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승기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승기천은 인천광역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승학산 북쪽의 승기리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추정되나, 삼국사기, 대동여지도 등에는 나타나지 않고 조선 철종 때 동천으로 기록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남동염전 건설로 하천의 모습이 바뀌었고, 1985년 남동공단 조성으로 직강화 공사가 이루어졌다. 현재는 연수구와 남동구의 경계를 이루며 황해로 유입되며, 문학산과 승학산 사이에서 발원하는 지류와 갯골 지류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미추홀구의 지리 - 원도와 소원도
    원도와 소원도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섬으로, 한때 많은 주민이 거주했으나 인구 감소와 개발 사업의 문제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인천 미추홀구의 지리 - 옐로우 하우스
    옐로우 하우스는 1902년 인천 신흥동에 설립되어 일제강점기부터 2020년까지 존속했던 사창가로, 2020년 재개발로 철거되었으며 성매매 여성 지원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 인천 연수구의 지리 - 송도국제도시
    인천 연수구에 위치한 송도국제도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핵심 지구로서 국제 업무, 교육, 주거 기능을 수행하는 계획도시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를 지향하며 GCF 본부를 유치하여 국제적인 위상을 높였다.
  • 인천 연수구의 지리 - 송도달빛축제공원
    송도달빛축제공원은 2013년 4월에 착공되어 펜타포트 야외공연장, 도그파크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송도 바람축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등 다양한 행사와 공연이 열리는 공원이다.
  • 인천 남동구의 지리 - 소래염전
    소래염전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건설한 천일염전으로, 인천광역시와 시흥시 일대에 조성되어 소금 생산의 주요 기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폐쇄 후 일부는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어 개발과 보존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일부 시설이 남아있다.
  • 인천 남동구의 지리 - 원통이고개
    원통이고개는 국도 제46호선이 지나는 고개로, 김안로의 탄식 또는 이성계와 무학대사의 탄식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으로 교통 편의가 증진되었다.
승기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승기천
한자 표기承基川
지리 유형
지리 정보
나라대한민국
지방인천광역시
도시미추홀구
도시1남동구
도시2연수구
발원지수봉산
발원지 위치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기타 발원지 위치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838-46
하구남동공단유수지
하구 위치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길이10.33
유역 면적33.58
지류 정보
기타 정보

2. 이름

승기천의 이름은 승학산 북쪽에 있던 마을인 승기리(承基里, 지금의 신비마을 일대)에서 따온 것으로, 승기리는 한때 마을이 없어졌다가 도로 생겨났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는데 확실하지 않다.[3] ‘승기천’이라는 명칭은 《삼국사기》부터 〈대동여지도〉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조선 철종 때의 〈동여도〉에 '''동천'''(東川)이라는 이름으로 유일하게 기록되어 있다.[4][5] 1911년경의 《조선지지자료》에는 경기도 인천부 구읍면 관청리, 향교리(현 관교동), 산성리, 학산리(현 문학동)를 흐르는 하천으로 ‘관산ᄂᆡ(官山川)’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6], 이는 지리상 승기천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추정된다.

2. 1. 명칭 유래

승기천의 이름은 승학산 북쪽에 있던 마을인 승기리(承基里, 지금의 신비마을 일대)에서 따온 것으로, 승기리는 한때 마을이 없어졌다가 도로 생겨났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는데 확실하지 않다.[3] ‘승기천’이라는 명칭은 《삼국사기》부터 〈대동여지도〉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볼 때, 후대의 누군가 창작한 이름으로 보인다. 다만 유일하게 조선 철종 때의 〈동여도〉에 '''동천'''(東川)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4][5]

2. 2. 역사적 기록

승기천의 명칭은 《삼국사기》부터 〈대동여지도〉까지는 나타나지 않고, 조선 철종 때의 〈동여도〉에 '''동천'''(東川)이라는 이름으로 유일하게 기록되어 있다.[4][5] 1911년경의 《조선지지자료》에는 경기도 인천부 구읍면 관청리, 향교리(현 관교동), 산성리, 학산리(현 문학동)를 흐르는 하천으로 ‘관산ᄂᆡ(官山川)’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6], 이는 지리상 승기천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추정된다.

