] 1970년대 후반부터 펜더는 일본산 고품질 저가형 카피 모델과의 경쟁에 어려움을 겪었다.[4] 1980년대 초, 일본의 인건비와 생산 비용은 미국보다 훨씬 낮았기 때문에, 펜더는 일본산 기타와의 가격 경쟁을 위해 저가형 펜더 기타 생산을 미국에서 일본으로 이전했다.[4]

1982년 3월, 펜더는 일본에서 펜더 기타를 공식적으로 제작하는 기업인 펜더 재팬(Fender Japan)을 설립했다.[9] 펜더 재팬 설립 이전, 펜더는 도카이 악기(Tōkai), 그레코 기타(Greco guitars), 페르난데스 기타(Fernandes Guitars)와 같은 일본 기타 브랜드에 일본 내 판매량을 잃고 있었다.[5] 펜더는 여러 일본 악기 유통업체와 협상하여 야마노 악기(Yamano Gakki)와 간다 쇼카이(Kanda Shokai)와 함께 펜더 재팬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간다 쇼카이는 그레코 기타(Greco)라는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펜더와의 계약 조건 중 하나는 간다 쇼카이가 자체 그레코 펜더 카피 기타 생산을 중단하는 것이었다.[5] 이는 일본 시장에서 카피본이 없어져서 펜더에게 유리했고, 간다 쇼카이는 일본에서 정식 펜더 기타를 만들 수 있게 되어서 양측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조건이었다.[5] 도카이 악기가 처음으로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협상 실패로 후지겐(FujiGen) 악기가 생산을 담당하게 되었다.[5]

1982년 5월까지 Fender Japan은 6개의 모델('57 스트라토캐스터, '62 스트라토캐스터, '52 텔레캐스터, '57 프레시전 베이스, '62 프레시전 베이스, '62 재즈 베이스)을 생산했다. 한편, 아시아에서 만들어진 펜더 카피본들이 유럽에서 급증하자, 펜더는 그에 경쟁할 만한 낮은 가격대의 기타를 만들 필요성을 느꼈다.[9] 그 기타에 한동안 사용하지 않던 ''''스콰이어(Squier)''''라는 이름이 붙여졌고, 새 Fender Japan 빈티지 모델의 수출 버전에 이름이 붙여졌다.[9]

스콰이어 기타 라인이 출시되기 전, 펜더는 캘리포니아주 풀러턴 공장에서 펜더 리드 시리즈와 같은 저가형 기타를 제작했다. 펜더 스콰이어 시리즈가 출시되기 전까지 펜더는 주력 모델인 펜더 스트라토캐스터펜더 텔레캐스터를 기반으로 한 저가형 기타를 생산한 적이 없었으며, 저가형 기타에는 항상 다른 모델 디자인을 사용했다.

초기 스콰이어 모델은 1982년 7/8월에 출시되었다. 스콰이어/스콰이어는 당초 일본 내수 브랜드였지만, 펜더사는 이를 유럽 시장을 위한 저가 브랜드로 활용하는 것을 고려했고, 최종적으로 펜더사의 저가 브랜드로 전 세계에 공급되게 되었다. 제조 국가도 일본 외로 확대되어, 지금까지 미국,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중국, 멕시코, 인도에서 스콰이어/스콰이어가 제조되고 있다.

2. 3. 스콰이어 브랜드의 발전 (1982-현재)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 펜더는 일본에서 만들어지는 카피본들과 경쟁을 벌였다. 이 일제 기타들은 펜더의 기타를 노골적으로 모방했으며, 디자인은 거의 유사했으나 가격은 훨씬 낮았다.[4] 당시 일본의 인건비와 생산 비용은 미국보다 훨씬 낮았고, 일본산 기타와 경쟁하기 위해 펜더는 저가형 펜더 기타 생산을 미국에서 일본으로 이전했다.[4] 이에 따라 펜더는 1982년 3월, 펜더 기타를 공식적으로 일본에서 제작하는 기업인 펜더 재팬(Fender Japan)을 설립한다.[9]