3. 역사

1910년대 지도에는 수봉산 동쪽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승기사거리 부근에서 남쪽으로 흘러 선학동 북쪽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승기천이 나타난다.[3][7] 이후 연수구남동구 사이 바다에 남동염전이 조성되면서 물길이 바뀌었고, 1985년 남동공단 건설을 위해 갯벌을 매립하면서 직강화 공사가 이루어져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3] 1980년대 후반에는 미추홀구 일대의 중상류 구간이 복개되었다.[4]

3. 1. 일제강점기 이전

1910년대 지도에는 승기천이 수봉산 동쪽 사충리(士忠里, 현재의 주안동 신기마을 일대)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지금의 승기사거리(옛 동양장사거리) 부근에서 남쪽으로 흐르기 시작하여 도장리(道章里, 현재의 선학동 북쪽)에서 바다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그려져 있다.[3][7] 수봉산에서 승기사거리 사이 구간은 지금의 주안2동과 4동을 동서로 통과하였다.[4] 도장리 남쪽 구간은 바다의 갯골로서 지금의 선학동, 남촌동, 논현동 부근을 흘러 나가다가[3], 대원례도소원례도의 동쪽으로 이어졌다.[7]

3. 2. 남동염전 건설

1910년대 지도에는 승기천이 수봉산 동쪽 사충리(현재의 주안동 신기마을 일대)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승기사거리(옛 동양장사거리) 부근에서 남쪽으로 흘러 도장리(현재의 선학동 북쪽)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그려져 있다.[3][7] 그러다 지금의 연수구와 남동구 사이 바다에 남동염전을 조성하면서 갯골은 남동염전 동쪽으로 흘러 옛 수인선 남동역 동쪽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하천이 되었으며, 유로는 이전과 같았다. 남동염전은 인천 지역에 주안염전에 이어 두 번째로 만들어진 근대식 염전으로, 1921년에 건설되었다.[8] 조선총독부의 제3기 염전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1920년 9월부터 축조가 시작되어 1921년 12월에 준공되었는데, 척전리(지금의 동춘동 청량산과 봉재산 사이)의 1구 염전(105정보), 승기천 하구를 가로막아 만든 2구 염전(105정보), 논현리의 3구 염전(90정보)으로 구성되었다.

3. 3. 남동공단 조성

1985년에 한국토지개발공사가 남동공단 건설을 위하여 갯벌을 매립하고 부지를 조성하면서 남동염전이 없어지고 승기천의 직강화공사가 이루어져, 지금은 연수구와 남동공단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가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동막역 부근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하천이 되었다.[3]

3. 4. 복개와 생태 복원

1980년대 후반, 미추홀구 일대의 승기천 중상류는 복개되었다.[4] 용현동 토박이의 증언에 따르면, 승기천 상류는 폭이 좁고 물이 맑았으며, 인천용일초등학교 쪽 수봉산 독쟁이고개에서 시작되는 물줄기와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쪽에서 시작되는 물줄기가 신기마을(지금의 주안7동 쪽)에서 합쳐져 이루어진다고 한다.[10]

4. 지류

승기천의 지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문학산승학산 사이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흘러 승기천 본류로 합류하는 하천이고,[7][2][11] 다른 하나는 동춘동, 연수동, 남촌동, 고잔동 방향에서 흘러드는 네 갈래의 작은 갯골이다.[3]

4. 1. 문학산·승학산 발원 지류

문학산승학산 사이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7][2], 관교동의 여러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소하천들을 모아 동쪽으로 흘러 승기천 본류로 합류하였다.[11]

4. 2. 갯골 지류

동춘동, 연수동, 남촌동, 고잔동 방향에서 네 갈래의 작은 갯골이 승기천 갯골로 흘러들었다.[3]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 문학산 기슭의 ‘청학풀장’은 이 갯골로 흘러드는 지류의 물을 사용한 수영장이었다.[11] 문학산에서 청량산 동쪽을 지나 대원례도와 소원례도의 서쪽을 통과하는 지류는 조선 시대 인천군 먼우금면(遠又邇面)의 동쪽 경계였다.

5. 사진

현재 출력된 결과물은 주어진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수정 없이 그대로 출력합니다.

5. 1. 승기천의 조류

참조

[1] 서적 한국하천일람 2014 https://web.archive.[...] 국토교통부 2019-09-01
[2] 뉴스 인주로 주간선으로 복개된 본류, 발원지 마져 유실 http://www.incheonin[...] 인천in 2019-09-02
[3] 뉴스 인천의 하천을 찾아서-(9)승기천 발원지와 물길 http://www.incheonne[...] 인천신문 2019-09-02
[4] 뉴스 물이 많아 물이 흘렀던 미추홀구…승기천 본류 찾기 http://www.incheonin[...] 인천in 2019-09-08
[5] 웹인용 동천(東川) / 인천광역시 http://kostma.aks.ac[...] 2019-09-15
[6] 서적 朝鮮地誌資料 京畿道 7 https://www.nl.go.kr[...] 朝鮮総督府 1911?
[7] 간행물 2017
[8] 뉴스 "[인천이 원조] (15) 근대식 염전"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19-09-08
[9] 뉴스 "[땅과 사람들](12)인천의 마지막 남은 송도 갯벌"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9-09-15
[10] 웹인용 내가 기억하는 승기천[1] - 오인영 http://www.haksansod[...] 2019-09-15
[11] 간행물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