펜더 재팬 설립 이전 펜더는 일본에서 도카이 악기(Tōkai), 그레코 기타(Greco guitars), 페르난데스 기타(Fernandes Guitars)와 같은 일본 기타 브랜드에 일본 내 판매량을 잃고 있었다.[5] 펜더 재팬의 설립은 일본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펜더의 판매에 도움이 될 것이었다. 펜더는 여러 일본 악기 유통업체와 협상하여 야마노 악기(Yamano Gakki)와 그레코 기타(Kanda Shokai)와 펜더 재팬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5] 칸다 쇼카이는 펜더와의 계약 조건으로 그레코 기타 제작을 중단하였다.[5] 펜더는 일본 시장에서 카피본이 없어져서 좋고, 칸다 쇼카이는 일본에서 정식 펜더 기타를 만들 수 있게 되어서 좋은 양측이 모두 이득을 보는 조건이었다.[5]

1982년 5월까지 Fender Japan은 6개의 모델('57 스트라토캐스터, '62 스트라토캐스터, '52 텔레캐스터, '57 프레시전 베이스, '62 프레시전 베이스, '62 재즈 베이스)을 생산했다. 한편 아시아에서 만들어진 펜더 카피본들이 유럽에서 급증하자, 펜더는 그에 경쟁할 만한 낮은 가격대의 기타를 만들었다. 그 기타에게 한참동안 사용하지 않던 ''''스콰이어(Squier)''''라는 이름이 부활하고, 새 Fender Japan 빈티지 모델의 수출 버전에게 이름 붙여졌다.[9]

초기 스콰이어 모델은 1982년 7/8월에 출시되었다. 처음 유럽에 공급된 것은 일본 내에서는 "펜더 재팬" 브랜드로 판매되던 제품으로, "JV"(Japan Vintage의 약자) 시리얼의 펜더 재팬, 즉 "재팬 빈티지"에 해당한다. 이것은 1984년까지 공급되었으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시기의 라인업은 1957년 생산 및 1962년 생산 스트라토캐스터, 1952년 생산 텔레캐스터, 1957년 생산 및 1962년 생산 프리시전 베이스, 1962년 생산 재즈 베이스의 공식 카피 모델이다. 이후, 로고가 현재의 "Squier by Fender"로 변경되었다.

1985년 이후에는 과거 시대의 모델 공식 카피 외에, 현대적인 스펙의 제품을 판매했다. 스콰이어는 점차적으로 오리지널 모델 디자인을 포함하도록 발전했으며, 생산은 일본에서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와 같은 다른 아시아 국가로 이전되었다. 2002년에는 7현 기타, 2006년에는 "헬로 키티" 스트라토(핑크와 블랙의 2가지 색상 바디에 흰색 픽가드가 키티의 얼굴 모양으로 잘려진 모델)도 출시했다.

1965년에 펜더사에 인수된 제조사인 "V.C. Squier Company"에서 유래한 스콰이어/스콰이어 브랜드는 현재 미국,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중국, 멕시코, 인도에서 제조되고 있다.

3. 주요 기타 라인업

스콰이어 불렛 시리즈는 펜더에서 디자인한 엔트리 레벨 기타 라인업이다. 저렴한 가격과 간편한 사용성으로 초보 연주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어피니티(Affinity) 시리즈는 불렛 시리즈보다 상위 모델로, 향상된 성능과 다양한 색상 옵션을 제공한다.

스탠다드(Standard) 시리즈는 중급 사용자들을 위한 라인업으로, 더욱 정교한 제작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디럭스(Deluxe) 시리즈는 고급 사용자들을 위한 라인업으로, 고품질 부품과 세련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빈티지 모디파이드 시리즈는 클래식 펜더 기타의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라인업이다.

클래식 바이브(Classic Vibe) 시리즈는 1950년대와 1960년대 펜더 기타의 디자인과 사운드를 재현한 라인업이다.

스콰이어 아티스트(Artist) 시리즈는 유명 기타리스트들의 시그니처 모델을 포함하는 라인업이다.

3. 1. 불렛(Bullet) 시리즈

스콰이어 불렛 시리즈는 펜더에서 디자인한 엔트리 레벨 기타 라인업이다. 저렴한 가격과 간편한 사용성으로 초보 연주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3. 2. 어피니티(Affinity) 시리즈

어피니티(Affinity) 시리즈는 불렛 시리즈보다 상위 모델로, 향상된 성능과 다양한 색상 옵션을 제공한다.

3. 3. 스탠다드(Standard) 시리즈

스탠다드(Standard) 시리즈는 중급 사용자들을 위한 라인업으로, 더욱 정교한 제작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3. 4. 디럭스(Deluxe) 시리즈

디럭스(Deluxe) 시리즈는 고급 사용자들을 위한 라인업으로, 고품질 부품과 세련된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3. 5. 빈티지 모디파이드(Vintage Modified) 시리즈

빈티지 모디파이드 시리즈는 클래식 펜더 기타의 디자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라인업이다.

3. 6. 클래식 바이브(Classic Vibe) 시리즈

클래식 바이브(Classic Vibe) 시리즈는 1950년대와 1960년대 펜더 기타의 디자인과 사운드를 재현한 라인업이다.

3. 7. 아티스트(Artist) 시리즈

스콰이어 아티스트(Artist) 시리즈는 유명 기타리스트들의 시그니처 모델을 포함하는 라인업이다.

4. 유명 연주자

스티브 로서리(마릴리온)는 1985년 런던에서 중고로 구입한 검은색 바디에 검은색 픽가드의 스트라토캐스터를 1987년부터 1998년까지 메인 기타로 사용했다. 픽업은 EMG의 SA로 교체되었다. 또한 일본에서 공수한 JV 시리얼의 검은색 바디, 흰색 픽가드도 사용했다. 로서리는 이 JV를 자신이 지금까지 연주해 온 오리지널 빈티지 펜더 스트라토캐스터들과 같은 소리가 나는 명기라고 평가했다.[6]
프란시스 다나리(전 잇 바이츠)는 흰색 바디의 일본제 스콰이어 스트라토캐스터를 사용했다. 헤드 스톡은 1970년대형 "라지 헤드"이며 지판은 로즈우드이다. 리어 픽업은 디마지오사의 X2N으로 교체되었다. 그의 메인 기타는 이 개체 외에도 검은색 펜더 재팬의 스몰 헤드 스트라토캐스터(리어 픽업은 동일하게 X2N), "Eat Me in St.Louis" 투어에서는 페르난데스사의 FR65(메이플 바디, 메이플 넥에 SSH 레이아웃, 플로이드 로즈・트레몰로 유닛 장착, 픽가드 없는 검은색 바디. 넥 및 헤드 스톡도 검정색으로 칠해짐) 등 일본제 기타뿐이다.

제프 힐리는 1980년대 초 JV 시리얼의 검은색 스트라토캐스터를 데뷔 때부터 애용했다.[7] 픽업은 에반스로 교체되었다.
롭 해리스(자미로콰이)는 일본제 스트라토캐스터를 사용했다. 픽업은 킨먼으로 교체되었다.[8]

5. 한국에서의 스콰이어

참조

[1] 뉴스 A Brief History of Squier Guitars https://guitar.com/f[...] Guitar.com 2023-10-03
[2] 웹사이트 Fender Squier History http://www.squiergui[...]
[3] 웹사이트 V.C. Squier announces closure https://dspace.willa[...] 1981-05-19
[4] 웹사이트 History of Fender Japan http://www.music-tra[...]
[5] 웹사이트 Fender Japan History http://www.daeschler[...] Daeschler.com 2013-12-14
[6] 문서 Private Collection: Sonic Explorer http://www.guitar-ba[...]
[7] 문서 Jeff Healey, 1966-2008 http://www.squiergui[...]
[8] 문서 ロブ・ハリス公式ウェブサイト http://www.rob-harri[...]
[9] 웹인용 Squier Electric Guitars {{!}} Fender http://www.squiergui[...] 2021-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